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4 07:17:17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두래네에서 넘어옴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2회 2014 소치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예브게니 플루셴코
율리아 리프니츠카야
타티야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
크세니야 스톨보바 / 표도르 클리모프
예카테리나 보브로바 / 드미트리 솔로비요프,
옐레나 일리니크 / 니키타 카찰라포프
23회 2018 평창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패트릭 챈
케이틀린 오스먼드, 가브리엘 데일먼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24회 2022 베이징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네이선 첸, 빈센트 저우
카렌 첸
알렉사 니어림 / 브랜던 프레이저
매디슨 허벨 / 재커리 도너휴,
매디슨 척 / 에반 베이츠
25회 2026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파일:국기.svg ? ?
?
?
?
  • 단체전은 2014 소치 동계올림픽부터 추가됨.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 수상자인 카밀라 발리예바에게서 금지 약물 복용이 확인됨에 따라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의 포인트 삭감. 이에 따라 미국이 금메달을 돌려받게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780c2; font-size: 1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2회 2014 소치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패트릭 챈, 케빈 레이놀즈
케이틀린 오스먼드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커스틴 무어-타워즈 / 딜런 모스코비치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23회 2018 평창 파일:오륜기.svg OAR 미하일 콜랴다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알리나 자기토바
예브게니야 타라소바 / 블라디미르 모로조프,
나탈리야 자비야코 / 알렉산더 엔베르트
예카테리나 보브로바 / 드미트리 솔로비요프
24회 2022 베이징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우노 쇼마, 카기야마 유마
히구치 와카바, 사카모토 카오리
미우라 리쿠 / 키하라 류이치
고마츠바라 미사토 / 티모시 콜레토
25회 2026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파일:국기.svg ? ?
?
?
?
  • 단체전은 2014 소치 동계올림픽부터 추가됨.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 수상자인 카밀라 발리예바에게서 금지 약물 복용이 확인됨에 따라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의 포인트 삭감. 이에 따라 일본이 은메달을 돌려받게 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780c2; font-size: 1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 하계 올림픽
1908 1908 런던 파일:영국 국기.svg 마지 시어스 / 에드거 시어스 1920 1920 안트베르펀 파일:영국 국기.svg 필리스 존슨 / 바질 윌리엄스
동계 올림픽
1회 1924 샤모니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앙드레 브뤼네 / 피에르 브뤼네 <colbgcolor=#3c3b6e,#141425> 2회 1928 생모리츠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멜리타 브루너 / 루드윅 브레드
3회 1932 레이크플래시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에밀리아 로터 / 나슬로 스졸라스 4회 193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파일:헝가리 국기.svg 에밀리아 로터 / 나슬로 스졸라스
5회 1948 생모리츠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수잔 모로 / 월리스 디젤마이어 6회 1952 오슬로 파일:헝가리 국기.svg 마리앤 나기 / 나즐로 나기
7회 1956 코르티나담페초 파일:헝가리 국기.svg 마리앤 나기 / 나즐로 나기 8회 1960 스쿼밸리 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낸시 루딩턴 / 로널드 루딩턴
9회 1964 인스브루크 파일:미국 국기.svg 비비안 조셉 / 로널드 조셉 10회 1968 그르노블 파일:독일 올림픽 단일팀기.svg 마곳 글록슈버 / 볼프강 다네
11회 1972 삿포로 파일:동독 국기.svg 마누엘라 그로스 / 우베 카겔만 12회 1976 인스브루크 파일:동독 국기.svg 마누엘라 그로스 / 우베 카겔만
13회 1980 레이크플래시드 파일:동독 국기.svg 마누엘라 마거 / 우베 비버스도프 14회 1984 사라예보 파일:소련 국기.svg 라리사 셀레즈네바 / 올렉 마카로프
15회 1988 캘거리 파일:미국 국기.svg 질 왓슨 / 피터 오퍼가드 16회 1992 알베르빌 파일:캐나다 국기.svg 이사벨 브라설 / 로이드 아이슬러
17회 1994 릴레함메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이사벨 브라설 / 로이드 아이슬러 18회 1998 나가노 파일:독일 국기.svg 만디 뵈첼 / 잉고 슈토이어
19회 2002 솔트레이크시티 파일:중국 국기.svg 선쉐 / 자오훙보 20회 2006 토리노 파일:중국 국기.svg 선쉐 / 자오훙보
21회 2010 밴쿠버 파일:독일 국기.svg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 22회 2014 소치 파일:독일 국기.svg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
23회 2018 평창 파일:캐나다 국기.svg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24회 2022 베이징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아나스타샤 미시나 / 알렉산드르 갈리아모프
25회 2026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파일:국기.svg ? 26회 ? 파일:국기.svg ?
  • 1912년 올림픽에는 종목으로 추가되어있지 않았고, 1916년 올림픽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
    1940년과 1944년 올림픽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됨.
  • 1994년 릴레함메르 올림픽부터 동하계 올림픽 개최 주기가 2년마다 번갈아 열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780c2; font-size: 1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bordercolor=#fff,#1f202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3회(1908년) ~ 50회(1945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3회 1908 상트페테르부르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안나 휘블러 / 하인리히 베르거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4회 1909 스톡홀름 파일:영국 국기.svg 필리스 존슨 / 제임스 H. 존슨
15회 1910 베를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안나 휘블러 / 하인리히 베르거 16회 1911 빈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루도비카 야곱손 / 파일:핀란드 국기.svg 발테르 야곱손
17회 1912 맨체스터 파일:영국 국기.svg 필리스 존슨 / 제임스 H. 존슨 18회 1913 스톡홀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헬렌 엥겔만 / 카를 메이스트릭
19회 1914 생모리츠 파일:핀란드 국기.svg 루도비카 야곱손 / 발테르 야곱손 20회 1915 취소WWI
21회 1916 취소WWI 22회 1917 취소WWI
23회 1918 취소WWI 24회 1919 취소WWI
25회 1920 취소WWI 26회 1921 취소WWI
27회 1922 다보스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헬렌 엥겔만 / 알프레드 베르거 28회 1923 오슬로 파일:핀란드 국기.svg 루도비카 야곱손 / 발테르 야곱손
29회 1924 맨체스터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헬렌 엥겔만 / 알프레드 베르거 30회 1925 빈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 / 루드윅 브레드
31회 1926 베를린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앙드레 브뤼네 / 피에르 브뤼네 32회 1927 빈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 / 루드윅 브레드
33회 1928 런던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앙드레 브뤼네 / 피에르 브뤼네 34회 1929 부다페스트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릴리 숄즈 / 오토 카이저
35회 1930 뉴욕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앙드레 브뤼네 / 피에르 브뤼네 36회 1931 베를린 파일:헝가리 국기.svg 에밀리아 로터 / 라스즐로 스졸라스
37회 1932 몬트리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앙드레 브뤼네 / 피에르 브뤼네 38회 1933 스톡홀름 파일:헝가리 국기.svg 에밀리아 로터 / 라스즐로 스졸라스
39회 1934 헬싱키 파일:헝가리 국기.svg 에밀리아 로터 / 라스즐로 스졸라스 40회 1935 부다페스트 파일:헝가리 국기.svg 에밀리아 로터 / 라스즐로 스졸라스
41회 1936 파리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막시 헤르버 / 에른스트 바이어 42회 1937 런던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막시 헤르버 / 에른스트 바이어
43회 1938 베를린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막시 헤르버 / 에른스트 바이어 44회 1939 부다페스트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막시 헤르버 / 에른스트 바이어
45회 1940 취소WWII 46회 1941 취소WWII
47회 1942 취소WWII 48회 1943 취소WWII
49회 1944 취소WWII 50회 1945 취소WWII }}}}}}}}}
51회(1946년) ~ 100회(1995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51회 1946 취소WWII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52회 1947 스톡홀름 파일:벨기에 국기.svg 미셸린 래노이 / 페이르 버기니엣
53회 1948 다보스 파일:벨기에 국기.svg 미셸린 래노이 / 페이르 버기니엣 54회 1949 파리 파일:헝가리 국기.svg 안드레아 케케시 / 에드 키랄리
55회 1950 웸블리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캐롤 케네디 / 피터 케네디 56회 1951 밀라노 파일:독일 국기.svg 리아 바란 / 폴 포크
57회 1952 파리 파일:독일 국기.svg 리아 바란 / 폴 포크 58회 1953 다보스 파일:영국 국기.svg 제니퍼 닉스 / 존 닉스
59회 1954 오슬로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프란시스 데포 / 노리스 보던 60회 1955 빈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프란시스 데포 / 노리스 보던
61회 195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시시 슈바르츠 / 커트 오펠트 62회 1957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바바라 와그너 / 로버트 폴
63회 1958 파리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바바라 와그너 / 로버트 폴 64회 1959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바바라 와그너 / 로버트 폴
65회 1960 밴쿠버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바바라 와그너 / 로버트 폴 66회 1961 프라하 취소사베나 548 비행기 추락사건
67회 1962 프라하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마리아 제리넥 / 오토 제리넥 68회 1963 코르티나담페초 파일:독일 국기.svg 마리카 킬리우스 / 한스 위르겐 베울러
69회 1964 도르트문트 파일:독일 국기.svg 마리카 킬리우스 / 한스 위르겐 베울러 70회 1965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소련 국기.svg 류드밀라 벨로우소바 / 올레크 프로토포포프
71회 1966 다보스 파일:소련 국기.svg 류드밀라 벨로우소바 / 올레크 프로토포포프 72회 1967 빈 파일:소련 국기.svg 류드밀라 벨로우소바 / 올레크 프로토포포프
73회 1968 제네바 파일:소련 국기.svg 류드밀라 벨로우소바 / 올레크 프로토포포프 74회 1969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소련 국기.svg 이리나 로드니나 / 알렉세이 울라노프
75회 1970 류블랴나 파일:소련 국기.svg 이리나 로드니나 / 알렉세이 울라노프 76회 1971 리옹 파일:소련 국기.svg 이리나 로드니나 / 알렉세이 울라노프
77회 1972 캘거리 파일:소련 국기.svg 이리나 로드니나 / 알렉세이 울라노프 78회 1973 브라티슬라바 파일:소련 국기.svg 이리나 로드니나 / 알렉산더 자이체프
79회 1974 뮌헨 파일:소련 국기.svg 이리나 로드니나 / 알렉산더 자이체프 80회 1975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소련 국기.svg 이리나 로드니나 / 알렉산더 자이체프
81회 1976 예테보리 파일:소련 국기.svg 이리나 로드니나 / 알렉산더 자이체프 82회 1977 도쿄 파일:소련 국기.svg 이리나 로드니나 / 알렉산더 자이체프
83회 1978 오타와 파일:소련 국기.svg 이리나 로드니나 / 알렉산더 자이체프 84회 1979 빈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 바빌로니아 / 랜디 가드너
85회 1980 도르트문트 파일:소련 국기.svg 마리나 체르카소바 / 세르게이 샤크라이 86회 1981 하트퍼드 파일:소련 국기.svg 이리나 보로비예바 / 이고르 리소브스키
87회 1982 코펜하겐 파일:동독 국기.svg 사빈 베스 / 타실로 티에르바흐 88회 1983 헬싱키 파일:소련 국기.svg 옐레나 발로바 / 올레크 바실리예프
89회 1984 오타와 파일:동독 국기.svg 바버라 언더힐 / 폴 마르티니 90회 1985 도쿄 파일:소련 국기.svg 옐레나 발로바 / 올레크 바실리예프
91회 1986 제네바 파일:소련 국기.svg 예카테리나 고르데예바 / 세르게이 그린코프 92회 1987 신시내티 파일:소련 국기.svg 예카테리나 고르데예바 / 세르게이 그린코프
93회 1988 부다페스트 파일:소련 국기.svg 옐레나 발로바 / 올레크 바실리예프 94회 1989 파리 파일:소련 국기.svg 예카테리나 고르데예바 / 세르게이 그린코프
95회 1990 핼리팩스 파일:소련 국기.svg 예카테리나 고르데예바 / 세르게이 그린코프 96회 1991 뮌헨 파일:소련 국기.svg 나탈리야 미시쿠툐노크 / 아르투르 드미트리예프
97회 1992 오클랜드 파일:독립국가연합 기.svg 나탈리야 미시쿠툐노크 / 아르투르 드미트리예프 98회 1993 프라하 파일:캐나다 국기.svg 이사벨 브라설 / 로이드 아이슬러
99회 1994 치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시슈코바 / 바딤 나우모프 100회 1995 버밍엄 파일:체코 국기.svg 라드카 코바리코바 / 르네 노보트니 }}}}}}}}}
101회(1996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01회 1996 에드먼턴 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리나 엘초바 / 안드레이 부슈코프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02회 1997 로잔 파일:독일 국기.svg 만디 뵈첼 / 잉고 슈토이어
103회 1998 미니애폴리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옐레나 베레즈나야 / 안톤 시하룰리제 104회 1999 헬싱키 파일:러시아 국기.svg 옐레나 베레즈나야 / 안톤 시하룰리제
105회 2000 니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리아 페트로바 / 알렉세이 티코노브 106회 2001 밴쿠버 파일:캐나다 국기.svg 제이미 살레 / 데이비드 펠레티에
107회 2002 나가노 파일:중국 국기.svg 선쉐 / 자오훙보 108회 2003 워싱턴 D.C. 파일:중국 국기.svg 선쉐 / 자오훙보
109회 2004 도르트문트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야나 토티먀니나 / 막심 마리닌 110회 2005 모스크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야나 토티먀니나 / 막심 마리닌
111회 2006 캘거리 파일:중국 국기.svg 팡칭 / 퉁젠 112회 2007 도쿄 파일:중국 국기.svg 선쉐 / 자오훙보
113회 2008 예테보리 파일:독일 국기.svg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 114회 2009 로스앤젤레스 파일:독일 국기.svg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
115회 2010 토리노 파일:중국 국기.svg 팡칭 / 퉁젠 116회 2011 모스크바 파일:독일 국기.svg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
117회 2012 니스 파일:독일 국기.svg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 118회 2013 런던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야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
119회 2014 사이타마 파일:독일 국기.svg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 120회 2015 상하이 파일:캐나다 국기.svg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121회 2016 보스턴 파일:캐나다 국기.svg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122회 2017 헬싱키 파일:중국 국기.svg 쑤이원징 / 한충
123회 2018 밀라노 파일:독일 국기.svg 알리오나 사브첸코 / 브루노 마소 124회 2019 사이타마 파일:중국 국기.svg 쑤이원징 / 한충
125회 2020 몬트리올 취소COVID-19 126회 2021 스톡홀름 파일:FSR.svg 아나스타샤 미시나 / 알렉산드르 갈리아모프
127회 2022 몽펠리에 파일:미국 국기.svg 알렉사 니어림 / 브랜던 프레이저 128회 2023 사이타마 파일:일본 국기.svg 미우라 리쿠 / 키하라 류이치
129회 2024 몬트리올 파일:캐나다 국기.svg 디아나 스텔라토-두덱 / 막심 데샹 130회 2025 보스턴 파일:국기.svg ?
131회 2026 프라하 파일:국기.svg ? 132회 ? 파일:국기.svg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사대륙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회 1999 핼리팩스 파일:중국 국기.svg 선쉐 / 자오훙보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회 2000 오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제이미 살레 / 데이비드 펠레티에
3회 2001 솔트레이크 시티 파일:캐나다 국기.svg 제이미 살레 / 데이비드 펠레티에 4회 2002 전주 파일:중국 국기.svg 팡칭 / 퉁젠
5회 2003 베이징 파일:중국 국기.svg 선쉐 / 자오훙보 6회 2004 해밀턴 파일:중국 국기.svg 팡칭 / 퉁젠
7회 2005 강릉 파일:중국 국기.svg 장단 / 장하오 8회 2006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 국기.svg 레나 이노우에 / 존 발드윈
9회 2007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중국 국기.svg 선쉐 / 자오훙보 10회 2008 고양 파일:중국 국기.svg 팡칭 / 퉁젠
11회 2009 밴쿠버 파일:중국 국기.svg 팡칭 / 퉁젠 12회 2010 전주 파일:중국 국기.svg 장단 / 장하오
13회 2011 타이페이 파일:중국 국기.svg 팡칭 / 퉁젠 14회 2012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중국 국기.svg 쑤이원징 / 한충
15회 2013 오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16회 2014 타이페이 파일:중국 국기.svg 쑤이원징 / 한충
17회 2015 서울 파일:캐나다 국기.svg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18회 2016 타이페이 파일:중국 국기.svg 쑤이원징 / 한충
19회 2017 강릉 파일:중국 국기.svg 쑤이원징 / 한충 20회 2018 타이페이 파일:미국 국기.svg 타라 케인 / 대니 오셰어
21회 2019 애너하임 파일:중국 국기.svg 쑤이원징 / 한충 22회 2020 서울 파일:중국 국기.svg 쑤이원징 / 한충
23회 2021 시드니 취소COVID-19 24회 2022 탈린 파일:미국 국기.svg 오드리 루 / 미샤 미트로파노프
25회 2023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일본 국기.svg 미우라 리쿠 / 키하라 류이치 26회 2024 상하이 파일:캐나다 국기.svg 디아나 스텔라토-두덱 / 막심 데샹
27회 2025 서울 파일:국기.svg ? 28회 ? 파일: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그랑프리 파이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회 1995-96 파리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시슈코바 / 바딤 나우모프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회 1996-97 해밀턴 파일:독일 국기.svg 만디 뵈첼 / 잉고 슈토이어
3회 1997-98 뮌헨 파일:러시아 국기.svg 옐레나 베레즈나야 / 안톤 시하룰리제 4회 1998-99 상트페테르부르크 파일:중국 국기.svg 선쉐 / 자오훙보
5회 1999-00 리옹 파일:중국 국기.svg 선쉐 / 자오훙보 6회 2000-01 도쿄 파일:캐나다 국기.svg 제이미 살레 / 데이비드 펠레티에
7회 2001-02 키치너 파일:캐나다 국기.svg 제이미 살레 / 데이비드 펠레티에 8회 2002-03 상트페테르부르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야나 토티먀니나 / 막심 마리닌
9회 2003-04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중국 국기.svg 선쉐 / 자오훙보 10회 2004-05 베이징 파일:중국 국기.svg 선쉐 / 자오훙보
11회 2005-06 도쿄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야나 토티먀니나 / 막심 마리닌 12회 2006-07 상트페테르부르크 파일:중국 국기.svg 선쉐 / 자오훙보
13회 2007-08 토리노 파일:독일 국기.svg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 14회 2008-09 고양 파일:중국 국기.svg 팡칭 / 퉁젠
15회 2009-10 도쿄 파일:중국 국기.svg 선쉐 / 자오훙보 16회 2010-11 베이징 파일:독일 국기.svg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
17회 2011-12 퀘벡 파일:독일 국기.svg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 18회 2012-13 소치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야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
19회 2013-14 후쿠오카 파일:독일 국기.svg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 20회 2014-15 바르셀로나 파일:캐나다 국기.svg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21회 2015-16 바르셀로나 파일:러시아 국기.svg 크세니야 스톨보바 / 표도르 클리모프 22회 2016-17 마르세유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타라소바 / 블라디미르 모로조프
23회 2017-18 나고야 파일:독일 국기.svg 알리오나 사브첸코 / 브루노 마소 24회 2018-19 밴쿠버 파일:프랑스 국기.svg 바네사 제임스 / 모르강 시프레
25회 2019-20 토리노 파일:중국 국기.svg 쑤이원징 / 한충 26회 2020-21 베이징 취소COVID-19
27회 2021-22 오사카 취소COVID-19 28회 2022-23 토리노 파일:일본 국기.svg 미우라 리쿠 / 키하라 류이치
29회 2023-24 베이징 파일:독일 국기.svg 미네르바 파비엔 하제 / 니키타 볼로딘 30회 2024-25 그르노블 파일: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스케이트 캐나다.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회(1914년) ~ 50회(1963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회 1914 진 슈발리에 / 노먼 스콧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회 1915 취소WWI
3회 1916 취소WWI 4회 1917 취소WWI
5회 1918 취소WWI 6회 1919 취소WWI
7회 1920 올든 고드윈 / 더글러스 넬스 8회 1921 베아트리스 맥두걸 / 앨런 호월드
9회 1922 오타와 올든 고드윈 / A.G. 맥레넌 10회 1923 마죠리 애너블 / 던컨 호지슨
11회 1924 엘리자베스 블레어 / 존 마카도 12회 1925 글래디스 로저스 / 멜빌 로저스
13회 1926 콘스탄스 윌슨 / 에롤 모르슨 14회 1927 마리온 맥두걸 / 샹시 뱅스
15회 1928 마리온 맥두걸 / 샹시 뱅스 16회 1929 콘스탠스 윌슨-사무엘 / 몽고메리 윌슨
17회 1930 콘스탠스 윌슨-사무엘 / 몽고메리 윌슨 18회 1931 콘스탠스 윌슨-사무엘 / 몽고메리 윌슨
19회 1932 콘스탠스 윌슨-사무엘 / 몽고메리 윌슨 20회 1933 콘스탠스 윌슨-사무엘 / 몽고메리 윌슨
21회 1934 콘스탠스 윌슨-사무엘 / 몽고메리 윌슨 22회 1935 루이즈 버트람 / 스테와 리번
23회 1936 베로니카 클라크 / 랄프 맥크레 24회 1937 베로니카 클라크 / 랄프 맥크레
25회 1938 베로니카 클라크 / 랄프 맥크레 26회 1939 노라 맥카티 / 랄프 맥크레
27회 1940 오타와 노라 맥카티 / 랄프 맥크레 28회 1941 몬트리올 엘리노어 오메라 / 랄프 맥크레
29회 1942 위니펙 엘리노어 오메아라 / 샌디 맥케니 30회 1943 취소WWII
31회 1944 토론토 ? 32회 1945 토론토 올가 버닉 / 알렉스 풀턴
33회 1946 토론토 조이스 퍼킨스 / 월리스 디스텔마이어 34회 1947 토론토 수잔 머로우 / 월리스 디에스텔마이어
35회 1948 캘거리 수잔 머로우 / 월리스 디에스텔마이어 36회 1949 오타와 말린 스미스 / 도널드 길크리스트
37회 1950 세인트캐서린스 말린 스미스 / 도널드 길크리스트 38회 1951 밴쿠버 제인 커비 / 도날드 토빈
39회 1952 오샤와 |프란체스코 다포 / 노리스 보우덴 40회 1953 오타와 프란체스코 다포 / 노리스 보우덴
41회 1954 캘거리 프란체스코 다포 / 노리스 보우덴 42회 1955 토론토 프란체스코 다포 / 노리스 보우덴
43회 1956 갤트 바바라 와그너 / 로버트 폴 44회 1957 위니펙 바바라 와그너 / 로버트 폴
45회 1958 오타와 바바라 와그너 / 로버트 폴 46회 1959 루인노랜다 바바라 와그너 / 로버트 폴
47회 1960 리자이나 바바라 와그너 / 로버트 폴 48회 1961 라쉰느 마리아 옐리네크 / 오토 옐리네크
49회 1962 토론토 마리아 옐리네크 / 오토 옐리네크 50회 1963 에드먼턴 데비 윌크스 / 가이 레벨 }}}}}}}}}
51회(1964년) ~ 100회(2013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51회 1964 노스 베이 데비 윌크스 / 가이 레벨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52회 1965 캘거리 수잔 휴너가드 / 폴 휴너가드
53회 1966 피터 버러 수잔 휴너가드 / 폴 휴너가드 54회 1967 토론토 베티 맥킬리건 / 존 맥킬리건
55회 1968 밴쿠버 베티 맥킬리건 / 존 맥킬리건 56회 1969 토론토 안나 포더 / 리차드 스티븐스
57회 1970 에드먼턴 산드라 베이직 / 발 베이직 58회 1971 위니펙 산드라 베이직 / 발 베이직
59회 1972 런던 산드라 베이직 / 발 베이직 60회 1973 밴쿠버 산드라 베이직 / 발 베이직
61회 1974 멍크턴 산드라 베이직 / 발 베이직 62회 1975 퀘벡캔디 존스 / 돈 프레이저
63회 1976 런던 캔디 존스 / 돈 프레이저 64회 1977 캘거리체리 피너 / 데니스 피너
65회 1978 빅토리아 셰리 바이어 / 로빈 코완 66회 1979 선더베이 바바라 언더힐 / 폴 마티니
67회 1980 키치너 바바라 언더힐 / 폴 마티니 68회 1981 핼리팩스 바바라 언더힐 / 폴 마티니
69회 1982 브랜건 바바라 언더힐 / 폴 마티니 70회 1983 몬트리올 바바라 언더힐 / 폴 마티니
71회 1984 리자이나 카타리나 마투섹 / 로이드 아이슬러 72회 1985 멍크턴 신시아 쿨 / 마크 로섬
73회 1986 노스 베이 신시아 쿨 / 마크 로섬 74회 1987 오타와 신시아 쿨 / 마크 로섬
75회 1988 빅토리아 빅토리아 크리스틴 허우 / 더그 라드렛 76회 1989 쉬꾸띠미 크리스틴 하우 / 더그 라드렛
77회 1990 서드베리 신디 랜드리 / 린든 존스턴 78회 1991 서스캐처원 이사벨 브라설 / 로이드 아이슬러
79회 1992 멍크턴 이사벨 브라설 / 로이드 아이슬러 80회 1993 해밀턴 이사벨 브라설 / 로이드 아이슬러
81회 1994 에드먼턴 이사벨 브라설 / 로이드 아이슬러 82회 1995 핼리팩스 미셸 멘지스 / 장-미셸 봄바디
83회 1996 오타와 미셸 멘지스 / 장-미셸 봄바디 84회 1997 밴쿠버 마리-클로드 사바르-가뇽 / 뤽 브래데
85회 1998 해밀턴 크리스티 사겐트 / 크리스 위즈 86회 1999 오타와 크리스티 사겐트 / 크리스 위즈
87회 2000 캘거리 제이미 살레 / 데이비드 펠레티에 88회 2001 위니펙 제이미 살레 / 데이비드 펠레티에
89회 2002 해밀턴 제이미 살레 / 데이비드 펠레티에 90회 2003 서스캐처원 재신스 라리비에르 / 레니 포스티노
91회 2004 에드먼턴 발레리 마르쿠 / 크레이그 번틴 92회 2005 런던 발레리 마르쿠 / 크레이그 번틴
93회 2006 오타와 발레리 마르쿠 / 크레이그 번틴 94회 2007 핼리팩스 제시카 듀베 / 브라이스 데이비슨
95회 2008 밴쿠버 애나벨 랑글로아 / 코디 헤이 96회 2009 서스캐처원 제시카 듀베 / 브라이스 데이비슨
97회 2010 런던 제시카 듀베 / 브라이스 데이비슨 98회 2011 빅토리아 커스틴 무어-타워즈 / 딜란 모스코비치
99회 2012 멍크턴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100회 2013 미시소가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
101회(2014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01회 2014 오타와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02회 2015 킹스턴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103회 2016 핼리팩스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104회 2017 오타와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105회 2018 밴쿠버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106회 2019 세인트존스 커스틴 무어-타워즈 / 마이클 마리나로
107회 2020 미시소가 커스틴 무어-타워즈 / 마이클 마리나로 108회 2021 밴쿠버 취소COVID-19
109회 2022 오타와 커스틴 무어-타워즈 / 마이클 마리나로 110회 2023 오샤와 디아나 스텔라토-두덱 / 막심 데샹
111회 2024 캘거리 디아나 스텔라토-두덱 / 막심 데샹 112회 2025 }}}}}}}}}
피겨 스케이팅 내셔널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3b6e;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남자 싱글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야구딘 2002 파일:캐나다 국기.svg 패트릭 챈 2018T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2006 파일:일본 국기.svg 하뉴 유즈루 2020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 라이사첵 2010 파일:미국 국기.svg 네이선 첸 2022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2014T
여자 싱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연아 2010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리나 자기토바 2019
페어
파일:러시아 국기.svg 옐레나 베레즈나야 / 안톤 시하룰리제 2002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야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 2014
파일:캐나다 국기.svg 제이미 살레 / 데이비드 펠레티에 2002 파일:캐나다 국기.svg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2018T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야나 토티먀니나 / 막심 마리닌 2006 파일:독일 국기.svg 알리오나 사브첸코 2018
파일:중국 국기.svg 선쉐 / 자오훙보 2010 파일:중국 국기.svg 쑤이원징 / 한충 2022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야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 2014T
아이스 댄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옥사나 그리슈크 / 예브게니 플라토프 1996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2014
1998 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2016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리나 아니시나 / 그웬달 페이제라 2002 2018T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아나 나브카 / 로만 코스토마로프 2006 파일:프랑스 국기.svg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 2022
기타
괄호 속의 숫자는 커리어 골든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해이다.
알리오나 사브첸코는 로빈 졸코비와 올림픽을 제외한 세계선수권, 유럽선수권,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모두 우승했고,
브루노 마소와는 유럽선수권을 제외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세계선수권,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우승을 했다.
T 표시는 올림픽 단체전으로 금메달을 획득한 경우에 표시한다.
}}}}}}}}}}}} ||


<colbgcolor=#5a1728><colcolor=#ffffff>
파일:918408802.jpg
이름 메건 두하멜
Meagan Duhamel
에릭 래드포드
Eric Radford
출생 1985년 12월 8일 ([age(1985-12-08)]세)1985년 1월 24일 ([age(1985-01-24)]세)
퀘벡 주 셍레오나흐퀘벡 주 몬트리올
신체 148cm188cm
이전 파트너 크레이그 번틴
라이언 아놀드
안나 마리아 기록스
레이첼 커클랜드
사라 브룩
이후 파트너 - 바네사 제임스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국적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종목 피겨 스케이팅
은퇴 2018년 4월 25일2022년 7월 11일
1. 개요
1.1. 메건 두하멜1.2. 에릭 래드포드
2. 선수 경력
2.1. 2010-11 시즌2.2. 2011-12 시즌2.3. 2012-13 시즌2.4. 2013-14 시즌2.5. 2014-15 시즌2.6. 2015-16 시즌2.7. 2016-17 시즌2.8. 2017-18 시즌
3. ISU 공인 최고점수4. 커리어5. 기타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캐나다의 前 피겨 스케이팅 페어 선수이자, 2018 평창 동계올림픽 페어 동메달리스트다.

1.1. 메건 두하멜

1988년부터 스케이팅을 시작했다. 2001-02 시즌부터 2006-07 시즌까지 리바켈 코치 밑에서 싱글 선수로 활동했고, 2004-05 시즌부터는 파트너 라이언 아놀드와 함께 페어도 같이 병행하였다.[1] 2007-08 시즌, 페어에만 완전히 집중함과 더불어 크레이그 번틴으로 파트너를 바꾸었다. 2009-10 시즌까지 활동했다.

1.2. 에릭 래드포드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당시 낸시 케리건의 경기를 보고 감명을 받아 스케이팅을 시작했다. 두하멜처럼 싱글을 병행하였다가, 2005-06 시즌 완전히 페어로 전향했다.

2. 선수 경력

2.1. 2010-11 시즌

코치의 제안에 따라, 두하멜과 래드포드는 테스트를 했고 새로 팀을 만들기로 결정했다.
파일:2011 사대륙선수권 페어 포디움.jpg
2011 사대륙선수권
네벨혼 트로피에서 3위를 하였고, 2010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5위를 차지하였다. 2011 캐나다선수권2011 사대륙선수권에서는 은메달을 땄다. 2011 세계선수권 쇼트 프로그램에서 두하멜의 팔꿈치가 첫번째 요소인 트리플 트위스트에서 착지할 때 래드포드의 콧등을 치면서 코가 부러졌다. 피를 보자 두하멜은 프로그램을 중단할 것을 제안했지만 계속하기로 결정했고, 쇼트와 프리에서 모두 7위를 차지하며 최종 7위를 차지했다.

2.2. 2011-12 시즌

파일:2011 스케이트 캐나다 페어 포디움.jpg
2011 스케이트 캐나다
2011 스케이트 캐나다2011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 모두 동메달을 따며 자국에서 열린 2011-12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여 5위를 차지하였다. 2012 캐나다선수권에서 처음 우승을 하였다. 그리고 2012 사대륙선수권2012 세계선수권에서 각각 4위와 5위를 하였다.

2.3. 2012-13 시즌

파일:2012 스케이트 캐나다 페어 포디움.jpg 파일:2012 트로피 에릭 봉파르 페어 포디움.jpg
2012 스케이트 캐나다 2012 트로피 에릭 봉파르
2012 스케이트 캐나다2012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 모두 은메달을 따내며 그랑프리 파이널에 출전하게 되었다. 2012-13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4위를 차지했다.
파일:2013 캐나다선수권 페어 포디움.jpg 파일:2013 사대륙선수권 페어 포디움.jpg
2013 캐나다선수권 2013 사대륙선수권
2013 캐나다선수권에서는 2연패를 하고, 2013 사대륙선수권에서는 처음으로 우승했다.
파일:2013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페어 포디움.jpg 파일:2013 월드 팀 트로피 캐나다 사진.jpg
2013 세계선수권 2013 월드 팀 트로피
자국에서 열린 2013 세계선수권에서는 동메달을 땄다. 시즌 마지막 대회인 2013 월드 팀 트로피에서는 개인 2위, 팀은 은메달을 땄다.

2.4. 2013-14 시즌

파일:2013 스케이트 캐나다 페어 포디움.jpg 파일:2013 트로피 에릭 봉파르 페어 포디움.jpg 파일:2014 캐나다선수권 페어 포디움.png
2013 스케이트 캐나다 2013 트로피 에릭 봉파르 2014 캐나다선수권
2013 스케이트 캐나다2013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 출전해서 각각 3위와 2위를 차지하였으며, 2013-14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5위를 하였다. 2014 캐나다선수권에서는 3연패를 하며 올림픽에 출전하게 되었다.
파일:2014 소치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단체전 캐나다2.jpg 파일:2014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페어 포디움.jpg
2014 소치 동계올림픽 2014 세계선수권
처음 출전한 올림픽에서 단체전 은메달, 개인전에서 7위를 차지했다. 올림픽 이후 일본에서 열린 2014 세계선수권에서 팀 최고점을 세우며 동메달을 땄다.

2.5. 2014-15 시즌

파일:2014 스케이트 캐나다 페어 포디움.jpg 파일:2014 NHK 트로피 페어 포디움.jpg
2014 스케이트 캐나다 2014 NHK 트로피
2014 CS 어텀 클래식 인터내셔널에서 스로우 쿼드러플 살코를 성공하며 1위를 하며 시즌을 시작하였다. 2014 스케이트 캐나다2014 NHK 트로피에서 모두 우승하며 파이널에 출전하게 되었다.
파일:2014-15 그랑프리 파이널 페어 포디움.jpg 파일:2015 캐나다선수권 페어 포디움.png
2014-15 그랑프리 파이널 2015 캐나다선수권
2014-15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프리와 총점에서 팀 최고점을 세우며 1위를 하였다. 2015 캐나다선수권에서는 4연패를 달성했다.
파일:2015 사대륙선수권 페어 포디움.jpg 파일:2015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페어 포디움 .jpg
2015 사대륙선수권 2015 세계선수권
2015 사대륙선수권2015 세계선수권에서 1위를 차지하였다. 세계선수권에서 우승하면서 시즌스윕을 달성했다.

2.6. 2015-16 시즌

파일:2015 스케이트 캐나다 페어 포디움.jpg 파일:2015 NHK 트로피 페어 포디움.jpg 파일:2015-16 그랑프리 파이널 페어 포디움-1.jpg
2015 스케이트 캐나다 2015 NHK 트로피 2015-16 그랑프리 파이널
어텀 클래식 인터내셔널에서 1위를 하며 시즌을 시작했고, 2015 스케이트 캐나다2015 NHK 트로피에서 모두 우승하며 그랑프리 파이널에 출전, 2위를 차지했다.
파일:2016 캐나다선수권 페어 포디움.png 파일:2016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페어 포디움.jpg
2016 캐나다선수권 2016 세계선수권
2016 캐나다선수권에서는 우승하며 5연패를 달성했다. 2016 사대륙선수권에서는 두하멜의 질병으로 기권을 하였다. 2016 세계선수권에서는 쇼트에서 78.18점으로 쑤이원징 / 한충 조에 2.67점이 모자라 2위를 하였지만, 프리에서는 153.81점으로 2위를 한 쑤이원징 / 한충 조보다 10.19점을 더 받아 1위를 함으로써 최종 1위로 세계선수권 2연패를 달성하였다.

2.7. 2016-17 시즌

파일:2016 스케이트 캐나다 페어 포디움.jpg 파일:2016 NHK 트로피 페어 포디움.jpg 파일:2016-17 그랑프리 파이널 페어 포디움.jpg
2016 스케이트 캐나다 2016 NHK 트로피 2016-17 그랑프리 파이널
핀란디아 트로피에서 1위를 했다. 2016 스케이트 캐나다2016 NHK 트로피에서 모두 우승하며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 3위를 했다.
파일:2017 캐나다선수권 페어 포디움.png 파일:2017 사대륙선수권 페어 포디움.jpg
2017 캐나다선수권 2017 사대륙선수권
2017 캐나다선수권에도 우승하며 6연패를 하였다. 2017 사대륙선수권에서는 쑤이원징 / 한충에 이어 2위를 했다. 그러나 2017 세계선수권에서는 7위를 함으로 시즌을 마쳤다.

2.8. 2017-18 시즌

파일:2017 스케이트 캐나다 페어 포디움.jpg 파일:2017 스케이트 아메리카 페어 포디움.jpg
2017 스케이트 캐나다 2017 스케이트 아메리카
2017 CS 어텀 클래식 인터내셔널에서 2위를 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그 뒤 출전한 그랑프리 시리즈인 2017 스케이트 캐나다에서는 1위를 차지했고, 2017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는 3위를 했다.
파일:2017-18 그랑프리 파이널 페어 포디움.jpg 파일:2018 캐나다선수권 페어 포디움.jpg
2017-18 그랑프리 파이널 2018 캐나다선수권
2017-18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해 동메달을 땄다. 2018 캐나다선수권에서 우승하며 7연패를 달성하였다.
파일: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단체전 캐나다 2.jpg 파일:2018 평창 동계올림픽 페어 포디움.jpg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단체전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인전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단체전에서 캐나다 팀이 1위를 하며 금메달을 땄고, 개인전에서 쇼트 76.82점으로 3위, 프리에서는 최초로 스로우 쿼드살코를 성공시키며 153.33점으로 2위를 하며 총점 230.15점으로 동메달을 땄다. 같은 해 4월 25일에 공식 은퇴를 선언하였다.

두하멜은 테그니컬 스페셜리스트가 되는 것에 관심을 나타냈고, 래드포드는 코치나 안무가가 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다가 2021년 4월 21일, 래드포드는 바네사 제임스와 팀을 재결성해 2021-22 시즌까지 활동했다.

3. ISU 공인 최고점수

<colbgcolor=#5a1728><colcolor=#ffffff> ISU 공인 최고점수
쇼트 78.39(2016 스케이트 캐나다)
프리 153.81(2016 세계선수권)
총점 231.99(2016 세계선수권)

4. 커리어

대회
올림픽<colbgcolor=#ffe970,#c3a100> 1 <colbgcolor=#c0c0c0,#555555> 1 <colbgcolor=#d7995b,#6d441a> 1
세계선수권 2 0 2
사대륙선수권 2 2 0
그랑프리 파이널 1 1 2
월드 팀 트로피 0 1 1
합계 6 5 6

올림픽
금메달 2018 평창단체전
은메달 2014 소치단체전
동메달 2018 평창페어
세계선수권
금메달 2015 상하이페어
금메달 2016 보스턴페어
동메달 2013 런던페어
동메달 2014 사이타마페어
사대륙선수권
금메달 2013 오사카페어
금메달 2015 서울페어
은메달 2011 타이베이페어
은메달 2017 강릉페어
그랑프리 파이널
금메달 2014-15 바르셀로나페어
은메달 2015-16 바르셀로나페어
동메달 2016-17 마르세유페어
동메달 2017-18 나고야페어
월드 팀 트로피
은메달 2013 도쿄단체전
동메달 2012 도쿄단체전

국제대회
대회 10–11 11–12 12–13 13–14 14–15 15–16 16–17 17–18
올림픽 7th 3rd
세계선수권 7th 5th 3rd 3rd 1st 1st 7th WD
사대륙선수권 2nd 4th 1st 1st WD 2nd
GP 파이널 5th 4th 5th 1st 2nd 3rd 3rd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3rd
GP NHK 트로피 1st 1st 1st
GP 트로피 에릭 봉파르 3rd 2nd 2nd
GP 스케이트 캐나다 5th 3rd 2nd 3rd 1st 1st 1st 1st
CS 핀란디아 트로피 1st
CS 어텀 클래식 인터내셔널 1st 2nd
어텀 클래식 인터내셔널 1st
네벨혼 트로피 3rd
국내대회
캐나다선수권 2nd 1st 1st 1st 1st 1st 1st 1st
단체전
올림픽 2nd T 1st T
월드 팀 트로피 3rd T
2nd P
2nd T
2nd P
4th T
2nd P
팀 챌린지 컵 1st T
1st P
GP=그랑프리, CS=챌린저 시리즈,
T=팀 결과, P=개인 결과, WD=기권

5. 기타

  • 여러모로 엽기적인 부상 투혼 이미지들이 인터넷에서 유명한 팀이다. 2011 세계선수권 쇼트 경기 도중 래드포드가 두하멜을 받던 도중 안면에 엘보 어택을 받아 코피를 철철 흘리며 경기를 진행했다던지, 두하멜이 래드포드를 들어올리는 위험한 기술을 시전하다가 무게를 견디지 못해 주저앉아 래드포드의 머리를 냅다 바닥에 꽂아버리는 모습[2] 보인 적이 있다. 이들의 몇몇 경기 영상들이 피겨 스케이팅의 위험성을 거론할때 자주 인용된다.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중국인 심판 황펑에게 편파판정을 받은 사실이 밝혀졌다. 이 심판은 쑤이원징 / 한충에게 점수를 많이 주고, 금메달을 땄던 독일의 알리오나 사브첸코 / 브루노 마소에게 점수를 적게 준 만행으로 국제빙상경기연맹으로부터 1년 간 징계를 받았다. 그런데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황펑이 심판으로 복귀해서 논란이 되었다. 메건 두하멜은 이에 대해서 큰 불만을 표시했다. 수많은 중국발 승부조작으로 올림픽의 평판이 땅에 떨어진 와중에 올림픽의 신뢰도가 더욱 낮아지는 요소가 되었다.
  • 두하멜은 비건으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때 개고기 시장에서 개들을 입양했다. 이 사실이 알려지게 된 건 다름 아닌 네덜란드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인 얀 블록 하위선의 개고기 망언 때문이었다. 팀추월 메달색을 대한민국 대표팀에 밀렸다는 것에 열폭해서 한국이란 나라는 개들이나 좀 더 잘 대하라고 소리치며 휙 나가버려 기자회견 분위기를 갑분싸로 만들었다. 처음부터 작정하고 온 것처럼 보이며, 본인은 사과는 커녕 코빼기도 보이지 않아 뒷감당은 코치 및 선배 스벤 크라머가 다 했다. 심지어 크라머는 이 일로 개고기 망언을 했다는 누명까지 씌워졌다. 그러나 본인은 SNS에 육고기를 구워먹는 사진을 올려놔 한국인들의 조롱을 받았다. 자연히 두하멜은 찬사가 가득했다.
  • 래드포드는 게이이며, 작곡에도 큰 소질이 있다. 그가 작곡한 곡 중 Storm과 The Journey는 많은 선수들의 프로그램으로 사용되었다.

6. 관련 문서


[1] 최초로 경기에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트리플 러츠, 스로우 트리플 러츠를 성공한 페어 조다.[2] 마치 프로레슬링 기술 중 툼스톤 파일 드라이버와 모양새가 비슷하다는 드립이 있다. 그리고 이 기술은 피겨 스케이팅에서 위험성 때문에 금지 기술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