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9 16:02:32

닛산 글로리아

파일:닛산 로고(2001-2020).svg
파일:external/37289ee6d136e05f83cdf64cbd657bb02a7cce87f5fe6990a3071ba8b5052c97.jpg
GLORIA

1. 개요2. 역사
2.1. 1세대~2세대2.2. 3세대 (A30, 1967~1971)2.3. 4세대 (230 계통, 1971~1975)2.4. 5세대 (330 계통, 1975~1979)2.5. 6세대 (430 계통, 1979~1983)2.6. 7세대 (Y30, 1983~1999)2.7. 8세대 (Y31, 1987~1999)2.8. 9세대 (Y32, 1991~1995)2.9. 10세대 (Y33 계통, 1995~1999)2.10. 11세대 (Y34 계통, 1999~2004)
3. 미디어4. 둘러보기


Nissan / Prince Gloria
日産・グロリア

1. 개요

일본 닛산에서 1959년부터 2004년까지 생산한 차량. 토요타 크라운과 경쟁해 온 준대형차 브랜드였고, 푸가와 통폐합하기 전까지 세드릭과 형제차종이였다. 세드릭은 세대가 거듭될수록 고급 이미지로 브로엄 세단의 판매량이 높았던 반면 글로리아는 스포티한 이미지가 강해져 그란투리스모 하드탑 모델의 판매량이 높았다.

닛산 스카이라인과 함께 본래는 프린스 자동차에서 닛산에 합병되기 이전부터 만들어오던 모델명이기도 하다.

2. 역사

2.1. 1세대~2세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린스 글로리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린스 글로리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린스 글로리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3세대 (A30, 1967~197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70_Nissan_Gloria_Super_Deluxe_Royal_Edition.jp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70_Nissan_Gloria_Super_Deluxe_Royal_Edition_rear.jpg
전면 후면
이 모델은 본래 프린스 자동차 시절부터 3세대 스카이라인(S70(합병 이전)→C10(합병 이후)), 1세대 체리와 함께 S60으로 개발했는데, 닛산 자동차와 합병되면서 닛산 브랜드로 출시되었다.

2.3. 4세대 (230 계통, 1971~1975)

파일:1971 닛산 글로리아 쿠페.jpg 파일:1971 닛산 글로리아 세단.jpg
2도어 하드탑 쿠페 세단
글로리아

2.4. 5세대 (330 계통, 1975~1979)

파일:1972 닛산 글로리아 쿠페.jpg 파일:1975 닛산 글로리아 세단.jpg
2도어 하드탑 쿠페 세단
파일:1975 닛산 글로리아 하드탑_(1).jpg 파일:1975 닛산 글로리아 하드탑_(2).jpg
4도어 하드탑
글로리아

2.5. 6세대 (430 계통, 1979~1983)

파일:1979 닛산 글로리아 2000 E SGL 엑스트라 하드탑_(1).jpg 파일:1979 닛산 글로리아 2000 E SGL 엑스트라 하드탑_(2).jpg
2000 E SGL 엑스트라 하드탑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79 닛산 글로리아 세단_(1).jpg 파일:1979 닛산 글로리아 세단_(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79 닛산 글로리아 세단_(3).jpg 파일:1979 닛산 글로리아 세단_(4).jpg }}}
세단
파일:1979 닛산 글로리아 밴_(1).jpg 파일:1979 닛산 글로리아 하드탑 잭 니클라우스.jpg
하드탑 잭 니클라우스
파일:1979 닛산 글로리아 왜건_(1).jpg 파일:1979 닛산 글로리아 왜건_(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79 닛산 글로리아 왜건_(3).jpg 파일:1979 닛산 글로리아 왜건_(4).jpg }}}
왜건 }}}
글로리아

이 세대부터 Y31까지 세로 기조의 그릴을 채택한 세드릭는 달리 격자 혹은 가로 기조의 그릴을 채택하여 좀 더 정갈하고 트림에 따라 좀 더 스포티한 분위기를 풍겼다.

2.6. 7세대 (Y30, 1983~1999)

파일:1983 닛산 글로리아 하드탑_(1).jpg 파일:1983 닛산 글로리아 하드탑_(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83 닛산 글로리아 하드탑_(3).jpg 파일:1983 닛산 글로리아 하드탑_(4).jpg }}}
4도어 하드탑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83 닛산 글로리아 하드탑 잭 니클라우스_(1).jpg 파일:1983 닛산 글로리아 하드탑 잭 니클라우스_(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83 닛산 글로리아 하드탑 잭 니클라우스_(3).jpg 파일:1983 닛산 글로리아 하드탑 잭 니클라우스_(4).jpg }}}
4도어 하드탑 잭 니클라우스 에디션
파일:1983 닛산 글로리아 세단_(1).jpg 파일:1983 닛산 글로리아 세단_(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83 닛산 글로리아 세단_(3).jpg 파일:1983 닛산 글로리아 세단_(4).jpg }}}
세단
파일:1983 닛산 글로리아 왜건_(1).jpg 파일:1983 닛산 글로리아 왜건_(2).jpg
왜건 }}}
전기형 (1983~1985)
파일:1985 닛산 글로리아 하드탑_(1).jpg 파일:1985 닛산 글로리아 하드탑_(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85 닛산 글로리아 하드탑_(3).jpg 파일:1985 닛산 글로리아 하드탑_(4).jpg }}}
4도어 하드탑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85 닛산 글로리아 하드탑 잭 니클라우스_(1).jpg 파일:1985 닛산 글로리아 하드탑 잭 니클라우스_(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85 닛산 글로리아 하드탑 잭 니클라우스_(3).jpg 파일:1985 닛산 글로리아 하드탑 잭 니클라우스_(4).jpg }}}
4도어 하드탑 잭 니클라우스 에디션
파일:1985 닛산 글로리아 세단_(1).jpg 파일:1985 닛산 글로리아 세단_(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85 닛산 글로리아 세단_(3).jpg 파일:1985 닛산 글로리아 세단_(4).jpg }}}
세단
파일:Y30 닛산 글로리아 왜건_(1).jpg 파일:Y30 닛산 글로리아 왜건_(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Y30 닛산 글로리아 왜건_(3).jpg 파일:Y30 닛산 글로리아 왜건_(4).jpg }}}
왜건
파일:Y30 닛산 글로리아 밴_(1).jpg 파일:Y30 닛산 글로리아 밴_(2).jpg
}}}
후기형 (1985~1987)

1983년부터 세드릭과 동일하게 내놓았고, CM광고 모델을 무려 세계의 유명 프로골퍼 잭 니클라우스로 기용하면서 광고까지 동원해봐도 크라운을 꺾기엔 너무 역부족이여서 판매량은 여전히 세드릭과 함께 망했고, 1987년에 후속인 8세대가 나오면서 단종되었다. 예외로 왜건과 밴 모델은 1999년까지 판매되었다. 여담으로 세단형 중에는 대우 브로엄의 휠과 비슷한 휠이 옵션으로 있었다.

레버식 주차브레이크 때문에 망했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옵션에 따라 칼럼기어와 함께 풋파킹 브레이크도 제공되었으므로 이는 사실이 아니다.

형제차인 세드릭와 함께 하이소카로 엄청난 성공을 거둔 S120계 크라운과 전면전을 펼쳤지만 판매량 측면에서는 압도적으로 밀렸다. 하지만 VIP적인 이미지는 잘 구축되어[1] 80년대 후반 이후에도 관용차나 VIP튠 베이스로도 인기가 많았다.

2.7. 8세대 (Y31, 1987~1999)

파일:external/19f19851538ae927a1f392e3dfa2bdb2a6a1e75c632ada49a16b8b53388a214a.jpg 파일:autowp.ru_nissan_gloria_sedan_3.jpg
V20 트윈캠 터보 그란 투리스모 SV 하드탑 V20E 브로엄 세단
파일:external/98926482615a032d85e9a9b1edfc5b697726a8f5abb6aec92a5c347069c2e369.jpg 파일:1988 닛산 글로리아 시마 타입 II 리미티드_(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88 닛산 글로리아 시마 타입 II 리미티드_(3).jpg 파일:1988 닛산 글로리아 시마 타입 II 리미티드_(4).jpg }}}
글로리아 시마 타입 II 리미티드[2]
글로리아

1987년 창피했고 치욕스러웠던 7세대보다 더 고급스러우면서 심플한 디자인으로 제대로 풀체인지했고, 경쾌한 퍼포먼스를 강조해낸 그란 투리스모 모델을 새로 추가해 판매실적이 좋아졌다. 물론 세드릭처럼 4도어 세단도 생산했다. 신기한 건 1987년부터 그란 투리스모 모델은 글로리아가 너무 잘 팔린 반면 세드릭은 브로엄만 아주 잘 팔렸다고 한다. 여담으로 Y30의 세단형 휠이 브로엄의 휠과 비슷했다면, 이쪽의 하드탑형에 적용되는 휠은 1세대 그랜저 3000의 휠과 비슷하며 로고도 오른쪽으로 치우쳐져 있다.[3] 글로리아 하드탑은 1989년 6월 마이너체인지 이후 1991년에 생산을 종료하고 Y32로 넘어간 반면, 글로리아 세단은 두 번의 마이너체인지[4]를 더 거치고 1999년까지 장수했다.

dj nagureo의 악곡 Y31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2.8. 9세대 (Y32, 1991~1995)

파일:external/8cbe146d2f6b9838d95bd3e85f428acd7c1e0fd4c52c88323730d5f3faeae459.jpg 파일:1991 닛산 글로리아 브로엄_(2).jpg
브로엄
파일:1991 닛산 글로리아 V30 트윈캠 터보 그란 투리스모 울티마_(1).jpg 파일:1991 닛산 글로리아 V30 트윈캠 터보 그란 투리스모 울티마_(2).jpg
V30 트윈캠 터보 그란 투리스모 울티마
전기형 (1991~1993)

1991년 6월, 세드릭과 동일하게 필러드 4도어 하드탑으로 과감히 바뀌고 풀체인지되었다. 여전히 세드릭과 달리 오로지 그란 투리스모 모델로만 불티나게 잘 팔려, 1995년 6월까지 생산되었다.

2.9. 10세대 (Y33 계통, 1995~1999)

파일:1995 닛산 글로리아 브로엄_(1).jpg 파일:1995 닛산 글로리아 브로엄_(2).jpg
브로엄
파일:1995 닛산 글로리아 그란 투리스모_(1).jpg 파일:1995 닛산 글로리아 그란 투리스모_(2).jpg
그란 투리스모
전기형 (1995~1997)
파일:external/1903961b9176fc0f36f3f1b0f91217da3780c4a1f977c437cf8b42acaff4db22.jpg
그란 투리스모
후기형 (1997~1999)

1995년 풀체인지되어서 오로지 4도어 하드탑으로만 출시되었다. 이 때 일부 모델을 제외하고 VG엔진 대신에 VQ엔진이 장착되었다. 1999년에 11세대에게 넘겨주고 단종되었다.

2.10. 11세대 (Y34 계통, 1999~2004)

파일:1999 닛산 글로리아_(1).jpg 파일:1999 닛산 글로리아_(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9 닛산 글로리아_(3).jpg
전기형 글로리아 (1999~2001)
파일:2001 닛산 글로리아_(1).jpg 파일:2001 닛산 글로리아_(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1 닛산 글로리아_(3).jpg 파일:2001 닛산 글로리아_(4).jpg }}}
후기형 글로리아 (2001~2004)

1999년 차세대 닛산 LL 플랫폼 기반으로 풀체인지 되어 11세대 글로리아가 출시되었다. 이전 세대들처럼 무사시무라야마 공장에서 생산되었으나, 중간에 공장 폐쇄 결정으로 인해 다른 후륜구동 승용차들과 함께 닛산 도치기 공장으로 옮겨졌다. 닛산의 경영 악화 속에 르노-닛산 얼라이언스 체제가 되면서 2004년 말에 형제차인 닛산 세드릭과 함께 닛산 푸가로 통폐합 대체되었고, 4도어 하드탑은 물론 글로리아라는 이름도 45년만에 역사속으로 사라졌다.[5] 내수 시장 한정으로 2.5L V6 또는 I6엔진과 3.0L V6 엔진이 적용되었다.

수출전용 모델인 4.5리터 모델은 M45라는 이름을 달고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수출되었다.

국내에도 몇 대가 수입되어 운행 중이다.

3. 미디어

  • 파워레인저 인 스페이스, 전자전대 메가레인저에 Y31계 글로리아가 경찰차로 출연한다.# 일본의 전대 시리즈가 원작에 이를 북미 촬용분과 결합하는 파워레인저 시리즈의 특성상 일본 원판인 메가레인저의 클립이 파워레인저 인 스페이스에 적용되었으며, 북미 촬영분에는 푸조 505가 대타로 등장했다.[6]
  • 더 택시 반점 - 7세대 웨건이 등장한다. 실제였다면 진작에 년식과 주행거리 때문에 다른 차량으로 교체될 정도로 낡은 차량이다.

4. 둘러보기


파일:닛산 로고.svg파일:닛산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연대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회색 글씨: 단종 차량
<colbgcolor=#d0d0d0,#222222><colcolor=#373a3c,#fff><rowcolor=#373a3c,#fff> 분류 승용 · 레이스 · SUV · RV · 승합버스트럭
19​30​년대
70형 · 50형90 80
19​40​년대
30형 · 53형190 · 290180
19​50​년대
블루버드 · 패트롤 · 페어레이디 · 오스틴 A40 소머셋 · 오스틴 A50 케임브리지에코 · 390 · 490 · 590 · U-R · 690380 · 480 · 580 · 주니어 · 캡올 · 캡라이트 · 680
19​60​년대
세드릭/글로리아 · 실비아 · 호미 · 프레지던트 · 서니 · 프린스 로얄 · R380 · 로렐 · 스카이라인 · 스카이라인 GT-R · 페어레이디 Z-C80 · 681 · 캡스타 · 780
19​70​년대
체리 · 1400 · 스탄자 · 바이올렛 · 200SX · 바네트 · 오스터 · 캐러밴 · 가젤시빌리언-
19​80​년대
랭글리 · 레퍼드 · 리베르타 빌라 · 로렐 스피릿 · EXA · 레오파드 · 맥시마 · 마치 · 리베르타 빌라 · AD · 프레어리 · 센트라 · 츠루 · 패스파인더 · 핀타라 · 테라노 · 서니 RZ-1 · 나바라 · 세피로 · 시마 · Be-1 · 파오 · S-카고 · 180SX · 240SX-아틀레온 · 아틀라스
19​90​년대
프레세아 · 세레나 · 아베니르 · 루시노 · 프리메라 · 피가로 · 알티마 · NX 쿠페 · 퀘스트 · 테라노 II · 알메라/베르사 · 크루 · 라신 · 스테이지아 · R390 GT1 로드 카 · 르네사 · 티노 · 프론티어 · 세피로 왜건 · 윙로드 · 엘그란드 · 아틀라스 맥스 · 프레사쥬 · 큐브 · 하이퍼미니 · 엑스퍼트 · 바사라 · 마치 박스--
20​00​년대
실피 · 무지카 1000 · 엑스트레일 · 엑스테라 · 무라노 · 아르나다 · 플래티나 · 모코 · 노트 · 티다 · 티아나 · 인터스타 · 타이탄 · 큐비스타 · 푸가 · 리비나 · 라페스타 · 오티 · 클리퍼 리오 · 아프리오 · GT-R · 캐시카이 · 로그 · 피노 · 스카이라인 크로스오버 · 킥스 · 픽소 · NP200 · 룩스 · NV250 · NV200-클리퍼 트럭
20​10​년대
쥬크 · 라티오 · 리프 · 데이즈 · 사쿠라 · 란니아 · 매그나이트 · 프리마스타 · 테라--
20​20​년대
아리야 · 프리마스타 · 타운스타 · 프론티어 프로 · N7 · N6 · 텍톤--}}}}}}}}}{{{#!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차급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colbgcolor=#d0d0d0,#222222><rowcolor=#373a3c,#fff><colcolor=#373a3c,#fff>차급생산 차량단종 차량
승용​차
초소형​차-하이퍼미니 · NMC
경​차사쿠라피노 · 모코 · 픽소 · 타마
소형​차마치/마이크라 · 노트 · 베르사/알메라블루버드(1,2세대) · 서니 · Be-1 · S-카고 ·
티다(1,2세대) · 파오 · 피가로 · 마이크라 C+C · 체리 ·
플래티나 · 아프리오 · 무지카 1000 · 마치 박스
· 로렐 스피릿 · 바이올렛 · 스탄자 · 오스터 ·
라티오 · 체리 캡 · 타마 시니어
준중형​차센트라/실피 · 펄사/티다(3세대) · AD랭글리 · 리베르타 빌라 · 프레세아 · 루시노 ·
서니/서니 캘리포니아 · 블루버드 실피 ·
알메라 클래식 · 츠루 · 오스틴 A40 소머셋 ·
윙로드 · 란니아 · 리프(1,2세대)
중형​차알티마 · 스카이라인 · N6 · N7블루버드(3~10세대) · 핀타라 · 로렐 · 티아나 ·
세피로/세피로 왜건 · 프리메라 · 아베니르 ·
르네사 · 레퍼드(1,2세대) · 스테이지아 · 크루 ·
오스틴 A50 케임브리지 · 엑스퍼트
준대형​차-70형 · 글로리아 · 세드릭 · 레퍼드(3,4세대) ·
푸가 · 맥시마
대형​차-프레지던트 · 시마 · 인피니티 Q45
스포츠​카 · 슈퍼카페어레이디 Z페어레이디 · 실비아(실에이티) · 180SX ·
200SX · 240SX · 가젤 · 서니 RZ-1 · NX 쿠페 ·
오테크 자가토 스텔비오 AZ1 · 스카이라인 GT-R
· EXA · GT-R
SUV
경형 SUV-킥스(1세대)
소형 SUV매그나이트 · 쥬크 · 킥스(2,3세대) · 텍톤라신 · 테라노(3세대)
준중형 SUV캐시카이 · 로그/엑스트레일 · 아리야 · 리프(3세대)미스트랄/테라노 II · 듀알리스
중형 SUV무라노 · 테라테라노(1,2세대) · 엑스테라 · 스카이라인 크로스오버
준대형 SUV패스파인더테라노 레글루스
대형 SUV패트롤/아르마다-
픽업​트럭
소형 픽업​트럭-닷선 트럭 · 서니 트럭 · NP200
중형 픽업​트럭나바라/프론티어 · 프론티어 프로주니어
대형 픽업​트럭-타이탄
MP​V
경형 MPV클리퍼 리오 · 룩스/룩스 하이웨이 스타 · 데이즈 · 데이즈 하이웨이 스타오티
소형 MPV타운스타큐브 · 프레어리/리버티
준중형 MPV세레나 · 리비나/그랜드 리비나/리비나 제니스티노 · 라페스타
중형 MPV-프레사쥬 · 바사라
대형 MPV엘그란드퀘스트
상용​차
LAV타운스타큐비스타 · NV250
LCV클리퍼 밴 · NV200/NV200 바네트 · 캐러밴 · 프리마스타 · 인터스타호미 · 바네트 · 로코 · 유트 · 아틀라스 맥스 · NV300 ·
NV400 · NV1500/NV2500 HD/NV3500 HD
준중형 버스-에코/시빌리언
경형 트럭클리퍼 트럭-
소형 트럭아틀라스/NT450 아틀라스 · NT400 캡스타호머
준중형 트럭-캡올 · NT500
중형 트럭-180 · 캡올 · 클리퍼 · C80 · 아틀레온
기타 차량
구급차파라메딕-
의전차량-프린스 로얄 · 프레지던트}}}}}}}}}
}}}
파일:니스모 로고.png · 파일:Autech_logo.png · 파일:인피니티 로고.svg · 레이스 카

파일:프린스엠블럼화이트.png
프린스 (1947~1966)
차량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A2100> 분류 차량명
중형차 스카이라인 · 스카이웨이 · 세단
준대형차 글로리아
대형차 로얄
레이스카 R380
LCV 호미
픽업트럭 호머 · 클리퍼 · 라이트 밀러
버스 라이트 코치
파일:닛산 로고 화이트.svg
}}}}}}}}} ||



[1] 브로엄 VIP 라는 명칭의 그레이드도 존재하였다.[2] 세드릭 시마와 마찬가지로, 글로리아의 이름이 붙었지만, 시마의 계보에 속하는 차종이다.[3] 이 사진각그랜저 3000의 휠인데, 잘보면 정말로 Y31 세드릭 하드탑의 휠과 80% 정도 비슷함을 알 수 있다. 각그랜저는 3000CC로 업그레이드되면서 현대 쏘나타의 Y2모델처럼 로고가 한쪽으로 치우쳐져 새겨진 삐딱로고 휠을 장착했다.물론 이 시기엔 닛산을 비롯한 해외에서도 이런 휠이 많았다.[4] 1991년 6월, 1995년 8월[5] 완전 통폐합은 아니었다. 세드릭은 XV 사양, 글로리아는 GT 사양으로 이어지며 훗날 GT로 일원화된다. 결론적으로 세드릭과 통합 후속이 아닌 글로리아의 후속이 된 셈.[6] 1980년대 북미 자동차 안전규정에 맞춘 법정규격 사각 헤드램프가 적용된 북미시장용 모델로, 글로리아에 적용된 번호판과 라디에이터 그릴이 푸조 505에 추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