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직할 | 육군/편제 | 해군/편제 | 공군/편제 |
해체된 부대 |
|
[clearfix]
1. 해군본부
해군본부는 대한민국 해군의 최고 운영 기구로, 해군본부 직제에 조직이 규정되어 있다.링크1.1. 직할부대
해군본부의 직할부대는 전투부대(작전부대)가 아닌 기행부대(지원부대)로 이뤄져있다.- 진해기지사령부/진해특정경비지역사령부(진해 해군기지)[6]
- 진해항만방어전대 ❁❁❁
- 진해기지사령부 시설전대 ❁❁❁
- 군사경찰전대 ❁❁❁
- 근무지원전대 ❁❁❁
- 정보통신전대 ❁❁❁
- 전력분석시험평가단
- 해군지능정보체계단(계룡대) ❁❁❁
- 해군검찰단 ❁❁❁
- 해군군사경찰단 ❁❁❁
- 해군역사기록관리단 2급
- 전력지원체계사업단 ❁❁❁
- 재경근무지원대대(구 해군재경근무지원단)(서울) ❁❁
- 해양의료원(진해 해군기지) ❁❁❁
- 포항병원(포항 해군기지) ❁❁
- 해군안전단 2급
- 해군미래혁신연구단
- 사이버작전센터 ❁❁❁
- 해군군악의장대대 ❁❁
- 홍보대 ❁
2. 해군작전사령부
2.1. 제1함대
2.2. 제2함대
2.3. 제3함대
2.4. 기동함대
2.5. 잠수함사령부
2.6. 해군항공사령부
2.7. 제5기뢰/상륙전단
2.8. 제8전투훈련단
2.9. 해군 특수전전단
2.10. 해양정보단
해양정보단 예하 함정의 정확한 위치와 세부적인 편제사항, 내부 시설, 병력현황 등에 대한 모든 내용은 특수 군사 II급비밀로 분류됩니다.3. 해병대사령부/서북도서방위사령부
해병대사령관은 서북도서방위사령부[13][14]의 지휘관을 겸직한다.- 해병대사령부/서북도서방위사령부(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 해병대 제1사단/포항특정경비지역사령부(포항 해군기지)
- 해병대 제2여단 ❁❁❁
- 해병대 제3여단 ❁❁❁
- 해병대 제7여단 ❁❁❁
- 해병대 제1사단 포병여단 ❁❁❁
- 해병대 제2사단(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 해병대 제1여단(김포) ❁❁❁
- 해병대 제5여단(강화) ❁❁❁
- 해병대 제8여단(김포) ❁❁❁
- 해병대 제2사단 포병여단(김포) ❁❁❁
- 해병대 제6여단(옹진)
- 해병대 제9여단(제주)
- 연평부대(옹진) ❁❁❁
- 해병대교육훈련단(포항 해군기지)
- 해병대 군수단(포항 해군기지) ❁❁❁
- 해병대 항공단(포항 해군기지 - 포항경주공항) ❁❁❁
- 해병대 안전단 ❁❁❁
- 해병대 특수수색대대 ❁❁
- 해병대 수사단 ❁❁❁
- 중앙수사대 ❁❁
- 제1광역수사대(포항 해군기지) ❁❁
- 제2광역수사대(김포, 강화) ❁❁
4. 해군교육사령부
해군교육사령부는 장교[15], 부사관 및 수병에 대한 기초군사훈련과 군사특기교육, 해군 입영자에 대한 장병모집 및 시험관리, 분과확정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부대로, 해군교육사령관은 해군 중장이 임명된다.5. 해군군수사령부
해군군수사령부는 수상함·잠수함 및 항공기 정비에서부터 탄약·유류·군수물자의 조달 및 지원 등 대한민국 해군 내 군수(병참, 보급) 업무를 통괄하는 부대로, 해군 소장이 해군군수사령관을 맡는다.6. 해군사관학교
대한민국 해군 및 대한민국 해병대의 정규 장교가 될 해군사관생도를 양성하는 사관학교(고등교육기관)으로, 해군사관학교장은 해군 중장이 보임된다. 생도대장을 겸하는 부교장으로 해군 또는 해병 준장이 보임된다.7. 관련 문서
[1] 대한민국 해군의 공병 병과장 겸임[2] 대한민국 해군의 정훈 병과장 겸임[3] 대한민국 해군의 법무 병과장 겸임[4] 대한민국 해군의 군종 병과장 겸임[5] 대한민국 해군의 의무 병과장 겸임[6] 해군본부 직할 부대이나, 해군작전사령부의 작전지휘를 받음[7] 제1해상전투단장은 제1함대사령부의 부사령관을 겸임한다.[8] 제2해상전투단장은 제2함대사령부의 부사령관을 겸임한다.[9] 제3해상전투단장은 제3함대사령부의 부사령관을 겸임한다.[10]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11] 제57잠수함전대와 함께 잠수함교육훈련대로 창설. 이후 제9잠수함전단으로 승격하면서 제909교육훈련전대로 개편되었다.[12] 해군항공사령관은 대한민국 해군의 항공병과장을 겸임한다.[13] 서북도서방위사령부령 제1조(설치) 해군에 서북도서방위사령부를 둔다.[14] 해병대사령관이 서북도서방위사령관을 겸직하며, 사령부도 해병대사령부와 함께 있다. 필요 시 대한민국 육군과 대한민국 공군 인원을 휘하에 둘 수 있기 때문에, 국방부 직할부대로 잘못 알려져 있었다.[15] 해군사관후보생(OCS)의 기초군사훈련을 담당하는 장교교육대대는 해군사관학교에 있으며, 해군사관후보생들은 해군사관학교와 해병대교육훈련단에서 기초군사훈련을 받는다.[16] 해군사관후보생(OCS)의 기초군사훈련을 담당하는 장교교육대대는 해군교육사령부의 해군기초군사교육단이 아닌 해군사관학교에 있으며, 해군사관후보생들은 해군사관학교와 해병대교육훈련단에서 기초군사훈련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