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25 13:45:38

구제고등여학교

고등여학교에서 넘어옴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일본 제국의 교육 제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현 제도(新制) 구제(舊制)
소학교 심상소학교(~1941) · 국민학교의 초등과(1941~)
중학교 고등소학교(2년제, ~1941)[1] · 국민학교의 고등과(1941~) · 구제중학교[C] · 구제고등여학교[A] · 구제고등학교 심상과(1919~)[B] · 사범학교 예과 · 체신강습소 보통과 · 청년학교 보통과 · 실업보습학교
고등학교 고등중학교 예과(1896~1894) · 구제고등학교 심상과(1919~)[B] · 구제중학교[C] · 구제고등여학교[A] · 실업학교 · 사범학교 본과 · 체신강습소 고등과 · 철도교습소 중등부 및 보통부 · 청년학교 본과
단기대학 · 고등전문학교고등중학교 전문부(1896~1894) · 구제고등학교 고등과(1918~) · 구제전문학교 · 대학예과 · 고등사범학교 · 청년학교 교원양성소 · 도서관직원양성소 · 고등체신강습소 본과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연구과)
당시 구제전문학교단기대학 · 고등전문학교 과정에 상당하지만 공식 학위가 나오지 않는 고등교육기관.
구제대학 학부를 누적 수학 연령으로 따지면 신제 석사와 동일.

[1] 중학교 진학에 실패한 경우 재학한다.[C] 일반적으로 구제중학교가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통합해서 운영했다.[A] 구제중학교가 남자학교이니 고등여학교는 구제중학교의 여학교 버전이다. 교육과정은 동일하다[B] 소학교 졸업자들 대상으로 중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교육을 제공함. 재정 문제로 일반화되지는 못했다.[B] 소학교 졸업자들 대상으로 중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교육을 제공함. 재정 문제로 일반화되지는 못했다.[C] [A] 구제중학교가 남자학교이니 고등여학교는 구제중학교의 여학교 버전이다. 교육과정은 동일하다
하위 틀: 일제강점기 교육기관}}}}}}}}}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일제강점기의 교육기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등교육기관 중등교육기관 고등교육기관
내지 조선 대만 내지 조선 대만 내지 조선 대만
심상소학교
고등소학교
보통학교 공학교 심상중학교(남)
고등여학교(여)
고등보통학교(남)
여자고등보통학교(여)
심상중학교(남)
고등여학교(여)
제국대학
관립대학
구제대학
제국대학
(경성제국대학)
제국대학
(대북제국대학)
구제고등학교
대학예과
대학전문부
경성제대예과 대북고등학교
대북제대예과
심상소학교 심상중학교(남)
고등여학교(여)
구제전문학교
의학전문학교
법학전문학교
중등교육기관(실업) 고등교육기관(실업)
국민학교 공업학교
상업학교
농업학교
수산학교
실업보습학교
고등공업학교
고등상업학교
고등농림학교
고등수산학교
중등교육기관(사범) 고등교육기관(사범)
사범학교
여자사범학교
고등사범학교
여자고등사범학교
상위 틀: 일본 제국의 교육 제도
하위 틀: 일제강점기 조선의 구제전문학교}}}}}}}}}

1. 소개

舊制高等女學校

메이지 유신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이전까지 일본 제국의 본토와 각 식민지에 설치되어 있던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 중등교육기관. 현재의 여자중학교여자고등학교에 해당된다.

본래 고등여학교는 일본인을 위한 학교였고 조선인을 위한 학교로는 여자고등보통학교가 따로 있었으나[1] 1938년 양자 모두 고등여학교로 통일시켰다.

당시 과목은 1, 2학년 때 수신, 국어 및 한문, 외국어[2], 역사, 지리, 수학, 박물, 도화, 창가, 체조 10과목이었고 3학년에서 창가가 빠지는 대신 물리 및 화학이 추가되고 4학년에는 실업이 추가돼 11과목이었다가 5학년에서 박물이 빠지고 법제와 경제가 추가되었는데 당시의 박물은 현재의 생명과학과 지구과학이었다. 여기에 구제고등여학교는 가정 과목이 추가돼 11~12과목이었다. 조선어는 수의과목이었다.

연령대는 보통 13~14세였으나 늦게 들어간 경우도 많아 16, 17살에 1학년인 경우도 은근 많았다.

2. 목록

'공립'이란 단어가 없으면 사립학교다. 여자고보였던 학교는 # 표시. 출처는 일본어 위키백과 문서

2.1. 경기도

2.1.1. 경성부

2.2. 강원도

2.3. 충청북도

2.4. 충청남도

2.5. 전라북도

2.6. 전라남도

2.7. 경상북도

2.8. 경상남도

2.9. 황해도

  • 해주욱정(旭町)공립고등여학교
  • 해주행정(幸町)공립고등여학교# - 이런 출신 때문에 해주에서는 욱정고녀는 일본인 학교, 행정고녀는 조선인 학교로 알려졌다. 수양산의 이름을 따 일명 수양(首陽)공립고등여학교라고도 하였다.
  • 사리원공립고등여학교
  • 겸이포공립고등여학교
  • 안악공립고등여학교

2.10. 평안남도

  • 평양공립고등여학교
  • 평양서문(西門)공립고등여학교# - 본래 이름은 평양여자고등보통학교였다. 경기고녀처럼 평남고녀가 되지는 못하고 서문통 근처에 있다고 해서 서문고녀로 바뀌었다.
  • 진남포공립고등여학교
  • 순천공립고등여학교
  • 정의고등여학교(평양)# - 일제 말기에는 남산(南山)고등여학교로 잠시 개명되기도 했다.

2.11. 평안북도

  • 신의주공립고등여학교
  • 신의주남(南)공립고등여학교#
  • 정주공립고등여학교

2.12. 함경남도

2.13. 함경북도

  • 청진공립고등여학교
  • 나남공립고등여학교
  • 나남동(東)공립고등여학교#
  • 회령공립고등여학교
  • 성진공립고등여학교
  • 나진공립고등여학교


[1] 고등보통학교 문서 참조.[2]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3] 이화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팔렬중학교, 팔렬고등학교를 운영하고 있다.[4] 이화여자대학교, 이대부속유치원, 이대부속초등학교, 이대부중, 이대부고, 이대병설영란여중, 이대병설미디어고를 운영하고 있다.[5] 지금의 철원여자고등학교는 공립이긴 한데 1945~1950년 사이에 철원 땅이 소련군정북한 치하를 겪으면서 역사가 단절되어 버렸고 1979년에 새로 개교한 학교이며 위치도 철원읍이 아닌 동송읍에 있다.[6] 일본어 위키백과에는 대전여고가 대전고등여학교의 후신으로 서술되어 있다.[7] 구 고등여학교가 남녀공학으로 전환(1992.03)한 흔하지 않은 사례[8] 다른 고녀들과는 달리 3년제 대구여자중학교(교명변경:1946년 2월) → 남녀공학{대구일중학교}(2002년 3월) 테크를 탄 경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