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5 18:56:58

권오훈(1911)

파일:국회휘장(제헌-5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상북도 달성군)
제헌
김우식
제2대
권오훈[1]
제2대
배은희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권오훈
權五勳
파일:external/people.phinf.naver.net/yonhapnews_30401172.jpg
<colbgcolor=#808080><colcolor=#fff> 이명 권봉민(權鳳民)
출생 1911년 5월 15일[A]
경상북도 대구부 인흥면 대곡동
(현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B]
사망 1951년 2월 3일 (향년 39세)
본관 안동(安東)[4]
목원(木園)
학력 화원공립보통학교[5] (졸업)
양정고등보통학교[6] (졸업)
메이지대학 (정치경제학부 / 중퇴)
의원 선수 1
의원 대수 2
1. 개요2. 생애3. 유족들의 씁쓸한 후일담4. 선거이력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정치인. 본관은 안동(安東), 호는 목원(木園)이다. 이명은 권봉민(權鳳民)이다.

2. 생애

파일:권오훈(1911).jpg
양정고등보통학교 시절 촬영된 사진으로 추정.

1911년 5월 15일[A] 경상북도 대구부 인흥면 대곡동(현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B]에서 아버지 권승렬(權承烈, 1887 ~ 1946. 10. 18)과 어머니 김해 김씨(1889 ~ ?. 10 .15)[9] 사이의 두 아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김해 김씨 김찬수(金燦洙)의 딸과 혼인하여 슬하에 네 아들을 두었다. 화원공립보통학교양정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메이지대학 정치경제학부에 진학했으나 중퇴하였다.#

메이지대학을 중퇴한 뒤 중화민국으로 망명하여 1931년 중국국민당의 특무조직 남의사에서 활동한 바 있다.

8.15 광복 후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면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창당에 참여하였고, 충청남도지부 부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48년에는 대구부 대봉동에 주둔하던 육군 제106보병연대 부연대장으로 재직하기도 했다. 부연대장 재직 중에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달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전도회 김우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6.25 전쟁 중이던 1951년 1월 31일 저녁 7시 30분경 대구시 남산동 명덕네거리에서 한 부녀자를 희롱하던 신원 미상의 주한미군을 말리던 중, 주한미군 몇 명이 그가 소지하고 있던 호신용 권총을 빼앗으려고 카빈총으로 그의 복부를 쏘아 맞힌 후 도주하였다.#

이 사건으로 시내 해성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으나 중태에 빠졌고, 결국 2월 3일[10] 향년 39세로 별세하였다.

당시 경찰의 미지근한 대응으로 범인을 검거하는 데 실패했으며, 유일한 증거물이었던 피투성이 옷을 가져간 미8군은 수사 결과를 발표하지도 않았다.

13년이 흐른 후인 1964년에 유가족이 죽음과 관련한 정확한 조사 결과와 피해 보상을 미 국무성과 미8군에 요청하였고 국회로부터 '권오훈이 미군 병사에 의해 살해됐다.'는 사실증명서까지 받아 첨부했지만, 미8군은 그 때 증거자료가 모두 없어졌다고 통보해 왔을 뿐이었다.

3. 유족들의 씁쓸한 후일담

그의 피살 후 유가족들은 고통과 분노 속에서 살아왔다고 한다. 그의 장남 권혁주(權赫宙, 1937 ~ )는 아버지의 생전 업적과 죽음을 밝혀내는 일에 뛰어들었지만, 당시 미국 정부한국 정부는 끝내 권 씨를 외면했다. 이후 정부가 과거사정리위원회를 발족하자 대구 동구청에 아버지의 죽음과 관련한 진상규명 신청서를 접수한 권 씨는 "이름 모를 미군 병사의 만행과 이를 덮어 둔 미국ㆍ한국 정부 때문에 지난 시간을 고통과 분노 속에서 살아왔다."며 "제발 올해 만큼은 과거의 진실이 제대로 밝혀지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눈물지었다. #

생전 모든 재산을 일제강점기상해임시정부광복군 비밀 자금으로 댔지만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정부의 독립운동가 선정에서조차 제외됐다. 가족들은 대전 국가기록원까지 찾아가 그의 독립운동 기록을 찾았지만 관련 서류가 하나도 없었고, 독립운동을 증언해 줄 수 있는 지인들도 이미 세상을 떠난 뒤였다는 속 터지는 결말.

4. 선거이력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연도 선거종류 선거구 소속정당 득표수(득표율) 당선여부 비고
1948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북 달성군[11]

[[무소속(정치)|
무소속
]]
10,869표 (29.22%) 낙선 (2위)
1950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달성군[12] 8,172표 (16.92%) 당선 (1위) 초선

5. 둘러보기

파일:옛 경상북도 도기.svg 경상북도 제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대구 갑 포항 김천
조경규 박성하 이갑성 김판석 우문
달성 의성 을 안동 갑
배은희 박만원 박영출 권병노 공석
안동 을 영양 청송 영덕 영일 갑
김익기 공석 김봉조 한국원 최원수
영일 을 경주 갑 경주 을 영천 갑 영천 을
김익노 안용대 이협우 권중돈 공석
경산 청도 고령 성주 칠곡
방만수 김준태 곽태진 배상연 장택상
금릉 선산 상주 갑 상주 을 문경
여영복 육홍균 공석 백남식 공석
예천 영주 봉화 울릉
이호근 김정식 정문흠 서이환
* 달성 권오훈 사망 (1951.2.3.)
* 안동 갑 김시현 의원직 상실 (1954.1.30.)
* 영양 조헌영 납북
* 영천 을 조규설 납북
* 상주 갑 박성우 납북
* 문경 양재하 납북
제헌
}}}
서울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임기 중 사망[A] 『달서구사(達西區史)』하편 517쪽에는 1910년생, 안동권씨대동세보 14권 388쪽에는 1912년생으로 각각 달리 등재되어 있다.[B] 안동 권씨 집성촌이다.[4] 복야공파(僕射公派) 득중(得中)계 35세 오(五) 오(悟) 숙(肅) 오(梧) 항렬.[5]대구화원초등학교[6]양정중학교양정고등학교[A] 『달서구사(達西區史)』하편 517쪽에는 1910년생, 안동권씨대동세보 14권 388쪽에는 1912년생으로 각각 달리 등재되어 있다.[B] 안동 권씨 집성촌이다.[9] 김장수(金章洙)의 딸이다.[10] 음력 1950년 12월 27일.[11] 제4선거구[12] 제6선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