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7 16:00:52

L_Ender's Cataclysm

<colbgcolor=#800080><colcolor=#fff> L_Ender's Cataclysm
<nopad> 파일:Cataclysm 로고.png
제작자 개발자
mcl_ender
아티스트
Mangotastejuice
Sonmok14
LegendNoob07
dogulkkun[1]
Gytator
음악
Rotch Gwylt[2]
LeoDragon01
Yuri O
TheRealGibb50[3]
구조물 제작
EoMoTTy
헤드위그
버전 지원
1.19.2, 1.20.1, 1.21.1
지원 중단
1.16.5, 1.18.2, 1.19.3, 1.19.4
모드로더 포지, 네오포지
다운로드 파일:CurseForge 아이콘.svg파일:CurseForge 아이콘 화이트.svg본 모드
파일:CurseForge 아이콘.svg파일:CurseForge 아이콘 화이트.svg(1.19.4이하) 요구 모드
파일:CurseForge 아이콘.svg파일:CurseForge 아이콘 화이트.svg요구 모드
파일:CurseForge 아이콘.svg파일:CurseForge 아이콘 화이트.svg요구 모드
파일:CurseForge 아이콘.svg파일:CurseForge 아이콘 화이트.svg(1.19.2) 요구 모드[4]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아이템
3.1. 블록
3.1.1. 일반 블록
3.1.1.1. 엔드 돌 계열3.1.1.2. 퍼퍼 블록 계열3.1.1.3. 돌 계열3.1.1.4. 청해석 계열
3.1.2. 특수 블록3.1.3. 함정 블록
3.2. 도구 및 전투
3.2.1. 융합 장비
3.3. 기타 아이템3.4. 삭제 및 더미 데이터
4. 추가되는 몹5. 구조물 및 보스6. 추가되는 상태 효과7. 역대 대규모 업데이트8. 보조 리소스팩9. 기타10. 둘러보기

1. 개요


캡션
<colbgcolor=#fff><colcolor=#FFCBA4>
Yuri O - The Cataclysmfarer(메인 테마곡)
마인크래프트모드, 던전과 보스를 추가하는 모드 중 하나이다.

2. 상세

바닐라 마인크래프트의 몹들과는 격을 달리하는 강력한 몹과 장비를 추가하는 모드로, 단순무식하게 깡딜로 밀어붙이는 게 아니라 각 패턴마다 대처법이 명확하여 밸런스가 잘 잡힌 모드라 평가받는다.[5] 8가지의 구조물과 보스[6]와 다양한 미니 보스를 추가해준다.

이 모드의 콘셉트는 보스와의 전투와 보상이다. 모든 보스는 플레이어 기준으로 디자인되며, 패턴의 발동 조건, 발동 이후 연계될 확률이 높은 패턴, 페이즈 전환 등의 요소가 매우 상세하게 짜여 있다. 때문에 대규모 업데이트 주기가 상당히 느리다. 어느 정도냐면 최종 보스인 이그니스가 디스코드에 2021년 12월 8일에 처음으로 공개되었고, 이그니스의 정식 추가는 2022년 10월 30일에 이루어졌다. 대충 계산해도 11개월이 걸렸으며, 또 다른 보스인 하빈저는 2022년 9월 25일에 처음으로 공개되었고 2023년 2월 25일에 출시되었다. 이그니스보다는 빠르지만 여전히 상당히 긴 주기. 하지만 이 정도는 다른 모드들에 비하면 나름 빠른 편이다. 당장 최종 보스가 7년째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는 Twilight Forest 모드만 봐도...

이러한 호평 요소들이 버무러져 어느새 Alex's Caves와 함께 1.20.1 버전을 주축으로 하는 신세대 모드계의 상징으로 자리잡았다. 이전 1.7.10으로 대표되는 구세대 모드계는 깡스펙만 무식하게 높은 주제에 특별한 동작도 없이 그저 팔을 휘두르는 행동만 반복하는, 소위 '툭툭이'라 불리는 양산형 저질 보스들만 찍어내는 공장에 가까웠다. 물론 Ars Magica 2라던지, 1.17.10 시절부터 지금까지 원조 고퀄리티 보스 모드로 평가받는 Mowzie's Mobs라던지, 뛰어난 퀄리티의 모드가 없지는 않았으나 그럼에도 양산형 저질 모드들의 수가 압도적이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1.12.2 이상으로 넘어가면서 Into the Maelstrom으로 대표되는 고퀄리티 모드들이 서서히 출현하기 시작했고, 결국 대격변에 와서 제대로 포텐을 터뜨렸다는 평이다.

3. 아이템

3.1. 블록

주로 바닐라 마인크래프트의 블록들의 변형이 추가된다. 기능성 블록의 비중은 적으며, 핵심 제작 블록인 기계식 융합 모루 정도만 만들어도 충분하다.

3.1.1. 일반 블록

윤나는 사암
(Polished Sandstone)
파일:대격변/윤나는 사암.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건축

흑요석 벽돌
(Obsidian Bricks)
파일:대격변/흑요석 벽돌.png파일:대격변/흑요석 벽돌 계단.png파일:대격변/흑요석 벽돌 반 블록.png파일:대격변/흑요석 벽돌 담장.png파일:대격변/조각된 흑요석 벽돌.png
흑요석 벽돌, 계단, 반 블록, 담장, 조각된 흑요석 벽돌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건축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마인크래프트/흑요석,s2=마인크래프트/흑요석,s3=,
s4=마인크래프트/흑요석,s5=마인크래프트/흑요석,s6=,
s7=,s8=,s9=,
output=대격변/흑요석 벽돌,qty=4
)]
}}}}}}}}} ||
흑요석 벽돌은 흑요석 4개를 조합하거나 흑요석 1개를 석재 절단기로 가공해서 만들 수 있다. 어둡고 칙칙한 질감을 지녔으며, 원본이 흑요석인만큼 굉장히 단단해서 건축에 쓰기 좋다. 여러모로 간지와 실용성을 동시에 챙긴 블록.

후렴 판자
(Chorus Planks)
파일:대격변/후렴 판자_新.png파일:대격변/후렴 계단_新.png파일:대격변/후렴 반 블록_新.png파일:대격변/후렴 울타리_新.png
후렴 판자, 계단, 반 블록, 울타리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건축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마인크래프트/후렴과,s2=마인크래프트/후렴과,s3=,
s4=마인크래프트/후렴과,s5=마인크래프트/후렴과,s6=,
s7=,s8=,s9=,
output=대격변/후렴 판자,qty=2
)]
}}}}}}}}} ||
후렴과 4개로 조합 가능하며, 먹는 것은 불가능하고 일반적인 판자처럼 사용할 수 있다. 엔드 버전 진홍빛 판자와 뒤틀린 판자의 포지션이라고 할 수 있겠다.

던전 블록
(Dungeon Block)
파일:대격변/던전 블록.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건축
대격변 모드의 보스 던전들을 감싸고 있는 주요 블록 중 하나. 기반암처럼 서바이벌 모드에서 파괴가 불가능한 블록으로, 던전의 지형을 임의로 바꾸지 못하게 막고 보스몹이 함부로 구조물 밖으로 나가지 않게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석영 벽돌 담장
(Quartz Brick Wall)
파일:대격변/석영 벽돌 담장.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건축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s2=,s3=,
s4=마인크래프트/석영 벽돌,s5=마인크래프트/석영 벽돌,s6=마인크래프트/석영 벽돌,
s7=마인크래프트/석영 벽돌,s8=마인크래프트/석영 벽돌,s9=마인크래프트/석영 벽돌,
output=대격변/석영 벽돌 담장,qty=6
)]
}}}}}}}}} ||
석영 벽돌을 제작대에서 6개를 모아 조합하거나 석재 절단기로 가공해서 제작할 수 있다. 꽤나 깔끔하고 수려한 디자인을 지녔다.

공허석
(Void Stone)
파일:대격변/공허석_新.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재료
함정 블록 제작에 필요하다. 강도가 매우 뛰어나서 건축에 사용해도 문제 없다. 제작은 불가능하고, 폐허가 된 성채의 공터에서만 채굴해 갈 수 있다. 설정상 엔더 수호자의 슈트는 이 공허석을 소재로 제작되었다고 한다.

공허 랜턴 블록
(Void Lantern Block)
파일:대격변/공허 랜턴_新.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광원
밝기 15
바다 랜턴의 팔레트 스왑. 제작 불가능에 습득 방법도 엔드의 폐허가 된 성채 보스방에서 습득하는 방법밖에 없어서 이걸 굳이 쓸 바엔 밝기가 같고 습득 난이도도 훨씬 쉬운 발광석이나 바다 랜턴을 쓰는 게 낫다. 굳이 이점을 찾자면 발광석과 바다 랜턴보다 강도가 훨씬 높다는 것.

이그니티움 블록
(Ignitium Block)
파일:대격변/이그니티움 블록.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건축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대격변/이그니티움 주괴,s2=대격변/이그니티움 주괴,s3=대격변/이그니티움 주괴,
s4=대격변/이그니티움 주괴,s5=대격변/이그니티움 주괴,s6=대격변/이그니티움 주괴,
s7=대격변/이그니티움 주괴,s8=대격변/이그니티움 주괴,s9=대격변/이그니티움 주괴,
output=대격변/이그니티움 블록,b=b
)]
}}}}}}}}} ||
이그니티움 주괴 9개로 제작 가능하다.

위더라이트 블록
(Witherite Block)
파일:대격변/위더라이트 블록.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건축 및 재료

하빈저 처치 보상. 하빈저 처치 이외에도 위더라이트 주괴 9개를 압축하여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이걸로 건축을 할 생각이 아니라면 보통은 얻자마자 바로 분해해 위더라이트 주괴로 만들 것이다.

후술하겠지만, 원래 이 아이템은 명령어로만 얻을 수 있는 더미데이터 아이템이였다.
3.1.1.1. 엔드 돌 계열
윤나는 엔드 돌
(Polished End Stone)
파일:대격변/윤나는 엔드 돌.png파일:대격변/윤나는 엔드 돌 계단.png파일:대격변/윤나는 엔드 돌 반 블록.png
윤나는 엔드 돌, 계단, 반 블록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건축
윤나는 엔드 돌은 엔드 돌을 석재 절단기로 가공해서 제작할 수 있다. 반 블록, 계단도 있다. 별다른 특징은 없는 편.

엔드 돌 기둥
(End Stone Pillar)
파일:대격변/엔드 돌 기둥.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건축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s2=마인크래프트/엔드 석재 벽돌,s3=,
s4=,s5=마인크래프트/엔드 석재 벽돌,s6=,
s7=,s8=,s9=,
output=대격변/엔드 돌 기둥
)]
}}}}}}}}} ||
엔드 돌 기둥은 엔드 석재 벽돌 2개를 조합하여 만들 수 있다. 보는 방향에 따라 다른 각도로 설치된다. 디자인이 꽤나 깔끔한 편.

조각된 엔드 석재 벽돌
(Chiseled End Stone Bricks)
파일:대격변/조각된 엔드 석재 벽돌.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건축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s2=마인크래프트/엔드 석재 벽돌 반 블록,s3=,
s4=,s5=마인크래프트/엔드 석재 벽돌 반 블록,s6=,
s7=,s8=,s9=,
output=대격변/조각된 엔드 석재 벽돌
)]
}}}}}}}}} ||
조각된 엔드 석재 벽돌은 엔드 석재 벽돌 반 블록을 2개 조합하여 만들 수 있다. 닫힌 셜커로 추정되는 문양이 조각되어 있다. 엔더 수호자의 정체를 생각하면 꽤나 의미심장하다.

공허가 주입된 엔드 석재 벽돌
(Void Infused End Stone Bricks)
파일:대격변/공허가 주입된 엔드 석재 벽돌_新.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건축
엔드 석재 벽돌에 공허석을 아무렇게나 박아놓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제작은 불가능.
3.1.1.2. 퍼퍼 블록 계열
조각된 퍼퍼 블록
(Chiseled Purpur Block)
파일:대격변/조각된 퍼퍼블록_新.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건축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마인크래프트/퍼퍼 블록,s2=마인크래프트/퍼퍼 블록,s3=,
s4=마인크래프트/퍼퍼 블록,s5=마인크래프트/퍼퍼 블록,s6=,
s7=,s8=,s9=,
output=대격변/조각된 퍼퍼 블록,qty=4
)]
}}}}}}}}} ||
조각된 퍼퍼 블록은 퍼퍼 블록 4개를 조합하거나 퍼퍼 블록을 석재 절단기로 가공해서 만들 수 있다. 엔더의 눈으로 추정되는 문양이 조각되어 있다.

퍼퍼 담장
(Purpur Wall)
파일:대격변/퍼퍼 담장.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건축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마인크래프트/퍼퍼 블록,s2=마인크래프트/퍼퍼 블록,s3=마인크래프트/퍼퍼 블록,
s4=마인크래프트/퍼퍼 블록,s5=마인크래프트/퍼퍼 블록,s6=마인크래프트/퍼퍼 블록,
s7=,s8=,s9=,
output=대격변/퍼퍼 담장,qty=6
)]
}}}}}}}}} ||
퍼퍼 담장은 퍼퍼 블록 6개를 조합하거나 석재 절단기로 제작 가능하다. 일반적인 담장의 기능을 수행한다.

퍼퍼 타일
(Purpur Tile)
파일:대격변/퍼퍼 타일.png파일:대격변/퍼퍼 타일 계단.png파일:대격변/퍼퍼 타일 반 블록.png파일:대격변/퍼퍼 타일 담장.png파일:대격변/퍼퍼 타일 기둥.png
퍼퍼 타일 벽돌, 계단, 반 블록, 담장, 기둥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건축
퍼퍼 타일은 일반 퍼퍼 블록을 4개 모아 조합하거나 석재 절단기로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다. 계단, 반 블록, 담장, 기둥도 존재.

공허 퍼퍼 타일
(Void Purpur Tile)
파일:대격변/공허 퍼퍼 타일.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건축
공허 퍼퍼 타일은 퍼퍼 타일 8개와 공허석 1개를 조합해 만들 수 있다.
3.1.1.3. 돌 계열
돌 기둥
(Stone Pillar)
파일:대격변/돌 기둥.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건축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s2=마인크래프트/돌,s3=,
s4=,s5=마인크래프트/돌,s6=,
s7=,s8=,s9=,
output=대격변/돌 기둥,qty=2
)]
}}}}}}}}} ||
돌을 제작대에서 2개 모아 조합하거나 석재 절단기로 가공해서 제작할 수 있다. 전면부의 디자인이 엔드 돌 기둥과 팔레트 스왑 수준으로 똑같이 생겼으나, 위아래의 디자인은 다르다. 강도 자체는 엔드 돌 기둥보다 떨어진다.

조각된 석재 벽돌 기둥
(Chiseled Stone Brick Pillar)
파일:대격변/조각된 석재 벽돌 기둥.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건축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s2=마인크래프트/조각된 석재 벽돌,s3=,
s4=,s5=마인크래프트/조각된 석재 벽돌,s6=,
s7=,s8=,s9=,
output=대격변/조각된 석재 벽돌 기둥,qty=2
)]
}}}}}}}}} ||
조각된 석재 벽돌을 제작대에서 2개 모아 조합하거나 석재 절단기로 가공해서 제작할 수 있다. 별다른 특징은 없다.

돌 타일
(Stone Tiles)
파일:대격변/돌 타일.png파일:대격변/돌 타일 계단.png파일:대격변/돌 타일 반 블록.png
돌 타일, 계단, 반 블록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건축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마인크래프트/석재 벽돌,s2=마인크래프트/석재 벽돌,s3=,
s4=마인크래프트/석재 벽돌,s5=마인크래프트/석재 벽돌,s6=,
s7=,s8=,s9=,
output=대격변/돌 타일,qty=4
)]
}}}}}}}}} ||
석재 벽돌을 제작대에서 4개 모아 조합하거나 석재 절단기로 가공해서 제작할 수 있다. 심층암 타일 계열의 팔레트 스왑으로, 강도 자체는 심층암 타일보다 떨어진다.

서리 낀 석재 벽돌
(Frosted Stone Bricks)
파일:대격변/서리_낀_석재_벽돌.png파일:대격변/서리_낀_석재_벽돌_계단.png파일:대격변/서리_낀_석재_벽돌_반_블록.png파일:대격변/서리_낀_석재_벽돌_담장.png
서리 낀 석재 벽돌, 계단, 반 블록, 담장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건축
서리 낀 석재 벽돌은 석재 벽돌 8개와 눈 블록 1개를 조합해 만들 수 있는 블록으로, 계단, 반 블록, 담장 3가지의 파생이 존재한다. 서리 감옥을 이루고 있는 블록 중 하나이기도 하다.
3.1.1.4. 청해석 계열

3.1.2. 특수 블록

EMP
(EMP)
파일:대격변/EMP.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고대의 공장 로봇 그로기
고대의 공장 중심부에 배치된 블록. 레드스톤 신호를 주면, 파동을 일으키며 범위 내에 있는 개체에 적은 피해를 준다. 또한 고대의 공장에 있는 로봇들은 이 파동에 휘말릴 시 잠시 그로기 상태가 된다.[7] 1번 사용하면 작동 불능이 되지만, 전력 공급이 없는 상태에서 배회자와 하빈저의 필살기인 죽음의 레이저가 이 블록에 적중할 시 에너지가 충전되어 재사용이 가능해진다.

기계식 융합 모루
(Mechanical Fusion Anvil)
파일:mechanical_fusion_anvil_1_.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장비 융합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대격변/위더라이트 주괴,s2=대격변/위더라이트 주괴,s3=대격변/위더라이트 주괴,
s4=마인크래프트/레드스톤 블록,s5=마인크래프트/모루,s6=마인크래프트/레드스톤 블록,
s7=대격변/위더라이트 주괴,s8=대격변/위더라이트 주괴,s9=대격변/위더라이트 주괴,
output=mechanical_fusion_anvil_1_
)]
}}}}}}}}} ||
위더라이트 주괴 6개와 레드스톤 블록 2개, 모루로 제작할 수 있다. 기존 모루와 달리 손상되지 않고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융합 장비를 만들 때 필요한 블록이다.

3.0.0 업데이트 이후로 새로운 모델로 변경되었다.
파일:대격변/기계식 융합 모루.png
3.0.0 이전 버전의 기계식 융합 모루


심연의 알
(Abyssal Egg)
파일:대격변/심연의 알.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아기 레비아탄 부화
레비아탄 처치 보상. 설치하고 일정 시간이 흐르면 아기 레비아탄이 부화한다. 발로 아무리 밟아도 깨지지 않는다. 참고로 안을 잘 들여다보면 아기 레비아탄의 태아가 들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허의 제단
(Altar of Void)
파일:대격변/공허의 제단.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엔더 수호자 소환
폐허가 된 성채의 최심부에 배치된 제단. 플레이어가 접근하면 부서지며 엔더 수호자를 소환한다. 서바이벌에선 얻을 수 없고 크리에이티브나 명령어로 획득 가능하다.

자수정 제단
(Altar of Amethyst)
파일:대격변/자수정 제단.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아이템 축복
가라앉은 도시에 배치된 제단. 자수정 게살을 바치면 일정 시간 동안 빛을 뿜으며, 뒤이어 축복받은 자수정 게살로 바꿔 준다.

심연의 제단
(Altar of Abyss)
파일:대격변/심연의 제단.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레비아탄 소환
가라앉은 도시 최심부에 설치된 제단. 레비아탄의 입이 달린 특이한 생김새를 지녔다. 심연의 제물을 바치면 제단의 입이 닫히며 심연의 제물을 집어삼키고, 뒤이어 레비아탄을 소환한다.

불의 제단
(Altar of Fire)
파일:대격변/불의 제단.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이그니스 소환
불타는 투기장 최상층에 설치된 제단. 제단 위에서 활활 타오르는 불꽃이 특징. 타오르는 잿더미를 바치면 제단에서 불꽃 마법진이 일어나며, 뒤이어 이그니스를 소환한다.

3.1.3. 함정 블록

함정 블록은 해당 블록 위에 개체가 올라가거나 레드스톤 신호를 받는 등 조건을 충족하였을 시 특수한 기믹을 발동시키는 블록이다. 기믹 발동 후에는 잠시 작동 불능 상태로 들어가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기능을 회복한다. 던전에서 캐 오거나, 조합을 통해 직접 만드는 방식으로 구할 수 있다. 거처 방호용으로 사용하거나 레드스톤 함정과 연계시켜 사용하면 그럭저럭 괜찮은 성능을 낸다.
엔드 함정 석재 벽돌
(End Stone Trap Block)
파일:대격변/엔드 함정 석재 벽돌.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함정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마인크래프트/엔드 석재 벽돌,s2=마인크래프트/엔드 석재 벽돌,s3=마인크래프트/엔드 석재 벽돌,
s4=마인크래프트/엔드 석재 벽돌,s5=대격변/공허석,s6=마인크래프트/엔드 석재 벽돌,
s7=마인크래프트/엔드 석재 벽돌,s8=마인크래프트/엔드 석재 벽돌,s9=마인크래프트/엔드 석재 벽돌,
output=대격변/엔드 함정 석재 벽돌,qty=8
)]
}}}}}}}}} ||
엔드 함정 석재 벽돌은 엔드 석재 벽돌 8개와 공허석을 조합하여 만들 수 있다. 위에 개체가 올라가면 실명 상태 효과를 1초간 부여하고 무작위 위치로 순간이동시킨다.

흑요석 함정 벽돌
(Obsidian Trap Bricks)
파일:대격변/흑요석 함정 벽돌.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함정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대격변/흑요석 벽돌,s2=대격변/흑요석 벽돌,s3=대격변/흑요석 벽돌,
s4=대격변/흑요석 벽돌,s5=대격변/공허석,s6=대격변/흑요석 벽돌,
s7=대격변/흑요석 벽돌,s8=대격변/흑요석 벽돌,s9=대격변/흑요석 벽돌,
output=대격변/흑요석 함정 벽돌,qty=8
)]
}}}}}}}}} ||
흑요석 함정 벽돌은 흑요석 벽돌 8개와 공허석을 조합하여 만들 수 있다. 위에 개체가 올라가면 엔드 입자를 생성하며 주위의 개체를 끌어당기고, 뒤이어 폭발을 일으켜 큰 피해를 준다.

단일 블록으로써는 끌어당기는 힘이 그렇게 강하진 않으나, 2~4개의 흑요석 함정 벽돌을 한곳에 몰아넣으면 작동될 때 당기는 힘이 중첩되어 꽤 재빠른 몹들의 움직임까지 완벽히 봉쇄할 수 있다.

퍼퍼 함정 블록
(Purpur Trap Block)
파일:대격변/퍼퍼 함정 블록.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함정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마인크래프트/퍼퍼 블록,s2=마인크래프트/퍼퍼 블록,s3=마인크래프트/퍼퍼 블록,
s4=마인크래프트/퍼퍼 블록,s5=대격변/공허석,s6=마인크래프트/퍼퍼 블록,
s7=마인크래프트/퍼퍼 블록,s8=마인크래프트/퍼퍼 블록,s9=마인크래프트/퍼퍼 블록,
output=대격변/퍼퍼 함정 블록,qty=8
)]
}}}}}}}}} ||
퍼퍼 함정 블록은 퍼퍼 블록 8개와 공허석으로 제작 가능하다. 위에 개체가 올라가면 속도 감소 4레벨 상태 효과를 2초간 부여하며, 곧바로 공허의 룬이 솟아나 마법 피해를 준다.

사암 함정
(Sandstone Trap)
파일:대격변/사암 독침 함정.png파일:대격변/사암 점화 함정.png파일:대격변/사암 추락 함정.png
독침, 점화, 추락 함정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함정

저주받은 피라미드 곳곳에 존재하는 함정 블록들.

사암 독침 함정은 함정 블록 중 유일하게 수동으로 발동시키는 함정으로, 레드스톤 신호를 받으면 전방에 독침을 발사해 피격된 개체에 피해를 주고 독 2레벨 상태 효과를 5초간 부여한다.

사암 점화 함정은 위에 개체가 올라가면 위쪽으로 강렬한 불기둥을 뿜어 함정에 걸려든 개체에 화염 피해를 준다.

사암 추락 함정은 평상시엔 중력의 영항을 받지 않는 상태로 있다가 위에 개체가 올라가면 중력이 적용되어 곧바로 떨어진다.

3.2. 도구 및 전투

개화의 돌 견갑
(Bloom Stone Pauldrons)
파일:대격변/개화의 돌 견갑.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몸통에 착용
방어 포인트 8
부가 효과 방어 강도 2
밀치기 저항 1
능력 사방으로 자수정 가시 발사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대격변/자수정 게 껍데기,s2=,s3=대격변/자수정 게 껍데기,
s4=대격변/자수정 게 껍데기,s5=대격변/자수정 게 껍데기,s6=대격변/자수정 게 껍데기,
s7=대격변/자수정 게 껍데기,s8=대격변/자수정 게 껍데기,s9=대격변/자수정 게 껍데기,
output=대격변/개화의 돌 견갑)]
}}}}}}}}} ||
자수정 게 껍대기를 8개 모아 조합하여 만들 수 있는 갑옷. 자수정이 박힌 돌덩이를 갑옷 모양으로 다듬은 듯한 생김새를 지녔다. 착용한 상태에서 기술 키를 누르면 전방위에 자수정 가시 8개를 흩뿌려 피격된 개체에 피해를 준다. 공격 기능에 더해 순정 성능으로 다이아몬드 흉갑과 동일한 방어력 및 방어 강도를 제공하기에 마냥 나쁘지만은 않은 장비.

그러나 개화의 돌 견갑의 재료를 드랍하는 자수정 게가 지하의 무성한 동굴에서만 낮은 확률로 생성되기 때문에 작정하고 노가다하지 않는 이상 해당 갑옷을 갖출때 쯤이면 다이아몬드 갑옷 세트가 이미 장만되어 있을 확률이 높다는 점이 흠.

산호 창
(Coral Spear)
파일:대격변/산호 창.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근접 전투 및 투척
공격력 6.5
공격 속도 1.1
내구도 110

심연꾼 처치 시 낮은 확률로 떨구는 무기. 전체적인 성능은 바닐라 마인크래프트의 삼지창의 하위 호환으로,[8] 삼지창처럼 투척 기능이 달려 있고 삼지창 전용 마법 부여를 이 산호 창에도 바를 수 있다. 삼지창을 구하지 못했다면 대체 무기로 쓸만하다.

다만 기본적으로 몬스터 드롭 무기라서 그런지 획득 확률이 끔찍하게 낮고, 그 확률을 뚫고 겨우 획득해도 내구도 상태가 시망일 확률이 매우 높다. 이는 후술할 산호 바르디슈도 마찬가지. 자체 내구도도 그렇게 높지 않아 써먹고자 한다면 내구성 마법부여는 필수이다.

산호 바르디슈
(Coral Bardiche)
파일:cataclysm__coral_bardiche.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근접 전투 및 투척
공격력 10
공격 속도 0.8
내구도 160

난폭한 심연꾼 처치 시 낮은 확률로 떨구는 무기. 난폭한 심연꾼이 사용하는 무기이다. 산호 창의 상위 호환이자 삼지창의 상호 호환으로, 삼지창에서 공격력을 조금 올린 대신 느린 공격 속도를 가졌다. 다만 난폭한 심연꾼의 끔찍하게 낮은 스폰률과, 마찬가지로 끔찍하게 낮은 무기 드롭 확률 때문에 습득 난이도는 삼지창과 엇비슷하다.

의식용 단검
(Athame)
파일:cataclysm__athame__{Damage__0}.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근접 전투 및 재료
공격력 5
공격 속도 2.2
내구도 250

심연꾼 사제와 심연꾼 흑마법사 처치 시 100% 확률로 떨구는 무기. 심연꾼 사제와 심연꾼 흑마법사가 사용하는 무기이다. 공격력이 5로 매우 낮지만 대신 매우 빠른 공격 속도를 자랑한다. 전투용으로는 영 별로지만 심연의 제물을 만드는 데 쓰이는 소재 중 하나이기에 레비아탄을 소환하기 위해 필수로 구해야 한다.

생긴 건 단검이지만 아이템에 검 태그가 붙어있어 검 관련 마법을 부여할 수 있다.

지옥불 용광로
(Infernal Forge)
파일:대격변/지옥불 용광로.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근접 전투
공격력 13
공격 속도 1
스킬 내려찍기 & 화염 내려찍기(체력이 부족할 때)
내구도

네더라이트 괴물 처치 보상. 용암을 품은 초대형 네더라이트 망치로, 공격 속도가 느리지만 매우 높은 공격력과 보통 무기보다 강한 밀치기 위력, 둔탁한 타격음이 특징. 주로 사용하는 손에 있을 때 블록을 우클릭하면 지면을 강타해 광역 피해를 입히고 공중에 띄우는데,[9] 사용자의 체력이 절반 이하로 떨어진 상태에서 사용하면 스킬에 화상 부여가 추가된다.

참고로 곡괭이로 분류되기에 채굴에 사용할 수 있다. 능력치는 네더라이트 곡괭이와 동일할 뿐만 아니라, 내구도가 무한이라 중간에 파괴될 걱정 없이 영구히 쓸 수 있다. 현재는 절륜한 성능의 장비와 특수 기능을 가진 무기들이 많이 나와 전투용으로써는 빛이 조금 바랬지만[10] 내구도 무한이라는 단순하면서도 우수한 특징과 도구이면서 무기로 사용 가능하다는 점 덕분에 범효율적인 장비로 사용할 수 있다.

단점은 커다란 크기 때문에 1인칭 화면을 많이 가린다는 점. 이는 융합무기인 공허 용광로에도 해당되는 단점이다.

참고로 충격파는 우클릭을 누른 블록을 중심으로 원형 지름 2블록 범위로 다소 좁은 편이며 블록에 대고 우클릭해야 충격파가 터지는 구조이므로 몹과 가까이 부대껴 있는 등의 이유로 블록이 아닌 몹을 우클릭하면 충격파가 나가지 않으니 주의하자.

괴물같은 투구
(Monstrous Helm)
파일:대격변/괴물같은 투구.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
방어 포인트 3
부가 효과 방어 강도 3
밀치기 저항 1
능력 체력이 절반 이하로 떨어졌을 때 괴력 상태 효과 부여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대장장이 작업대 <colbgcolor=#c6c6c6>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대장장이 작업대.svg
### ▼ 출력 슬롯 시작
#!if qty != nu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 margin-left:-100%;"
[[파일:마인크래프트/개수/.svg|width=36]]}}}
}}}}}}}}} ||

대장장이 작업대에서 네더라이트 투구와 네더라이트 형판, 네더라이트 괴물 처치 보상인 괴상한 뿔을 조합하여 제작할 수 있는 투구. 양옆에 달린 커다란 뿔이 인상적이다. 착용 시 체력이 절반 이하로 떨어졌을 때 괴력 버프를 부여해 주변의 개체를 날려버리고 방어력, 밀치기 저항, 체력 회복량을 높여준다.

공허의 갈래 화살
(Void Scatter Arrow)
파일:대격변/공허의 갈래 화살.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전투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s2=대격변/공허의 턱,s3=,
s4=,s5=마인크래프트/분광 화살,s6=,
s7=,s8=,s9=,
output=대격변/공허의 갈래 화살,qty=2
)]
}}}}}}}}} ||
분광 화살에 엔더마프테라 처치 보상인 공허의 턱을 조합하여 만들 수 있다. 적중하거나 고체 블록에 닿으면 깨져 파편이 튀기는데, 이 파편도 적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파편이 무적 시간을 무시하기에 성능은 뛰어난 편이나, 활에 무한 마법이 걸려있어도 무한 마법 부여의 효과를 무시하고 소모된다.

공허 코어
(Void Core)
파일:대격변/공허 코어.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재료, 전투
엔더 골렘 처치 보상. 전방을 보고 블록을 우클릭하면 공허의 룬을 일자로, 아래를 쳐다보고 우클릭 하면 원형으로 공허의 룬을 생성한다. 공허 계열 융합 무기의 소재로도 쓰인다.

수호의 건틀릿
(Gauntlet of Guard)
파일:대격변/수호의 건틀릿.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근접 전투
공격력 11
공격 속도 1.6
스킬 엔더 그래비테이션
내구도

엔더 수호자 처치 보상. 팔 전체를 덮는 거대한 건틀릿이다. 착용 중에는 방어력 및 방어 강도를 얻으며 우클릭으로 염력을 사용해 개체를 끌어당길 수 있다.

대격변 보스 드랍 장비 중에서는 효용성이 낮은 축에 속한다. 평타 DPS만큼은 소각자보다 강하지만 스킬도 단순히 개체를 끌어오는 것에서 그치는데 보조 능력 때문인지 방패와 후술할 타이달 클로와 같이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빠른 공격속도 역시 대격변 모드의 보스들을 상대로는 오히려 불리해지는 것도 단점.

불꽃의 보루와 융합해 보루의 건틀릿을, 병속의 모래 폭풍과 융합해 소용돌이의 건틀릿을 만들 수 있다.

미트 슈레더
(Meat Shredder)
파일:대격변/미트 슈레더.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근접 전투
공격력 8.5(기본), 초당 10(갈아버리기)
공격 속도 1.4
스킬 갈아버리기
내구도

위더라이트 주괴로 제작할 수 있는 근접무기. 배회자가 사용하는 톱날을 이용한 근접 무기이다.

우클릭을 누르면 전방에 있는 개체에 1의 피해를 지속적으로 준다. 이 공격은 무적 프레임을 무시하고 초당 10의 피해를 줄 수 있으며 판정은 조금 좁으나 공격 범위에 들어오기만 하면 다수의 대상을 공격할 수 있다. 이 피해는 또한 날카로움, 힘 상태 효과에 영향을 받는다. 대신 톱을 작동시키는 동안은 움직임이 느려지고 달리기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말뚝딜을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철 도끼보다 살짝 약한 정도에 불과한 자체 공격력에만 의존해야 하며 방어력을 가진 대상에게는 특수 공격의 피해량이 소숫점 수준으로 약해져서 불리한 감이 있다.

우클릭은 무적 프레임 상태에서도 피해가 들어가므로 공격을 박은 직후 바로 우클릭을 눌러 톱을 작동시키면 딜레이 없이 공격이 들어가기 때문에, 치명타와 스킬을 동시에 먹이면 방어력이 없는 대상에 한해 마법 부여 없이 초당 27에 달하는 강력한 피해를 줄 수 있다.

견착식 위더 무기
(Wither Assault Shoulder Weapon)
파일:대격변/견착식 위더 무기.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원거리 전투
공격력 5(위더 미사일), 평균 10(위더 곡사포)[11]
공격 속도
스킬 위더 곡사포
내구도

위더라이트 주괴 2개, 화약 4개, 레드스톤 블럭 1개로 제작하는 무기. M202 FLASH와 유사한 외형을 지니고 있다.

위더 로켓을 발사하는 원거리 무기이며 두 가지 공격방식을 가졌다. 우클릭을 약 0.6초 정도 눌렀다 떼면 발사 가능하며 기본 발사는 일직선으로 빠르게 날아가는 위더 미사일을 발사해 맞은 적에게 15~16의 피해를 주고 시듦 2레벨 상태 효과를 부여한다. 왼쪽 쉬프트를 누른 상태로 발사하면 위더 미사일 대신 위더 곡사포를 발사하는데, 낙차가 생기고 탄속이 매우 느려지지만 4m 범위에 위더 구름을 형성해 지속 피해 및 7초동안 시듦 1레벨 상태 효과를 부여하는 위더 구름을 생성한다. 위더 구름은 시간이 지날수록 범위가 좁아지며 저절로 사라진다. 공격방식에 따라 쿨타임이 달라지며 미사일은 3초, 곡사포는 6초의 재사용 대기 시간을 가진다. 위더 곡사포의 위더 구름은 발사한 플레이어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

직격으로 맞추지 못하면 위력을 장담하기 어려우나 탄약을 전혀 소모하지 않으며, 손쉽게 시듦 상태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 그러나 시듦 상태의 느린 지속 피해와, 힘 V가 부여된 활보다 위력이 낮고 마법부여로 성능을 끌어올릴 수 없다는 는 점 때문에 잡몹 상대로는 강하지만 보스같이 강한 적을 상대할 수록 약해지는 감이 있다.

공허 코어와 융합해 견착식 공허 무기로 만들 수 있다.

레이저 개틀링
(Laser Gatling)
파일:대격변/레이저 개틀링.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원거리 전투
공격력 7~8
공격 속도 -
스킬 레이저탄 난사
내구도 50(탄환)

위더라이트 주괴로 제작 가능한 원거리 무기. 적중 시 피해를 주고 화상을 부여하는 레이저탄을 난사한다. 이 레이저는 개체를 관통할 수 있어 다수의 몹을 타격할 수 있다. 한 번에 50발의 레이저를 발사할 수 있으며 플레이어의 인벤토리에 레드스톤 가루가 있으면 가루를 소모해서 자동으로 재장전한다.

연사력이 높으나 미트 슈레더와 달리 무적 시간을 무시하고 공격하지 못해 실질적인 DPS는 중간 정도인 데다 역시 화상에 면역인 보스들 상대로는 부적합하다. 관통 투사체 특성을 잘 살려 움직임이 느리거나 예측 가능한 경로로 다가오는 다수의 약한 몹들을 견제하는 데 쓰자.

내구성 마법을 부여하면 탄환이 소모되는 속도가 줄어들고, 수선 역시 부여할 수 있다.

타이달 클로
(Tidal Claws)
파일:대격변/타이달 클로.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근접 전투, 원거리 전투, 3차원 기동
공격력 8(기본 공격력), 초당 3(레비아탄의 촉수)
공격 속도 1.6
스킬 레비아탄의 촉수 & 타이달 갈고리
내구도

레비아탄 처치 보상. 건틀릿 계열 무기로 레비아탄의 안쪽 머리를 떼어다 놓은 듯한 생김새가 특징. 엘든 링의 무기인 접목된 비룡의 오마주로 추정.

본 모드 최고의 유틸성을 보유한 무기로, 적을 눈앞에 둔 채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르면 촉수를 발사해 주변의 몹들을 하나씩 자동으로 공격한다. 유도성이 있어서 허공에 내지르기만 해도 알아서 추적하며 이 공격에 피격당한 대상은 일시적으로 심연의 저주 상태 효과를 받아 지속 피해를 입는다.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갈고리가 발사되며, 블록이나 개체에 닿으면 그대로 안으로 다시 수납되는 것과 동시에 갈고리가 붙었던 곳으로 플레이어를 이동시킨다. 잘만 운용하면 수중에서의 3차원 기동을 재현할 수 있는 뛰어난 범용성을 지녔다. 게다가 쿨타임도 없어서 그래플링 훅만 남발하면 어느새 공중에 떠 있는 자신을 볼 수 있다.

<colcolor=crimson> 절멸자
(Annihilator)
파일:cataclysm__the_annihilator.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근접 전투
공격력 7.5
공격 속도 1.6
스킬 지면 강타
내구도
말레딕투스가 드랍하는 커스뮴 주괴와 흑강 주괴로 제작 가능한 철퇴.

높은 치명타 피해량이 특징으로, 150%의 치명타 배율을 가진 다른 무기들과 달리 치명타 적중 시 225%의 위력 증가율을 가져서 날카로움 마법 부여, 힘 효과 등의 공격력 버프 효과를 보유한 상태에서 치명타를 연타로 꽂아넣으면 무지막지한 DPS가 나온다. 공격력 증가와 치명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철 골렘도 순삭시킬 정도.

단점은 검이 아니므로 휩쓸기 공격이 없다는 것과 기본 위력이 낮다는 점인데, 치명타 없이 때리면 피해량이 다이아몬드 검 정도에 불과하며 휩쓸기 공격이 없으므로 아래의 특수기를 사용하지 않는 이상 휩쓸기 마법이 부여된 검을 사용할 때보다 물량을 정리하기가 어렵다. 다수의 잡몹을 상대할 때보다는 높은 맷집을 가진 적을 상대할 때 빛을 발하는 무기로 볼 수 있다.

절멸자를 양손에 들고 있을 경우 특수기로 범위 공격을 할 수 있다. 우클릭을 눌러 1~2초 가량 차지하면 말레딕투스의 기합소리가 발생하며 이 때 우클릭을 떼면 시전자를 중심으로 5~6m 범위를 타격해 15의 데미지를 주는 충격파를 발생시킨다. 공중에서도 발동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방패 슬롯에 들고 있는 절멸자는 특수기 능력 조건을 충족하는 것 말고는 아무런 기능을 하지 않으니 유의해야 한다.

철퇴이지만 1.21 버전에 추가된 바닐라 철퇴와는 별개의 특징을 지닌 무기이며, 마찬가지로 철퇴 관련 마법부여는 적용할 수 없다.

<colcolor=crimson> 영혼 분쇄자
(Soul Render)
파일:cataclysm__soul_render.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근접 전투, 돌진
공격력 15
공격 속도 1.2
스킬 분쇄의 질주
내구도
말레딕투스가 드랍하는 커스뮴 주괴와 흑강 주괴로 제작 가능한 할버드.

공격속도는 다소 느리지만 소각자보다 조금 더 강한 수준급의 단일 피해량이 특징이며 5칸에 달하는 공격 사거리를 가져 멀리서 안전 거리를 유지하면서 강한 공격을 가할 수 있다. 보스전 시 공격속도가 빠른 무기는 오히려 위력이 반감되는 특성상 영혼 분쇄자처럼 느리지만 강한 공격을 가하는 무기가 유리하며, 긴 사거리라는 장점이 합쳐져서 유용한 무기로 평가받는다.

우클릭을 눌렀다 떼면 돌진기 및 범위기를 사용할 수 있다. 돌진 경로에 따라 지면에 망령 도끼창을 소환해 도트 피해를 입히며 돌진 거리는 우클릭을 누른 시간에 비례한다. 쉬프트 키를 누른 채로 사용하면 돌진 대신 원형으로 범위 공격이 나간다. 영혼 분쇄자의 특수 공격으로 생성되는 망령 도끼창은 공허의 룬처럼 방어력을 무시하는 지속 피해를 입히며 공허의 룬보다 더 강한 피해를 준다.

돌진은 공중에 있을 때도 사용 가능하며 겉날개를 비행하는 도중 돌진을 사용하면 엄청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부스터 용도 소모품인 폭죽 로켓을 대체하는 용도로 사용 가능하며 내구도 소모도 없고 폭죽 로켓보다 더 강한 추진력을 얻으므로 비행 도중 부스터로 쓰기에 매우 유용하다. 참고로 주는 피해 판정은 지면에 가까운 상태에서만 발생한다.

영혼 분쇄자와 방패를 같이 들고 있으면 우클릭을 눌러도 특수기가 사용되지 않고 방어가 우선적으로 나가니 유의하자.

<colcolor=crimson> 저주받은 활
(Cursed Bow)
파일:cataclysm__cursed_bow.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원거리 전투
공격력 -
공격 속도 -
스킬 망령 화살
내구도
말레딕투스가 드랍하는 커스뮴 주괴와 흑강 주괴로 제작 가능한 활.

원거리 무장으로, 기본 능력으로 유도 능력이 있는 망령 화살을 3갈래로 발사한다. 기본으로 다중 발사가 부여된 활이라고 보면 되지만 망령 화살의 유도 능력은 발동 조건이 꽤나 까다로운데, 표적과 너무 가까이 있으면 화살이 표적에 유도되기 전에 빗나가 버리고, 그렇다고 너무 멀리 있으면 다중 발사 특유의 가로로 넓게 퍼지는 집탄율 때문에 가운데의 화살 1발 말고는 빗나가 버리므로 제대로 된 유도가 가능한 적정 거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교적 가까운 거리라면 활을 끝까지 당기지 않고 쏘는 식으로 유도 능력을 발휘할 수 있지만 이러면 공격력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망령 화살 능력은 특수 화살과 같이 사용할 땐 발휘되지 않는다. 이 경우 유도 능력이 삭제되며, 다중 발사 능력으로 발사되는 화살도 2발로 줄어든다. 유도 능력 제거 때문인지 다중 발사의 집탄율은 좋아지지만, 특수 화살이 정중앙이 아닌 조준점 양옆으로 날아가기 때문에 장거리일수록 정확한 조준이 어려울 수 있다.

참고로 망령 화살은 무적 프레임 상태에도 맞춰서 데미지를 줄 수 있다. 3개의 화살이 동시에 꽂히면 그만큼 데미지가 들어가며 산탄총처럼 가까이서 쏴맞춰 순간적으로 강한 피해를 주는 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커스뮴 갑옷
(Cursium Armor)
파일:1000026027.png 파일:1000026028.png파일:1000026029.png파일:1000026030.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머리, 몸통, 다리, 발에 착용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성능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투구 흉갑 레깅스 부츠
방어 포인트
<rowcolor=#373a3c> 5 10 8 5
부가 효과
<rowcolor=#373a3c> 방어 강도 4, 밀치기 저항 0.5
능력
<rowcolor=#373a3c> 유령 시야 언데드 부활 유령 회피 유령의 가벼움
}}}}}}}}} ||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대장장이 작업대 <colbgcolor=#c6c6c6>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대장장이 작업대.svg
### ▼ 출력 슬롯 시작
#!if qty != nu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 margin-left:-100%;"
[[파일:마인크래프트/개수/.svg|width=36]]}}}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대장장이 작업대.svg
### ▼ 출력 슬롯 시작
#!if qty != nu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 margin-left:-100%;"
[[파일:마인크래프트/개수/.svg|width=36]]}}}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대장장이 작업대.svg
### ▼ 출력 슬롯 시작
#!if qty != nu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 margin-left:-100%;"
[[파일:마인크래프트/개수/.svg|width=36]]}}}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대장장이 작업대.svg
### ▼ 출력 슬롯 시작
#!if qty != nu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 margin-left:-100%;"
[[파일:마인크래프트/개수/.svg|width=36]]}}}
}}}}}}}}} ||

커스뮴 투구는 대장장이 작업대에서 네더라이트 투구와 커스뮴 주괴를 조합해 제작한다. 착용 시 기술 키를 눌러 주변 개체에 발광 상태 효과를 7초간 부여한다.

커스뮴 흉갑은 대장장이 작업대에서 네더라이트 흉갑과 커스뮴 주괴를 조합해 만든다. 착용 시 체력이 0이 되면 5의 체력으로 부활하고 10초간 화염 저항 상태 효과를 부여하며, 이후 6분동안 부활이 불가하다.

커스뮴 레깅스는 대장장이 작업대에서 네더라이트 레깅스와 커스뮴 주괴를 조합해 제작한다. 착용 시 회피 능력이 추가되어 공격받을 때 일정 확률로 피해를 받지 않는다. 원거리 공격인 경우 회피 확률이 증가한다.

커스뮴 부츠는 대장장이 작업대에서 네더라이트 부츠와 커스뮴 주괴를 조합해 제작한다. 가벼운 착지 마법 부여처럼 상시 낙하 피해 감소 패시브가 붙으며 기술 키를 눌러 뒤로 빠르게 도약하는 백스텝을 할 수 있다.

청해의 방패
(Azure Sea Shield)
파일:cataclysm__azure_sea_shield__{Damage__0}.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적의 공격 방어
공격력 -
공격 속도 -
스킬 패링
내구도
라크리마와 금 조각, 금괴로 제작할 수 있는 방패. 히포캄투스가 사용하는 방패다.

방패를 올리면 짧은 시간동안 노란색 테두리에 빛이 들어오는데, 이 때 공격이 들어오면 쾅 하고 내려치는 소리와 함께 내려쳐서 자신에게 힘 2, 상대에게 속도 감소 2를 각각 3초동안 부여한다. 자체적으로 힘 버프를 얻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높은 치명타 비율과 빠른 공격속도를 가져 짧은 시간동안 극딜을 넣을 수 있는 절멸자, 임모레이터와 어울린다. 추가적으로 상대에게 부여하는 속도 감소 효과로 도망가려는 적을 확실하게 캐치할 수 있는 것도 장점.

패링 기능 때문인지 청해의 방패로 방어 동작을 취하면 45도 비스듬히 세우는 식으로 방패를 올린다.

아스트라페
(astrape)
파일:cataclysm__astrape.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근접 및 원거리 전투
공격력 10.5
공격 속도 1.4
스킬 번개 창 발사
내구도
라크리마와 폭풍의 정수로 제작할 수 있는 창. 우클릭을 눌렀다 떼면 번개 창을 발사한다. 번개 창은 엔티티들을 관통하고 마법 피해를 입히며, 착탄한 곳에는 작은 번개 장판을 남겨 지속 피해를 준다.

케라우노스
(Ceraunus)
파일:cataclysm__ceraunus.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근접 및 원거리 전투
공격력 16
공격 속도 0.7
스킬 투척
파도 소환
내구도
라크리마와 폭풍의 정수로 제작할 수 있는 닻. 스킬라가 사용하는 무기로 강력한 근접 무기로 사용하거나, 원거리 투척, 범위 공격을 할 수 있다. 공격속도는 느리나 대격변 모드에 등장하는 무기들 중에선 가장 강력한 공격력을 가졌다.

우클릭을 눌렀다 떼면 닻을 던져 강력한 피해를 준다. 던져진 닻의 대미지는 근접 공격 대미지와 같으며, 마법부여의 영향을 받지 않으나 힘 효과를 얻어 추가 대미지를 얻는 상태인 경우 투척 대미지도 같이 증가한다. 던져진 닻은 블록의 표면에 맞거나 엔티티에 적중하면 강한 충격음이 발생하며 도로 사용자에게 되돌아온다. 던져진 닻은 하나의 엔티티만 타격할 수 있다.

웅크린 채 우클릭을 눌렀다 떼면 전방에 4개의 파도를 생성해 범위 피해를 준다. 파도는 전방을 향해 나아가며 닿는 엔티티에게 데미지를 주고 밀쳐냄과 동시에 젖음 상태이상을 부여하고, 파도는 일정 시간동안 유지되며 벽으로 막히더라도 피격 판정을 유지한 채 소멸될 때까지 유지된다. 범위 공격은 투척 공격과는 달리 긴 재사용 대기시간이 있으며, 쿨이 완전히 돌기 전까지는 닻 투척 역시 사용할 수 없다.

범위 공격기가 젖음 상태를 부여한다는 점을 이용해, 젖음 상태의 적에게 추가 피해를 주는 아스트라페의 전기 창 공격과 연계가 가능하다. 그러나 파도에 1~2번만 피격되는 대부분의 상황에선 젖음이 높게 부여되지 않아 강력한 전기 데미지를 뽑아낼 수 없어 케라우노스로 젖음 상태를 가장 높이 뽑아내려면 적을 벽에다 받은 후 범위기를 사용해 파도에 여러 번 피격되게 만들어야 한다. 또한 아스트라페의 아스트라페로 만들 수 있는 전기 장판은 범위가 매우 좁으므로 전기 장판에 오래 묶어놓기 위해 소용돌이 건틀릿같은 속박 기술이나 불꽃의 보루, 보루의 건틀릿같이 기절을 부여할 수 있는 무기가 필요하다.

참고로 닻을 던져서 손이 빈 상태에서도 공격력이 줄어들지 않으므로, 적이 근거리에 있다면 닻을 던져서 먼저 데미지를 준 다음 치명타를 박아 한순간에 40에 가까운 높은 대미지를 줄 수 있다. 닻을 던진 후 다른 무기로 바꿔 연계 공격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던져진 닻 투사체는 공허 밑으로 떨어지지 않으나, 거리에 관계없이 블럭이나 엔티티 등에 타격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다시 돌아오지 않아 낭떠러지 같은 곳에 던지면 수십에서 수백미터를 낙하한 후에야 손으로 돌아오므로 너무 멀리 던지면 그만큼 돌아오기까지의 시간이 늘어난다는. 이 땐 다른 퀵슬롯으로 전환했다가 다시 투척하면 손으로 돌아온다.

소각자
(The Incinerator)
파일:대격변/소각자.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근접 전투
공격력 14[12](기본 공격력), 초당 16(플레임 버스트)
공격 속도 1.3
스킬 플레임 버스트
내구도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s2=마인크래프트/블레이즈 막대기,s3=대격변/이그니티움 주괴,
s4=마인크래프트/블레이즈 막대기,s5=대격변/이그니티움 주괴,s6=마인크래프트/블레이즈 막대기,
s7=마인크래프트/네더라이트 검,s8=마인크래프트/블레이즈 막대기,s9=,
output=대격변/소각자
)]
}}}}}}}}} ||

이그니스 처치 보상인 이그니티움 주괴 2개와 블레이즈 막대기 4개, 네더라이트 검으로 제작할 수 있는 대검. 이그니스가 사용하는 무기이기도 하다. 공격력이 무려 14로 최상위권의 위력을 가졌으며, 공격 속도도 1.3로 나름 빠르다. 때문에 스킬 없이 운용해도 충분히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

스킬은 이그니스가 3 페이즈 때 사용하던 필살기인 플레임 버스트. 충전 시간 동안 주위에 영혼 불꽃 마법진을 그려 천천히 확장시키며, 영혼 불꽃 마법진이 완전히 전개된 상태에서 우클릭을 놓으면 전방에 불꽃 마법진 여러 개와 불기둥을 만들고, 시간이 지나면 불꽃 마법진이 수축하며 폭발해 피해를 준다. 선딜이 3초로 굉장히 길다는 단점이 있지만, 제대로 적중시키면 대부분의 몹들을 손쉽게 압살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강력한 공격력, 준수한 공격 속도, 절륜한 성능의 스킬 등의 이유가 합쳐져 본 모드의 무기들 중에서는 타이달 클로와 함께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다.

아래의 불꽃의 보루와 같은 세트를 이루는 아이템이다. 하지만 방패를 들고 있는 도중에는 플레임 버스트 대신 방어가 나가므로 주의하자.

Epic Fight 모드와 같이 설치할 시 플레임 버스트 스킬이 시전되지 않는 버그가 존재한다.

불꽃의 보루
(Bulwark of The Flame)
파일:대격변/불꽃의 보루.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적의 공격 방어
공격력 5(돌진 공격력), 6(벽 충돌 추가 대미지)
스킬 돌진
내구도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마인크래프트/네더 벽돌(아이템),s2=대격변/이그니티움 주괴,s3=마인크래프트/네더 벽돌(아이템),
s4=마인크래프트/블레이즈 막대기,s5=마인크래프트/방패,s6=마인크래프트/블레이즈 막대기,
s7=마인크래프트/네더 벽돌(아이템),s8=대격변/이그니티움 주괴,s9=마인크래프트/네더 벽돌(아이템),
output=대격변/불꽃의 보루
)]
}}}}}}}}} ||
파일:불보루 인게임.png
인게임 모습
이그니티움 주괴 2개와 네더 벽돌 4개, 블레이즈 막대기 2개와 방패로 제작 가능한 이그니티움 방패. 이그니스가 사용하는 방패이다. 소각자처럼 내구도가 무한이며 웅크린 상태에서 방어를 풀면 전방으로 돌진해 부딪히는 몹에게 피해를 주고 멀리 밀쳐낼 수 있다. 돌진에 맞은 대상이 벽에 부딫치면 추가 피해와 함께 기절 상태에 걸린다.

플레이어가 사용 가능한 대격변 모드의 무장 중에서 몇 안 되는 기절 부여 능력을 가졌으나, 기절 발동 조건이 조건부인데다 조작법도 까다롭고, 지형의 제약을 받기에 CC기만 보고 운용하기엔 손을 많이 타지만, 불꽃의 보루와 함께 사용해 번갈아 기절을 먹이면 오랫동안 몹을 무방비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불꽃의 보루의 돌진 능력은 여러 개의 엔티티를 타격할 수 있으며 보스들까지 매우 먼 거리를 밀쳐내므로 보스전 중 밀치기를 활용해 안전 거리를 확보하는 데 사용할 여지가 있다.

참고로 이 무기는 소각자가 출시되기 전에도 개발자 아이템으로 크리에이티브 창에 존재했으며 정식 추가 이후 외형이 달라졌다.

이그니티움 갑옷
(Ignitium Armor)
파일:대격변/이그니티움 투구.png파일:대격변/이그니티움 흉갑.png파일:대격변/이그니티움 각반.png파일:대격변/이그니티움 부츠.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머리, 몸통, 다리, 발에 착용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성능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투구 흉갑 레깅스 부츠
방어 포인트
<rowcolor=#373a3c> 6 11 9 6
부가 효과
<rowcolor=#373a3c> 방어강도 4, 밀치기 저항 1.5
능력
<rowcolor=#373a3c> 용암 친화 겉날개와 조합 가능 화염 반사 용암 걸음
}}}}}}}}} ||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대장장이 작업대 <colbgcolor=#c6c6c6>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대장장이 작업대.svg
### ▼ 출력 슬롯 시작
#!if qty != nu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 margin-left:-100%;"
[[파일:마인크래프트/개수/.svg|width=36]]}}}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대장장이 작업대.svg
### ▼ 출력 슬롯 시작
#!if qty != nu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 margin-left:-100%;"
[[파일:마인크래프트/개수/.svg|width=36]]}}}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대장장이 작업대.svg
### ▼ 출력 슬롯 시작
#!if qty != nu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 margin-left:-100%;"
[[파일:마인크래프트/개수/.svg|width=36]]}}}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대장장이 작업대.svg
### ▼ 출력 슬롯 시작
#!if qty != nu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 margin-left:-100%;"
[[파일:마인크래프트/개수/.svg|width=36]]}}}
}}}}}}}}} ||

이그니티움 투구는 대장장이 작업대에서 네더라이트 투구와 이그니티움 주괴를 조합해 제작한다. 착용 시 블레이즈와 마그마 큐브[13]가 착용자에게 중립 상태가 되고, 기술 키를 누르면 주변 개체에 불타는 낙인 효과를 7초간 부여한다.

이그니티움 흉갑은 대장장이 작업대에서 네더라이트 흉갑과 이그니티움 주괴를 조합해 만든다. 별다른 특수 능력이 없으나, 융합 모루에서 겉날개와 융합할 수 있다.

이그니티움 레깅스는 대장장이 작업대에서 네더라이트 레깅스와 이그니티움 주괴를 조합해 제작한다. 착용 시 착용자를 공격한 대상에게 불을 붙이고 불타는 낙인 상태 효과를 부여한다.

이그니티움 부츠는 대장장이 작업대에서 네더라이트 부츠와 이그니티움 주괴를 조합해 제작한다. 착용 시 용암 위를 걸어다닐 수 있다.[14]

3.2.1. 융합 장비

위더라이트 주괴로 제작하는 기계식 융합 모루에서 만들 수 있는 장비들로, 두 장비의 성질을 합친 성능을 가졌다. 장비에 따라 사용 감각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신중하게 알아보는 것이 좋다.

융합한 장비는 다시 분리하거나 되돌릴 수 없다.
공허 용광로
(Void Forge)
파일:대격변/공허 용광로.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근접 전투
공격력 13
공격 속도 1
스킬 보이드 스매시
내구도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기계식 융합 모루 <colbgcolor=#c6c6c6>
}}}}}}}}} ||
기계식 융합 모루에서 지옥불 용광로와 공허 코어를 융합해서 제작할 수 있는 융합 무기. 공격력과 공격 속도는 지옥불 용광로와 같지만, 스킬 시전 시 전방에 부채꼴로 7갈래의 공허의 룬을 생성해 마법 피해를 입힌다.

무적 프레임을 감안하면 보조 능력으로 입힐 수 있는 피해는 지옥불 용광로의 충격파와 거의 동일하나, 공격 범위가 더 넓으며 공허의 룬의 방어력 무시 덕분에 방어력이 높은 적에게도 위력적이다. 하지만 피해를 즉발로 입히지 않고 2번의 다단히트에 걸쳐서 피해를 주기 때문에 몹이 자리를 피하면 피해를 온전히 주지 못할 수 있다.

견착식 공허 무기
(Void Assault Shoulder Weapon)
파일:대격변/견착식 공허 무기.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원거리 전투
공격력 -
공격 속도
스킬
내구도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기계식 융합 모루 <colbgcolor=#c6c6c6>
}}}}}}}}} ||
기계식 융합 모루에서 견착식 위더 무기와 공허 코어를 융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원본과는 달리 공허 곡사포를 발사하는 1가지 발사모드로 고정된다. 때문에 장거리 타격은 어려우나, 공허 곡사포가 착탄한 자리에 폭발 피해와 함께 공허의 룬을 원형으로 생성시켜 매우 넓은 범위에 마법 피해를 준다. 시듦 상태 이상보다 더 높은 피해량을 광범위하게 줄 수 있어 다수의 몹을 섬멸할 수 있으며 방어력을 무시하는 마법 피해를 주기 때문에 방어 패턴을 사용하거나 방어력이 높은 보스에게도 온전히 피해를 줄 수 있어 보스 공략 시 딜을 누적시키기에 매우 탁월하다.

공허 박격포 투사체의 폭발은 발사한 플레이어에게도 데미지를 줄 수 있다. 공허의 룬은 발사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나, 네더라이트 갑옷 풀셋을 입어도 직격으로 투사체 폭발에 맞으면 체력이 반토막나니 최소한 표적과의 거리를 두는 것이 좋다.

보루의 건틀릿
(Gauntlet Of Bulwark)
파일:대격변/보루의 건틀릿.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근접 전투
공격력 11(기본), 12(공염 돌진 직격), 13(벽 충돌)
공격 속도 1.6
스킬 공염 돌진
내구도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기계식 융합 모루 <colbgcolor=#c6c6c6>
}}}}}}}}} ||
기계식 융합 모루에서 수호의 건틀릿과 불꽃의 보루를 융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수호의 건틀릿과 마찬가지로 장비 도중 추가 방어력과 방어 강도를 얻는다.

불꽃의 보루의 돌진 능력을 좀 더 공격적으로 써먹을 수 있게 개선된 것이 특징. 스킬 시전 시 1초의 충전 시간 후에 불꽃을 내뿜어 주위의 개체를 밀어내고 불타는 낙인 디버프를 부여한 뒤, 전방으로 돌진해 피격된 대상에게 12의 피해를 주고 날려버린다. 또한 불꽃의 보루처럼 날려진 적이 벽에 부딫히면 13의 추가 피해와 함께 기절이 걸린다.

1초의 선딜레이가 생겼지만 피해량이 두 배 가까이 상향되어 돌진 공격으로 한 번에 최대 25의 피해를 뽑아낼 수 있다. 기절 콤보를 넣을 수 있다면 우민 계열 몹들까지 한 방에 지워버릴 수 있고 20블록에 달하는 먼 거리까지 날려보낼 수 있는 강력한 밀치기는 덤. 우클릭만 누르면 사용할 수 있어 불꽃의 보루보다 다루기가 쉬워져서 기절을 노리기가 더욱 편해졌다. 그러나 높아진 위력 탓에 체력이 낮은 잡몹 상대로는 기절을 띄우기보다는 죽일 확률이 더 높아 기절 효과를 살리기가 어렵다는 소소한 단점이 있긴 하다.

참고로 보루의 건틀릿을 차지해서 발생하는 불타는 낙인 파동은 쿨타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컨트롤이 따라 준다면 불타는 낙인을 건 다음 무기를 집어넣어 곧바로 다른 무기로 연계하는 게 가능하다. 임모레이터와 같이 사용할 경우 참고하자.

돌진 시전시 순간적으로 강한 추진력을 얻기 때문에 무빙기로 쓸 여지가 있으나 쿨타임이 길어서 신중하게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또한 공중에 너무 높이 떠 있으면 돌진 거리가 낮아지므로 영혼 분쇄자와는 달리 겉날개 부스터 용도로는 쓸 수 없다.

사막의 분노
(Wrath of the Desert)
파일:사막의 분노.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원거리 전투
공격력 발당 6
공격 속도 -
스킬 -
내구도
저주받은 활과 병속의 모래 폭풍을 융합하여 제작 가능한 무기.

3발의 투사체를 날리는 것은 저주받은 활과 동일하나, 망령 화살이 아닌 청록색의 저주받은 모래폭풍을 발사한다. 투사체 속도는 화살보다 크게 느리나 모래폭풍은 고체 블록을 통과하면서 근처 40블록 내에 존재하는 몹을 추적하며, 이 모래폭풍에 피격당한 대상은 사막의 저주 디버프에 걸린다. 사막의 저주 특성상 플레이어 외의 몹은 영향을 받지 않기에 알아만 두자. 단, PvP에선 상당히 유용하다.

활 계열 무기이지만 발사할 때 화살을 요구하지 않는다.

임모레이터
(The Immolator)
파일:임모레이터.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근접 전투
공격력 7.5
공격 속도 1.6
스킬 신멸업화
내구도
절멸자와 이그니티움 주괴를 융합하여 제작할 수 있는 무기. 타오르는 불꽃과도 같은 멋들어진 외형이 인상적인 무기이다. 최초로 아무런 기능도 없는 순수한 재료 아이템을 소재로 요구하는 융합 장비다.[15]

스킬은 절멸자와 마찬가지로 같은 무기를 양손에 들어야 사용 가능. 사용 시 주변에 불꽃이 일어나며, 플레이어를 중심으로 불꽃 마법진을 전개한 뒤 지면을 강타해 거대한 불기둥을 만든다. 즉발 피해는 사라졌지만 이 불기둥에 닿은 몹은 불타는 낙인 디버프에 걸린다. 마법진은 시간이 지날수록 수축하며, 완전히 수축할 시 폭발한다.

스킬 자체의 화력도 출중한 편이지만, 이 무기의 진가는 바로 불타는 낙인에 걸린 몹에게 확정적으로 치명타를 넣는 기능이다. 스킬을 통해 광범위하게 불타는 낙인을 거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것만으로도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보루의 건틀릿이나 이그니티움 각반, 타오르는 손길 등을 같이 사용하면 굳이 스킬의 재사용 대기 시간을 기다릴 필요가 없어진다. 안 그래도 치명타 배율이 높은데, 여기에 빠른 공격 속도와 불타는 낙인의 방어력 경감 효과까지 더해지기 때문에 조건만 갖춰진다면 방어력을 보유한 몹에게도 평등하게 강력한 딜을 욱여넣을 수 있는 무기다.

대신 치명타 배율이 원본인 절멸자와 달리 200%로 낮아졌으며, 불타는 낙인 효과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므로 이그니티움 장비들과의 조합이 강제된다는 점과 원본인 절멸자와 마찬가지로 치명타가 없으면 위력을 온전히 뽑아낼 수 없고 휩쓸기 공격이 없다는 것이 단점.

이그니티움 겉날개 흉갑
(Ignitium Elytra Chestplate)
파일:대격변/이그니티움 겉날개 흉갑.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몸통에 착용, 활강
방어 포인트 11
부가 효과 방어강도 4, 밀치기 저항 1.5
능력 이그니티움 흉갑 + 겉날개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기계식 융합 모루 <colbgcolor=#c6c6c6>
}}}}}}}}} ||
이그니티움 겉날개 흉갑은 기계식 융합 모루에서 이그니티움 흉갑과 겉날개를 조합해 만들 수 있다. 겉날개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내구도도 없기에 폭죽만 충분하다면 수선 걱정 없이 날아다닐 수 있다.

갑옷에 부착된 겉날개는 임의로 탈부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3.3. 기타 아이템

쏠배감펭
(Lionfish)
파일:대격변/쏠배감펭.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음식
배고픔
회복량
1
포만감 0.2
부가 효과 0:15 멀미0:15
쏠배감펭을 처치하여 얻을 수 있다. 다른 물고기들처럼 날로 먹을 수 있지만, 허기 회복량과 포만감이 너무 낮고 독과 멀미 상태 효과까지 세트로 딸려오기에 도저히 먹을 게 못 된다. 한술 더 떠서 익혀 먹는 것도 불가능하기에 사실상 잉여 아이템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자수정 게살
(Amethyst Crab Meat)
파일:대격변/자수정 게살.png파일:대격변/축복 받은 자수정 게살.png
자수정 게살, 축복 받은 자수정 게살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음식
배고픔
회복량
6
포만감 14.4
부가 효과 재생0:05, 둘 다
자수정의 축복1:30, 축복 받은 자수정 게살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자수정 제단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법/1-1,
i1=대격변/자수정 게살,
w=대격변/자수정 제단,
o1=대격변/축복 받은 자수정 게살
)]
}}}}}}}}} ||
자수정 게 처치 보상. 먹으면 허기도 채우고 일시적인 재생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식량이다. 포만감 수치도 매우 높아 체력을 채우기도 수월하다.

자수정 제단에 이 아이템을 사용하면 마법부여된 아이템처럼 빛이 나며 축복 받은 자수정 게살로 변한다. 축복 받은 자수정 게살은 추가로 자수정의 축복 상태 효과를 부여하는데, 이 때 레비아탄이 거는 상태 효과인 어둠, 심연의 화상, 심연의 공포 디버프에 면역이 되어 레비아탄 전투를 한층 쉽게 해준다.

축복받은 자수정 게살은 일반 자수정 게살과 달리 황금 사과처럼 버프 아이템을 겸하기 때문에 허기 바가 가득 찬 상태에서도 먹을 수 있다.

자수정 게 껍데기
(Amethyst Crab Shell)
파일:대격변/자수정 게 껍데기.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재료
자수정 게 처치 보상. 순수 재료로써, 독자적으로 가진 효과는 없다. 개화의 돌 견갑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공허의 턱
(Void Jaw)
파일:대격변/공허의 턱.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재료
엔더마프테라를 처치하여 얻을 수 있다. 분광 화살과 조합해 공허의 갈래 화살을 만드는 데 쓰인다. 갈래 화살의 성능이 좋기에 수요가 높은 아이템.

타오르는 잿더미
(Burning Ashes)
파일:대격변/타오르는 잿더미.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이그니스 소환
이그나이티드 레버넌트 처치 보상. 불의 제단에 바쳐 이그니스를 소환하는데 쓰인다.

괴상한 뿔
(Monstrous Horn)
파일:대격변/괴상한 뿔.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재료
네더라이트 괴물 처치 보상. 대장장이 작업대에서 네더라이트 투구와 조합해 괴물같은 투구를 만드는 데 쓰인다.

용암 전지
(Lava Cell)
파일:대격변/용암 전지.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네더라이트 미니스트로시티 길들이기
네더라이트 괴물 처치 보상. 비밀의 방 중앙에 있는 네더라이트 미니스트로시티를 길들이는 데 사용한다.

결정화된 산호 파편
(Crystallized Coral Fragments)
파일:대격변/결정화된 산호 파편.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재료
코랄 골렘을 처치하면 얻을 수 있다. 4개를 모아 결정화된 산호를 만드는 데 쓰인다.

결정화된 산호
(Crystallized Coral)
파일:대격변/결정화된 산호.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재료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대격변/결정화된 산호 파편,s2=대격변/결정화된 산호 파편,s3=,
s4=대격변/결정화된 산호 파편,s5=대격변/결정화된 산호 파편,s6=,
s7=,s8=,s9=,
output=대격변/결정화된 산호
)]
}}}}}}}}} ||
코랄 골렘을 처치하고 얻을 수 있는 결정화된 산호 파편 4개를 조합하여 만들 수 있다. 심연의 제물에 들어가는 소재 중 하나라 중요성이 높다.

심연의 제물
(Abyssal Sacrifice)
파일:대격변/심연의 제물_新.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레비아탄 소환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마인크래프트/앵무조개 껍데기,s2=대격변/의식용 단검,s3=대격변/결정화된 산호,
s4=마인크래프트/다이아몬드 블록,s5=마인크래프트/바다의 심장,s6=마인크래프트/에메랄드 블록,
s7=마인크래프트/철 블록,s8=마인크래프트/자수정 블록,s9=마인크래프트/금 블록,
output=대격변/심연의 제물,l=l
)]
}}}}}}}}} ||
앵무조개 껍데기, 의식용 단검, 결정화된 산호, 다이아몬드 블록, 에메랄드 블록, 철 블록, 금 블록, 자수정 블록, 바다의 심장을 조합하여 만들 수 있다. 들어가는 재료에서 알 수 있듯 만들기가 굉장히 힘들다. 심연의 제단에 바쳐 레비아탄을 소환하는 데에 쓰인다.

아기 레비아탄이 담긴 양동이
(Bucket of The Baby Leviathan)
파일:대격변/아기 레비아탄 양동이.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아기 레비아탄 운반
물 양동이로 아기 레비아탄을 담을 수 있다. 아기 레비아탄의 휴대성(?)을 높여준 일등공신. 블록에 우클릭하여 아기 레비아탄을 풀어놓을 수 있다.

대장장이 형판
(Smithing Template)
파일:대격변/대장장이 형판/이그니티움 강화.png
이그니티움 강화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이그니티움 갑옷 제작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마인크래프트/네더 벽돌(블록),s2=마인크래프트/블레이즈 가루,s3=마인크래프트/네더 벽돌(블록),
s4=마인크래프트/블레이즈 가루,s5=마인크래프트/대장장이 형판/네더라이트 강화,s6=마인크래프트/블레이즈 가루,
s7=마인크래프트/네더 벽돌(블록),s8=마인크래프트/블레이즈 가루,s9=마인크래프트/네더 벽돌(블록),
output=대격변/대장장이 형판/이그니티움 강화
)]
}}}}}}}}} ||
대장장이 형판의 일종으로, 1.20 이상에서 이그니티움 갑옷 제작에 사용된다.

이그니티움 주괴
(Ignitium Ingot)
파일:대격변/이그니티움 주괴.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재료
이그니스 처치 보상. 이그니티움 세트와 소각자, 불꽃의 보루와 타오르는 손길을 만드는 데 쓰인다. 간지와 성능의 절정인 이그니스 세트의 재료인지라 수요가 굉장이 높지만, 이그니스를 한 번 토벌해서 얻을 수 있는 이그니티움 주괴의 양은 3개 정도라는 문제가 있어 이그니스 세트를 맞추려면 이그니스를 반복해서 여러 번 잡아야 한다.

위더라이트 주괴
(Witherite Ingot)
파일:대격변/위더라이트 주괴.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재료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s2=,s3=,
s4=,s5=대격변/위더라이트 블록,s6=,
s7=,s8=,s9=,
output=대격변/위더라이트 주괴,qty=9,l=l,b=b
)]
}}}}}}}}} ||
위더라이트 블록을 분해하여 얻을 수 있다. 기계식 융합 모루와 견착식 위더 무기, 미트 슈레더와 레이저 개틀링을 만드는 데 쓰인다.

원래는 위더라이트 블록과 함께 명령어로만 얻을 수 있는 더미데이터 아이템이였으며, 모습도 일반 네더라이트와 상당히 비슷했다.[16]


(Eyes)
파일:대격변/기계의 눈.png파일:대격변/불의 눈.png파일:대격변/공허의 눈.png파일:대격변/괴물의 눈.png파일:대격변/심연의 눈.png파일:대격변/사막의 눈.png
기계, 불, 공허, 괴물, 심연, 사막의 눈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던전 위치 추적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제작법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마인크래프트/레드스톤 블록,s2=마인크래프트/철 주괴,s3=마인크래프트/레드스톤 블록,
s4=마인크래프트/철 주괴,s5=마인크래프트/엔더의 눈,s6=마인크래프트/철 주괴,
s7=마인크래프트/레드스톤 블록,s8=마인크래프트/철 주괴,s9=마인크래프트/레드스톤 블록,
output=대격변/기계의 눈
)]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마인크래프트/블레이즈 가루,s2=마인크래프트/블레이즈 가루,s3=마인크래프트/블레이즈 가루,
s4=마인크래프트/네더라이트 파편,s5=마인크래프트/엔더의 눈,s6=마인크래프트/네더라이트 파편,
s7=마인크래프트/영혼 모래,s8=마인크래프트/영혼 모래,s9=마인크래프트/영혼 모래,
output=대격변/불의 눈
)]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마인크래프트/퍼퍼 기둥,s2=마인크래프트/셜커 껍데기,s3=마인크래프트/퍼퍼 기둥,
s4=마인크래프트/엔드 석재 벽돌,s5=마인크래프트/엔더의 눈,s6=마인크래프트/엔드 석재 벽돌,
s7=마인크래프트/퍼퍼 블록,s8=마인크래프트/셜커 껍데기,s9=마인크래프트/퍼퍼 블록,
output=대격변/공허의 눈
)]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마인크래프트/용암 양동이,s2=마인크래프트/네더라이트 파편,s3=마인크래프트/용암 양동이,
s4=마인크래프트/흑암,s5=마인크래프트/엔더의 눈,s6=마인크래프트/흑암,
s7=마인크래프트/용암 양동이,s8=마인크래프트/네더라이트 파편,s9=마인크래프트/용암 양동이,
output=대격변/괴물의 눈
)]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마인크래프트/우는 흑요석,s2=마인크래프트/흑요석,s3=마인크래프트/우는 흑요석,
s4=마인크래프트/흑요석,s5=마인크래프트/엔더의 눈,s6=마인크래프트/흑요석,
s7=마인크래프트/우는 흑요석,s8=마인크래프트/흑요석,s9=마인크래프트/우는 흑요석,
output=대격변/심연의 눈
)]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마인크래프트/금 주괴,s2=마인크래프트/조각된 사암,s3=마인크래프트/에메랄드,
s4=마인크래프트/마른 덤불,s5=마인크래프트/엔더의 눈,s6=마인크래프트/선인장,
s7=마인크래프트/썩은 살점,s8=마인크래프트/조각된 사암,s9=마인크래프트/뼈다귀,
output=대격변/사막의 눈
)]
}}}}}}}}} ||
카타클리즘 모드의 던전 6종을 찾아가는 것을 돕는 아이템. 총 6종류가 있으며, 엔더의 눈과 작동 매커니즘이 같으며 파괴되지 않는다. 던전 탐색 난이도를 크게 낮춰주기에 반쯤 필수적인 아이템이다.

음반
(Discs)
파일:대격변/음반/vs Titans.png파일:대격변/음반/Eternal.png파일:대격변/음반/God of Blaze.png파일:대격변/음반/Monster Fight.png파일:대격변/음반/Endless Storm.png파일:대격변/음반/Sands of Dominion.png
네더라이트 괴물, 엔더 수호자, 이그니스, 하빈저, 레비아탄, 고대의 잔재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보스 테마곡 재생
  • 파일:대격변/음반/vs Titans.png 魔界Symphony - vs Titans
    네더라이트 괴물을 처치하면 10% 확률로 떨군다. 주크박스에 넣어 네더라이트 괴물의 테마곡 vs Titans을 재생할 수 있다.
  • 파일:대격변/음반/Eternal.png Ean Grimm - Eternal
    엔더 수호자를 처치하면 위와 같은 확률로 떨군다. 주크박스에 넣어 엔더 수호자의 테마곡 Eternal을 재생할 수 있다.
  • 파일:대격변/음반/God of Blaze.png 魔界Symphony - God of Blaze
    이그니스를 처치하면 위와 같은 확률로 떨군다. 주크박스에 넣어 이그니스의 테마곡 God of Blaze를 재생할 수 있다.
  • 파일:대격변/음반/Monster Fight.png Sinyells - Monster Fight
    하빈저를 처치하면 위와 같은 확률로 떨군다. 주크박스에 넣어 하빈저의 테마곡 Monster Fight를 재생할 수 있다.
  • 파일:대격변/음반/Endless Storm.png 魔界Symphony - Endless Storm
    레비아탄을 처치하면 위와 같은 확률로 떨군다. 주크박스에 넣어 레비아탄의 테마곡 Endless Storm을 재생할 수 있다.
  • 파일:대격변/음반/Sands of Dominion.png Hippo0824 - Sands of Dominion
    고대의 잔재를 처치하면 위와 같은 확률로 떨군다. 주크박스에 넣어 고대의 잔재의 테마곡 Sands Of Dominion 을 재생할 수 있다.

3.4. 삭제 및 더미 데이터

녹는 네더랙
(Melting Netherrack)
파일:대격변/녹는 네더랙.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용암을 일시적으로 고체화
살얼음의 네더랙 버전으로, 과거에는 이그니티움 부츠를 신고 용암 위를 걸어다니면 용암을 일시적으로 녹는 네더랙으로 바뀌었다. 녹는 네더랙은 시간이 지나면 용암으로 되돌아간다. 현재는 아이템으로도 없고 명령어로 설치해야만 볼 수 있다.

엔더라이트 주괴/블록
(Enderite Ingot/Block)
파일:대격변/엔더라이트 주괴.png파일:대격변/엔더라이트 블록.png
엔더라이트 주괴, 블록
크리에이티브 탭에서 얻을 수 있는 더미데이터 아이템. 보스 드랍 장비를 제작하는 데 사용되는 아이템으로 추정된다.

불타는 뼈
(Blazing Bone)
파일:대격변/불타는 뼈.png
이그나이티드 레버넌트가 공격용으로 던지는 불타는 가시뼈. 명령어로만 얻을 수 있다. 심지어 아이템 이름조차 정상적으로 출력되지 않는 버그까지 있다.

영혼결속의 사슬
(Chain of Soul Binding)
파일:대격변/영혼결속의 사슬.png
명령어로만 얻을 수 있는 더미데이터 아이템. 용도는 없다.

  • 파멸자 갑옷
    사무라이풍 갑옷. 대격변 모드 초기에 미사용 아이템으로 존재하다가 어느 버전부터 삭제되었다. 츠바이엔더와 세트로 맞추려 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명령어로나마 남은 츠바이엔더와 달리 데이터가 완전히 지워져 더 이상 볼 수 없다.

  • 사멸자 갑옷
    영혼 불이 이글거리는 갑옷. 파멸자 세트와 마찬가지로 모드 초기에 존재하다가 삭제된 방어구. 파이널 프랙탈과 세트로 맞추려 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0.09 업데이트 때 데이터가 삭제되었다.

파이널 프랙탈
(Final Fractal)
파일:대격변/파이널 프랙탈.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근접 공격
공격력 11
공격 속도 1.6
능력 대상의 최대 체력의 3%만큼 추가 피해

적의 최대 체력에 비례하여 피해를 주는 영혼 불 검. 오랫동안 개발자 아이템으로만 있다가 삭제되었다.

츠바이엔더
(Zweiender)
파일:대격변/츠바이엔더.png
용도 <colbgcolor=#c6c6c6><colcolor=#373a3c> 근접 공격
공격력 11
공격 속도 1.6
능력 대상의 뒤를 공격시 피해량 2배

적의 뒤를 공격하면 2배의 피해를 주는 특이한 대검. 이 역시 개발자 아이템으로만 있다가 삭제되었다.

  • 엔더 수호자 스포너
    엔더 수호자 리워크 업데이트 이전까지 존재했던 블록. 플레이어가 접근하면 부서지며 엔더 수호자를 소환한다. 엔더 수호자 리워크 업데이트 때 공허의 제단으로 대체되며 삭제되었다.

공허의 파편
(Void Shard)
파일:대격변/공허의 파편.png

쏠배감펭의 가시
(Lionfish's Spike)
파일:대격변/쏠배감펭의 가시.png

Golden Cutlass
(Golden Cutlass)
파일:대격변/Golden Cutlass.png
대격변 모드 파일을 뜯다 보면 발견할 수 있는 텍스처. 개발 도중 취소된 피글린 해적이 사용할 무기였다고 한다.

Void Guard
(Void Guard)
파일:대격변/Void Guard.png
대격변 모드 파일을 뜯다 보면 발견할 수 있는 텍스처.

4. 추가되는 몹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_Ender's Cataclysm/몹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L_Ender's Cataclysm/몹#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L_Ender's Cataclysm/몹#|]]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구조물 및 보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_Ender's Cataclysm/구조물 및 보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L_Ender's Cataclysm/구조물 및 보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L_Ender's Cataclysm/구조물 및 보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추가되는 상태 효과

긍정적 효과 3개와 부정적 효과 8개가 추가된다.
  • 괴력(Monstrous)
    플레이어가 괴물같은 투구를 장비한 상태에서 체력이 절반 이하면 부여되는 상태 효과. 부여된 순간 주변의 개체들을 날려버리고 체력 재생, 밀치기 저항, 방어력이 증가한다.
  • 자수정의 축복(Blessing of Amethyst)
    축복받은 자수정 게살을 섭취하면 부여되는 상태 효과. 어둠, 심연의 공포, 심연의 화상 효과에 면역이 된다.
  • 유령화(Ghost Form)
    커스뮴 흉갑의 능력이 발동하면 부여되는 상태 효과. 아이템 사용과 공격 행동이 불가능한 대신, 이동속도가 증가하고 공허 피해를 제외한 모든 피해에 무적이 된다.
  • 유령 후유증(Ghost Sickness)
    유령화의 지속 시간이 끝나면 부여되는 상태 효과. 커스뮴 흉갑의 능력을 발동할 수 없다.
  • 기절(Stun) 파일:카타클리즘 기절.png
    보스의 특정 공격에 휘말리거나, 불꽃의 보루와 보루의 건틀릿 능력으로 벽에 부딪히면 부여되는 상태 효과. 화면이 상태 효과 등급에 정비례해 흔들리며 이동, 방패 방어, 음식 먹기, 공격, 아이템 사용 등의 행동을 할 수 없다.[17]
    이 모드의 미니 보스들과 메인 보스들은 해당 효과에 면역이다.
  • 사막의 저주(Curse of Desert)
    모래폭풍과 고대 사막 비석에 피격당하면 부여되는 상태 효과. 플레이어의 움직이는 키를 반대로 바꾼다. 플레이어에게만 영향을 주기 때문에 사막의 저주를 부여할 수 있는 무기[18]로 몹을 공격해도 아무런 효과가 없음을 잊지 말자.
  • 골절(Bone Fracture)
    레비아탄의 꼬리치기, 네더라이트 괴물의 돌진에 피격당하면 부여되는 상태 효과. 이동 속도와 수영 속도가 감소한다.
    전체적으로 기절 상태 효과의 하위 호환.
  • 심연의 공포(Abyssal Fear)
    심연의 어뢰와 구체에 피격당하면 부여되는 상태 효과. 배고픔 게이지를 통한 회복과 재생, 치유 상태 효과로 HP 회복이 불가능해진다.
  • 심연의 화상(Abyssal Burn)
    열선에 피격당하면 부여되는 상태 효과. 하트가 보라색으로 바뀌며 일정 시간마다 피해를 준다. 열선에 피격당할 때마다 등급이 최대 4단계까지 쌓일 수 있다.
    또한 화상으로 피해받을 때마다 무작위 위치로 순간 이동된다. 이 효과는 체력이 낮아질수록 빈도가 잦아진다.
    이 효과로 사망한 개체는 해당 차원을 떠났다는 메시지가 출력된다.
  • 심연의 저주(Abyssal Curse)
    타이달 클로의 촉수에 피격당하면 부여되는 상태 효과. 하트가 보라색으로 바뀌며 일정 시간마다 피해를 준다. 이 모드의 미니 보스들과 메인 보스들은 해당 효과에 면역이다.
    이 효과로 사망한 개체는 해당 차원을 떠났다는 메시지가 출력된다.
  • 젖음 (Wetness)
    파도 창, 파도 공격에 피격당하면 부여되는 상태 효과. 최대 5단계까지 쌓이면 이동 속도가 20%까지 느려지며, 젖음 상태에 비례해서 감전 공격으로 받는 데미지가 대폭 증가한다.
  • 불타는 낙인(Blazing Brand)
    이그니스의 소각자 공격, 이그니스의 화염구, 불꽃 마법진, 이그니티움으로 제작된 장비[19]의 효과에 휘말리면 부여되는 상태 효과. 낙인의 등급에 따라 방어력과 방어 강도가 20% 감소하여 최대 5단계까지 쌓이면 방어력과 방어 강도가 0이 된다.
    또한 이그니스의 소각자 공격은 대상이 걸린 불타는 낙인 레벨에 정비례해 HP 회복량이 증가한다.

7. 역대 대규모 업데이트

  • Cataclysm: Avatar of Living Flame
파일:Cataclysm: Avatar of Living Flame.png
일명 이그니스 업데이트. WIP로서 비교적 부실하던 이그니스가 정식 추가되어 개선되었고, 이그나이티드 레버넌트, 불타는 투기장 등의 콘텐츠가 추가되었다.
  • Cataclysm: Out of Place Things
파일:Cataclysm: Out of Place Things.png
일명 하빈저 업데이트. 신규 보스 하빈저와 전용 아레나 고대의 공장이 추가되었고, 무기 융합 시스템과 던전파인더 등 유용한 컨텐츠가 추가되었다.
  • Cataclysm: Terror of the Abyss
파일:Cataclysm: Terror of the Abyss.png
업데이트 리뷰 영상
일명 심해 업데이트.[20] 가장 거대한 업데이트로, 신규 잡몹인 쏠배감펭과 심연꾼 계열, 신규 보스인 레비아탄과 최초의 펫 몬스터인 아기 레비아탄, 레비아탄 전용 던전 가라앉은 도시가 추가되었고, 여러 유용한 아이템들이 추가되었다.
  • Cataclysm: A Pulsating Legacy of Ancient
파일:image카타클라즘 4번째 업데이트.png
이번 업데이트에는 신규 무기[21]와 견착식 위더 무기가 드랍탬이 아닌 조합탬으로 변경, 고대의 공장 리워크와 잡몹 추가, 가라앉은 도시의 리워크등의 업데이트가 되었다.
  • Cataclysm: The howling Storm
파일:the_howling_storm-png.png
새로운 지역 아크로폴리스와 4종류의 신규 몹, 카타클라즘 모드 최초의 여성형 보스인 스킬라, 그리고 청해석 건축물들과 전용 장비들이 추가되었다. 또한 기존의 재부활 매커니즘이 존재하지 않는 보스들은 해당 보스의 눈을 이용해 부활시킬 수 있는 매커니즘이 추가되었다.

8. 보조 리소스팩

모드의 개발자들이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보조용 리소스팩들.
  • L_Ender's Cataclysm Old Music
    보스들의 음악을 저작권 문제 방지를 위한 BGM 교체 이전의 BGM으로 교체해 주는 리소스팩. 교체 이전의 노 라이선스 음악이 마음에 들었다면 써봄직하다.
  • Cataclysmic tunes
    대격변 모드의 아티스트가 만든 리소스팩. 고대의 잔재, 레비아탄, 말레딕투스를 제외한 나머지 보스들의 음악을 Yuri O의 음악으로 교체해 준다. 추가되는 곡들의 퀄리티가 굉장히 높기에 기존 음악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면 써봄직하다. 추가로 하빈저 음반의 텍스처와 리워크 이전 네더라이트 괴물의 모델링을 개선해 주는 소소한 추가 기능도 탑재되어 있다.

    현재는 3.11 업데이트 이후 Cataclysmic tunes의 음악들이 대격변 모드로 편입되었다.

9. 기타

  • 방패를 들고있는 상태에선 거의 모든 무기의 특수 능력이 봉인되고 방어만을 할 수 있다. 전투를 방해하는 경우가 있으니 대격변 모드의 장비들을 방패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건 고민해보는 것이 좋다.
  •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몹은 모드 구성으로 스폰 확률을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자수정 게는 생성 확률이 끔찍하게 낮으므로 모드 구성을 건드리지 않으면 거의 볼 수 없다. 자수정 게살이 필요하다면 생성률을 높이는 걸 추천.
  • 본 모드를 Fabric으로 포팅하지 않을 것이라 밝혔다. 이전 버전에는 패브릭에는 대격변에 필요한 코어 모드인 Citadel이 존재하지 않아 불가능했고[22] 지금은 Citadel 대신 자체 라이브러리인 Lionfish API를 사용하므로 가능은 하지만 개발 환경의 큰 차이와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패브릭 버전 개발을 추진하지 않고 있다. 대신 네오포지 버전은 나왔다.

    참고로 대격변 모드의 공식 디스코드 채널 내에서는 은근히 패브릭 모드로더를 부정적인 시선으로 보는 경향이 조성되어 있다. Mojang Studios가 공식 모딩 API를 지원하지 않는 마당에 과도기를 거치며 흔들리던 모드계를 반갈죽 내버렸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 이후 퀼트와 네오포지까지 출시되며 모드계는 사실상 4분의 1토막이 나 버렸다
  • 2025년 3월 30일에는 어느 이용자가 대격변 모드를 패브릭으로 무단 포팅해 커스포지와 모드린스 등의 사이트에 업로드한 일이 있었는데, 대격변의 모더가 이를 내려달라고 요청하자 라이센스를 빌미로 적반하장을 시전하며 디스코드 서버에 스레드를 열고 키배를 벌였다. 이로 인해 원래 오픈 소스였던 대격변 모드의 소스 코드가 잠시 비공개로 전환되기도 했다.
  • 소울 시리즈의 큰 영향을 받은 것처럼 모드 내에 설정도 굉장히 간략하게 되어있다. 이는 제작자가 말하길 인게임에서 보여주는 것이 더욱 중요하고 플레이어들이 프롬뇌를 굴리는 것이 더욱 재밌기도 하고 설정은 대부분 업데이트 때마다 갈아엎어지기 때문에 차라리 안 만드는 것이 더 낫다는 입장이라서 그렇다.
  • 본래 이 모드의 컨셉은, Into the Maelstrom 모드처럼 네더와 엔드에서 오버월드로 쳐들어오는 컨셉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코딩 난이도 등의 문제로 무산되고, Mowzie's Mobs나 BOMD[23]같이 엔티티 위주의 모드로 컨셉을 옮겼다고 한다.
  • 폐허가 된 성채를 제외한 구조물은 모두 지인이 대신 건축해준다고 한다. 그래서 이스터 에그로 대격변 모드에서 구조물 제작을 맡은 플레이어의 머리가 보스 건축물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 제작자가 한국인이어서인지 모드 자체에서 한국어를 지원하며, 공식 디스코드에는 한국어로 소통할 수 있는 채널이 있다. 전용 디스코드가 있는데, 한국어 채팅방과 영어 채팅방이 나뉘어 있고 보스 아이디어를 공유하거나 새 콘텐츠 개발 현황, 개발자와의 대화가 가능하다.[24]
  • 모드를 개발할 때 사용하는 툴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이클립스가 아니라 IntelliJ IDEA를 사용한다고 한다.
  • 구조물이 생성될 때 다른 구조물과 합쳐지거나 지형과 겹쳐져 생기는 버그가 있다. 특히 하빈저 던전인 고대의 공장의 경우 지하에서 생성되다 보니 깊은 어둠 생물군계와 겹쳐지면 내부가 스컬크에 오염된 채 생성되는 경우가 드물게 있다. 현재는 지속적인 패치로 많이 나아진 편.

10. 둘러보기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10px; vertical-align:bottom;"<tablebordercolor=darkgreen> 파일:modrinth/icon/universal/white.svg 파일:마인크래프트 로고 화이트.svg
문서가 있는 유니버설 모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min-height:calc(1.5em + 5px);"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A Abyssalcraft · Advanced Rocketry · ad astraAlex's Caves · Alex's Mobs · Ars Magica 2 · Applied Energistics 2 · Atum 2: Return to the Sands · Avaritia
B Better Builder's Wands · Better Dungeons · Biomes O' Plenty · Blood Magic: Alchemical Wizardry · Blue Skies · Botania · BuildCraft
C Chicken Bones Mods · Clay Soldiers Mod · Cooking for Blockheads · CraftTweaker · Cracker's Wither Storm Mod · Create · Custom NPCs
D Draconic Evolution · Dragon block C
E Electroblob's Wizardry · Elemental Creepers · Ender IO · Ex Nihilo · Extra Utilities · Extra Utilities 2
F Farmer's Delight · Flan's Mod · Forestry · Fossils and ArcheologyFungal Infection:Spore
G Galacticraft · GregTech · GrowthCraft
H HBM's Nuclear Tech Mod
I Ice and Fire: Dragons · Illage and SpillageImmersive Engineering · IndustrialCraft 2 · Iron Chests · Iron's Spells 'n Spellbooks
J JurassiCraft · Jurassic World Reborn
L L_Ender's Cataclysm · LuckyBlockMod · Lycanites Mobs
M Mekanism · Millénaire · MineFactory Reloaded · Minecolonies · Minecraft Comes Alive · Mo'Creatures · More Red · Mowzie's Mobs · MrCrayfish's Furniture Mod · MrCrayfish's Gun Mod · Mutant Beasts · Mystcraft · Mystical Agriculture
N Nevermine · Nuclearcraft
O OpenBlocks · Orespawn
P Pam's HarvestCraft · Pixelmon · Portal Gun · Project E · Project Red
R Railcraft · RedPower 2
S SCP: Lockdown · Scape and Run: Parasites · Storage Drawers
T TerraFirmaCraft · Thaumcraft · The Aether · The Betweenlands · The Broken Script · The Bumblezone · The Graveyard · Thermal Dynamics · Thermal Expansion · Thermal Foundation · Thermal Innovation · Timeless and Classics Guns: ZERO · Tinkers' Construct · TrainCraft · Twilight Forest
V Valkyrien Skies · Vic's Modern Warfare Mod
Y Yes Steve Model

}}}}}}}}} ||

[1] 디자이너 겸 모드 제작자로 Mango New Advent라는 모드를 개발 중이다. 이 모드의 제작자인 L_Ender와 World of Bosses 모드의 제작자인 gompang6929가 제작에 참여했다.[2] Mowzie's Mobs, Scape and Run: Parasites, The Betweenlands, Twilight Forest 등 유명 모드들의 음악 또한 담당했다.[3] 사운드 아티스트 담당.[4] 2025년 4월 27일자로 커스포지에서 삭제되었다.[5] 물론 보스들은 기본적으로 평타만 해도 공격력이 10을 넘어가는 수준이니 최소 다이아몬드 갑옷은 맞추고 도전하는 게 좋다.[6] 오버 5종, 네더 2종, 엔드 1종.[7] 예외로 감시자는 즉사한다.[8] 다른 점이 있다면 삼지창과는 달리 기본 공격력과 투척 공격력이 같다.[9] 긴 선딜레이가 필요한 절멸자의 광역 공격과는 달리 블록을 우클릭하면 즉발로 나간다.[10] 성능으로 따져도 더 높은 공격력, 빠른 공격속도, 게다가 검 판정이어서 휩쓸기 공격까지 있는 소각자의 하위호환이다.[11] 폭발 지점으로부터의 거리 등의 변수에 따라 능동적으로 변화한다.[12] 본래 12였으나, 심해 업데이트 때 버프되었다.[13] 참고로 다가오지 않을 뿐 내부 구조상 플레이어와 철 골렘은 닿기만 해도 공격 받는다.[14] 한때는 차가운 걸음 마법 부여처럼 용암을 블록으로 바꾸어 걸어다니는 식이였다.[15] 아무래도 2개를 들어야 제 성능이 발휘되는 임모레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렇게 조정한 듯하다.[16] 단, 위더라이트 쪽이 더 칙칙하고 어두운 색이다.[17] 플레이어는 바라보는 방향으로 점프를 반복하면 느리게 움직일 수 있다.[18] 고대의 창, 병속의 모래폭풍, 사막의 분노[19] 이그니티움 레깅스, 불꽃의 보루, 소각자, 보루의 건틀릿, 임모레이터, 타오르는 손길[20] 일반적으로 대격변 모드의 업데이트들은 그 업데이트의 중심이 되는 신규 보스의 이름으로 부르지만, 이번 업데이트는 레비아탄 이외의 다른 요소들이 굉장히 많이 추가되었기에 업데이트의 배경인 심해에서 따와 심해 업데이트라고 부른다.[21] 레이저를 발사하는 레이저 개틀링(위더라이트 주괴 2개, 철괴 3개, 레드스톤 1개, 레드스톤 블럭 1개로 조합)과 마우스 오른쪽 클릭시 무적시간을 무시하고 딜을 줄 수 있는 미트 슈레더(위더라이트 주괴 3개, 레드스톤 2개, 철 블럭 1개로 조합)[22] 이에 대해서 전투 애니메이션 개선 모드인 Better Combat의 개발자가 이 모드를 패브릭으로 포팅하겠다고 밝혔지만 대격변의 개발자가 상술한 이유 때문에 거절하며 다투는 해프닝이 있었다.[23] Into the Maelstrom 모드의 개발자 바리밥이 마엘스트롬 개발을 중단한 후 마엘스트롬의 몇몇 보스들을 데리고 새 보스와 함께 넣은 패브릭 전용 보스 모드. 비교적 마이너한 모드였던 마엘스트롬과 달리 패브릭 모드 이용자라면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높은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이름은 Boss of Mass Destruction의 약자이다.[24] 다만 보스 아이디어의 경우 Patreon을 통해 개발자에게 10달러 이상을 후원해 디스코드 채널에서 '네더라이트' 등급을 받아야지만 공유가 가능하며, 후원자가 아닌 일반 유저들의 아이디어는 당연히 후원자들의 아이디어에 우선 순위가 크게 밀릴 수밖에 없다. 그 외에 10달러보다 적은 액수더라도 일단 후원을 하기만 하면 업데이트 프리뷰 등의 각종 혜택을 받게 된다. 다만 후원자가 아니라고 보스 커미션 기회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닌데, 추후 여러 사람이 고안한 보스 아이디어들을 모아놓고 투표 이벤트를 벌여 당선된 보스를 추가할 계획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