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0 13:18:18

김편집/플레이한 게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김편집

1. 개요2. 리듬게임
2.1. PC2.2. 모바일2.3. 콘솔2.4. 아케이드
3. 비 리듬게임
3.1. ㄱ3.2. ㄴ3.3. ㄷ3.4. ㄹ3.5. ㅁ3.6. ㅂ3.7. ㅅ3.8. ㅇ3.9. ㅈ3.10. ㅊ3.11. ㅋ3.12. ㅌ3.13. ㅍ3.14. ㅎ

1. 개요

플레이한 게임을 한글자모 순으로 정렬해주시기 바랍니다.

영어 제목 게임은 영제 그대로 적지 말고 나무위키에서 한글 제목이나 리다이렉트 명칭을 먼저 검색한 뒤 링크를 걸어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에 문서가 없는 게임일 경우 영어를 병기하여 먼저 한글 이름을 적고 그 다음 괄호 안에 영문 이름을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이름이 영어로만 이루어져 있거나 숫자일 경우는 발음대로 한글자모에 분류해주시길 바랍니다.[1] a나 the와 같이 영어 관사로 시작하는 제목의 경우 이를 무시하고 다음의 초성을 따 한글 자모 순으로 정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방송에서 플레이했던 게임들 위주로 정리했습니다.

유튜브 영상이나 재생목록이 있는 경우 세나리 컨텐츠에서만 플레이한 영상은 제외하고 링크를 게재해주시기 바랍니다.

2. 리듬게임

2.1. PC

  • 벨루시티 (VELUCITY)
    게임의 퀄리티가 퀄리티인지라 리듬 마블에서만 사실상 데라루 Extreme 때문에만 등장했고, 그 외에는 세나리 리뷰 때만 일회성으로 플레이했다.
  • 64.0
  • 타이핑 템포 (Typing Tempo)
  • DanSparkling
    제작자 중 한 명인 WINDFORCE가 운영하는 디비젼 스튜디오에서 광고 방송을 진행하였다.

2.2. 모바일

  • 리미널리티 (Liminality)
  •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게임 자체는 리듬마블이 있을 때 종종 등장했고, 한국 서버가 아직 살아있을 때 유닛별로 스토리를 보고 첫 인상과 현 인상을 비교하는 컨텐츠를 진행해 본 채널에 올라갔다.

2.3. 콘솔

  • 슈퍼비트 : 소닉 (SUPERBEAT : XONiC)
    스위치판 랭커를 달았다고 방송에서 밝힌 적 있다. 방송에서는 리듬마블 콘텐츠 중에만 PS4판으로 플레이하였고, 리듬마블이 비정기 컨텐츠로 전환된 후에는 더 이상 꺼내지 않고 있다.

2.4. 아케이드

  • 리플렉 비트 [WGC]
    스트리머 본인이 리플렉 비트 랭커 출신이긴 하지만, 아케이드에서 플레이하는 모습을 보인 것은 이때가 처음이다. 해당 오락실의 기체가 중국어로 되어 있었다는 특이사항이 있다.

3. 비 리듬게임

3.1.

  • 갈틱 쇼 (Gartic Show)
  • 건즈, 고어 앤 카놀리 2 (Guns, Gore and Cannoli 2)

3.2.

3.3.

  • WWE 2K22
    채널명 변경사태를 기념하여 스트리머 라모에게 선물받아 플레이했다. 너무 재밌어서 WWE 2K23이 나오면 다시 해보고 싶다고 밝혔다.
  • 도그 오가나이즈드 니틀리 (Dog Organized Neatly)

3.4.

  • 레이튼 교수 시리즈
    2024년 4월 4일부터 "시청자들이 내 지능을 너무 낮게 본다"며 플레이하기 시작했다. 문제를 거의 다 풀어놓고 헤매는 김편집과 그 행동에 답답함을 참지 못한 비상식량들의 채팅 도배, 20점대의 쉬운 문제에선 죽을 쑤나 게임을 진행해 나갈수록 나오는 어려운 문제에선 문자 그대로 화려한 플레이를 보여주는 행동들이 큰 인기를 끌어 수많은 밈들과 그 긴거를 탄생시키고,[9] 아예 레이튼 방송 전용 아웃트로까지 만들어질 정도로 방송인 김편집의 많은 유입을 만들어낸 컨텐츠가 되었다. 원래 김편집은 본 채널에 올릴 컨텐츠가 아니라고 생각해서 풀영상 채널에만 올렸지만, 인기를 끌자 결국 문제를 푸는 장면에 한해 본채널에 상륙하기도 했다.
    이하의 시리즈는 전부 모바일 버전[10]으로 진행하였으며, 2024년 12월 26일 공식 스트리밍 가이드의 공개로 당시 발매된 시리즈 중 레이튼 미스터리 저니를 제외한 전편의 스트리밍이 허용되면서 공개되지 않은 후반부 에피소드도 업로드될 예정이다.
    • 레이튼 교수와 이상한 마을
      처음으로 플레이한 레이튼 컨텐츠. 풀영상 채널에 전 에피소드가 올라갔으나, 김편집이 후반부를 유튜브에 올릴 수 없었던 당시 가이드라인을 확인 후 후반부를 비공개 처리했었다.
    • 레이튼 교수와 악마의 상자
      후반부는 아예 풀영상 전체 다시보기용 비공개 스트리밍도 끄고 진행해서, 방송 후 2주 동안만 치지직에서 다시 볼 수 있었다. 이 작품부터 작품 말미에 '레이튼 교수의 도전장' 에 도전하여 그 클리어 타임을 맞추는 이벤트가 시행되었다.
    • 레이튼 교수와 최후의 시간여행
      한국에서는 발매되지 않은 시리즈기 때문에 가이드라인 갱신 전에도 후반부까지 정상적으로 업로드되었으며, 일본에서 발매된 모바일 HD 리마스터 버전에 MORT를 사용하여 실시간 번역을 하되, 오역만 스트리머 본인이 직접 짚으며 진행하였다. 수수께끼의 경우 지인에게 전문항 번역 의뢰를 맡겼다. 2025년 2월 3일 방송에서 플레이 하고 싶은 스트리머가 있다면 번역 출처만 밝히면 번역본을 제공할 의사가 있다고 언급했다.
    • 레이튼 미스터리 저니 : 일곱 대부호의 음모
      모바일 버전으로 진행하였다. 다만 바뀐 스트리밍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이 버전으로는 영상 투고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2025년 2월 초에 다시보기 및 풀영상이 비공개 처리되었다. 관련 커뮤니티 포스트

3.5.

  • 마인크래프트
    2023년 2월 22일부터 4월 19일에 걸쳐 진행했으며, 4월 19일 엔더드래곤을 잡으며 현재는 시즌 1 형태의 컨텐츠가 종료된 상태이다. 이후 약 1회 정도 에필로그 형태의 방송을 진행한 후, 휴식기를 가지고 추후에 이어나갈 수 있다고 한다.
    2024년 8월 마카오톡 1.5에 참여하여 연금술 중심 길드 강철의 연금술사의 길드장을 역임했으나 마카오톡 1.5가 전쟁 중심 서버로 재편된 후 마카오톡1.5를 그만두고 9월 24일부터 자체 소규모 서버 모여봐요 편집의 숲을 주관하였다. 정작 김편집의 주도로 참가자들이 작장에 눌러붙어서 마작만 치면서 사실상 마크를 빙자한 작혼이라는 평.[11]
    2025년 1월에는 후추의 주최로 개최된 다이아게임 서버에 참여하였다.
  • 메이플스토리
    버추얼 유튜버 라모, 현성팍과 함께 리리회를 결성하여 리부트 월드에서 플레이하면서 매주 목요일마다 정기 모임을 가졌으며, 검은 마법사를 마지막으로 정기 모임을 마무리하려던 계획과 리부트 정상화가 맞물려 접었다.

3.6.

  • 백야기담
    인디게임쇼인 BIGS2023의 공식 스트리머로 선정되면서 게임들을 찾아보던 중 플레이한 뒤 상당히 좋은 반응을 얻으면서 정식판이 나온 후 바로 플레이해서 엔딩까지 봤고, 스탭롤의 Special Thanks에도 이름이 적혔다.

3.7.

  • 스플래툰 3
    한때 트위치 이모티콘과 채널 포인트 보상 중에 잉클링이 들어간 이미지가 있을 정도로 열심히 했다.
  • 슬레이 더 스파이어 (Slay the Spire)
    학원 아이돌마스터를 한창 열심히 하던 시기, 별도 일정이 없던 날에 해보고 싶었다면서 일회성으로 플레이하였다. 아이언클래드와 사일런트를 한 차례씩 플레이했다.
  • 승리의 여신: 니케 (GODDESS OF VICTORY:NIKKE)
    봉누도로 인연을 맺은 니케 전문 스트리머 새싹과의 합방을 통해 입문하였다. 이후 2025년 1월 1일에 영도를 틀어놓고 리세마라를 진행하였는데, 19회 만에 레드 후드흑련을 모두 가지고 이륙에 성공해 그동안 둘 다 없어서 고통받던 새싹을 절규하게 만든 후, 이 계정에 과금해 마저 가챠를 진행하면서 당시 픽업 중이던 라피 : 레드 후드는 물론 레드 후드만 두 번을 더 뽑으면서 화룡점정을 찍었다. 그리고 반대로 김편집은 크라운이 뽑기에서 나오지 않아 새싹의 -레후- 밈을 -크- 로 이어받게 되었으며, 이후 레드 후드를 풀돌하기 위해 거금을 들여 일반 뽑기를 했다가 실패하면서 '남자 새싹'이란 별명도 생기게 되었다.

3.8.

  • 아카식포스 - 여단의 범람 (∀kashicforce - Inundation of Brigades)
  • Everybody 1-2-Switch!
    트위치 시절 채널 포인트 보상으로 개최한 팬미팅의 참가자들과 로컬로 먼저 플레이하였고, 이후 팬미팅에 오지 못한 사람들과도 마저 플레이를 하기 위해 일회성으로 플레이하였다.
  • F-ZERO 99
    플레이 당시 스치면 죽는 체력으로 달리다가 결승선 코 앞에서 벽에 닿아 죽은 장면이 2024년 아웃트로의 한 장면으로 등재되어 있다.
  • 원샷
    22년 12월에 플레이하였으며, 풀영상 보관소의 기념비적인 첫 영상으로 올라갔다.
  • 원신
    과거 매일 0부로 진행했던 게임이며 레진 160/160 밈이 생겨 한 때 트위치 이모티콘으로 쓰이기도 했다.
  • 유 석 앳 파킹 (You Suck at Parking)

3.9.

  • 작혼
    취미 방송 때는 원신과 함께 자주 진행하는 컨텐츠였다. 현재도 종종 진행한다.[17]
    영도를 켜고 마작을 진행하는 경우 방송 말미에 유튜브 다시보기를 끄고 진행하므로, 치지직에서 다시보기가 남는 방송 2주 후까지만 다시 볼 수 있다.
  •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
    나오면 모든 일정을 스톱하고 일단 엔딩부터 본다고 했고, 실제로 며칠간은 왕눈 위주로만 방송하다가 이후 다 내려놓고 젤다만 하면 신날 줄 알았는데 과제를 미뤄두고 놀기만 하는 찜찜한 기분이 든다며 번복하였고, 그 날의 콘텐츠 이후 진행하는 방식으로 변경하였다. 그러나 여러 사정상 밀려버린 유튜브 작업이 많았기에, 더 이상 방송에서 플레이하지 않고 개인적으로만 플레이하는 것을 심각하게 고려하는 중이라고 밝혔고, 이후 방송에서 플레이를 멈췄다가 7월부터 밀린 스토리를 진행시키는 방향으로 다시 시작해 완결지었다.

3.10.

3.11.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멀미 때문에 원작을 해본 적이 없다고 밝혔는데, B1 라이센스를 따고 재미가 들려서 한때 KDL까지 방송에서 볼 정도로 열심히 플레이하였다. 방종 직전 룰렛을 돌리던 포인트 도박의 종목을 대체하기도 했을 정도.
  • 캣츠 오가나이즈드 니틀리 (Cats Organized Neatly)
  • 클러스터트럭 (Clustertruck)

3.12.

  • 타일스위퍼 (Tilesweeper)
  • 팀버맨 (Timberman)
  • 팀파이트 매니저 (Teamfight Manager)
    '진순게이밍' 팀을 운영했으며, 당시 트게더에 팬 마이너 갤러리 컨셉의 카테고리를 만들어서 시청자가 실시간 반응을 달 수 있게 하기도 했다.

3.13.

  • 팰월드
    봉누도 종료 직후 가이드인 채로키가 연 일명 '채로키더보기'[19] 서버에 참여 중.
  • 피코 파크 (PICO PARK)
    CONNECT3 직전에 진행한 참가자 초대석 방송에 출연한 멤버들과 함께 후열방송으로 3월드까지만 진행했다.

3.14.

  • 하이파이 러시
    단순 리뷰 목적으로 진행했으나, 챕터 1 진행 후 너무 재밌어서 아예 엔딩까지 완료하였다.
  • 학원 아이돌마스터
    한때 오시인 코토네가 포함된 가챠에 모아놓은 재화에 더해 약 9만 엔을 쏟아부은 적이 있을 정도로 열심히 했다. 현재는 하루 일과가 너무 오래 걸린다면서 더 이상 플레이하지 않고 있다. 한국 서버가 나온다면 그때 복귀하겠다고.
  • 헤븐 번즈 레드
    본편1장과 엔젤비트 콜라보 스토리까지 클리어한 이후 리겜 컨텐츠를 한 것을 끝으로 더 이상 해당 게임으로 방송하지 않고 있다.[20]


[1] 예시: 64.0 (육십사쩜영) > ㅇ에 정리[2] 예시: 더 롱 다크 (The long dark) > ㄹ에 정리[3] 방송 중 언급으로 왁타버스 팬게임이기 때문에 수익창출 없이 업로드한다고 한다.[3DS] 일본에서 구해온 3DS 실기로 플레이하였다.[3DS] [WGC] 일본의 World Game Circus를 갔을 때 플레이하였다.[WGC] [WGC] [9] 안전구호라 불리는 ☆화나면 나가서 산책하고오기☆이빨 꽉 깨물지 않기☆진짜 못참겠으면 도배하기☆, 김편집이 시청자들에게 크로마키 사과를 할 정도로 못 푼 문제들을 모아놓은 🥛비커 ↔️깃발 🟨판자 🕘오전21시 🪙금괴 👍지문 🖊펜 🪢로프 🔩나사 👨8시20분 🆘️메이데이 🎈대포 6️⃣51X 🐦1311217 💎보물상자 🚨방범장치 ➗️3.333 ⭐️이갈린마을 🥚롤러 등이 자주 쓰인다.[10] 레이튼 미스터리 저니는 초기에 출시된 버전이고, 나머지는 HD 리마스터 버전이다.[11] 이에 대해서는 계획했던 컨텐츠가 예상보다 지연되는 바람에 그 사이의 컨텐츠 공백기를 채우기 위한 수단이었다고 밝혔다.[늦잠] 3월 2일 본의 아니게 늦잠을 자는 바람에 휴방을 했고, 이후 벌칙 수행을 위해 플레이했다.[켠왕권] 한 시청자가 룰렛으로 0.3%의 확률을 뚫고 켠왕권을 뽑으며 진행하게 되었다.[SFC] 슈퍼 패미컴 실기로 플레이.[SFC] 슈퍼 패미컴 실기로 플레이.[PS2] PS2 실기체로 플레이.[17] 2024년 3월 들어서는 옥탁런의 이름으로 그날의 컨텐츠 이후 작혼을 켜는 빈도가 상당히 증가하였다.[늦잠] [19] 풀네임이 아주 길어서 서버 초반에는 이렇게 통칭됐으며, 이후 참가자 중 이치카 히비의 이름을 따 '히비서버'로 통칭이 바뀌었다.[20] 본편 스토리가 고봉밥인 것도 있지만, 실제로는 이 게임 말고도 하고 있는 게임이 너무 많아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0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0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