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14 17:41:06

정선군수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정선군/정치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춘천 원주 강릉 동해 삼척
육동한 원강수 김홍규 심규언 박상수
태백 정선 속초 고성 양양
이상호 최승준 이병선 함명준 김진하
인제 홍천 횡성 영월 평창
최상기 신영재 김명기 최명서 심재국
화천 양구 철원
최문순 서흥원 이현종
선거 결과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파일:정선군 CI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이병재
제2대
이순경
제3대
이홍노
제4대
남원수
제5대
민훈기
제6대
이호식
제7대
장봉후
제8대
한영현
제9대
이종섭
제10대
방희석
제11대
이승환
제12대
박건주
제13대
성기창
제14대
김영길
제15대
원동진
제16대
김정록
제17대
최규연
제18대
성기창
제19대
김영진
제20대
유은재
제21대
안영수
제22대
이길원
제23대
박수균
제24대
고황
제25대
전창선
제26대
이상호
제27대
김승래
제28대
정천섭
제29대
김의한
제30대
김인하
제31대
김남성
제32대
유재규
제33대
최준익
제34대
강태연
제35대
김진철
제36-38대
김원창
제39대
유창식
제40대
최승준
제41대
전정환
제42·43대
최승준
파일:정선군 슬로건.png }}}}}}}}}
<colcolor=#fff> 파일:정선군 CI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수
江原特別自治道 旌善郡守
Mayor of Jeongseon County
'''
파일:최승준민선8기.jpg
현직 <colbgcolor=#fff,#1f2023>최승준 / 제40·42·43대 (민선 5·7·8기)
취임일 2018년 7월 1일
정당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수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을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기초자치단체장이다. 근무지는 정선읍 봉양3길 21에 있는 정선군청이다. 2급 공무원 상당의 대우를 받고, 4년에 1회마다 치러지는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주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3회까지 연임할 수 있다.

2. 역대 선거 결과

파일:정선군 CI_White.svg 역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수 선거 결과
1995 1998 2002 2006 2010
민주자유당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한나라당
민주당
김원창 유창식 최승준
2014 2018 2022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전정환 최승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분 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 1위:

[[민주자유당|
민주자유당
]] 김원창 33.99%

2위:

이용운 30.47%
3위:

최준규 25.32%
1998년 1위: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
]] 김원창 54.19%

2위:
[[한나라당|
한나라당
]] 최준규 35.51%
2002년 1위: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김원창 100.00%
2006년 1위:

[[한나라당|
한나라당
]] 유창식 52.85%

2위: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신선웅 47.14%
2010년 1위:

[[민주당(2008년)|
민주당
]] 최승준 56.40%

2위:

[[한나라당|
한나라당
]] 유창식 43.59%
2014년 1위:

전정환 54.48%

2위:

[[새정치민주연합|
새정치민주연합
]] 최승준 45.51%
2018년 1위:
최승준 57.70%

2위:

유승근 40.20%
2022년 1위:
최승준 51.01%

2위:

홍천식 48.98%
}}}}}}}}}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정선군 CI_White.svg 정선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원창(金源昌) 10,540 1위


[[민주자유당|
민주자유당
]]
33.99% 당선
2 고광운(高光雲) 3,161 4위


10.19% 낙선
3 이용운(李龍雲) 9,448 2위


30.47% 낙선
4 최준규(崔準圭) 7,852 3위


25.32% 낙선
선거인 수 42,244 투표율
75.94%
투표 수 32,082
무효표 수 1,081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1회 지선 김원창 벽보.jpg 파일:1회 지선 고광운 벽보.jpg 파일:1회 지선 이용운 벽보.jpg 파일:1회 지선 최준규 벽보.jpg }}}}}}}}}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정선군 CI_White.svg 정선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최준규(崔準圭) 9,448 2위

[[한나라당|
한나라당
]]
35.51% 낙선
2 김원창(金源昌) 14,419 1위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
]]
54.19% 당선
4 엄창호(嚴昌鎬) 2,738 3위


10.29% 낙선
선거인 수 38,752 투표율
70.11%
투표 수 27,166
무효표 수 561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2회 지선 최준규 벽보.jpg 파일:2회 지선 김원창 벽보.jpg 파일:2회 지선 엄창호 벽보.jpg }}}}}}}}}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정선군 CI_White.svg 정선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김원창(金源昌) 22,343 1위[주의]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100.00% 당선
선거인 수 37,031 투표율
70.26%
투표 수 26,016
무효표 수 3,673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3회 지선 김원창 벽보.jpg }}}}}}}}}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정선군 CI_White.svg 정선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신선웅(辛善雄) 11,562 2위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47.14% 낙선
2 유창식(劉昶埴) 12,963 1위


[[한나라당|
한나라당
]]
52.85% 당선
선거인 수 35,948 투표율
69.99%
투표 수 25,157
무효표 수 632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4회 지선 신선웅 벽보.jpg 파일:4회 지선 유창식 벽보.jpg }}}}}}}}}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정선군 CI_White.svg 정선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유창식(劉昶埴) 10,441 2위


[[한나라당|
한나라당
]]
43.59% 낙선
2 최승준(崔乘俊) 13,510 1위


[[민주당(2008년)|
민주당
]]
56.40% 당선
선거인 수 33,811 투표율
72.56%
투표 수 24,532
무효표 수 581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5회 지선 유창식 벽보.jpg 파일:최승준10.jpg }}}}}}}}}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정선군 CI_White.svg 정선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전정환(全定煥) 12,941 1위


54.48% 당선
2 최승준(崔乘俊) 10,809 2위


[[새정치민주연합|
새정치민주연합
]]
45.51% 낙선
선거인 수 34,031 투표율
71.66%
투표 수 24,388
무효표 수 638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6회 지선 전정환 벽보.jpg 파일:최승준14.jpg }}}}}}}}}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정선군 CI_White.svg 정선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최승준(崔乘俊) 12,942 1위

57.71% 당선
2 유승근(劉承根) 9,016 2위


40.20% 낙선
6 방훈화(方勳和) 468 3위


2.08% 낙선
선거인 수 33,293 투표율
69.35%
투표 수 23,089
무효표 수 663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최승준18.jpg 파일:7회 지선 유승근 벽보.jpg 파일:7회 지선 방훈화 벽보.jpg }}}}}}}}}
저번 지선에서 45%를 받고 낙선한 최승준 후보는 이번에는 57%라는 득표율을 받고 당선되었다.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정선군 CI_White.svg 정선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최승준(崔乘俊) 10,901 1위

51.01% 당선
2 홍천식(洪千植) 10,469 2위


48.98% 낙선
선거인 수 32,001 투표율
69.00%
투표 수 22,082
무효표 수 712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최승준22.jpg 파일:8회 지선 홍천식 벽보.jpg }}}}}}}}}
지역에서 징검다리 재선을 지낸 최승준 후보의 탄탄한 조직력에 힘입어 높은 국민의힘 지지율에도 불구하고 최승준 후보가 승리를 따냈다.

2.9.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정선군 CI_White.svg 정선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0

00.00%
2 0


00.00%
선거인 수 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

3. 관련 문서


[주의]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