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문서는 2014년에 출시된 갤럭시 노트3 네오에 대해 다룹니다. 2011년에 출시된 갤럭시 네오}}}에 대한 내용은 [[갤럭시 네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갤럭시 네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갤럭시 네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문서는 2014년에 출시된 갤럭시 노트3 네오에 대해 다룹니다. 2011년에 출시된 갤럭시 네오: }}}[[갤럭시 네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갤럭시 네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갤럭시 네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tablealign=center> | 갤럭시 노트 시리즈 제품 목록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스마트폰 | |||
<rowcolor=#fff>2011 | 2012 | 2013 | 2014 | |
노트 | 노트 II | 노트3 노트3 네오 | 노트4 노트 엣지 | |
<rowcolor=#fff>2015 | 2016 | 2017 | 2018 | |
노트5 | 노트7 노트 FE | 노트8 | 노트9 | |
<rowcolor=#fff>2019 | 2020 | → 갤럭시 S Ultra 시리즈로 흡수 | ||
노트10 노트10+ 노트10 Lite | 노트20 노트20 Ultra | |||
태블릿 | ||||
<rowcolor=#fff>2012 | 2013 | 2014 | ||
노트 10.1 | 노트 8.0 | 노트 10.1 2014 | 노트 PRO 12.2 | |
→ 갤럭시 탭 S 시리즈로 흡수 | }}}}}}}}}}}} | |||
전체 라인업 · 단종된 라인업 |
GALAXY Note3 Neo GALAXY Note3 Lite SM-N750 | |||
| |||
제트 블랙 | 클래식 화이트 | 민트 레몬 | |
<colbgcolor=#191919,#000><colcolor=#fff> 3G DS | <colbgcolor=#191919,#000> 사우디 삼성전자 SM-N7502 고객지원 사이트 | ||
LTE | 한국 삼성전자 SM-N750S 고객지원 사이트 |
1. 개요
삼성전자가 2014년 1월 31일에 공개한 갤럭시 노트 시리즈 소쇠 Android 스마트폰으로, 갤럭시 노트3의 염가형 파생 모델이다.2. 사양
2.1. 한국 내수용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91919,#666><colbgcolor=#000><colcolor=#fff><tablebgcolor=#fff,#1c1d1f><width=8%> 프로세서 ||<width=92%>퀄컴 스냅드래곤 800 Processor (MSM8974AB)[AB8]
||
- [ 구성 내용 확인 ]
-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0,#666><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000><colcolor=#fff> CPU ||4 × 퀄컴 Krait 400 2.27 GHz ||
GPU 퀄컴 Adreno 330 550 MHz DSP 퀄컴 Hexagon QDSP6 V5 600 MHz 통신 모뎀 퀄컴 스냅드래곤 X5 LTE 모뎀[2] 제조 공정 TSMC 28 nm HPM
메모리 | 2 GB LPDDR3 SDRAM 1,600 MT/s 16 GB eMMC 4.5 내장 메모리 microSDXC (최대 64 GB 지원) | ||||||
디스 플레이 | 5.5인치 (139.5 mm)[D] 16:9 비율 HD[R] Super AMOLED (267 ppi)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wiki style="margin: -5px 0" | <colbgcolor=#000><colcolor=#fff> 공급사 | 삼성디스플레이 | ||||
픽셀배열 | S-Stripe RGB 서브픽셀 | ||||||
패널정보 | AMOLED | ||||||
명암비 | 100,000:1 | ||||||
재생빈도 | 60 Hz | ||||||
부가정보 | 고릴라 글래스 3, 슈퍼 센서티브 터치 지원 | }}}}}}}}}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와콤 입력 모듈 | |||||
이동통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folding [ 4G ] {{{#!wiki style="margin: -5px 0" | LTE FDD ↓2CA Cat.4 / Cat.4↑[UC] VoLTE 지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folding [ 3G ] {{{#!wiki style="margin: -5px 0" |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0,#666><tablebgcolor=#fff,#1c1d1f>UMTS & HSDPA & HSUPA & HSPA+ ↓42.2 Mbps / 5.76 Mbps↑ Wideband Audio 음성통화·영상통화 지원[LC]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folding [ 2G ] {{{#!wiki style="margin: -5px 0" |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0,#666><tablebgcolor=#fff,#1c1d1f>GSM & GPRS & EDGE ↓384 Kbps 음성통화 지원[LC] | }}}}}}}}} |
근접통신 | Wi-Fi 1/2/3/4/5, 블루투스 4.0, NFC | ||||||
위성항법 | GPS & A-GPS, GLONASS | ||||||
카메라 | 전면 200만 화소 (ƒ/?.? & ??˚) 후면 AF 지원 800만 화소 (ƒ/?.? & ??˚) 및 LED 플래시 | ||||||
배터리 | 착탈식 Li-Ion 3,100 mAh[B]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확인 ] {{{#!wiki style="margin: -5px 0" | <colbgcolor=#000><colcolor=#fff> 유선 | 자체 충전기술 (10 W) 퀄컴 퀵 차지 (10 W)[QC] | }}}}}}}}} | |||
운영체제 | Android 4.3 (JB)[J] → 4.4 (K)[K] → 5.1 (L)[L] | ||||||
UX | 삼성 터치위즈 네이쳐 UX 2.0[N2] → 네이쳐 UX 3.0[N3] | ||||||
규격 | 77.4 × 148.4 × 8.8 mm, 162 g | ||||||
색상 | 제트 블랙, 클래식 화이트, 블러쉬 핑크, 멜롯 레드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 | ||||||
단자정보 | USB Type-B Micro ×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folding [ 지원 프로토콜 확인 ] {{{#!wiki style="margin: -5px 0" | USB 2.0 (480 Mbps) MHL 2.0 - HDMI 1.4 | }}}}}}}}} 3.5 mm 단자 × 1 | ||||
생체인식 | |||||||
기타 | 1,024 단계 필압 인식 S펜 지원, SoundAlive 지원, 갤럭시 기어 지원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folding [ 탑재 센서 정보 확인 ] {{{#!wiki style="margin: -5px 0" | 가속도, 기압, 자이로, 지자기, RGB 광, 근접, 홀 | }}}}}}}}} |
2.2. 한국 내수용 이외
||<|2><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91919,#666><colbgcolor=#000><colcolor=#fff><tablebgcolor=#fff,#1c1d1f><width=8%> 프로세서 ||<-2><width=92%>삼성 엑시노스 5 헥사 (5260) Mobile Processor (S5E5260)
+ ||
- [ 구성 내용 확인 ]
- ||<|2><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0,#666><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000><colcolor=#fff> CPU ||ARM big.LITTLE - CM·IKS·HMP↓ ||
2 × ARM Cortex-A15 1.7 GHz
4 × ARM Cortex-A7 1.3 GHzGPU 3 × ARM Mali-T628 533 MHz DSP - 통신 모뎀 - 제조 공정 삼성 S.LSI 28 nm HKMG
+
- [ 외장 통신 모뎀 확인 ]
-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0,#666><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000><colcolor=#fff> WCDMA ||인텔 XMM 6262 ||
LTE 삼성 SHANNON 222
3G 싱글심 및 LTE 모델 탑재
퀄컴 스냅드래곤 400 Processor (MSM8228)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wiki style="margin: -5px 0" | <colbgcolor=#000><colcolor=#fff> CPU | 4 × ARM Cortex-A7 1.59 GHz | |||||
GPU | 퀄컴 Adreno 305 450 MHz | ||||||
DSP | 퀄컴 Hexagon QDSP6 V4 500 MHz | ||||||
통신 모뎀 | 퀄컴 고비 MDM8225 | ||||||
제조 공정 | TSMC 28 nm LP | }}}}}}}}} 3G 듀얼심 모델 탑재 | |||||
메모리 | 2 GB LPDDR3 SDRAM 1,600 MT/s 16 / 32 GB eMMC 4.5 내장 메모리 엑시노스 모델 탑재 | microSDXC (최대 64 GB 지원) | |||||
2 GB LPDDR2 SDRAM ??? MT/s 16 GB eMMC 4.? 내장 메모리 스냅드래곤 모델 탑재 | |||||||
디스 플레이 | 5.5인치 (139.5 mm)[D] 16:9 비율 HD[R] Super AMOLED (267 ppi)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wiki style="margin: -5px 0" | <colbgcolor=#000><colcolor=#fff> 공급사 | 삼성디스플레이 | ||||
픽셀배열 | S-Stripe RGB 서브픽셀 | ||||||
패널정보 | AMOLED | ||||||
명암비 | 100,000:1 | ||||||
재생빈도 | 60 Hz | ||||||
부가정보 | 고릴라 글래스 3, 슈퍼 센서티브 터치 지원 | }}}}}}}}}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와콤 입력 모듈 | |||||
이동통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folding [ 3G ] {{{#!wiki style="margin: -5px 0" | <colbgcolor=#000><colcolor=#fff> 기본 지원 | UMTS & HSDPA & HSUPA & HSPA+ ↓21.1 Mbps / 5.76 Mbps↑ Wideband Audio 음성통화·영상통화 지원 | ||||
선택 지원 | CDMA2000 1xEV-DO Rel.0 & Rev.A ↓3.1 Mbps / 1.8 Mbps↑ 영상통화 지원 | ||||||
TD-SCDMA & TD-HSDAP & TD-HSUPA ↓2.8 Mbps / 2.2 Mbps↑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folding [ 2G ] {{{#!wiki style="margin: -5px 0" | <colbgcolor=#000><colcolor=#fff> 기본 지원 | GSM & GPRS & EDGE ↓384 Kbps 음성통화 지원 | ||||
선택 지원 | CDMA & CDMA2000 1xRTT ↓144 Kbps 음성통화 지원 | }}}}}}}}} 3G 모델 지원 사항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folding [ 4G ] {{{#!wiki style="margin: -5px 0" | LTE FDD ↓2CA Cat.4 / Cat.4↑[UC] VoLTE 지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folding [ 3G ] {{{#!wiki style="margin: -5px 0" |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0,#666><tablebgcolor=#fff,#1c1d1f>UMTS & HSDPA & HSUPA & HSPA+ ↓42.2 Mbps / 5.76 Mbps↑ Wideband Audio 음성통화·영상통화 지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folding [ 2G ] {{{#!wiki style="margin: -5px 0" |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0,#666><tablebgcolor=#fff,#1c1d1f>GSM & GPRS & EDGE ↓384 Kbps 음성통화 지원 | }}}}}}}}} LTE 모델 지원 사항 | |
근접통신 | Wi-Fi 1/2/3/4/5, 블루투스 4.0, NFC, ANT+ | ||||||
위성항법 | GPS & A-GPS, GLONASS | ||||||
카메라 | 전면 200만 화소 (ƒ/?.? & ??˚) 후면 AF 지원 800만 화소 (ƒ/?.? & ??˚) 및 LED 플래시 | ||||||
배터리 | 착탈식 Li-Ion 3,100 mAh[B]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확인 ] {{{#!wiki style="margin: -5px 0" | <colbgcolor=#000><colcolor=#fff> 유선 | 자체 충전기술 (10 W) 퀄컴 퀵 차지 (10 W)[QC] | }}}}}}}}} | |||
운영체제 | Android 4.3 (JB)[J] → 4.4 (K)[K] → 5.1 (L)[L] 글로벌 3G 싱글심 / 글로벌 LTE 모델 지원 사항 | ||||||
Android 4.3 (JB)[J] 글로벌 3G 듀얼심 / 중화권 모델 지원 사항 | |||||||
Android 4.3 (JB)[J] → 4.4 (K)[K] 튀르키예 / 라틴아메리카 모델 지원 사항 | |||||||
UX | 삼성 터치위즈 네이쳐 UX 2.0[N2] → 네이쳐 UX 3.0[N3] 롤리팝 업그레이드 모델 지원 사항 | ||||||
삼성 터치위즈 네이쳐 UX 2.0 非 롤리팝 업그레이드 모델 지원 사항 | |||||||
규격 | 77.4 × 148.4 × 8.8 mm, 162 g | ||||||
색상 | 제트 블랙, 클래식 화이트, 민트 레몬, 블러쉬 핑크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 | ||||||
단자정보 | USB Type-B Micro ×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folding [ 지원 프로토콜 확인 ] {{{#!wiki style="margin: -5px 0" | USB 2.0 (480 Mbps) MHL 2.0 - HDMI 1.4 | }}}}}}}}} 3.5 mm 단자 × 1 | ||||
생체인식 | 얼굴인식 - 전면 카메라 인식 방식[FU] | ||||||
기타 | 1,024 단계 필압 인식 S펜 지원, FM 라디오 지원[30], SoundAlive 지원, 갤럭시 기어 지원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folding [ 탑재 센서 정보 확인 ] {{{#!wiki style="margin: -5px 0" | 가속도, 기압, 자이로, 지자기, RGB 광, 근접, 홀 | }}}}}}}}} |
3. 특징
전체적인 외관 및 소재는 기본 모델과 유사하며, 색상은 블랙다이아 제로, 바닐라 화이트, 그린 리플, 블러쉬 핑크, 레드 루비로 출시되었다.RAM은 용량은 2 GB 단일 용량이며, 규격은 엑시노스 5260과 스냅드래곤 800 탑재 모델의 경우 LPDDR3, 스냅드래곤 400 탑재 모델의 경우 LPDDR2다.
저장공간은 16, 32 GB 두 가지 옵션이며, 한국 내수용은 16 GB 단일 옵션이다. 규격은 엑시노스 5260과 스냅드래곤 800 탑재 모델의 경우 eMMC 4.5, 스냅드래곤 400 탑재 모델의 경우 eMMC 4.4다. 또한 microSDXC 규격의 외장 메모리를 지원한다.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 4.3 젤리빈을 프로토타입으로 탑재했다. 기본 버전은 킷켓 4.4.2.
3.1. AP
AP는 삼성 엑시노스 5 헥사 (5260), 퀄컴 스냅드래곤 400 MSM8228, 퀄컴 스냅드래곤 800 MSM8974AB[AB]로 삼원화 되어 탑재된다.3.1.1. 삼성 엑시노스 5 헥사 (5260)
CPU는 2코어의 1.7 GHz ARM Cortex-A 시리즈와 4코어의 1.3 GHz ARM Cortex-A 시리즈으로 이루어져있으며, ARM big.LITTLE 기술 중 클러스터 마이그레이션 모드 및 IKS 모드를 지원하며, 가장 핵심인 HMP 모드를 엑시노스 최초로 지원한다.GPU는 3코어의 533 MHz ARM Mali-T628이 탑재되었다.
내장된 통신 모뎀은 없으며, 3G 모델의 경우 인텔 XMM 6360, 4G 모델의 경우 삼성 SHANNON222을 별도로 탑재했다.
내장된 DSP 및 센서 허브는 없다.
3.1.2. 퀄컴 스냅드래곤 400 MSM8228
CPU는 4코어의 1.6 GHz ARM Cortex-A 시리즈이 탑재되었다.GPU는 450 MHz 퀄컴 Adreno 306이 탑재되었다.
내장된 통신모뎀은 퀄컴 MDM8225를 탑재하였다.
내장된 DSP는 1코어 500 MHz 퀄컴 Hexagon QDSP6 V4이며, 센서 허브는 별도로 없이 DSP에서 센서 처리를 병행한다.
3.1.3. 퀄컴 스냅드래곤 800 MSM8974AB
한국 내수용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지원을 위해 스냅드래곤 800이 탑재되어 출시되었다.삼성 갤럭시에 탑재된 스냅드래곤 800의 경우, 일반적인 MSM8974[32]하고는 다르게, GPU 클럭과 지원 메모리 클럭이 상승한 MSM9874AB[AB]다.
CPU는 4코어의 2.27 GHz 퀄컴 Krait 400이 탑재되었다.
GPU는 550 MHz 퀄컴 Adreno 330이 탑재되었다.
내장된 통신모뎀은 퀄컴 스냅드래곤 X5 모뎀[G]를 탑재하였다.
내장된 DSP는 1코어 600 MHz 퀄컴 Hexagon QDSP6 V5이며, 센서 허브는 별도로 없이 DSP에서 센서 처리를 병행한다.
3.2.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는 삼성디스플레이에서 제조한 약 5.5인치 (139.5 mm)의 HD Super AMOLED Plus이며, 갤럭시 노트 II와 유사하지만 동일한 물건은 아니다.[35]S-Stripe RGB 배열의 서브 픽셀이며, 해상도는 HD (1280 x 720)로, 화소 밀도는 약 267 ppi이다.
3.3. 이동통신
3G 모델의 경우, 3G는 WCDMA 계열의 통신으로 DC-HSPA+에서 최대 42.2 Mbps의 다운로드 속도와 최대 5.76 Mbps의 업로드 속도를 지원하며, Wideband Audio 기술의 3G HD Voice 음성 통신을 지원한다. 2G는 GSM 계열의 통신으로 EDGE에서 최대 384 Kbps의 다운로드 속도를 지원하며, 음성 통신을 지원한다.4G 모델의 경우, 4G는 LTE로 Cat.4 레벨에서 최대 150 Mbps의 다운로드 속도와 최대 50 Mbps의 업로드 속도를 지원하며, VoLTE 기술의 음성 통신을 지원한다. 2G와 3G의 경우 3G 모델과 동일한 통신을 지원한다.
한국 내수용의 경우, 4G는 LTE로 Cat.4 레벨에서 최대 150 Mbps의 다운로드 속도와 최대 50 Mbps의 업로드 속도를 지원하고, 최대 2개 채널의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기술을 지원하며, VoLTE 기술의 음성 통신을 지원한다. 2G와 3G의 경우 3G 모델과 동일한 통신을 지원한다.
중화권 모델의 경우, 4G는 LTE를 FDD 및 TDD로 Cat.4 레벨에서 최대 150 Mbps의 다운로드 속도와 최대 50 Mbps의 업로드 속도를 지원하며, VoLTE 기술의 음성 통신을 지원한다. 3G의 경우 모델에 따라 세 종류로 나뉘는데, 3G 모델과 동일한 통신을 지원하거나, CDMA 계열의 통신으로 CDMA2000 1x EV-DO Rev.A에서 최대 3.1 Mbps의 다운로드 속도와 1.8 Mbps의 업로드 속도를 지원하고, 음성통신을 지원하지 않거나, TD-SCDMA 계열의 통신으로 TD-HSUPA에서 최대 2.8 Mbps의 다운로드 속도와 최대 2.1 Mbps의 업로드 속도를 지원하며, 음선 통신은 지원하지 않는다. 2G의 경우 모델에 따라 두 종류로 나뉘는데, 3G 모델과 동일한 통신을 지원하거나, CDMA 계열의 통신으로 CDMA2000 1xRTT에서 최대 144 Kbps의 다운로드 속도를 지원하며, 음성 통신을 지원한다.
4. 출시
삼성 엑시노스 5 헥사 (5260) 탑재 모델 | ||
SM-N750 표준 3G 싱글심 | ||
SM-N7505 표준 LTE | ||
SM-N7500Q 튀르키예 3G | SM-N7505L 라틴아메리카 LTE | SM-N7507 대만 LTE |
퀄컴 스냅드래곤 400 MSM8228 탑재 모델 | ||
SM-N7502 표준 3G 듀얼심 | ||
SM-N7506V 중국 차이나유니콤 | SM-N7508V 중국 차이나모바일 | SM-N7509V 중국 차이나텔레콤 |
퀄컴 스냅드래곤 800 MSM8974AB 탑재 모델 | ||
SM-N750S 대한민국 SK텔레콤 | SM-N750S 대한민국 KT | SM-N750L 대한민국 LG U+ |
4.1. 한국 시장
2014년 2월 17일, KT의 LTE 모델로 추정되는 제품이 전파인증을 통과했다.전파인증을 받고 출시가 전부 이루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출시로 이어질 것이라는 확답은 없으나, 출시로 이어진다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의 지원을 위해 AP가 스냅드래곤 800 MSM8974AB로 변경될 것이라는 추측이 제기되었다.[36]
2014년 3월 3일, SK텔레콤, KT, LG U+를 통해 출고가 799,700원으로 출시되었다. AP는 본가와 동일한 스냅드래곤 800 MSM8974AB 교체되었으며, 색상은 제트 블랙과 클래식 화이트 2종으로 출시되었다. 이후 블러쉬 핑크, 2014년 7월에 SK텔레콤 전용으로 글램 레드 색상이 출시되었다.
2015년 1월 중순에 LG U+에서 기기 명칭을 기존 갤럭시 노트3는 갤럭시 노트3 LTE-A로, 이 모델은 '갤럭시 노트3'로 바꾸었다. 그러나 곧 직원의 실수라 해명하며 원상복구시켰다.
4.2. 한국 외 시장
5. 소프트웨어 지원
5.1. 제조사 공식
갤럭시 노트3 네오의 최신 패치 일자는 2018-12-19이다.SK텔레콤 | KT | LG U+ |
====# 4.3 젤리빈 마이너 업그레이드 #====
====# 4.4 킷캣 #====
2014년 4월 21일, 한국 내수용 갤럭시 노트3 네오 SM-N750S/K/L의 4.4 킷캣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5.1.1. 5.1 롤리팝
2015년 10월 26일, 한국 내수용의 롤리팝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안드로이드 버전은 5.1.1이며, 최초 펌웨어 빌드번호는 COJ3이다. 그리고 OTA로는 업데이트가 진행되지 않고, 삼성 스마트 스위치 또는 Kies3를 통해서만 업그레이드가 진행된다. 해당 업그레이드로 스마트 매니저가 지원되기 시작되었다.이후, 2015년 12월부터 OTA를 통한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 커스텀 펌웨어 #===
2018년 8월 12일 기준, 안드로이드 5.1.1 롤리팝 기반 커스텀 롬인 독도 프로젝트 7.4.2가개발된 상태이다.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N750S/K를 기반으로 제작되었고, SM-N750L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Philz Touch로 만 설치가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37]
2018년 9월 6일 기준, 안드로이드 7.1.2 누가 기반 커스텀 롬인 LineageOS 14.1이 포팅된 상태이다. 해외용 리니지14.1에서 커널을 수정하여 내수용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SM-N750K/S/L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셀룰러 통신, 자이로 센서 같은 센서들이 비활성화 된 오류가 있으나 와이파이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므로 공기계로 사용하는 것으로 충분히 실사가 가능하다.
6. 기타
- 무게는 162 g으로, 갤럭시 노트 시리즈 중 가장 가벼운 모델이다.
- 갤럭시 노트 II와 많은 부품을 공유한다.
- 대한민국 내수용이 다른 제품들과는 다르게 여분의 배터리와 배터리 거치대를 제공하지 않는다. 다만, 삼성전자 스토어에서 사용이 가능한 25,000원 할인 쿠폰을 구성품으로 동봉하여, 배터리, 배터리 거치대, S뷰 커버 등의 액세서리를 구입 시 사용 할 수 있다. 이는 갤럭시 S4 mini와 동일하다.
- 대한민국 내수용이 지상파 DMB를 지원하지 않는다. 이는 갤럭시 S4 mini, 갤럭시 S4 Active, 갤럭시 코어 어드밴스 등과 동일하다.
- 대한민국 내수용 한정으로 기본 모델과 프로세서가 동일하고, 다른 사양들을 하향한 점에서 갤럭시 S10e, 갤럭시 노트10, 갤럭시 S20 FE, 갤럭시 노트20 등과 비슷한 성격을 갖고 있다. 플래그십급 칩셋을 탑재한 보급기로 범위를 넓혀보자면, 갤럭시 A90 5G와 갤럭시 퀀텀2, 갤럭시 점프3랑 비슷하기도 하다.
[AB8] 삼성전자 독점으로 공급된 MSM8974AB v2로 분류된 모델이 탑재된다.[2] 당시 명칭은 퀄컴 고비 MDM9625[D] 인치 환산 시 5.49인치[R] 1280 × 720[UC] 업링크는 CA 미지원[LC] LG U+ 모델이 CDMA 계열의 통신을 지원하지 않고 GSM 계열의 통신을 지원한다. 따라서 한국 내에서는 오로지 LTE로만 통신이 가능하며, 다른 국가에서는 USIM을 꽂아서 GSM 및 WCDMA의 이용이 가능해졌다. 단, 한국 내에서는 캐리어락 때문에 다른 이동통신사 USIM 사용이 불가능하다.[LC] [B] 3.8 V - 3,100 mAh (11.78 Wh). 갤럭시 노트 II와 같은 배터리를 공유한다.[QC] 스냅드래곤 탑재 모델만 지원[J] 정확히는 4.3이 선탑재됐다.[K] 정확히는 4.4.2가 메이저 업그레이드로 적용됐다.[L] 정확히는 5.1.1이 메이저 업그레이드로 적용됐다.[N2] 4.3 JB ~ 4.4.2 K[N3] 5.1.1 L[FU] 5.1 L 업그레이드 모델에 한해 업그레이드 후 미지원[D] [R] [UC] 업링크는 CA 미지원[B] [QC] [J] [K] [L] [J] [J] [K] [N2] [N3] [FU] [30] 일부 모델 미지원[AB] [32] CPU 클럭이 2.15 GHz의 VV와 CPU 클럭이 2.27 GHz의 AA로 분류된다. 둘 다 GPU 클럭은 450 MHz다.[AB] [G] [35] 갤럭시 노트 II의 디스플레이는 141.0 mm이다.[36] 당시 출시했던 삼성의 Cat.4 모뎀인 SHANNON222의 경우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하지 않았으며, 2014년 하반기에 뒤늦게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하는 엑시노스 모뎀 300이 출시되었다.[37] TWRP로 시도해 보면 파티션 오류가 뜨면서 설치가 실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