최근 수정 시각 : 2025-09-10 02:13:52

박희모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801A24><tablebgcolor=#801A24>
파일: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MI.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801A24><tablebgcolor=#801A24>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국군 중장.svg
연합참모본부장
초대

강영훈
제2대

김형일
제3대

함병선
제4대

김점곤
제5대

황엽
제6대

전부일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합동참모본부장
제7대

박경원
제8대

서종철
제9대

심흥선
제10대

류근창
제11대

김재명
제12대

박원근
제13대

이병형
제14대

류병현
제15대

이재전
제16대

문홍구
제17대

김영선
제18대

신현수
제19대

강영식
제20대

이상훈
제21대

정진권
제22대

박희모
제23대

한철수
제24대

최웅
제25대

류승국
제26대

임헌표
제27대

권병식
제28대

송응섭
합동참모본부 제1 · 2 · 3차장
제29대1

송응섭
제29대2

간용태
제29대3

이양호
제30대1

김재창
제30대2

김성득
제31대1

편장원
제31대2

강덕동
합동참모차장
제32대

강덕동
제33대

임태섭
제34대

이지두
제35대

장정길
제36대

박성국
제37대

주창성
제38대

오승열
제39대

김명립
제40대

박인용
제41대

이계훈
제42대

김중련
제43대

김정두
제44대

원태호
제45대

이영만
제46대

박신규
제47대

김현집
제48대

김유근
제49대

신원식
제50대

엄현성
제51대

이범림
제52대

이종섭
제53대

원인철
제54대

최현국
제55대

윤의철
제56대

박정환
제57대

박웅
제58대

황유성
제59대

강호필
제60대

김봉수
제61대

정진팔
제62대

권대원
* 소장 : 초대 ~ 제6대
* 중장 : 제7 ~ 28대 ▸ 제29 ~ 31대 (제2 · 3차장) ▸ 제32 ~ 38대 ▸ 제41 ~ 58대 ▸ 제60대 ~ 현직
* 대장 : 제29 ~ 31대 (제1차장) ▸ 제39 ~ 40대 ▸ 제59대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E32B26>
파일:제30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E32B26>
대한민국 육군
제30기계화보병사단장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초대
윤춘근
제2대
류근창
제3대
미상
제4대
노재현
제5대
김재명
제6대
이상국
제7대
최우근
제8대
박희동
제9대
미상
제10대
미상
제11대
김종수
제12대
미상
제13대
김유복
제14대
김영선
제15대
미상
제16대
미상
제17대
미상
제18대
미상
제19대
박희모
제20대
최웅
제21대
장준익
제22대
임인조
제23대
구창회
제24대
미상
제25대
김척
제26대
손수태
제27대
이종옥
제28대
미상
제29대
이상희
제30대
권안도
제31대
미상
제32대
미상
제33대
황의돈
제34대
미상
제35대
미상
제36대
미상
제37대
미상
제38대
김학주
제39대
양종수
제40대
류성식
제41대
김병주
제42대
조한규
제43대
김성도
제44대
방성대
}}}}}}}}}}}}}}}
<colbgcolor=#801a24><colcolor=#ffffff> 대한민국 제22대 합동참모본부장
박희모
朴熹模 | Park Heemo
파일:박희모.jpg
출생 1933년
경상북도 상주시
재임기간 제22대 합동참모본부 본부장
1984년 1월 27일 ~ 1985년 1월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01a24><colcolor=#ffffff> 학력 보성고급중학교 (졸업)
육군대학교 (졸업)
경력 산업기지개발공사 이사장
대한민국6.25참전유공자회장
갑종장교전우회장
군사 경력
임관 갑종간부후보생 (9기)
복무 대한민국 육군
1952년 1월 29일 ~ 1985년
최종 계급 중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 합동참모본부 본부장
주요 보직 11사단 9연대 3대대 소대장
제30보병사단장
합동참모본부 본부장
참전 6.25 전쟁 }}}}}}

1. 개요2. 생애
2.1. 초년기2.2. 군인시절2.3. 예편 이후
3. 대중매체에서

1. 개요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2. 생애

2.1. 초년기

1933년, 경상북도 상주에서 태어난 그는 1951년, 학생시절에 6.25 전쟁에 참전했다. 당시 보성중학교 5학년이었다.[1] 입대 사유는 부모님이 있는 상주에 피난을 가다가 자원입대를 독려하는 방송을 듣고 자원입대를 했다고 한다.

2.2. 군인시절

박희모는 1951년 7월 29일, 갑종간부후보생 9기로 입교했다. 1952년 1월 29일, 육군 소위로 임관 후 소대장으로 배정받은 곳은 제11보병사단 제9연대 3대대였다. 당시 지금의 고성통일전망타워 근처에 있던 곳이라서 포격전과 생포전을 반복했다고 하며 이후 휴전까지 죽을 고비를 3번이나 경험했다고 한다.

6.25때 대단한 성과를 보였지만 의외로 12.12 군사반란 가담자이다. 당시 계급은 소장이었으며 직급은 제30보병사단장이었다.

처음부터 반란군에 가담한건 아니며 진압군 측에 섰다가 배신했는데, 제1공수특전여단[2]제9보병사단[3]이 서울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수도경비사령부 관할 한강다리를 넘지못해서 수경사 관할이 아닌 유일한 한강다리인 행주대교로 진입할려하자, 장태완 수경사령관은 박희모에게 "30사단 관할인 한강다리를 통제해주십시오"라고 요청한다. 이 요청은 육군본부 측에서도 30사단에 하달하였기에 박희모 사단장은 행주대교를 통제하여 반란군들을 진압하려고 하며 진압군에 가담한다.

하지만 박희모의 전화 내용을 감청한 보안사 측은 박희모에게 "부대 동원해봤자, 30사단이 질 것이 뻔하니까 부대원 사지로 몰지말고 통제 철회하십시오" 라고 전하여, 박희모는 행주대교 통제를 철회하고 결국 반란군들과 합류한다.[4] 박희모는 반란군측 요청으로 3군사령부 예하, 제26보병사단,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의 진입을 막기 위해 제30사단 제90연대[5]를 고려대학교 인근에 배치하는 반란행위를 한다.

반란 이후 계속 진급을 하여 1984년 중장 진급을 한다. 이상규 장군과 같이 전두환에게 보직신고를 하였다. 박희모는 합동참모본부장을 역임하고, 1985년 예편당했다.

2.3. 예편 이후

이후 전두환, 노태우 정권때 산업기지개발공사 이사장을 지냈다. 6.25 전쟁 참전유공자회 회장을 맡았으며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악수도 했다.

2013년과 2020년에 각각 호국영웅 배지를 수여받았다.

3. 대중매체에서



[1] 당시 중학교는 6년제로 해놓는 학교도 있었다[2] 여단장은 박희도 준장[3] 사단장은 노태우 소장[4] 최초로 육군본부의 명령을 거부하는 사례이다.[5] 연대장은 송응섭 대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