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제국의 교육 제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현 제도(新制) | 구제(舊制) | ||||
소학교 | 심상소학교(~1941) · 국민학교의 초등과(1941~) | |||||
중학교 | 고등소학교(2년제, ~1941) · 국민학교의 고등과(1941~) · 구제중학교[C] · 구제고등여학교[A] · 구제고등학교 심상과(1919~)[B] · 체신강습소 보통과 · 청년학교 보통과 · 실업보습학교 | |||||
고등학교 | 고등중학교 예과(1896~1894) · 구제고등학교 심상과(1919~)[B] · 구제중학교[C] · 구제고등여학교[A] · 실업학교 · 사범학교[D] · 사범학교 예과[D] · 체신강습소 고등과 · 철도교습소 중등부 및 보통부 · 청년학교 본과 | |||||
단기대학 · 고등전문학교 | 고등중학교 전문부(1896~1894) · 구제고등학교 고등과(1918~) · 구제전문학교 · 대학예과 · 사범학교 본과[D] · 고등사범학교 · 청년학교 교원양성소 · 도서관직원양성소 · 고등체신강습소 본과 | |||||
대학 | 대학 | |||||
대학원 | 대학원 (연구과) | |||||
당시 구제전문학교는 단기대학 · 고등전문학교 과정에 상당하지만 공식 학위가 나오지 않는 고등교육기관. 구제대학 학부를 누적 수학 연령으로 따지면 신제 석사와 동일. | ||||||
[C] 일반적으로 구제중학교가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통합해서 운영했다.[A] 구제중학교가 남자학교이니 고등여학교는 구제중학교의 여학교 버전이다. 교육과정은 동일하다[B] 소학교 졸업자들 대상으로 중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교육을 제공함. 재정 문제로 일반화되지는 못했다.[B] 소학교 졸업자들 대상으로 중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교육을 제공함. 재정 문제로 일반화되지는 못했다.[C] [A] 구제중학교가 남자학교이니 고등여학교는 구제중학교의 여학교 버전이다. 교육과정은 동일하다[D] 1943년 사범학교령을 통해 모든 사범학교에 대하여 전문학교급으로 승격하고 본과와 예과를 만듦.[D] [D] | ||||||
하위 틀: 일제강점기 교육기관 | }}}}}}}}} |
1. 소개
舊制高等女學校메이지 유신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이전까지 일본 제국의 본토와 각 식민지에 설치되어 있던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 중등교육기관. 현재의 여자중학교와 여자고등학교에 해당된다.
본래 고등여학교는 일본인을 위한 학교였고 조선인을 위한 학교로는 여자고등보통학교가 따로 있었으나[1] 1938년 양자 모두 고등여학교로 통일시켰다.
당시 과목은 1, 2학년 때 수신, 국어 및 한문, 외국어[2], 역사, 지리, 수학, 박물, 도화, 창가, 체조 10과목이었고 3학년에서 창가가 빠지는 대신 물리 및 화학이 추가되고 4학년에는 실업이 추가돼 11과목이었다가 5학년에서 박물이 빠지고 법제와 경제가 추가되었는데 당시의 박물은 현재의 생명과학과 지구과학이었다. 여기에 구제고등여학교는 가정 과목이 추가돼 11~12과목이었다. 조선어는 수의과목이었다.
연령대는 보통 13~14세였으나 늦게 들어간 경우도 많아 16, 17살에 1학년인 경우도 은근 많았다.
2. 목록
'공립'이란 단어가 없으면 사립학교다. 여자고보였던 학교는 # 표시. 출처는 일본어 위키백과 문서2.1. 경기도
- 인천공립고등여학교: 現 인천여자중학교, 인천여자고등학교
- 수원공립고등여학교: 現 수원제일중학교, 수원여자고등학교. 수원제일중은 본래 수원여자중학교였으나 남녀공학으로 전환되어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다.
- 개성공립고등여학교
- 호수돈고등여학교#: 現 호수돈여자중학교, 호수돈여자고등학교. 현재 호수돈여중고는 대전광역시에 있지만 당시에는 경기도 개성시에 있었다. 일제강점기 말기에는 총독부의 압박으로 선교사의 이름을 딴 학교 이름을 달 수 없어서 한때 대학에서 따 온 명덕(明德) 고등여학교로 이름을 바꾸기도 했다.
- 인천소화고등여학교: 現 박문중학교, 박문여자고등학교. 박문중은 본래 박문여자중학교였으나 남녀공학으로 바뀌었다. 여기서 소화는 소화 데레사의 소화(小花)가 아니라, 당시 일본 연호 쇼와(昭和)를 말하는데, 개교 연도가 민족 말살 정책이 극에 달했던 1940년이었기 때문이다.근거 가톨릭 교단에서 인수한 것은 광복 이후였다.
2.1.1. 경성부
- 경성제1공립고등여학교
- 경성제2공립고등여학교: 現 수도여자고등학교. 수도여자중학교도 있었으나 폐교되었다.
- 경성제3공립고등여학교: 現 창덕여자중학교, 창덕여자고등학교.
- 경성무학공립고등여학교: 現 무학중학교, 무학여자고등학교. 무학중은 본래 무학여자중학교였으나 남녀공학으로 전환되었다.
- 경기공립고등여학교# : 現 경기여자고등학교. 경기여자중학교도 있었으나 중학교 입시 폐지와 함께 폐교되었다. 평준화 이전 경기여중고는 한국 최고의 명문학교였고 공부 잘 하는 여학생은 경기여중고를 거쳐 서울대학교로 진학하는 게 당연한 코스였는데 이것을 KS마크라고도 했다. (남학생은 경기중학교-경기고등학교-서울대학교)
- 용곡고등여학교
- 진명고등여학교#: 現 진명여자고등학교. 진명여자중학교도 있었으나 폐교되었다.
- 숙명고등여학교#: 現 숙명여자중학교, 숙명여자고등학교. 본래 숙명여자대학교와 함께 숙명학원에 속해 있었으나 숙명여중고는 2013년 명신여학원이라는 재단으로 독립했다.
- 이화고등여학교#: 現 이화여자고등학교. 본래 이화여자중학교도 있었으나 중학교 입시 폐지와 함께 폐교되었다. 이화학당으로 시작해 1943년에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의 재단(학교법인 이화학원)[3]과 이화여자전문학교의 재단(학교법인 이화학당)[4]이 분리되었다.
- 배화고등여학교#: 現 배화여자중학교, 배화여자고등학교. 배화여자대학교는 1978년에 개교되었다.
- 동덕고등여학교#: 現 동덕여자중학교, 동덕여자고등학교. 동덕여자대학교는 1950년에 개교되었다.
2.2. 강원도
2.3. 충청북도
- 청주공립고등여학교
- 청주제2공립고등여학교
- 충주공립고등여학교
2.4. 충청남도
- 대전공립고등여학교
- 대동공립고등여학교#[6]
- 조치원공립고등여학교
- 강경공립고등여학교[7]
2.5. 전라북도
2.6. 전라남도
2.7. 경상북도
2.8. 경상남도
2.9. 황해도
- 해주욱정(旭町)공립고등여학교
- 해주행정(幸町)공립고등여학교# - 이런 출신 때문에 해주에서는 욱정고녀는 일본인 학교, 행정고녀는 조선인 학교로 알려졌다. 수양산의 이름을 따 일명 수양(首陽)공립고등여학교라고도 하였다.
- 사리원공립고등여학교
- 겸이포공립고등여학교
- 안악공립고등여학교
2.10. 평안남도
- 평양공립고등여학교
- 평양서문(西門)공립고등여학교# - 본래 이름은 평양여자고등보통학교였다. 경기고녀처럼 평남고녀가 되지는 못하고 서문통 근처에 있다고 해서 서문고녀로 바뀌었다.
- 진남포공립고등여학교
- 순천공립고등여학교
- 정의고등여학교(평양)# - 일제 말기에는 남산(南山)고등여학교로 잠시 개명되기도 했다.
2.11. 평안북도
- 신의주공립고등여학교
- 신의주남(南)공립고등여학교#
- 정주공립고등여학교
2.12. 함경남도
- 함흥공립고등여학교
- 함남공립고등여학교#
- 흥남공립고등여학교
- 원산공립고등여학교
- 루씨고등여학교(원산)#: 본래 미국인 개신교 선교사가 세운 사립 미션스쿨이었으나 일제 말기에는 공립으로 몰수되어 원산항(港)공립고등여학교로 변신당했다. 소설 상록수의 여주인공 '채영신'의 모델이 된 최용신 선생, 박정희의 내연녀였던 이현란 등이 루씨고등여학교 출신이다.
- 영생고등여학교(함흥)#: 일제 말기에는 함흥일출(日出)고등여학교로 변신당했으며 조선어학회 사건과 관련이 있다. 이후 월남하여 경기도 수원시에 남녀 공학 영생고등학교로 재개교했다.
2.13. 함경북도
- 청진공립고등여학교
- 나남공립고등여학교
- 나남동(東)공립고등여학교#
- 회령공립고등여학교
- 성진공립고등여학교
- 나진공립고등여학교
[1] 고등보통학교 문서 참조.[2]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3] 이화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팔렬중학교, 팔렬고등학교를 운영하고 있다.[4] 이화여자대학교, 이대부속유치원, 이대부속초등학교, 이대부중, 이대부고, 이대병설영란여중, 이대병설미디어고를 운영하고 있다.[5] 지금의 철원여자고등학교는 공립이긴 한데 1945~1950년 사이에 철원 땅이 소련군정과 북한 치하를 겪으면서 역사가 단절되어 버렸고 1979년에 새로 개교한 학교이며 위치도 철원읍이 아닌 동송읍에 있다.[6] 일본어 위키백과에는 대전여고가 대전고등여학교의 후신으로 서술되어 있다.[7] 구 고등여학교가 남녀공학으로 전환(1992.03)한 흔하지 않은 사례[8] 다른 고녀들과는 달리 3년제 대구여자중학교(교명변경:1946년 2월) → 남녀공학{대구일중학교}(2002년 3월) 테크를 탄 경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