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3px" | 창원 1 | 창원 2 | 창원 3 | 창원 4 | 창원 5 |
서민호 | 백태현 | 박해영 | 박준 | 이찬호 | |
창원 6 | 창원 7 | 창원 8 | 창원 9 | 창원 10 | |
이재두 | 박남용 | 강용범 | 정규헌 | 정쌍학 | |
창원 11 | 창원 12 | 창원 13 | 창원 14 | 창원 15 | |
진상락 | 공석 | 조영명 | 박동철 | 김순택 | |
창원 16 | 진주 1 | 진주 2 | 진주 3 | 진주 4 | |
이치우 | 정재욱 | 박성도 | 조현신 | 유계현 | |
진주 5 | 통영 1 | 통영 2 | 사천 1 | 사천 2 | |
김진부 | 강성중 | 김태규 | 임철규 | 김현철 | |
김해 1 | 김해 2 | 김해 3 | 김해 4 | 김해 5 | |
최학범 | 서희봉 | 최동원 | 권요찬 | 주봉한 | |
김해 6 | 김해 7 | 김해 8 | 밀양 1 | 밀양 2 | |
박병영 | 이시영 | 손덕상 | 장병국 | 조인종 | |
거제 1 | 거제 2 | 거제 3 | 양산 1 | 양산 2 | |
정수만 | 전기풍 | 윤준영 | 이용식 | 이영수 | |
양산 3 | 양산 4 | 양산 5 | 양산 6 | 의령 | |
최영호 | 권혁준 | 박인 | 허용복 | 권원만 | |
함안 1 | 함안 2 | 창녕 1 | 창녕 2 | 고성 1 | |
조영제 | 조인제 | 이경재 | 우기수 | 백수명 | |
고성 2 | 남해 | 하동 | 산청 | 함양 | |
허동원 | 류경완 | 김구연 | 신종철 | 김재웅 | |
거창 1 | 거창 2 | 합천 | 비례 | 비례 | |
박주언 | 김일수 | 장진영 | 박진현 | 노치환 | |
비례 | 비례 | 비례 | 비례 | ||
전현숙 | 이춘덕 | 한상현 | 유형준 | ||
* 창녕 1 성낙인 사퇴 (2023.1.8.) * 창원 15 박춘덕 사퇴 (2024.1.2.) * 밀양 2 예상원 사퇴 (2024.2.8.) * 창원 12 이장우 당선무효 (2025.1.9.) | |||||
◀ 제11대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15a38><tablebgcolor=#f15a38> | 창녕군 제2선거구 남지읍, 영산면, 부곡면, 도천면 등 昌寧郡 第二選擧區 Changnyeong District 2 | }}} | |||
| ||||||
<colbgcolor=#f15a38><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26,483명 (2022년) | |||||
상위 행정구역 | 경상남도 | |||||
관할 구역 |
| |||||
도의원 | | 우기수 (초선) |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의회의 선거구로 창녕군의 남부 지역을 관할한다.지리적으로 대구광역시와 인접해 있는 위치인 옆 지역구와 달리 창원시와 인접해있는 관계로 옆 지역구보다는 국민의힘 지지세가 비교적 약한 편이다. 물론 여기도 어지간한 군들보다 보수성향이 초강세인 지역이므로 굳이 크게 구분할 필요는 없는 수준이다.
2. 역대 선거 결과
대수 | 당선자 | 당적 | 임기 | 비고 |
창녕군 제1,3선거구 | ||||
제5대 | 정대룡 | [[민주자유당|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1] |
김종규 | [2] | |||
창녕군 제2선거구 | ||||
제6대 | 김종규 | | 1998년 7월 1일 ~ 2002년[3] | [4] |
제7대 | 정영해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
제8대 | 박상제 | | 2006년 7월 1일 ~ 2010년 3월 22일[5] | |
제9대 | 권유관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
제10대 | [[새누리당|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
제11대 | 신용곤 | [[자유한국당|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
제12대 | 우기수 | | 2022년 7월 1일 ~ 현재 |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녕군 제1선거구 창녕읍, 유어면, 계성면, 장마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정대룡(鄭大龍) | 5,099 | 1위 |
[[민주자유당| | 32.15% | 당선 | |
2 | 김영준(金榮俊) | 1,094 | 4위 |
| 6.89% | 낙선 | |
3 | 성이경(成二慶) | 4,566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8.79% | 낙선 | |
4 | 이장사(李長沙) | 5,097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2.1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1,131 | 투표율 78.57% |
투표 수 | 16,604 | ||
무효표 수 | 748 |
창녕군 제3선거구 남지읍, 영산면, 도천면, 길곡면, 부곡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종규(金鍾奎) | 9,598 | 1위 |
[[민주자유당| | 52.61% | 당선 | |
2 | 정영해(丁映海) | 8,643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7.3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4,040 | 투표율 79.88% |
투표 수 | 19,204 | ||
무효표 수 | 963 |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녕군 제2선거구 남지읍, 계성면, 영산면, 장마면, 도천면, 길곡면, 부곡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종규(金鍾圭) | 11,185 | 1위 |
| 56.83% | 당선 | |
3 | 정영해(丁映海) | 8,494 | 2위 |
[[자유민주연합| | 43.1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8,527 | 투표율 72.38% |
투표 수 | 20,650 | ||
무효표 수 | 971 |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녕군 제2선거구 남지읍, 계성면, 영산면, 장마면, 도천면, 길곡면, 부곡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신창기(辛唱基) | 9,328 | 2위 |
| 49.24% | 낙선 | |
3 | 정영해(丁映海) | 9,615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50.75%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26,908 | 투표율 73.71% |
투표 수 | 19,835 | ||
무효표 수 | 892 |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녕군 제2선거구 남지읍, 계성면, 영산면, 장마면, 도천면, 길곡면, 부곡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박상제(朴相濟) | 7,480 | 1위 |
| 43.94% | 당선 | |
6 | 신창기(辛唱基) | 5,880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4.54% | 낙선 | |
| | 사퇴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8 | 정영해(丁映海) | 3,661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1.5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5,649 | 투표율 70.74% |
투표 수 | 18,146 | ||
무효표 수 | 1,125 |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녕군 제2선거구 남지읍, 계성면, 영산면, 장마면, 도천면, 길곡면, 부곡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권유관(權有官) | 6,276 | 1위 |
| 38.21% | 당선 | |
7 | 정영해(丁映海) | 3,928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3.92% | 낙선 | |
8 | 남재호(南才淏) | 6,217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7.8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5,143 | 투표율 68.13% |
투표 수 | 17,131 | ||
무효표 수 | 710 |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녕군 제2선거구 남지읍, 계성면, 영산면, 장마면, 도천면, 길곡면, 부곡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권유관(權有官) | 9,595 | 1위 |
[[새누리당| | 57.73% | 당선 | |
4 | 윤태원(尹太元) | 7,025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2.2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7,115 | 투표율 63.56% |
투표 수 | 17,237 | ||
무효표 수 | 617 |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녕군 제2선거구 남지읍, 계성면, 영산면, 장마면, 도천면, 길곡면, 부곡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배근우(裵懃祐) | 7,675 | 2위 |
| 40.70% | 낙선 | |
2 | 신용곤(辛容坤) | 11,178 | 1위 |
[[자유한국당| | 59.29%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27,719 | 투표율 70.46% |
투표 수 | 19,533 | ||
무효표 수 | 680 |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녕군 제2선거구 남지읍, 계성면, 영산면, 장마면, 도천면, 길곡면, 부곡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우기수(禹基壽) | 8,922 | 1위 |
| 54.91% | 당선 | |
4 | 신용곤(辛容坤) | 7,325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5.0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6,843 | 투표율 63.93% |
투표 수 | 16,931 | ||
무효표 수 | 684 |
국민의힘에서는 현직 신용곤 도의원을 컷오프하고 창녕군 관내의 농협에서 35년간 근무했던 우기수 경남도당 부위원장을 단수공천하였다. 신용곤 도의원은 이에 반발하여 무소속 출마를 하게 된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우기수 후보의 한자릿수 차 신승으로 끝이 났다.세부적으로 보면 도천면에서만 54.2% : 45.8%로 신용곤 후보가 승리하고 나머지 지역에서는 우기수 후보가 승리하였다. 영산면에서 50.5% : 49.5%로 접전이었으며, 인구가 가장 많은 남지읍에서 54.7% : 45.3%로 우기수 후보의 신승을 하였고, 부곡면에서 54.99%로 우기수 후보가 한 끝 차이로 두자릿수 격차를 만들지 못한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지역에서는 우기수 후보의 두 자릿수 격차 승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