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6 07:18:55

김한근(정치인)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해당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한근]]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한근#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한근#|]]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해당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 }}}[[김한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한근#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한근#|]]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강릉시 CI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최돈영
제2대
이기재
제3대
김남형
제4대
김순권
제5대
한동석
제6대
이상혁
제7대
김동석
제8대
김남형
제9대
김형기
제10대
이상혁
제11대
김영진
제12대
서명택
제13대
이창석
제14대
김정명
제15대
김명한
제16대
정연상
제17대
손주용
제18대
조성운
제19대
안명필
제20대
김광원
제21대
전영호
제22대
안재헌
제23대
김진선
제24대
최승호
제25대
이대근
제26대
권혁신
제27-29대
심기섭
제30-32대
최명희
제33대
김한근
제34대
김홍규
파일:강릉시 브랜드.svg }}}}}}}}}
<colbgcolor=#f14f30><colcolor#fff> 제33대 강원도 강릉시장
김한근
金漢根 | Kim Han-geun
파일:김한근 사진.jpg
출생 1963년 8월 22일 ([age(1963-08-22)]세)
강원도 강릉시
(現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본관 경주 김씨
재임기간 제33대 강원도 강릉시장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가족 아내 함현주, 슬하 2남
학력 옥천초등학교 (졸업)
강릉명륜중학교 (졸업)
강릉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철학 / 학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법학[1] / 석사[2]·박사[3])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중어중문학 / 재학[4])
소속 정당
경력 제12회 입법고시 합격
강원도청 국회협력관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공사참사관
국회사무처 경제법제심의관
국회사무처 의사국장
국회사무처 법제실장
한국잠수협회 회장
국회사무처 의정연수원 겸임교수
강릉원주대학교 자치행정학과 초빙교수
제33대 강원도 강릉시장 (민선 7기 / 자유한국당)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초기 생애와 교육2. 국회 및 외교관 경력3. 강릉시장 재임 (2018~2022) – 주요 성과와 정책4. 세부 정책 및 성과
4.1. 국가 공모사업 유치 – 관광·문화 중심도시로 도약4.2. 코로나19 대응 – 전국 최초의 선제적 조치4.3. 도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규모 인프라 개선 및 재개발 프로젝트4.4. 관광·경제 활성화 및 복지 정책
4.4.1. 관광·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4.4.2. 시민 복지를 위한 교통 및 생활 인프라 개선4.4.3. 복지 및 의료 서비스 강화
5. 비판 및 논란6. 향후 정치적 행보와 전망
6.1. 강릉시장 재선 도전 가능성6.2. 국회의원 선거 출마 가능성6.3. 정치적 비전과 향후 정책 방향
7. 선거 이력8. 둘러보기

1. 초기 생애와 교육

김한근은 1963년 3남1녀의 장남으로 강원도 강릉에서 출생하여 중학교 시절 부친이 작고한 후, 편모 아래에서 성장했다. 모친은은 보험설계사로 일하였고, 고교 시절부터 신문배달을 병행하며 수학했다고 알려져있다. 고교시절 문학과 예술 동아리 활동에 적극적이어서 시문학 동인회(동회람) 활동과 미술부 및 합창단 결성을 주도하여 초대 단장으로 활동했다. 또 주일학교 교사(현 강릉중앙감리교회)로 활동하는 등 신앙생활에도 적극적이었다. 당초 이과생이었으나 대학진학은 문과인 서울대 철학과로 진학하였다. 이는 문학동아리 선배였던 홍윤기 교수(동국대 철학과 교수)의 영향이 컸다고 한다. 1980년대 대학시절 학생운동에도 참여하여 소위 언더 써클활동을 하였다고 한다. 병역은 육군 중위로 만기 전역 하였고, 이후 동부그룹에서 직장 생활을 하다가 결혼 후 2년여의 수험 기간을 거쳐 고시 동기들 보다 다소 늦은 나이인 31세에 입법고시에 합격하였다.

2. 국회 및 외교관 경력

국회사무처 운영위원회 및 의사국장, 법제실장 등 국회사무처의 가장 중요 직책과 2개 상임위원회의 전문위원으로 재직하는 등 법제 및 의안, 의사 실무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국회사무처 및 위원회에서의 주요업무는 다음과 같다.
* 법률 초안 작성 및 검토: 국회에서 발의되는 법안의 초안을 마련하고 실효성을 검토하는 역할.
* 상임위원회 회의 진행 및 조정: 각종 상임위원회에서 법안 심사 및 정책 논의 조율.
* 국정감사 대응: 매년 국정감사 기간 동안 국회의원이 정부 기관을 감독하는 과정을 지원하고, 입법 방향을 조율.
* 정책 분석 및 보고서 작성: 정부 부처의 정책과 법률안을 분석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는 업무 수행.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외교관(공사참사관)으로서 주중국대사관에서 약 4년간 남북문제 및 동북아 관계 개선을 위한 외교 업무(의회외교 및 정당교류)를 수행한 바 있다.

주중국대사관에서의 주요업무는 다음과 같다.
* 한·중 외교 관계 조율 및 협상: 국회와 중국 정부 간의 협력을 강화하는 외교적 가교 역할 수행.
* 북한 문제 및 동북아 정세 분석: 북한과 관련된 외교적 조율을 수행하고, 동북아 지역 내 갈등 해소에 기여.
* 한·중 정책 교류 지원: 한국 국회와 중국 정부 간의 정책 교류를 활성화하고, 양국 간 협력 사업 추진.

외교관 재직 중 국회의장(김형오)으로부터 정상외교 지원에 공헌한 공로를 인정받아 "최고의 수행능력을 보여준 외교관"이라는 내용의 공식 문서로 격려 서신을 받았으며, 이는 지금까지 국회의장이 해외 외교관에게 직접 격려서신을 보낸 유일한 사례로 알려져 있다.

또한 대사관 근무 당시 중국의 사스(SARS) 사태를 겪으며 공공 보건 위기대응의 중요성을 체감하고, 이후 강릉시장 재직시 코로나19 팬데믹 사태 때, 어린이 무료 마스크 제작 보급, 드론 이용 방역 및 드라이브 쓰루 등 지자체 최초의 여러 대응사례 등을 시행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언론에 밝힌 바 있다. 국회 조기 명예퇴직 후 강릉원주대학교 초빙교수를 거쳐 강릉시장으로 재직하며 국비 확보, 대형 국가 공모사업 선정, 코로나19 대응, 해안관광휴양지 개발 등의 굵직한 성과를 거두며 적극적인 지방 행정을 수행했다. 중앙 정부, 국회, 외교 무대에서 쌓아온 경험이 지방 행정을 운영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산으로 작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3. 강릉시장 재임 (2018~2022) – 주요 성과와 정책

김한근 전 시장은 2018년 강릉시장으로 당선된 이후, 국비 확보, 대규모 도시 개발, 관광산업 육성, 재난 대응 강화, 공공복지 확대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를 이끌어왔다. 국회와 외교 무대에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중앙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시 예산을 대폭 증액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국가 공모사업을 다수 유치하고#, 강릉시 역사상 최대 규모의 예산을 확보하며 도시 발전의 토대를 마련했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강릉시의 예산은 취임시 약 8천억대 원 규모에서 1조 4천억원 규모로 약 70% 정도 확대되었는데, 이는 4년 재임 중 지자체 예산으로는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율 증가라고 평가된다. 또한, 국가 관광거점도시 및 문화도시로 국내 최초로 동시 선정되면서, 강릉이 국제적인 관광·문화 중심지로 도약할 기반을 마련하는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하였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는 전국 최고 수준의 대응 체계를 구축하며 강릉시의 위기관리 역량을 강화했다. 방역과 의료 지원을 신속하게 시행하여, 시민들의 안전을 보장하는 데 집중한 결과, 강릉시는 행정안전부로부터 전국 최고의 코로나19 대응 모범 사례로 평가받았다. 또한 도심 재개발과 도시 인프라 개선 사업을 대대적으로 추진하여, 낙후 지역을 정비하고, 교통망과 기반 시설을 현대화하는 등 강릉의 생활 환경을 개선하는 데 주력하였으며 관광·문화 중심 도시로 성장시키고 복지역량 강화에도 큰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시장 재직 시절 가뭄 대비를 위해 정재훈 당시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의 권유로 도암댐의 수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시도를 했었으나 아쉽게도 8회 지선에서 컷오프 되고 무소속으로 출마했다가 낙선하면서 무산되었다. # 그 후 3년 뒤 2025년 강릉 가뭄사태가 발생하자 김 전 시장과 정 전 사장 이 두 사람의 주장이 다시 힘을 얻게되었다. #

4. 세부 정책 및 성과

김한근 시장은 취임 이후 강릉시 예산은 역대 최대 규모인 1조 4천억 원으로 증액하여 강릉의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 이를 위해 그는 4년 재임 중 서울과 세종을 오가며 국비 확보 활동을 펼쳤으며, 주요 국책 사업을 강릉으로 유치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움직였다. 강릉의 산업 발전을 위한 기반 조성으로 국가산업단지 기획 추진, 강릉의 오랜 숙원이었던 강릉 과학산업단지 100% 분양 #, 도심 도시공원 토지 매입(1000억 원 규모), 경포습지 토지 매입(700억 원 규모)#, 국립국악원 유치 추진 #등 주요 국책 사업을 강릉으로 유치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움직였다.

4.1. 국가 공모사업 유치 – 관광·문화 중심도시로 도약

김한근 전 시장은 강릉을 국제적인 관광·문화 도시로 성장시키기 위해 대형 국가 공모사업 유치에 집중하며, 강릉의 관광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그 결과, 강릉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국가 관광거점도시’와 ‘법정 문화도시’에 동시 선정된 도시가 되며 #,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관광·문화 중심지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기회를 확보했다.

강릉이 ‘국가 관광거점도시’로 선정된 것은 도시 관광 인프라 개선과 글로벌 관광도시로 성장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총 1천억 원 규모의 지원을 통해 관광 인프라를 현대화하고, 해외 관광객 유치를 위한 경쟁력을 강화하는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이를 통해 강릉은 단순한 국내 관광지가 아니라, 국제적인 관광 허브로 성장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이와 함께 ‘법정 문화도시’로도 지정되며, 총 2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확보하여 지역 예술 및 창작 활동 지원을 강화하는 정책을 펼쳤다. 이를 통해 강릉은 단순한 관광지를 넘어 예술과 문화가 공존하는 도시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으며, 창작 기반을 확대하여 문화예술 중심지로 자리 잡는 데 기여했다.

김한근 전 시장의 문화정책은 강릉의 문화 콘텐츠를 확장하는 데도 영향을 미쳤다. 강릉 국제영화제를 창설하며# 한국의 대표적인 영화제로 자리 잡도록 추진했고, 강릉이 영화·영상 산업과 연계된 문화도시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다졌다. 또한, 강릉이 유네스코 미식창의도시로 선정될 수 있도록 노력하며, 지역 전통 음식 문화를 세계적으로 알리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이를 통해 강릉의 미식 관광이 더욱 활성화되었으며, 지역 특색을 살린 관광 브랜드가 형성되었다.

한편, 경포에 조성된 ‘아르떼 뮤지엄’ 유치는 강릉의 문화적 위상을 한층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개관 직후 국내 최고 수준의 티켓 판매율을 기록한 아르떼 뮤지엄은 강릉이 디지털 아트와 결합된 현대적인 문화 공간을 보유한 도시로 성장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지역의 예술인 지망 아동들을 지원하고 창작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꿈꾸는 사임당 예술터’를 조성하여 # 강릉 아동예술의 창작의 터전이 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했다. 여기에 더해 국내 최초로 책문화센터를 설립하며# 독서 및 출판 문화를 활성화하는 사업을 추진했다. 이를 통해 강릉은 예술, 영화, 미식, 출판 등 다양한 문화 요소가 결합된 도시로 거듭날 수 있었다.

이처럼 김한근 전 시장의 공모사업 유치는 강릉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문화·관광 도시로 성장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향후 강릉이 글로벌 문화·예술·관광 허브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4.2. 코로나19 대응 – 전국 최초의 선제적 조치

김한근 시장은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전국에서 가장 선제적인 대응을 펼친 지자체장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

* 전국 최초로 공공장소(강릉역)에 체온감지기 설치 #
* 전 시민 드라이브스루 검사 도입# → 정부 및 타 지자체 벤치마킹 사례
* 강릉형 재난지원금 지급#
* 마스크 대란 당시 전국 최초로 어린이용 필터 마스크 제작 및 보급#
* 필터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자체적으로 1천만 장의 멜트블로운(MB) 필터를 구입해 제작
* 강릉 해수욕장 드론 방역 시행 → 여름철 관광객 증가에 대비한 전국 최초의 조치. 해외 언론(BBC 등)에서 보도#
* 시내 아파트 전체 승강기에 항균필터 부착 → 전국적 벤치마킹 사례

이러한 노력 덕분에 강릉시는 정부로부터 전국 최고 수준의 재난 대응 도시로 평가받았으며, 시민들로부터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4.3. 도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규모 인프라 개선 및 재개발 프로젝트

김한근 전 시장은 강릉의 도시 경쟁력을 높이고, 보다 체계적인 도시 발전을 이루기 위해 대규모 인프라 개선 및 재개발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이를 통해 교통 흐름을 개선하고, 낙후된 지역을 활성화하며, 도시 미관을 정비하는 등 강릉을 더욱 살기 좋은 도시로 변화시키는 데 주력했다.

강릉시는 ITS(지능형 교통체계, Intelligent Transport System)를 도입하여# 교통 흐름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신호 체계 최적화, 긴급 차량 우선 신호 시스템 도입 등이 가능해지면서, 강릉의 도심 교통 환경이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옥천·노암·중앙 일대를 중심으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며, 낙후된 지역을 활성화하고 지역 경제를 되살리는 데 집중했다.# 기존의 낡고 비효율적인 도시 구조를 정비하고, 상권 활성화와 주거 환경 개선을 통해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옥천오거리는 강릉 도심에서 교통량이 가장 많은 곳 중 하나로, 교통 정체가 자주 발생하는 구간이었다. 이에 김한근 전 시장은 옥천오거리에 회전교차로를 도입하여 차량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기존의 신호 체계보다 교통 소통이 나아질 수 있도록 개선했다. 공사 기간 중 초대형 하수관 매립 공사 및 연말연시 관광 성수기와 중복되어 일시 극심한 도심 교통 정체를 겪기도 하였지만, 완공이후 통행 속도가 증가하고 교통 체증이 완화되면서 시민들로부터 높은 만족도의 정책 평가를 받고 있다.

도시 미관 개선과 전력 공급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전선 지중화 사업도 적극 추진되었다.# 옥가로, 주문진, 홍제동 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된 이 사업을 통해 복잡하게 얽혀 있던 전신주와 전선을 지하로 매설하여, 도시 경관을 정리하고, 강풍이나 폭설로 인한 전력 공급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남대천 둔치에 대규모 주차장을 신설하여 중앙시장과 농산물 새벽시장을 방문하는 시민들과 상인들의 편의를 대폭 개선했다. 이는 도심 내 주차난 해소뿐만 아니라, 지역 상권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시장을 찾는 방문객들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을 했다. 또한, 당두터널 개통을 통해 지역 간 이동의 편의성을 크게 높였다.# 기존 도로망으로는 이동이 불편했던 지역 주민들이 당두터널 개통 후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강릉시 전체의 교통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데 기여했다.

여름철 폭염 대응을 위한 시설도 적극적으로 도입되었다. 횡단보도에 그늘막을 설치하고, 정류장에 아이스포그 시스템을 도입하여 시민들이 무더위 속에서도 보다 쾌적하게 대기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폭염으로 인한 시민들의 불편을 줄이고, 강릉시가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선진적인 도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했다.

김한근 전 시장이 추진한 인프라 개선 및 재개발 프로젝트는 강릉의 도시 경쟁력을 높이고, 시민들이 보다 편리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교통, 환경, 상권, 재생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진 정책들은 강릉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향후 도시 성장의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4.4. 관광·경제 활성화 및 복지 정책

강릉의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시민들의 복지를 증진하기 위해 다양한 관광 개발 및 사회 복지 정책을 추진했다. 이를 통해 강릉은 보다 매력적인 관광 도시로 성장하는 한편,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복지 서비스를 확대하며 생활의 질을 높이는 데 집중했다.

4.4.1. 관광·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강릉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관광지 중 하나로, 숙박·레저·수산업 등 지역 경제와 관광이 밀접하게 연계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김한근 전 시장은 강릉의 관광 인프라를 확충하고,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는 정책을 적극 추진했다.

신라호텔(신라모노그램)유치 - 강릉은 매년 많은 관광객이 찾는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고급 숙박시설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김한근 전 시장은 신라호텔(신라모노그램) 유치를 통해 강릉의 관광 숙박 인프라를 대폭 강화하려 하였다. 이를 통해 외국인 관광객 및 프리미엄 숙박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주문진 수산시장 전면 개축 - 강릉의 대표적인 전통시장 중 하나인 주문진 수산시장은 관광객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는 공간이었다. 이에 노후된 시장 시설을 전면 개축하여 현대적이고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관광객 유치를 활성화하는 사업을 추진했다. 이로 인해 강릉의 수산업과 지역 경제가 더욱 활기를 띠게 되었으며, 상인들의 영업 환경 또한 크게 개선되었다.#

4.4.2. 시민 복지를 위한 교통 및 생활 인프라 개선

김한근 전 시장은 교통 소외 지역 주민들을 위한 대중교통 확대 및 생활 인프라 구축을 통해 보다 편리하고 접근성 높은 도시 환경을 조성했다.

마실버스 도입 - 강릉은 도심과 외곽 지역 간의 교통 접근성 격차가 큰 편으로,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운 교통 소외 지역 주민들을 위해 ‘마실버스’를 도입했다. 마실버스는 주민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맞춤형 교통 서비스로, 특히 노년층과 교통 약자들의 이동권 보장에 기여했다.#

파크골프장 최초 설치 - 강릉에 파크골프장을 처음으로 조성하며, 노년층을 위한 건강한 여가 활동 공간을 제공했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가운데, 노년층의 체육활동 지원은 중요한 정책 과제였으며, 파크골프장을 통해 노인들의 건강 증진과 사회적 교류를 활성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4.4.3. 복지 및 의료 서비스 강화

강릉 시민들의 복지 수준을 높이기 위해 김한근 전 시장은 장애인, 노인, 취약 계층, 반려동물 보호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맞춤형 복지 정책을 확대했다.

복합복지체육센터 건립 - 장애인과 일반인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종합 복지시설인 ‘복합복지체육센터’를 건립하여, 보다 포괄적인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장애인들의 체육활동과 재활 프로그램이 강화되었으며, 지역 내 복지 서비스의 수준이 한 단계 높아졌다.#

동물복지센터 및 반려동물 지원센터 건립 - 반려동물과 유기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며, 동물 복지 수준을 강화했다. 강릉시 내 유기동물 보호 시설과 반려동물 돌봄 서비스를 확대하며, 반려동물 문화가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청소년 여성용품 무료 지원 사업 시행 - 김한근 전 시장은 강릉시에서 전국 지자체 최초로 청소년 여성용품 무료 지원 사업을 시행하며, 생리 빈곤 문제 해결에 앞장섰다. 이 사업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들이 필수 생활용품을 안정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여, 강릉시가 보다 실질적인 복지 정책을 펼치는 데 기여한 사례로 평가받았다.#

보훈수당 증액 - 국가유공자 및 유가족을 위한 보훈수당을 증액하여, 보훈 정책을 강화하고 국가에 헌신한 분들에 대한 예우를 확대했다. 이를 통해 보훈 가족들이 보다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의료취약지 건강관리사업 추진(영동대 협업) - 강릉시 내 의료 접근성이 낮은 지역 주민들을 위한 ‘의료취약지 건강관리사업’을 영동대학교와 협업하여 추진하며, 취약 계층을 위한 의료 지원을 확대했다. 이를 통해 의료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시민들이 보다 나은 건강 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5. 비판 및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한근/비판 및 논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한근/비판 및 논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한근/비판 및 논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향후 정치적 행보와 전망

강릉시장과 국회, 외교관 등의 경력을 두루 갖춘 김한근 전 시장은 향후 정치적 행보에서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에 대한 관심을 받고 있다. 2022년 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해 24%가 넘는 득표율을 기록하며 일정 지지층을 확보한 것이 증명되었으며, 이는 앞으로의 정치적 재도전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그의 향후 행보는 강릉시장 재선 도전과 국회의원 선거 출마라는 두 가지 선택지 사이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6.1. 강릉시장 재선 도전 가능성

김한근 전 시장이 다시 강릉시장에 도전할 가능성은 충분히 존재한다. 2022년 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 공천을 받지 못한 상황에서도 무소속 출마를 강행했고, 최종적으로 24%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강릉에서 상당한 지지를 받았다. 이는 그의 정치 브랜드 파워가 정당에 관계없이 강릉에서 여전히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현재 12.3 계엄사태 이후, 더불어민주당 입당의 고민을 밝힌 바 있고,# 강릉시장 재선을 목표로 할 경우, 가장 중요한 변수는, 보수 성향이 강한 강릉에서, 국민의힘 소속으로 현재 강릉시장직을 맡고 있는 김홍규 시장과의 경쟁 구도이다. 김홍규 시장은 국민의힘 소속으로, 차기 선거에서도 출마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김한근 전 시장이 더불어민주당의 공천을 받는다면, 현직 시장과의 2파전이 예상된다.

6.2. 국회의원 선거 출마 가능성

강릉시장 재선 도전 외에도, 중앙 정치로 무대를 옮겨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김한근 전 시장은 국회 법제실장과 외교관(공사참사관) 출신으로, 중앙 정치 무대에서 입법 및 외교 정책을 다룬 경험이 강점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경력을 바탕으로 국회의원에 도전할 경우, 지역을 대표하는 정치인으로서 강릉과 강원도의 발전을 위한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강릉의 국회의원 선거구는 비교적 경쟁이 치열한 지역으로, 현재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이 오랜 기간 지역구를 유지하고 있다. 12.3 계엄사태 이후 5선인 권성동 의원의 입지가 불분명해지고 있고, 만약, 차기 총선에서 불출마하거나 다른 정치적 행보를 보일 경우, 김한근 전 시장이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다. 반면, 권 의원이 계속해서 출마를 준비한다면, 김한근 전 시장과의 경쟁 구도 역시 2파전이 예상된다.

또한, 강릉시장과 국회의원의 역할이 다르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강릉시장은 행정과 지역 개발을 주도하는 역할을 하지만, 국회의원은 입법과 국가 정책 조정 역할을 맡으며 중앙 정치 무대에서 활동하게 된다. 김한근 전 시장이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중앙 정치를 통해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려 한다면, 국회의원 선거 출마가 더욱 유력한 선택지가 될 수 있다.

6.3. 정치적 비전과 향후 정책 방향

김한근 전 시장이 향후 정치적 행보를 결정함에 있어, 그가 내세울 정책 비전과 방향성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그는 강릉시장 시절부터 강릉을 국제적 관광도시로 발전시키기 위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도시재생과 인프라 개선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에 집중해왔다.

만약 강릉시장 재선에 도전한다면, 이전 시장 임기 동안 추진했던 사업들의 연속성을 강조하고, 보다 발전된 행정 계획을 제시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관광 산업 육성, 교통 인프라 개선, 문화·예술 산업 확대, 일자리 창출 정책 등이 주요 공약으로 등장할 수 있다.

반면, 국회의원에 도전한다면, 강릉을 국가적 프로젝트와 연결하는 역할을 강조하면서, 중앙 정부와의 협력을 통한 강릉 및 강원도의 발전 전략을 내세울 가능성이 있다. 국회의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경우, 그는 강원도 전반의 균형 발전, 국책 사업 유치, 지방 분권 강화를 위한 입법 활동 등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된다.

7. 선거 이력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14f30><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f14f30><rowcolor=#fff>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1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강원 강릉시장

45,841 (43.02%) 당선 (1위) 초선
2022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4,091 (24.11%) 낙선 (3위)
<rowcolor=#fff> 역대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김한근 7회 지선.jpg 파일:김한근 8회 지선.jpg
7회 지선 (강원 강릉시장) 8회 지선 (강원 강릉시장) }}}}}}}}}
역대 후보 이력
[ 펼치기 · 접기 ]
----
파일:강릉시 CI_White.svg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강원도 강릉시장 후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5BA6,#FFC224> 기호 정당 이름 비고
1 더불어민주당 최욱철
2 자유한국당 김한근 당선
6 무소속 김중남
7 최재규
춘천 · 원주 · 강릉 · 동해 · 삼척 · 태백 · 정선 · 속초 · 고성 · 양양 · 인제 · 홍천 · 횡성 · 영월 · 평창 · 화천 · 양구 · 철원
12345678 }}}}}}}}}}}}

파일:강릉시 CI_White.svg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강원도 강릉시장 후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5BA6,#FFC224> 기호 정당 이름 비고
1 더불어민주당 김우영
2 국민의힘 김홍규 당선
3 정의당 임명희
4 무소속 김한근
춘천 · 원주 · 강릉 · 동해 · 삼척 · 태백 · 정선 · 속초 · 고성 · 양양 · 인제 · 홍천 · 횡성 · 영월 · 평창 · 화천 · 양구 · 철원
12345678 }}}}}}}}}}}}

8. 둘러보기

파일:강원도 휘장_White.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춘천 원주 강릉 동해 삼척
이재수 조종용 김한근 심규언 김양호
태백 정선 속초 고성 양양
유태호 최승준 김철수 함명준 김진하
인제 홍천 횡성 영월 평창
최상기 허필홍 장신상 최명서 한왕기
화천 양구 철원
최문순 조인묵 이현종
선거 결과
* 횡성군수 한규호 군수직 상실 (2019.6.13.)
* 고성군수 이경일 군수직 상실 (2020.1.9.)
* 원주시장 원창묵 사퇴 (2022.1.28.)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808080,#808080><tablebgcolor=#808080,#808080>
파일: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휘장.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808080,#808080><tablebgcolor=#808080,#80808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강인규 김광철 김문오 김병수 김산
김영만 김주수 김한근 서대석 송귀근
심민 엄태항 오규석 오태완 유기상
유두석 윤화섭 이정훈 장영수 정종순
정현복 조광한 최기문 한정우 황인홍 }}}
}}}}}}


[1] 석사 - 공법 전공, 박사 - 헌법 전공[2] 석사 학위 논문 : 國會의 立法不作爲에 대한 憲法訴願審判에 관한 硏究(국회의 입법부작위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에 관한 연구).[3] 박사 학위 논문 : 國會 議員立法에 관한 연구 : 실태와 개선방안을 중심으로(국회 의원입법에 관한 연구 : 실태와 개선방안을 중심으로).[4] 지금도 학구열이 식지 않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다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