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4 18:17:17

토가이누의 피

咎狗の血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콘솔 이식판}}}에 대한 내용은 [[토가이누의 피 True Blood]]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토가이누의 피 True Blood#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토가이누의 피 True Blood#|]]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콘솔 이식판: }}}[[토가이누의 피 True Blood]]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토가이누의 피 True Blood#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토가이누의 피 True Blood#|]]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NITRO CHiRAL 로고.png
니트로플러스성인용 BL 게임 브랜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 margin-top:0px; margin-bottom:-15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PC 게임 파일:Togainu_no_chi_pc.jpg 파일:라멘토 메인.jpg 파일:sweet pool_pc.jpg 파일:attachment/dmmdposter_1.jpg 파일:슬로우 데미지 박스아트.jpg
토가이누의 피
(2005년)
Lamento -BEYOND THE VOID-
(2006년)
sweet pool
(2008년)
DRAMAtical Murder
(2012년)
슬로우 데미지
(2021년)
}}}}}}}}} ||

파일:토가이누 로고.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주연 인물 아키라 시키 케이스케 모토미 나노
조연 인물 키리오 군지 알비트로 에마 그웬 타케루
}}}}}}}}} ||
토가이누의
[ruby(咎狗, ruby=とがいぬ)]の[ruby(血, ruby=ち)]
파일:Togainu_no_chi_pc.jpg
개발 Nitro+CHiRAL
유통 니트로플러스 / 호비박스
기획자 후치이 카부라 & 타타나 카나
디렉터 우로부치 겐 & 데지타로우
작가 후치이 카부라
미술 타타나 카나 (캐릭터 디자인, 일러스트)
폴리곤 번장 (3D 그래픽)
작곡 ZIZZ STUDIO
플랫폼 파일:Windows 아이콘.svg 일본어판 Microsoft Windows
출시 파일:일본 국기.svg
2005년 2월 25일 (초회판)
2007년 3월 25일 (통상판)
2007년 4월 7일 (비스타/7판)
2016년 9월 30일 (Windows 10판)
파일:미국 국기.svg
2020년 2월 26일
장르 True Blood ADV
보이즈 러브 게임
엔진 니트로 엔진
해상도 800×600 (구판)
1280×960 (Windows 10판)
웹사이트 게임 종합 티저 사이트
PC판 티저 사이트
언어 일본어, 영어
한국어 지원 비공식 한글패치 있음
등급 18세 이상 이용가
미디어 CD-ROM 1장 (구판)
DVD-ROM 1장 (비스타/7, Windows 10)
다운로드 (Windows 10)
ESD 파일:스팀 로고.svg
1. 개요2. 제작 배경3. 스토리4. 등장인물
4.1. 주연4.2. 조연4.3. 단역
5. 세계관6. 주제가 / OST
6.1. 오프닝6.2. 엔딩
7. 미디어 믹스8. 굿즈9. 시스템 요구 사항
9.1. 구판9.2. 비스타/7판9.3. 윈도우 10판
10. 평가
10.1. 비판
10.1.1. 유사 사례
10.2. 인기 요인
10.2.1. 세계관과 스토리10.2.2. 캐릭터 디자인, 일러스트 10.2.3. 사운드 효과
11. 흥행
11.1. 패러디
12. 영상13. 한글패치14. 영문판 (스팀판)15. 사건사고
15.1. 우로부치 겐 원작자 오해15.2. 표절 루머15.3. 나치 미화 논란?
16. 여담17. 관련 문서
------ 例え, それが血の運命でも。
------ 설령, 그것이 피의 운명이라도.
- 본 작품의 캐치프레이즈

1. 개요

니트로플러스의 성인용 BL 게임 제작 브랜드인 니트로플러스 키랄의 데뷔작. 공식 약칭은 토가이누(咎狗).

2. 제작 배경

2003년 12월, 《사야의 노래》가 막 발매된 시점에 신인 시나리오 라이터 후치이 카부라와 원화가 타타나 카나는 대학생 시절 구상한 BL 게임의 초안을 들고 니트로플러스에 입사하였다. 이들은 "니트로플러스 스타일의 BL 게임[1]을 만들고 싶다"고 제안했고, 이를 접한 우로부치 겐은 흥미를 느껴 디렉터로 참여하였다.

이 기획을 실현하기 위해, 2004년 2월 니트로플러스의 여성향 게임 브랜드 ‘니트로플러스 키랄’를 창설하였고, 이후 《토가이누의 피》가 개발 및 발매되었다.
작품은 입소문을 타며 히트를 기록했고, 키랄의 성공은 니트로플러스의 미소녀 게임 판매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브랜드의 존속을 이끄는 계기가 되었다.

3. 스토리

종전으로부터 몇 년 후,
범죄 조직 "비스키오"에게 점령 당해 퇴폐해진 도시 "토시마"에서는 조직의 왕좌를 둘러싼 목숨을 건 배틀게임 "이그라"가 개최되고 있었다.
살인사건의 누명을 쓴 주인공 아키라는 무죄 방면의 조건으로 "이그라"에 참가해 "왕"을 쓰러뜨려 조직을 궤멸시킬 것을 제안받는다.

퇴폐한 무법거리를 들어서는 아키라와 그를 둘러싼 사람들, 욕망, 공포, 배신... 그리고 사랑.
수많은 격정과 진실의 교차가 아키라의 운명을 바꾼다.

4. 등장인물

성우 이름은 본명(가명) 순으로 표기. PS2판 추가 인물들은 토가이누의 피 True Blood를 참고바람.

4.1. 주연

4.2. 조연

4.3. 단역

  • 토모유키 (トモユキ) 성우 - 나카무라 유이치[2]
    주황색 장발머리를 가진 남성. 이그라의 참가자이자 린 루트에만 등장하는 인물로 린에게 원한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과거 Bl@ster의 팀인 「페스카·코시카」 소속으로 린하고는 같은 팀이자 동료 관계였다. 그러나 린이 시키에게 속아 정보를 넘겨버리는 바람에 「페스카·코시카」 는 시키에 의해 섬멸. 토모유키는 린이 배신때렸다고 생각해 그와 절연하게 되었다. 그러나 시키건으로 가끔씩 교류하고 있다.
  • 카우 (狗/カウ) 성우 - 없음
    알비트로가 총애하는 은발의 미소년으로 온몸에는 피어스가 박혀있으며 입마개와 검은색 본디지 복장을 입고 있다. 알비트로에게 개조되어 눈과 목소리를 잃은 대신 후각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해 위반된 도그태그를 찾아다니는 역할. 개처럼 네발로 다니고 있으며 키리오는 타마, 군지는 포치라고 부르고 있다. 과거 부친에게 성적 학대를 당하고 모친에게 방치당해 버려진 것을 알비트로가 거두어주었다. 개조 당할 때도 그에 대한 사랑으로 참아내고 현재 인간으로서 의지를 잃어버렸는데도 불구하고 계속 따르고 있다. PS2판에서는 심의 문제로 개조 설정은 사라지고 타이즈를 입은 평범한 인간이 되었다. 네이티브 브랜드에서 MIN이라는 개인 원형사[3]가 만든 개러지 킷을 베이스로 한 성인 피규어가 출시될 예정으로 DMMd세라가키 아오바 다음으로 두 번째다. 2020년 2월 25일에서 4월 30일까지 예약을 받고 있으며 정식 발매일은 2021년 2월.
  • 유카리 (由香里/ユカリ) 성우 - 사사키 노조미(TV 애니판)[4]
    타케루의 피가 안섞인 여동생으로 타케루가 이그라에 참가하게 된 계기가 된 소녀. 사이는 친가족 못지 않게 좋았으며 가정 문제로 타케루가 이그라에 참가하기 위해 몰래 가출하자 유카리는 타케루에게 부적으로 로자리오를 줬다.
  • 에이스 (エース) 성우 - 츠루오카 사토시[5]
    금발 모히칸을 한 남성으로 Bl@ster의 관객. 매우 경박한 성격의 소유자로 챔피언인 아키라를 좋아해 항상 따라다니며 친구를 자처하고 있다.
  • (ディー) 성우 - 나카무라 유이치
    장발의 스모키 화장을 한 음울한 인상의 남성. 에이스와 같은 Bl@ster의 관객으로 성격은 에이스와 반대로 침착한 편. 에이스와 같이 아키라를 따라다니고 있다.

5. 세계관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토가이누의 피/세계관
#!if top2 != null
, [[]][[]]
#!if top3 != null
, [[]][[]]
#!if top4 != null
, [[]][[]]
#!if top5 != null
, [[]][[]]
#!if top6 != null
, [[]][[]]
#!if top7 != null
, [[]][[]]

6. 주제가 / OST

6.1. 오프닝

  • GRIND
    작사 : 와타나베 카즈히로 / 작곡 & 편곡 : 진보 신타로 / 노래 : HIDEKI

6.2. 엔딩

  • STILL
    작사 : 와타나베 카즈히로 / 작곡 & 편곡 : 이소에 토시미치 / 노래 : 이토 카나코
  • Good bye Aliens
    작사 & 작곡 : HIDEKI / 편곡 : 커리큘러 머신 / 노래 : HIDEKI
  • CurriculuMachine
    작사 & 작곡 : HIDEKI / 편곡 : 커리큘러 머신 / 노래 : HIDEKI

7. 미디어 믹스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토가이누의 피/미디어 믹스
#!if top2 != null
, [[]][[]]
#!if top3 != null
, [[]][[]]
#!if top4 != null
, [[]][[]]
#!if top5 != null
, [[]][[]]
#!if top6 != null
, [[]][[]]
#!if top7 != null
, [[]][[]]

8. 굿즈

  • 서적
    • 토가이누의 피 공식 비주얼 팬북
    • 토가이누의 피 오피셜 웍스 북
    • 토가이누의 피 공식 앤솔로지 코믹 시리즈
    • 차야마치 스구로 키랄 웍스

9. 시스템 요구 사항

9.1. 구판

시스템 요구 사항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운영체제 일본어판 Windows 98/2000/XP
프로세서 Pentium II 300Mhz 이상 Pentium II 450Mhz 이상
DirectX DirectX 9.0c 이상 8 런 타임
64MB 이상 128MB 이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300MB 이상 650MB 이상

9.2. 비스타/7판

시스템 요구 사항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운영체제 일본어판 Windows 2000/XP/Vista/7
프로세서 Pentium II 300Mhz 이상 Pentium II 450Mhz 이상
DirectX DirectX 9.0c 이상 8 런 타임
64MB 이상 128MB 이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300MB 이상 650MB 이상

9.3. 윈도우 10판

시스템 요구 사항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운영체제 일본어판 Windows 7/8/8.1/10
프로세서 Pentium II 300Mhz 이상 Pentium II 450Mhz 이상
DirectX DirectX 9.0c 이상 8 런 타임
64MB 이상 128MB 이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300MB 이상 650MB 이상

10. 평가

기존의 순정풍 BL과 차별화된 하드보일드한 분위기와 무법도시를 배경으로 한 배틀물 요소, 무거운 감정선 등이 당시로서는 신선하게 받아들여졌으며, 이로 인해 플레이어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은 바 있다.

이러한 성공을 기반으로, 제작사는 이후 1년 만에 후속작 《Lamento -BEYOND THE VOID-》를 발표하게 되었다.

10.1. 비판

작가 후치이 카부라의 초기작으로서, 시나리오 전개와 인물 활용 면에서 여러 미숙함을 드러낸다. 특히 주인공 아키라가 스스로 위기 상황을 인지하고 타개책을 궁리하기보다는, 외부 인물이나 요인에 의해 사건이 진행되고 위기가 해소되는 전개가 자주 등장한다. 캐릭터의 내면에서 갈등하고 선택하는 과정을 설계하는 것보다, 누군가의 도움으로 사건이 자연스럽게 풀리는 전개가 상대적으로 작성하기 쉬운 방식이기 때문이다. 이는 데우스 엑스 마키나와 유사한 서사 구조로, 외부 요인에 의해 갈등이 해소되는 전개 방식이다.

이러한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한다.
  • 1. 주인공의 설정 미활용
아키라는 ‘블래스터 챔피언’이라는 강한 설정을 가지고 있음에도, 실제 서사에서는 상대를 압도하는 모습보다는 다양한 캐릭터에게 밀리고 수세에 몰리는 모습이 반복된다. 설정과 실제 전개의 괴리가 크며, 싸움을 잘 하는 인물이라는 인상을 살리지 못한다.
  • 2. 외부 요인으로 문제 해결
위기 상황이 발생했을 때, 그 해결 방식이 주인공의 판단이나 선택이 아닌 외부 인물의 개입이나 우연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시키 루트에서는 시키아키라에게 흥미를 느껴 을 거두는 장면이 등장하며, 타케루와의 대치 상황에서도 아키라의 특이한 혈액 성분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처럼 사건이 주체적으로 해결되기보다는 외적 변수로 정리되다 보니, 플레이어 입장에서는 서사에 몰입하기 어렵고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

10.1.1. 유사 사례

호러 어드벤처 게임 《신 하야리가미》는 일본에서 혹평을 받은 작품으로, 주인공의 "심리전에 능숙한 여성 형사"라는 공식 설정과 실제 전개 간의 괴리가 주요 비판 중 하나였다.

게임 내에서 주인공은 참고인이나 용의자와의 대화에서 자주 말려들며, 심리전에서 주도권을 상실하는 모습을 반복적으로 보인다. 또한 경찰이라는 직업 설정과 달리 흉악범에게 휘둘리거나 제압당하는 장면이 잦아, 창작물 캐릭터가 설정에 걸맞은 활약을 보여주지 못한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았다.

10.2. 인기 요인

《토가이누의 피》는 단순히 BL 장르에서 인기를 끌었을 뿐만 아니라, 여성향 게임 전반에 영향을 끼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당시 기준으로는 드물게 하드보일드한 세계관, 남성적인 작화, 다크한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기존의 순정적이고 감성적인 BL 게임들과는 차별화된 노선을 택했다.
  • 1. 하드보일드 세계관과 배틀물 요소
여성향 게임에서 보기 드물었던 배틀물 및 하드보일드 설정을 적극 활용했으며, 이는 소년 만화에 익숙한 BL 팬덤의 취향을 공략하며 새로운 수요층을 형성하는 데 성공했다. 이로 인해 당시 여성향계에서 상대적으로 드물었던 분위기의 작품으로 주목을 받았다.
  • 2. 완성도 높은 비주얼과 사운드
스토리 전개와 관련한 일부 비판을 제외하면, 발매 당시 기준으로 세계관 구성, 일러스트 퀄리티, OST, 사운드 효과 등에서 높은 완성도를 보였다. 타타나 카나의 작화와 음악적 연출은 작품의 몰입도를 크게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 3. 브랜드 파워와 니트로플러스 효과
니트로플러스가 처음으로 개발하는 BL 게임이라는 점에서 발매 전부터 주목을 받았으며, 기존 니트로플러스의 남성향 작품 팬덤 일부가 《토가이누의 피》를 구매하면서 초기 판매량에 기여하기도 했다.

10.2.1. 세계관과 스토리

  • 세계관과 스토리
토가이누의 피는 발매 당시 BL 게임들에서 보기 드물게, 개성적인 세계관과 명확한 시놉시스를 갖춘 작품으로 주목받았다.
기존 BL 게임들이 주로 연애 감정선에만 집중하거나, 스토리가 단순한 부가 요소로 취급되던 것과 달리, 이 작품은 주인공이 살인 누명을 쓰고 무법도시 '이그라'에 참가한다는 중심 줄거리를 통해 플레이어에게 분명한 목적의식과 서사적 긴장감을 제공한다.

주인공 아키라는 단순히 연애를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정체성과 과거와 마주하고 공략 캐릭터들과의 갈등과 상호 작용 속에서 성장하는 서사를 경험하게 된다.
공략 캐릭터들 또한 각자 내면의 고뇌와 상처를 지니고 있으며, 루트를 거치며 아키라와 함께 상처를 극복하고 관계를 맺는 점에서 정서적인 몰입감을 더한다.
  • 시대성과 장르적 특성
작품은 배틀을 중심으로 한 소년만화풍 설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2000년대 당시 유행하던 소년 점프 계열 만화의 2차 창작 BL을 즐기던 팬층에게도 큰 호응을 얻었다.
즉, 《토가이누의 피》는 단순한 연애물에 머무르지 않고, 1차 창작 BL 게임으로서도 소년만화적 요소를 담아낸 사례로 당시 BL 장르의 확장을 이끈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10.2.2. 캐릭터 디자인, 일러스트

  • 비주얼 스타일과 작화의 의의
토가이누의 피는 발매 당시 현실적인 인체 비례와 마른 근육을 베이스로 한 캐릭터 디자인으로 BL계에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기존 BL물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극단적으로 여성적이거나 과장된 떡대형 체형과 달리, 입체적이고 남성적인 외형의 캐릭터들을 구현하면서, 현대 여성향의 미청년 스타일의 보편화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주인공 아키라는 수 캐릭터임에도 늠름한 체형과 근육이 잡힌 외형 덕분에 당시 유저들 사이에서 "공이 아니냐"는 오해를 받기도 했으며, 린 역시 쇼타 계열 캐릭터임에도 남성적 성격과 체형을 지녔다는 점에서 당시 BL물과는 차별화된 방향성을 보여줬다.
  • 타타나 카나의 작화 평가
당시 캐릭터 원화가였던 타타나 카나는 데뷔작이라는 점에서 스탠딩 이미지와 CG 사이의 작화 차이, 혹은 일부 구도에서의 인체 왜곡, 선 처리의 각짐 등 미숙한 점이 드러나기도 했다.
그러나 이를 감안하더라도, 남성 인체 묘사, 의복 주름 및 질감 표현, 광원 처리 등에서 뛰어난 완성도를 보여주었고, 2005년에 발매된 게임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기준에서도 세련된 작화로 평가받는다.

10.2.3. 사운드 효과

효과음 연출 또한 기존 BL 게임과는 차별화된 요소 중 하나이다.
전투 장면에서의 금속음, 주먹 소리, 물 떨어지는 소리 등 다양한 효과음이 상황과 장소에 따라 강약이 세밀하게 조정되었으며, 연출적 몰입감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11. 흥행

총 누계 판매량 약 20만 장을 기록하며 높은 상업적 성과를 거두었다. 초회판, 콘솔 이식판, 기타 윈도우 기종판까지 포함한 수치로, 발매 당시 큰 화제를 모은 작품이다.

이 작품은 BL 게임 최초로 피규어화 및 봉제 인형 상품화가 이루어진 사례로, 여성향 콘텐츠에서 남성 캐릭터 상품화의 선례를 남겼다. 《귀축안경》, 《럭키독1》과 함께 2000년대 중반 BL 게임을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출시 이후 시간이 지나도 지속적인 2차 창작 및 굿즈 생산이 이루어졌으며, BL 게임 인기 투표에서도 상위권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국내를 비롯한 해외에서도 BL 팬덤 내에서 널리 회자되었고, 비공식 번역판도 제작되는 등 인지도가 높다.

11.1. 패러디

당시 작품의 흥행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12. 영상

『咎狗の血』(Togainu no chi) PV
『咎狗の血 Windows 10対応版』OP

13. 한글패치

  • 구판 한글패치
인지도와 별개로 10년이 되도록 유저 한글패치가 없었는데 2008년에 자동 한글 번역 스크립트가 배포되었다가 중단되었다. 그러나 2014년 즈음 토가이누의 피의 자동 한글 번역 스크립트를 만든 4명의 허가를 받고 익명의 프로그래머가 한글패치를 만들어 배포하게 되었다. 단 대화창의 인물명은 번역되어있지 않아있고 환경설정창의 캐릭터 보이스 유무 선택창의 캐릭터명은 한국어로 번역하면 해당 캐릭터의 보이스가 안나오는 기술적인 문제로 번역이 되지 않았다.
  • 스팀판 한글패치
스팀판 한글패치는 2021년 12월 31일에 공개되었다. 토가이누의 피 팬[6]DRAMAtical Murder 스팀판 한글패치 제작자[7] 단 두 명이서 제작했다. 무삭제 DLC를 적용한 스팀판과 JAST 언컷 에디션을 지원한다.한패 링크 시나리오는 처음부터 새로 번역한 것으로, 구판 한글패치와 다르게 텍스트박스의 이름과 캐릭터 보이스 선택창 등 모든 UI가 번역이 되어있으며 배경CG와 오프닝, 엔딩 가사까지 번역되었다. 특이사항으로는 콘솔판의 추가 CG와 일부 시나리오와 보이스를 PC판에 역이식했다. 그 때문에 기존에 글로만 묘사되던 일부 장면을 CG로 볼 수 있으며, PC판에서는 언급만 되던 일부 캐릭터의 비주얼과 보이스를 접할 수 있다. PC판 내용의 보충을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콘솔판 공략 캐릭터인 유키히토는 추가되지 않았다.
  • WIN10 일본판 한글패치(패키지/DL)
위 스팀판 한글패치를 베이스로 한 것으로 2022년 1월 7일 공개되었다.한패 링크

14. 영문판 (스팀판)

2020년 2월 25일에 스팀에 입점했다. 스팀에서 파는 토가이누는 삭제판이므로 무삭제 패치는 배급사의 공식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하고 있다. 토가이누 스팀판 무삭제 패치 DLC 링크

DLC 설치법은 압축파일을 다운받으면 압축을 푼 뒤 togainu_patch-for-steam 을 열어 스크립트 파일과 시스템 파일, patch 폴더를 복사해 토가이누가 설치된 스팀 경로를 찾아 붙여넣으면 된다. 버전이 1.00으로 적용되면 무삭제 패치가 적용된 것. 압축파일에 동봉된 텍스트파일에는 도전과제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안내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도전과제 달성 관련 처리가 존재하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과제 달성이 된다.

15. 사건사고

15.1. 우로부치 겐 원작자 오해

토가이누의 피는 발매 당시 우로부치 겐이 원작자, 집필자라는 국내발 루머가 존재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실제로 우로부치는 시나리오 검수 및 조언자 역할로 참여했으며, 게임의 집필과 원안 구성은 후치이 카부라가 전담했다.

개발 초기 초안을 검토하고 어두운 분위기 강화, 일부 설정 제안(예: 나노의 튜브 등)을 했을 뿐, 주요 이벤트나 엔딩 구성에는 관여하지 않았다. 문제의 루트나 장면도 후치이의 구상에서 나온 것으로 밝혀졌다.

국내에서는 과거 위키의 잘못된 기재와 우로부치의 유명세로 인해 오해가 확산되었으며, 특히 ‘감독’이라는 명칭이 영화의 ‘총지휘자’로 오해되며 루머에 힘이 실렸다. 본작의 경우는 프로젝트의 전반을 관리하거나 조율하는 책임자 포지션이라는 의미에 더 가깝다.

본 작품의 개발후기에도 나와있다시피 우로부치는 단순한 조언자였으며, 중심은 후치이와 타타나였다고 명시하고 있다.

15.2. 표절 루머

《토가이누의 피》가 국내에 처음 알려졌을 당시, 일부 팬들 사이에서 주인공 아키라의 외형과 성격이 《월야환담》 시리즈의 한세건과 유사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극히 일부 소수 팬들이 외형상의 유사점만으로 표절 루머를 주장한 것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근거는 부족했고 논란도 빠르게 소멸되었다.

15.3. 나치 미화 논란?

토가이누의 피의 시키 루트 엔딩 2는 한때 국내에서 극우·나치 미화 논란에 휩싸인 적이 있었으나, 이는 잘못된 오해와 맥락 없는 해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해당 엔딩은 CFC 체제를 계승한 군국주의 국가를 설립한 시키와, 이에 동조한 아키라가 중심이다. 이들은 힘만을 추구하며 타인을 억압하여 파멸로 향하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즉, 극우 사상과 권위주의의 부정적인 결말을 보여주는 구조다.

게임 전체적으로도 약육강식, 파시즘, 권위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이 강하게 나타난다. 모든 루트의 해피엔딩에서는 CFC 체제가 붕괴되고, 자유주의를 지향하는 ‘일흥련’이 일본을 재건하는 전개로 이어진다.

또한 해당 엔딩에는 나치 문양이나 직접적인 상징 사용이 없으며, 시각적 요소 또한 비판적 의미로 차용되었을 뿐이다. 서구권에서도 부정적인 캐릭터에 한해 제복·상징을 활용하는 연출은 용인되며, 토가이누의 해당 엔딩도 그 기준을 벗어나지 않는다.

국내 논란은 당시의 반일 감정과 우경화에 대한 경계심이 일으킨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16. 여담

  • 작중 무대인 '토시마(トシマ)'는 도쿄의 행정구역인 ‘토시마구(豊島区)’를 그대로 차용한 명칭이다. 토시마구는 여성향 콘텐츠의 성지로 알려진 이케부쿠로가 위치한 지역으로, 실제로도 니트로플러스 키랄 관련 콜라보 카페이벤트가 자주 열리는 장소다. 이케부쿠로 멸망 루트
  • 작품 내에서는 실제 일본의 지명을 사용하면서도, ‘ニホン(일본)’, ‘トウキョウ(도쿄)’, ‘トシマ(토시마)’처럼 가타카나 표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표기 방식은 흔히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에서 현실과 단절된 왜곡된 세계를 표현하는 연출로 사용되며, 실제 지명이면서도 비현실적이고 무질서한 느낌을 강조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토가이누의 피’는 일본 내에서 보통 ‘토가이누(咎狗)’ 혹은 ‘토가(咎)’로 줄여 부르며, 국내에서 종종 사용되는 ‘토가치(咎血)’는 실제 일본 현지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 약칭은 과거 리그베다 위키의 잘못된 서술이 퍼지며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 각 엔딩의 별칭은 공식 엔딩명이 아닌, 『토가이누의 피 공식 비주얼 팬북』에서 편집 목적을 위해 엔터브레인 측에서 부여한 챕터명이다.
  • 초회한정판에 수록된 설정 자료에 따르면, 원래는 ‘타카하시’라는 캐릭터가 등장할 예정이었으나 삭제되었다. 작가 후치이 카부라와 일러스트레이터 타타나 카나에 따르면, 알비트로보다 더한 귀축 변태 캐릭터였다고 한다.
  • 작화가 쿠라하나 치나츠(구 타타나 카나)는 노이타미나 웹 라디오에서, 여성 게임 개발자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입사한 후 개발된 작품이라고 밝힌 바 있다.
  • 케이스케 루트 배드 엔딩의 임팩트로 인해 게임 전체가 고어물로 오해받기도 했다.
  • 작품명 ‘咎狗の血’에서 ‘咎(とが)’는 ‘허물’ 또는 ‘죄’를 의미한다. 따라서 ‘죄지은 개의 피’라고도 번역할 수 있다.

17. 관련 문서



[1] 정확히는 니트로플러스 중에서 우로부치 스타일을 뜻함.[2] 나카무라 유이치는 토가이누에서 토모유키와 디만 아니라 여러 엑스트라들을 연기했다.[3] 니트로플러스 키랄 및 BL 컨텐츠 원작의 개러지 킷을 만드는 아마추어 원형사 팀 오니기리의 멤버 중 하나이다.[4] PC, PS2판에는 캐스팅 정보가 아예 안 떠서 불명. 정황상 도도 아사코(오쿠다 카오리)가 담당한 것으로 추정된다.[5] 이외 엑스트라 역으로 안내인을 맡았다.[6] 대부분의 번역을 담당[7] 패치제작과 그래픽 중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