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고양 | 과천 | 광명 | 광주 | 구리 |
이동환 | 신계용 | 박승원 | 방세환 | 백경현 | |
군포 | 김포 | 남양주 | 동두천 | 부천 | |
하은호 | 김병수 | 주광덕 | 박형덕 | 조용익 | |
성남 | 수원 | 시흥 | 안산 | 안성 | |
신상진 | 이재준 | 임병택 | 이민근 | 김보라 | |
안양 | 양주 | 여주 | 오산 | 용인 | |
최대호 | 강수현 | 이충우 | 이권재 | 이상일 | |
의왕 | 의정부 | 이천 | 파주 | 평택 | |
김성제 | 김동근 | 김경희 | 김경일 | 정장선 | |
포천 | 하남 | 화성 | 가평 | 양평 | |
백영현 | 이현재 | 정명근 | 서태원 | 전진선 | |
연천 | |||||
김덕현 | |||||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 |
경기도 김포시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1대 유정복 | 제2대 김동식 | 제3대 강경구 | 제4·5대 유영록 | 제6대 정하영 | |
제7대 김병수 | ||||||
| }}}}}}}}} |
<colcolor=#ffffff> '''경기도 김포시장 京畿道 金浦市長 Mayor of Gimpo City ''' | |
현직 | <colbgcolor=#ffffff,#1f2023>김병수 / 제8대 (민선 8기) |
취임일 | 2022년 7월 1일 |
정당 | |
홈페이지 | 김포시열린시장실 |
1. 개요2. 역대 김포시장3. 역대 선거 결과
3.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3.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3.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3.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3.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3.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3.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3.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3.9.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4. 역대 시정 목표5. 여담6. 관련 문서1. 개요
경기도 김포시장은 경기도 김포시를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기초자치단체장이다. 근무지는 사우중로 1(사우동)에 있는 김포시청이다. 1급 공무원 상당의 대우를 받고, 4년에 1회마다 치러지는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주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3회까지 연임할 수 있다.2. 역대 김포시장
<rowcolor=white> 대수 | 이름 | 재임 기간 | 정부 및 당적[1] | 비고 |
관선(임명직) 경기도 김포군수 | ||||
초대 | 이하영 | 1948년 8월 15일 ~ 1949년 5월 9일 | 이승만 정부 | |
2대 | 조만형 | 1949년 5월 10일 ~ 1950년 5월 10일 | ||
3대 | 서병의 | 1950년 5월 12일 ~ 1953년 3월 30일 | ||
4대 | 박유식 | 1953년 3월 31일 ~ 1954년 3월 15일 | ||
5대 | 이주진 | 1954년 3월 16일 ~ 1956년 4월 2일 | ||
6대 | 박태근 | 1956년 4월 6일 ~ 1956년 4월 2일 | ||
7대 | 박상진 | 1956년 9월 21일 ~ 1958년 3월 14일 | ||
8대 | 김천용 | 1958년 3월 15일 ~ 1958년 8월 8일 | ||
9대 | 이승열 | 1958년 8월 9일 ~ 1958년 11월 4일 | ||
10대 | 구자윤 | 1958년 11월 24일 ~ 1959년 10월 27일 | ||
11대 | 이병태 | 1959년 10월 28일 ~ 1960년 5월 22일 | ||
12대 | 유진국 | 1960년 5월 23일 ~ 1961년 7월 9일 | 허정 내각 | |
13대 | 김동순 | 1961년 5월 23일 ~ 1962년 7월 9일 | 국가재건최고회의 | |
14대 | 문일수 | 1962년 7월 15일 ~ 1963년 1월 29일 | ||
15대 | 이상직 | 1963년 3월 19일 ~ 1965년 9월 30일 | ||
16대 | 이홍종 | 1965년 10월 1일 ~ 1966년 10월 9일 | 박정희 정부 | |
17대 | 강정수 | 1966년 10월 10일 ~ 1967년 12월 9일 | ||
18대 | 황두영 | 1967년 12월 10일 ~ 1969년 8월 29일 | ||
19대 | 이원선 | 1969년 8월 30일 ~ 1971년 8월 20일 | ||
20대 | 김병규 | 1971년 8월 21일 ~ 1972년 6월 5일 | ||
21대 | 신동안 | 1972년 6월 20일 ~ 1974년 3월 5일 | ||
22대 | 김진태 | 1974년 3월 6일 ~ 1977년 2월 4일 | ||
23대 | 신영춘 | 1977년 2월 5일 ~ 1979년 4월 8일 | ||
24대 | 김기형 | 1979년 4월 19일 ~ 1981년 6월 30일 | ||
25대 | 임석봉 | 1981년 7월 1일 ~ 1982년 9월 17일 | 전두환 정부 | |
26대 | 조원극 | 1982년 9월 18일 ~ 1983년 12월 26일 | ||
27대 | 최종구 | 1983년 12월 27일 ~ 1985년 3월 10일 | ||
28대 | 방제환 | 1985년 3월 12일 ~ 1986년 12월 23일 | ||
29대 | 김한수 | 1986년 12월 24일 ~ 1988년 6월 10일 | ||
30대 | 이한복 | 1988년 6월 11일 ~ 1989년 12월 27일 | 노태우 정부 | |
31대 | 연영석 | 1989년 12월 28일 ~ 1992년 6월 7일 | ||
32대 | 윤병희 | 1992년 6월 8일 ~ 1994년 1월 2일 | ||
33대 | 유정복 | 1994년 1월 3일 ~ 1995년 3월 28일 | 김영삼 정부 | [2] |
34대 | 박동익 | 1995년 3월 29일 ~ 1995년 6월 30일 | ||
민선(선출직) 경기도 김포군수 | ||||
35대 | 유정복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 |
민선(선출직) 경기도 김포시장 | ||||
초대 | 유정복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새정치국민회의| | |
2대 | 김동식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 |
3대 | 강경구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 |
4대 | 유영록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민주당(2008년)| | |
5대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새정치민주연합| | ||
6대 | 정하영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 |
7대 | 김병수 | 2022년 7월 1일 ~ 현재 | |
3. 역대 선거 결과
| ||||||
<rowcolor=#ffffff> 김포군수 | 김포시장 | |||||
1995 | 1998 | 2002 | 2006 | 2010 | ||
무소속 | 새정치국민회의 | 한나라당 | 한나라당 | 민주당 | ||
유정복[4] | 김동식 | 강경구 | 유영록 | |||
2014 | 2018 | 2022 | ||||
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
유영록 | 정하영 | 김병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분 | 주요 후보 득표율 | ||||
1995년 |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유정복 38.00%2위: [[민주자유당| 3위: 이준택 15.12%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조한승 11.53%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이순억 7.33%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유승현 4.18%7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이범돈 1.49% | |||||
1998년 | 1위: [[새정치국민회의| 2위: [[국민신당(1997년)| | |||||
2002년 | 1위: 김동식 54.64% 2위: [[새천년민주당| | |||||
2006년 | 1위: 강경구 45.90% 2위: [[열린우리당|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동식 22.14%4위: [[민주당(2005년)| | |||||
2010년 | 1위: [[민주당(2008년)| 2위: 강경구 38.45%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동식 14.94% | |||||
2014년 | 1위: [[새정치민주연합| 2위: [[새누리당|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동식 9.25% | |||||
2018년 | 1위: 정하영 65.84% 2위: [[자유한국당| 3위: [[민주평화당| | |||||
2022년 | 1위: 김병수 52.42% 2위: 정하영 44.79%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박우식 2.13%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이주성 0.64% | }}}}}}}}} |
3.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임순기(林舜基) | 10,748 | 2위 |
[[민주자유당| | 22.32% | 낙선 | |
2 | 이준택(李準澤) | 7,280 | 3위 |
| 15.12% | 낙선 | |
3 | 유승현(柳承鉉) | 2,015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18% | 낙선 | |
4 | 유정복(劉正福) | 18,298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8.00% | 당선 | |
5 | 이범돈(李範敦) | 719 | 7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49% | 낙선 | |
6 | 이순억(李淳億) | 3,530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7.33% | 낙선 | |
7 | 조한승(趙漢承) | 5,553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1.5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69,936 | 투표율 70.9% |
투표 수 | 49,613 | ||
무효표 수 | 1,460 |
3.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유정복(劉正福) | 29,625 | 1위 |
[[새정치국민회의| | 63.89% | 당선 | |
4 | 김동식(金東植) | 16,741 | 2위 |
[[국민신당(1997년)| | 36.1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86,248 | 투표율 55.0% |
투표 수 | 47,405 | ||
무효표 수 | 1,039 |
3.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동식(金東植) | 33,534 | 1위 |
| 54.64% | 당선 | |
2 | 유정복(劉正福) | 29,625 | 2위 |
[[새천년민주당| | 45.3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31,037 | 투표율 47.5% |
투표 수 | 62,198 | ||
무효표 수 | 832 |
3.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유영록(劉永錄) | 19,539 | 2위 |
[[열린우리당| | 25.63% | 낙선 | |
2 | 강경구(姜暻求) | 34,988 | 1위 |
| 45.90% | 당선 | |
3 | 김창집(金昶執) | 4,820 | 4위 |
[[민주당(2005년)| | 6.32% | 낙선 | |
4 | 김동식(金東植) | 16,879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2.1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52,704 | 투표율 50.5% |
투표 수 | 77,119 | ||
무효표 수 | 893 |
3.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강경구(姜慶求) | 35,494 | 2위 |
| 38.45% | 낙선 | |
2 | 유영록(劉永綠) | 43,001 | 1위 |
[[민주당(2008년)| | 46.59% | 당선 | |
8 | 김동식(金東植) | 13,796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4.9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74,520 | 투표율 53.7% |
투표 수 | 93,630 | ||
무효표 수 | 1,339 |
3.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신광철(申光澈) | 55,863 | 2위 |
[[새누리당| | 42.46% | 낙선 | |
2 | 유영록(劉永綠) | 63,519 | 1위 |
[[새정치민주연합| | 48.28% | 당선 | |
8 | 김동식(金東植) | 12,170.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9.2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48,144 | 투표율 53.6% |
투표 수 | 133,064 | ||
무효표 수 | 1,512 |
3.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정하영(鄭夏泳) | 116,910 | 1위 |
| 65.84% | 당선 | |
2 | 유영근(劉永根) | 54,437 | 2위 |
[[자유한국당| | 30.65% | 낙선 | |
4 | 유영필(劉永必) | 6,214 | 3위 |
[[민주평화당| | 3.4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316,246 | 투표율 56.94% |
투표 수 | 180,067 | ||
무효표 수 | 2,506 |
3.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정하영(鄭夏泳) | 86,798 | 2위 |
| 44.79% | 낙선 | |
2 | 김병수(金炳秀) | 101,566 | 1위 |
| 52.42% | 당선 | |
4 | 박우식(朴佑識) | 4,136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13% | 낙선 | |
5 | 이주성(李周盛) | 1,250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6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392,604 | 투표율 49.88% |
투표 수 | 195,837 | ||
무효표 수 | 2,087 |
3.9.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0 | ||
| 00.00% | ||
2 | 0 | ||
| 00.00% | ||
계 | 선거인 수 | 투표율 00.00% | |
투표 수 | |||
무효표 수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4. 역대 시정 목표
<rowcolor=#fff> 시장 | 시정 목표 |
이름 (민선 N기) | |
유영록 (민선 5-6기) | 평화문화 1번지 |
정하영 (민선 7기) | 시민행복 김포의 가치를 2배로 |
김병수 (민선 8기) | 통하는 70도시 우리 김포 |
5. 여담
- 시장 당선 당시 나이는 대체로 적은 편이다. 유정복이 38살, 김동식이 41살, 유영록이 47살에 당선되었고, 현재 김병수 시장도 1970년생으로 민선 8기 경기도 기초자치단체장 중 2번째로 젊은 52살에 당선되었다.
6. 관련 문서
[1] 선거 당시 당적.[2] 민선1기 김포군수, 민선2기 김포시장, 민선6기 인천광역시장 역임. 현 민선8기 인천광역시장.[3] 1998. 4. 1. 김포시 승격.[4] 현 인천광역시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