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808080><colcolor=#fff> 이름 | 박성우(朴性宇) |
출생 | 1909년 4월 15일 |
경상북도 상주군 | |
사망 | 미상[1] |
본관 | 상주 박씨[2] |
초명 | 박준영(朴浚榮) |
자 | 문여(文汝) |
호 | 연오(然悟) |
학력 | 상주공립농잠학교 (졸업) |
약력 | 제2대 국회의원 대한잠사회 중앙위원 대한농민회 중앙위원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2. 생애
1909년 4월 15일 경상북도 상주군(현 상주시)에서 아버지 가석(可石) 박상연(朴相淵, 1892.11.5. ~ 1955.9.17.)과 어머니 강릉 최씨(1873.11.26. ~ 1946.9.26.)[3] 사이에서 3형제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상주공립농잠학교를 졸업하였다. 이후 함창 김씨 김옹중악(金雍中岳, 1911.8.18. ~ 1997.3.9.)[4]과 결혼하였으며, 상주군청 공무원, 상주군 농회 산업기수 등으로 근무하였다.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북도 상주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한암회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대한농민회 회장을 지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북도 상주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무소속 조응연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이후 대한잠사회 중앙위원, 대한농민회 중앙위원을 역임하였다,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한 뒤에도 제2대 국회의원으로서 의정 활동을 해야했기 때문에, 당시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문동에 있는 처제의 집에 거주하고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한강인도교가 끊어져 피난을 하지 못하고 서울특별시에 머물러 있다가 1950년 7월경[5]에 3명의 북한 조직원이 찾아와 잠깐 물어볼 말이 있다며 데려간 뒤 소식이 없었다고 한다.
이후 1950년대 후반에 경상북도 상주군에 북한 간첩이 넘어와서 활동하다가 자수한 적이 있었는데, 그가 북한의 협동농장에서 박성우 전 국회의원을 목격했다는 풍문이 있었다. 이외에는 전해진 바가 없었다고 한다.
그런데 2000년대 들어 유가족들이 대한적십자사를 통해서 1956년 북한에 있는 남북 촉성회에 있다가 협동농장으로 옮겨졌다는 소식이 확인하게 된다. 협동농장에 옮겨진 점을 미루어 볼 때, 북한 당국의 노선에 고분고분 따르지 않아서 보내진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그런데 2005년 7월 27일 동아일보를 통해 평양시에 있는 재북인사의 묘(일명 62기 묘지)[6]에 1954년 2월 4일에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한다.출처
하지만 앞서 대한적십자사가 확인 한 바에 따르면, 1950년대 중후반에도 행적이 있어서 정확한 사망연도를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장남 박두곤씨의 증언[7]
3.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대구 갑 | 포항 | 김천 | ||
조경규 | 박성하 | 이갑성 | 김판석 | 우문 | |
달성 | 의성 을 | 안동 갑 | |||
배은희 | 박만원 | 박영출 | 권병노 | 공석 | |
안동 을 | 영양 | 청송 | 영덕 | 영일 갑 | |
김익기 | 공석 | 김봉조 | 한국원 | 최원수 | |
영일 을 | 경주 갑 | 경주 을 | 영천 갑 | 영천 을 | |
김익노 | 안용대 | 이협우 | 권중돈 | 공석 | |
경산 | 청도 | 고령 | 성주 | 칠곡 | |
방만수 | 김준태 | 곽태진 | 배상연 | 장택상 | |
금릉 | 선산 | 상주 갑 | 상주 을 | 문경 | |
여영복 | 육홍균 | 공석 | 백남식 | 공석 | |
예천 | 영주 | 봉화 | 울릉 | ||
이호근 | 김정식 | 정문흠 | 서이환 | ||
* 달성 권오훈 사망 (1951.2.3.) * 안동 갑 김시현 의원직 상실 (1954.1.30.) * 영양 조헌영 납북 * 영천 을 조규설 납북 * 상주 갑 박성우 납북 * 문경 양재하 납북 | |||||
◀ 제헌 제3대 ▶ | }}} }}}}}} |
[1] 2005년 7월 27일 동아일보를 통해 평양에 있는 재북인사의 묘(일명 62기 묘지) 1954년 2월 4일에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대한적십자사가 확인한 바에 따르면, 1956년에 북한에서 남북촉성회에서 협동농장으로 옮겨졌다고 했으므로 정확한 사망연도를 알 수 없다.[2] 판원사공파(判院事公派) 34세 영(榮) 항렬.(족보(1)족보(2))[3] 최의열(崔義悅)의 딸이다.[4] 김봉진(金鳳鎭)의 딸이다.[5] 정확한 날짜는 가족들도 모른다고 한다.[6] 평양시 룡성구역에 있는데, 미군정 민정장관을 지낸 안재홍, 대한적십자사 부총재 백상규, 국방경비대 총사령관 송호성, 고려대학교 초대 총장 현상윤 등이 안치되어 있다. 이들은 대부분 민족주의자로 분류되는 사람들로 전쟁 시기에 납북 또는 자진 월북한 사람들이다. 이들 중 대부분은 1956년 7월 결성된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에서 활동하였다.출처[7] 석오(石悟) 박두곤(朴斗袞, 1933.5.10. ~ ?). 자는 내승(乃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