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대 경상남도의회 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3px" | 창원 1 | 창원 2 | 창원 3 | 창원 4 | 창원 5 |
서민호 | 백태현 | 박해영 | 박준 | 이찬호 | |
창원 6 | 창원 7 | 창원 8 | 창원 9 | 창원 10 | |
이재두 | 박남용 | 강용범 | 정규헌 | 정쌍학 | |
창원 11 | 창원 12 | 창원 13 | 창원 14 | 창원 15 | |
진상락 | 공석 | 조영명 | 박동철 | 김순택 | |
창원 16 | 진주 1 | 진주 2 | 진주 3 | 진주 4 | |
이치우 | 정재욱 | 박성도 | 조현신 | 유계현 | |
진주 5 | 통영 1 | 통영 2 | 사천 1 | 사천 2 | |
김진부 | 강성중 | 김태규 | 임철규 | 김현철 | |
김해 1 | 김해 2 | 김해 3 | 김해 4 | 김해 5 | |
최학범 | 서희봉 | 최동원 | 권요찬 | 주봉한 | |
김해 6 | 김해 7 | 김해 8 | 밀양 1 | 밀양 2 | |
박병영 | 이시영 | 손덕상 | 장병국 | 조인종 | |
거제 1 | 거제 2 | 거제 3 | 양산 1 | 양산 2 | |
정수만 | 전기풍 | 윤준영 | 이용식 | 이영수 | |
양산 3 | 양산 4 | 양산 5 | 양산 6 | 의령 | |
최영호 | 권혁준 | 박인 | 허용복 | 권원만 | |
함안 1 | 함안 2 | 창녕 1 | 창녕 2 | 고성 1 | |
조영제 | 조인제 | 이경재 | 우기수 | 백수명 | |
고성 2 | 남해 | 하동 | 산청 | 함양 | |
허동원 | 류경완 | 김구연 | 신종철 | 김재웅 | |
거창 1 | 거창 2 | 합천 | 비례 | 비례 | |
박주언 | 김일수 | 장진영 | 박진현 | 노치환 | |
비례 | 비례 | 비례 | 비례 | ||
전현숙 | 이춘덕 | 한상현 | 유형준 | ||
* 창녕 1 성낙인 사퇴 (2023.1.8.) * 창원 15 박춘덕 사퇴 (2024.1.2.) * 밀양 2 예상원 사퇴 (2024.2.8.) * 창원 12 이장우 당선무효 (2025.1.9.) | |||||
◀ 제11대 | }}} }}}}}} |
경상남도의 의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15a38><tablebgcolor=#f15a38> | 창원시 제13선거구 양덕동, 합성2동, 구암동, 봉암동 昌原市 第十三選擧區 Changwon District 13 | }}} | |||
<colbgcolor=#f15a38><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61,008명 (2022년) | |||||
상위 행정구역 | 경상남도 | |||||
관할 구역 |
| |||||
도의원 | | 조영명 (초선) |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의회의 선거구로 마산회원구의 동부 동 지역을 관할한다.마산회원구에서 국민의힘의 지지세가 창원시 제11선거구보단 강한 편이지만 창원시 제12선거구에 비하면 약한 편이다. 이는 창원 메트로시티를 비롯한 아파트촌과 신시가지가 있는 양덕2동의 영향력이 크다.[1] 다만 양덕2동 자체도 내서읍에 비해서는 국민의힘 지지세가 강하고 구암2동 정도를 제외하면 옆 지역구 동과 비슷한 수준의 득표율을 올리는 관계로 마산회원구의 중간 포지션 정도에 위치하고 있다.
2. 역대 선거 결과
대수 | 당선자 | 당적 | 임기 | 비고 |
마산시 제5,6선거구 | ||||
제5대 | 강우석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2] |
정수상 | [[민주자유당|]] | [3] | ||
마산시 제4선거구 | ||||
제6대 | 이태일 |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4] |
제7대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
제8대 |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
창원시 제11선거구 | ||||
제9대 | 조우성 |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5] |
제10대 | [[새누리당|]]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
제11대 | 이상인 | | 2018년 7월 1일 ~ 2021년 6월 9일[6] | |
창원시 제13선거구 | ||||
제12대 | 조영명 | | 2022년 7월 1일 ~ 현재 | [5] |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마산시 제5선거구 합성1동, 합성2동, 구암1동, 구암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병윤(李炳允) | 11,560 | 2위 |
[[민주자유당|]] | 42.67% | 낙선 | |
2 | 강우석(姜于錫) | 15,529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57.32%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42,199 | 투표율 66.23% |
투표 수 | 27,951 | ||
무효표 수 | 862 |
마산시 제6선거구 회원1동, 양덕1동, 양덕2동, 봉암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 정수상(鄭秀相) | - | 1위 |
[[민주자유당|]] | - | 무투표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 | 투표율 - |
투표 수 | - | ||
무효표 수 | - |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마산시 제4선거구 양덕1동, 양덕2동, 합성1동, 합성2동, 구암1동, 구암2동, 봉암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태일(李泰一) | 22,929 | 1위 |
| 67.36% | 당선 | |
2 | 김종문(金鍾文) | 3,223 | 3위 |
[[새정치국민회의|]] | 9.46% | 낙선 | |
4 | 강우석(姜于錫) | 7,884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3.1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68,565 | 투표율 50.95% |
투표 수 | 34,936 | ||
무효표 수 | 900 |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마산시 제4선거구 양덕1동, 양덕2동, 합성1동, 합성2동, 구암1동, 구암2동, 봉암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태일(李泰一) | 27,265 | 1위 |
| 82.77% | 당선 | |
2 | 조재규(趙在奎) | 5,673 | 2위 |
[[새천년민주당|]] | 17.2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70,920 | 투표율 47.75% |
투표 수 | 33,869 | ||
무효표 수 | 931 |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마산시 제4선거구 양덕1동, 양덕2동, 합성1동, 합성2동, 구암1동, 구암2동, 봉암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최학봉(崔學奉) | 8,018 | 2위 |
[[열린우리당|]] | 21.13% | 낙선 | |
2 | 이태일(李泰一) | 29,914 | 1위 |
| 78.86%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74,976 | 투표율 51.74% |
투표 수 | 38,793 | ||
무효표 수 | 861 |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원시 제11선거구 양덕1동, 양덕2동, 합성2동, 구암1동, 구암2동, 봉암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조우성(趙祐成) | 16,643 | 1위 |
| 43.96% | 당선 | |
5 | 정문진(鄭文眞) | 9,454 | 2위 |
[[민주노동당|]] | 24.97% | 낙선 | |
7 | 이태일(李泰一) | 8,649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2.84% | 낙선 | |
8 | 류상현(柳相鉉) | 3,112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8.2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65,726 | 투표율 59.02% |
투표 수 | 38,796 | ||
무효표 수 | 938 |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원시 제11선거구 양덕1동, 양덕2동, 합성2동, 구암1동, 구암2동, 봉암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조우성(趙祐成) | 26,069 | 1위 |
[[새누리당|]] | 69.50% | 당선 | |
4 | 허윤영(許閏永) | 11,436 | 2위 |
| 30.4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66,847 | 투표율 57.73% |
투표 수 | 38,597 | ||
무효표 수 | 1,092 |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원시 제11선거구 양덕1동, 양덕2동, 합성2동, 구암1동, 구암2동, 봉암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상인(李相寅) | 23,115 | 1위 |
| 53.21% | 당선 | |
2 | 조우성(趙祐成) | 20,319 | 2위 |
[[자유한국당|]] | 46.7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67,675 | 투표율 65.72% |
투표 수 | 44,477 | ||
무효표 수 | 1,043 |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원시 제13선거구 양덕1동, 양덕2동, 합성2동, 구암1동, 구암2동, 봉암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송정훈(宋政勳) | 10,129 | 2위 |
| 31.63% | 낙선 | |
2 | 조영명(曺永明) | 21,894 | 1위 |
| 68.36%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61,008 | 투표율 53.68% |
투표 수 | 32,752 | ||
무효표 수 | 729 |
이 지역구 도의원이던 이상인 전 도의원은 2021년 6월 9일 선거법 위반으로 도의원 직을 상실하면서 무조건 다른 인물이 나오게 된다.
현직을 잃은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송정훈 전 3·15의거기념사업회 이사를 공천하였다.
국민의힘에서는 조우성 전 도의원이 불출마하여 새 후보를 내야한다. 윤성미 비례대표 도의원과 조영명 시의원이 경선을 하여 조영명 후보가 승리하였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가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 구도로 치러지게 된다.
선거 결과 국민의힘 조영명 후보가 60% 후반대의 더블스코어로 압승하였다. 동별로 보면 조영명 후보는 합성2동에서 74.1%로 가장 높은 득표율을 올렸으며, 봉암동에서 71.9%, 양덕1동에선 71.7%, 구암1동에서 70.2%로 대부분 지역에서 70%를 넘겼다. 하지만 구암2동에서 67.9%, 결정적으로 인구 지분이 많은 양덕2동 66.2%를 받으면서 전체 득표율은 70% 밑으로 떨어지게 됐다. 다만 다른 선거에 비해 특별히 득표율이 떨어진거는 아니고 정당의 지지도 만큼 받은 것이라 부진하다고 볼수는 없다. 더불어민주당 송정훈 후보는 다른 마산 지역의 비정치인 출신 후보 중에서 유일하게 30%를 넘긴 점이 그나마의 위안거리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