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대 경상남도의회 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3px" | 창원 1 | 창원 2 | 창원 3 | 창원 4 | 창원 5 |
서민호 | 백태현 | 박해영 | 박준 | 이찬호 | |
창원 6 | 창원 7 | 창원 8 | 창원 9 | 창원 10 | |
이재두 | 박남용 | 강용범 | 정규헌 | 정쌍학 | |
창원 11 | 창원 12 | 창원 13 | 창원 14 | 창원 15 | |
진상락 | 공석 | 조영명 | 박동철 | 김순택 | |
창원 16 | 진주 1 | 진주 2 | 진주 3 | 진주 4 | |
이치우 | 정재욱 | 박성도 | 조현신 | 유계현 | |
진주 5 | 통영 1 | 통영 2 | 사천 1 | 사천 2 | |
김진부 | 강성중 | 김태규 | 임철규 | 김현철 | |
김해 1 | 김해 2 | 김해 3 | 김해 4 | 김해 5 | |
최학범 | 서희봉 | 최동원 | 권요찬 | 주봉한 | |
김해 6 | 김해 7 | 김해 8 | 밀양 1 | 밀양 2 | |
박병영 | 이시영 | 손덕상 | 장병국 | 조인종 | |
거제 1 | 거제 2 | 거제 3 | 양산 1 | 양산 2 | |
정수만 | 전기풍 | 윤준영 | 이용식 | 이영수 | |
양산 3 | 양산 4 | 양산 5 | 양산 6 | 의령 | |
최영호 | 권혁준 | 박인 | 허용복 | 권원만 | |
함안 1 | 함안 2 | 창녕 1 | 창녕 2 | 고성 1 | |
조영제 | 조인제 | 이경재 | 우기수 | 백수명 | |
고성 2 | 남해 | 하동 | 산청 | 함양 | |
허동원 | 류경완 | 김구연 | 신종철 | 김재웅 | |
거창 1 | 거창 2 | 합천 | 비례 | 비례 | |
박주언 | 김일수 | 장진영 | 박진현 | 노치환 | |
비례 | 비례 | 비례 | 비례 | ||
전현숙 | 이춘덕 | 한상현 | 유형준 | ||
* 창녕 1 성낙인 사퇴 (2023.1.8.) * 창원 15 박춘덕 사퇴 (2024.1.2.) * 밀양 2 예상원 사퇴 (2024.2.8.) * 창원 12 이장우 당선무효 (2025.1.9.) | |||||
◀ 제11대 | }}} }}}}}} |
경상남도의 의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15a38><tablebgcolor=#f15a38> | 김해시 제2선거구 상동면, 대동면, 삼안동, 불암동 金海市 第二選擧區 Gimhae District 2 | }}} | |||
<colbgcolor=#f15a38><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43,331명 (2022년) | |||||
상위 행정구역 | 경상남도 | |||||
관할 구역 |
| |||||
도의원 | | 서희봉 (초선) |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의회의 선거구로 김해시 동부 지역을 관할한다.삼안동과 불암동 모두 김해시 평균보다 국민의힘이 약간 더 강세인 지역이고, 농촌 지역인 상동면과 대동면은 김해시 안에서도 가장 국민의힘 성향이 짙은 지역인만큼 국민의힘에게 상대적으로 유리한 선거구이다.
2. 역대 선거 결과
대수 | 당선자 | 당적 | 임기 | 비고 |
김해시 제3,6선거구 | ||||
제5대 | 김정권 | [[민주자유당|]]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1] |
문진수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 | ||
김해시 제2선거구 | ||||
제6대 | 김정권 |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3] |
제7대 | 2002년 7월 1일 ~ 2004년 2월 14일[4] | |||
옥반혁 | | 2004년 6월 6일 ~ 2006년 6월 30일 | ||
김해시 제1,2선거구 | ||||
제8대 | 이유갑 |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5] |
허좌영 | 2006년 7월 1일 ~ 2010년 2월 18일[6] | [7] | ||
제9대 | 김국권 | [[민주당(2008년)|]] | 2010년 7월 1일 ~ 2012년 1월 10일[8] | [5] |
최학범 | [[새누리당|]] | 2012년 4월 12일 ~ 2014년 6월 30일 | ||
허좌영 |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7] | |
제10대 | 최학범 | [[새누리당|]]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11] |
허좌영 | [12] | |||
제11대 | 신영욱 |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11] |
이종호 | [12] | |||
김해시 제2선거구 | ||||
제12대 | 서희봉 | | 2022년 7월 1일 ~ 현재 | [15] |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해시 제3선거구 부원동, 활천동, 삼안동, 불암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 김정권(鄭秀相) | - | 1위 |
[[민주자유당|]] | - | 무투표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 | 투표율 - |
투표 수 | - | ||
무효표 수 | - |
김해시 제6선거구 생림면, 상동면, 대동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한중기(韓重基) | 4,317 | 2위 |
[[민주자유당|]] | 36.53% | 낙선 | |
2 | 문진수(文振洙) | 4,601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8.93% | 당선 | |
3 | 방일복(方日福) | 2,899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4.5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5,429 | 투표율 80.47% |
투표 수 | 12,416 | ||
무효표 수 | 599 |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해시 제2선거구 생림면, 상동면, 대동면, 동상동, 부원동, 북부동, 활천동, 삼안동, 불암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정권(金正權) | 28,699 | 1위 |
| 60.79% | 당선 | |
2 | 이봉수(李鳳洙) | 9,105 | 2위 |
[[새정치국민회의|]] | 19.28% | 낙선 | |
3 | 방일복(方日福) | 3,950 | 4위 |
[[자유민주연합|]] | 8.36% | 낙선 | |
4 | 김태화(金泰和) | 5,453 | 3위 |
[[국민신당(1997년)|]] | 11.5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00,713 | 투표율 48.13% |
투표 수 | 48,480 | ||
무효표 수 | 1,273 |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해시 제2선거구 생림면, 상동면, 대동면, 동상동, 부원동, 북부동, 활천동, 삼안동, 불암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정권(金正權) | 30,966 | 1위 |
| 66.33% | 당선 | |
2 | 김태화(金泰和) | 11,547 | 2위 |
[[새천년민주당|]] | 24.73% | 낙선 | |
3 | 송인화(宋仁和) | 4,165 | 3위 |
[[민주노동당|]] | 8.9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7,275 | 투표율 40.64% |
투표 수 | 47,666 | ||
무효표 수 | 988 |
2.4. 200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김해시 제2선거구 생림면, 상동면, 대동면, 동상동, 부원동, 북부동, 활천동, 삼안동, 불암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옥반혁(玉磐赫) | 16,292 | 1위 |
| 53.01% | 당선 | |
3 | 김영립(金英立) | 14,437 | 2위 |
[[열린우리당|]] | 46.9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30,761 | 투표율 23.90% |
투표 수 | 31,262 | ||
무효표 수 | 533 |
2.5.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해시 제1선거구 생림면, 상동면, 동상동, 부원동, 북부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중원(金重元) | 7,068 | 3위 |
[[열린우리당|]] | 22.55% | 낙선 | |
2 | 이유갑(李有甲) | 14,981 | 1위 |
| 47.81% | 당선 | |
6 | 박좌현(朴佐鉉) | 1,394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44% | 낙선 | |
7 | 옥반혁(玉磐赫) | 7,889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5.1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63,614 | 투표율 50.06% |
투표 수 | 31,846 | ||
무효표 수 | 514 |
김해시 제2선거구 대동면, 활천동, 삼안동, 불암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문희우(文熙祐) | 10,740 | 2위 |
[[열린우리당|]] | 30.80% | 낙선 | |
2 | 허좌영(許佐永) | 22,053 | 1위 |
| 63.25% | 당선 | |
6 | 박흥선(朴興善) | 2,068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5.9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79,068 | 투표율 44.84% |
투표 수 | 35,455 | ||
무효표 수 | 594 |
2.6.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해시 제1선거구 생림면, 상동면, 동상동, 부원동, 북부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최학범(崔學範) | 19,693 | 2위 |
| 48.40% | 낙선 | |
2 | 김국권(金國權) | 20,993 | 1위 |
[[민주당(2008년)|]] | 51.59%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74,105 | 투표율 56.42% |
투표 수 | 41,817 | ||
무효표 수 | 1,131 |
김해시 제2선거구 대동면, 활천동, 삼안동, 불암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 허좌영(許佐永) | - | 1위 |
| - | 무투표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 | 투표율 - |
투표 수 | - | ||
무효표 수 | - |
2.7. 2012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김해시 제1선거구 생림면, 상동면, 동상동, 부원동, 북부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최학범(崔學範) | 18,555 | 1위 |
[[새누리당|]] | 43.83% | 당선 | |
2 | 김중원(金重元) | 12,507 | 2위 |
[[민주통합당|]] | 29.54% | 낙선 | |
4 | 김태복(金太福) | 4,108 | 4위 |
[[통합진보당|]] | 9.70% | 낙선 | |
6 | 윤덕중(尹德重) | 1,073 | 6위 |
[[진보신당|]] | 2.53% | 낙선 | |
7 | 문희우(文熙祐) | 1,357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20% | 낙선 | |
8 | 김영립(金英立) | 4,726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1.1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77,042 | 투표율 55.75% |
투표 수 | 42,956 | ||
무효표 수 | 630 |
2.8.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해시 제1선거구 생림면, 상동면, 북부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최학범(崔學範) | 19,108 | 1위 |
[[새누리당|]] | 50.08% | 당선 | |
2 | 김영립(金英立) | 15,763 | 2위 |
[[새정치민주연합|]] | 41.31% | 낙선 | |
3 | 전진숙(田珍淑) | 3,280 | 3위 |
[[통합진보당|]] | 8.5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69,133 | 투표율 56.33% |
투표 수 | 38,945 | ||
무효표 수 | 794 |
김해시 제2선거구 대동면, 삼안동, 불암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허좌영(許佐永) | 12,456 | 1위 |
[[새누리당|]] | 52.76% | 당선 | |
2 | 신동환(申東煥) | 8,811 | 2위 |
[[새정치민주연합|]] | 37.32% | 낙선 | |
4 | 양보경(梁寶慶) | 2,340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9.9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8,315 | 투표율 54.14% |
투표 수 | 31,576 | ||
무효표 수 | 867 |
2.9.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해시 제1선거구 생림면, 상동면, 북부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신영욱(申永煜) | 26,339 | 1위 |
| 61.97% | 당선 | |
2 | 최학범(崔學範) | 16,159 | 2위 |
[[자유한국당|]] | 38.0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70,949 | 투표율 61.11% |
투표 수 | 43,356 | ||
무효표 수 | 861 |
김해시 제2선거구 대동면, 삼안동, 불암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종호(李鍾鎬) | 14,351 | 1위 |
| 56.89% | 당선 | |
2 | 서희봉(徐熙奉) | 10,874 | 2위 |
[[자유한국당|]] | 43.1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45,253 | 투표율 56.94% |
투표 수 | 25,765 | ||
무효표 수 | 540 |
2.10.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해시 제2선거구 상동면, 대동면, 삼안동, 불암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종호(李鍾鎬) | 8,364 | 2위 |
| 41.64% | 낙선 | |
2 | 서희봉(徐熙奉) | 11,722 | 1위 |
| 58.35%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43,331 | 투표율 47.52% |
투표 수 | 20,592 | ||
무효표 수 | 506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 이종호 도의회 부의장이 단수공천을 받으며 재선에 도전한다.
국민의힘에서는 지난 선거에 도전하였다가 고배를 마신 서희봉 전 시의원(재선)이 설욕에 나선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가 출마하지 않아 저번 선거와 마찬가지로 양당 1:1 구도에 후보까지 똑같은 리턴매치를 치르게 되었다.
선거 결과 국민의힘 서희봉 후보가 저번에 패배했던 격차 이상으로 승리하며 복수에 성공했다. 불암동에서 57.4% : 42.6%, 삼안동에서 58.1% : 41.9%로 서희봉 후보가 승리하면서 동 지역에서부터 50% 후반대로 서희봉 후보가 큰 격차를 만들었다. 면 지역에서는 대동면에서 59.3% : 40.7%로 이종호 후보가 40%를 넘으며 다소 선전하였다. 다만 새로 들어와서 두 후보 모두 기반이 없던 상동면에서는 정당 투표 경향으로 인해 서희봉 후보가 67.1%를 얻으며 가차없이 더블 스코어 차가 나서 대동면에서의 선전도 큰 의미가 없었다.
[1] 김해시 제3선거구 (부원동, 활천동, 삼안동, 불암동)[2] 김해시 제6선거구 (생림면, 상동면, 대동면)[3] 생림면, 상동면, 대동면, 동상동, 부원동, 북부동, 활천동, 삼안동, 불암동[4] 17대 총선 출마를 위해 사직.[5] 김해시 제1선거구 (생림면, 상동면, 동상동, 부원동, 북부동)[6] 5회 지선 김해시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7] 김해시 제2선거구 (대동면, 활천동, 삼안동, 불암동)[8] 19대 총선 출마를 위해 사직.[5] [7] [11] 김해시 제1선거구 (생림면, 상동면, 북부동)[12] 김해시 제2선거구 (대동면, 삼안동, 불암동)[11] [12] [15] 상동면, 대동면, 삼안동, 불암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