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2 04:01:55

구제고등여학교

고등여학교에서 넘어옴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일본 제국의 교육 제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현 제도(新制) 구제(舊制)
소학교 심상소학교(~1941) · 국민학교의 초등과(1941~)
중학교 고등소학교(2년제, ~1941) · 국민학교의 고등과(1941~) · 구제중학교[C] · 구제고등여학교[A] · 구제고등학교 심상과(1919~)[B] · 체신강습소 보통과 · 청년학교 보통과 · 실업보습학교
고등학교 고등중학교 예과(1896~1894) · 구제고등학교 심상과(1919~)[B] · 구제중학교[C] · 구제고등여학교[A] · 실업학교 · 사범학교[D] · 사범학교 예과[D] · 체신강습소 고등과 · 철도교습소 중등부 및 보통부 · 청년학교 본과
단기대학 · 고등전문학교고등중학교 전문부(1896~1894) · 구제고등학교 고등과(1918~) · 구제전문학교 · 대학예과 · 사범학교 본과[D] · 고등사범학교 · 청년학교 교원양성소 · 도서관직원양성소 · 고등체신강습소 본과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연구과)
당시 구제전문학교단기대학 · 고등전문학교 과정에 상당하지만 공식 학위가 나오지 않는 고등교육기관.
구제대학 학부를 누적 수학 연령으로 따지면 신제 석사와 동일.

[C] 일반적으로 구제중학교가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통합해서 운영했다.[A] 구제중학교가 남자학교이니 고등여학교는 구제중학교의 여학교 버전이다. 교육과정은 동일하다[B] 소학교 졸업자들 대상으로 중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교육을 제공함. 재정 문제로 일반화되지는 못했다.[B] 소학교 졸업자들 대상으로 중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교육을 제공함. 재정 문제로 일반화되지는 못했다.[C] [A] 구제중학교가 남자학교이니 고등여학교는 구제중학교의 여학교 버전이다. 교육과정은 동일하다[D] 1943년 사범학교령을 통해 모든 사범학교에 대하여 전문학교급으로 승격하고 본과와 예과를 만듦.[D] [D]
하위 틀: 일제강점기 교육기관}}}}}}}}}


1. 소개

舊制高等女學校

메이지 유신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이전까지 일본 제국의 본토와 각 식민지에 설치되어 있던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 중등교육기관. 현재의 여자중학교여자고등학교에 해당된다.

본래 고등여학교는 일본인을 위한 학교였고 조선인을 위한 학교로는 여자고등보통학교가 따로 있었으나[1] 1938년 양자 모두 고등여학교로 통일시켰다.

당시 과목은 1, 2학년 때 수신, 국어 및 한문, 외국어[2], 역사, 지리, 수학, 박물, 도화, 창가, 체조 10과목이었고 3학년에서 창가가 빠지는 대신 물리 및 화학이 추가되고 4학년에는 실업이 추가돼 11과목이었다가 5학년에서 박물이 빠지고 법제와 경제가 추가되었는데 당시의 박물은 현재의 생명과학과 지구과학이었다. 여기에 구제고등여학교는 가정 과목이 추가돼 11~12과목이었다. 조선어는 수의과목이었다.

학생의 연령대는 보통 13~14세였으나 늦게 입학한 경우도 많아 16, 17살에 1학년인 경우도 은근 많았다.

2. 목록

'공립'이란 단어가 없으면 사립학교다. 여자고보였던 학교는 # 표시. 출처는 일본어 위키백과 문서

2.1. 경기도

2.1.1. 경성부

2.2. 강원도

2.3. 충청북도

2.4. 충청남도

2.5. 전라북도

2.6. 전라남도

2.7. 경상북도

2.8. 경상남도

2.9. 황해도

  • 해주욱정(旭町)공립고등여학교
  • 해주행정(幸町)공립고등여학교# - 이런 출신 때문에 해주에서는 욱정고녀는 일본인 학교, 행정고녀는 조선인 학교로 알려졌다. 수양산의 이름을 따 수양(首陽)공립고등여학교라고도 하였다.
  • 사리원공립고등여학교
  • 겸이포공립고등여학교
  • 안악공립고등여학교

2.10. 평안남도

  • 평양공립고등여학교
  • 평양서문(西門)공립고등여학교# - 본래 이름은 평양여자고등보통학교였다. 경기고녀처럼 평남고녀가 되지는 못하고 서문통 근처에 있다고 해서 서문고녀로 바뀌었다.
  • 진남포공립고등여학교
  • 순천공립고등여학교
  • 정의고등여학교(평양)# - 일제 말기에는 남산(南山)고등여학교로 개명되기도 했다.

2.11. 평안북도

  • 신의주공립고등여학교
  • 신의주남(南)공립고등여학교#
  • 정주공립고등여학교

2.12. 함경남도

2.13. 함경북도

  • 청진공립고등여학교
  • 나남공립고등여학교
  • 나남동(東)공립고등여학교#
  • 회령공립고등여학교
  • 성진공립고등여학교
  • 나진공립고등여학교


[1] 고등보통학교 문서 참조.[2]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3] 이화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팔렬중학교, 팔렬고등학교를 운영하고 있다.[4] 이화여자대학교, 이대부속유치원, 이대부속초등학교, 이대부중, 이대부고, 이대병설영란여중, 이대병설미디어고를 운영하고 있다.[5] 지금의 철원여자고등학교는 공립이긴 한데 1945~1950년 사이에 철원 땅이 소련군정북한 치하를 겪으면서 역사가 단절되어 버렸고 1979년에 새로 개교한 학교인 데다 철원읍이 아닌 동송읍에 있다.[6] 일본어 위키백과에는 대전여고가 대전고등여학교의 후신으로 서술되어 있다.[7] 구 고등여학교가 남녀 공학으로 전환(1992.03)한 흔하지 않은 사례[8] 다른 고녀들과는 달리 3년제 대구여자중학교(교명변경:1946년 2월) → 남녀 공학{대구일중학교}(2002년 3월) 테크를 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