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1 16:04:15

라쿠텐모바일파크 미야기

Kobo 파크 미야기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 일본프로야구
홈구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color:#181818"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센트럴 리그(Central League)
구단 홈구장 제2 홈구장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 요미우리 자이언츠 도쿄 돔 -
파일:한신 타이거스 엠블럼.svg 한신 타이거스 한신 고시엔 구장 교세라 돔 오사카
파일: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엠블럼.svg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요코하마 스타디움 -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 히로시마 도요 카프 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 -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엠블럼.svg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메이지진구 야구장 -
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 주니치 드래곤즈 반테린 돔 나고야 -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퍼시픽 리그(Pacific League)
구단 홈구장 제2 홈구장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로고.svg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미즈호 PayPay 돔 후쿠오카 -
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엠블럼.svg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 -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엠블럼.svg 치바 롯데 마린즈 ZOZO 마린 스타디움 -
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엠블럼.svg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라쿠텐모바일파크 미야기 -
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엠블럼.svg 오릭스 버팔로즈 교세라 돔 오사카 홋토못토 필드 고베
파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엠블럼.svg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베루나 돔 -
지방 구장 목록 · 2군 구장 목록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900000><tablebgcolor=#900000> 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엠블럼.svg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ffcc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일반 문서
<colbgcolor=#600000><colcolor=#ffcc00> 모기업 관련 정보 모기업 파일:라쿠텐 로고.svg 라쿠텐
일본시리즈 우승
2013
리그 우승 2013
클라이맥스 시리즈 2009 · 2013 · 2017 · 2019 · 2021
시즌별 요약 2013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2 · 2023 · 2024
현역 선수 경력 다나카 마사히로/선수 경력 · 아사무라 히데토/선수 경력
경기장 1군 라쿠텐모바일파크 미야기 · 2군 라쿠텐 이글스 이즈미 연습장 · 리후시중앙공원야구장
지방 홈구장 코마치 스타디움(아키타현) · 이와테 모리오카 볼파크(이와테현) · 야마가타 야구장(야마가타현)
· 하루카유메 구장(아오모리현) · 요크 카이세이잔 스타디움, 후쿠시마현영 아즈마 구장(후쿠시마현)
홈 중계 채널 파일:J SPORTS 1 로고.svg 파일:J SPORTS 2 로고.svg 파일:J SPORTS 3 로고.svg 파일:J SPORTS 4 로고.svg (1~4 유동적 편성)
주요 인물 구단주 미키타니 히로시· 감독 미키 하지메 · 선수회장 타나카 카즈키 · 주장 노리모토 타카히로(투수) · 아사무라 히데토(야수)
구단 상세 정보 역사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응원가 · 유니폼 · 오릭스-라쿠텐 분배 드래프트
틀 문서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 선수역대 감독영구 결번 |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라쿠텐 산하 구단
}}}}}}}}}}}}}}} ||

파일:미야기4.jpg
파일:미야기3.jpg
파일:라쿠텐모바일파크 미야기 로고.svg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라쿠텐모바일파크 미야기
(楽天モバイルパーク宮城 / Rakuten Mobile Park Miyagi)
이전명칭 현영 미야기 구장(1950~1990s)
미야기 구장 (1990s~2005, 2007)
풀캐스트 스타디움 미야기 (2005~2007)
일본제지 크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 (2008, 2011~2013)
크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 (2008~2010)
라쿠텐 kobo 스타디움 미야기 (2014~2016)
Kobo 파크 미야기 (2017~2019)
라쿠텐생명파크 미야기 (2020~2022)
라쿠텐모바일파크 미야기(2023~)
홈구단 롯데 오리온즈 (1973~1977)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05~2010, 2012~)
소재지 미야기현 센다이시 미야기노구
미야기노 2-11-6
개장 1950년 5월 5일
좌석규모 30,508석
크기 좌측 폴대 - 100.1m
좌우중간 - 116m
중앙 - 122m
우측 폴대 - 100m
펜스 높이 - 2.5m
잔디 천연잔디 (Kentucky Bluegrass)
덕아웃 3루(홈)|1루(원정)[1][2]

1. 소개2. 특징3. 역사4. 명명권5. 기타6. 관련 문서

[clearfix]

1. 소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홈구장. 현재 명칭은 <라쿠텐모바일파크 미야기>이나 명명권 판매등으로 이름이 자주 바뀐다.

2. 특징

파일:풀캐스트 스타디움 미야기 로고.svg
풀캐스트 스타디움 미야기 (2005~2007) 당시의 로고.
파일:크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 로고.svg
크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 (2008~2013)당시의 로고.
파일:라쿠텐 kobo 스타디움 미야기 로고.svg
라쿠텐 kobo 스타디움 미야기 (2014~2016) 당시의 로고.
파일:라쿠텐생명파크 미야기 로고.svg
라쿠텐생명파크 미야기 (2020~2022)당시의 로고.
  • 야구장의 모양새가 독특한데, 원래 외야는 천연잔디로 구성된 오픈야구장이었으나, 2005년 라쿠텐 그룹이 리모델링을 진행하면서 구단을 상징하는 "날개 모양"의 외야석을 설치했기 때문이다.[3]
  • 참고로 위치가 일본에서 꽤 북쪽이다보니, 시즌 극초반이나, 시즌 말미에 가끔 눈이 내릴때 눈을 맞으면서 경기를 볼 수 있는 야구장이다.[4] 라쿠텐 팬들도 추위 느끼는 건 다른 사람들과 같아 돔구장 건설을 희망하나 돔구장 건설엔 많은 돈이 필요하기도 하고[5] 센다이를 포함한 미야기현 및 도호쿠 지방이 동일본 대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어 돔 건설은 힘들 것으로 보인다.
  • 추운 봄 날씨와 초창기의 열악한 시설이 맞물려서 생긴 일화로, 2006년 홈 개막 시리즈 2차전인 3월 29일 경기는 강설 중단만 2번마운드에서 벽돌이 발굴되는 등 다양한 이유로 중단을 겪었고, 추운 날씨와 잦은 중단에 따른 집중력 저하로 라쿠텐 선수들이 6실책 2폭투를 기록한 대첩급 경기로 남았다.경기 영상 1, 경기 영상 2 [6]
  • 그리고 인근에 병원이 위치해 있어 2005년부터[7] 응원할 때 탐을 제외한 다른 악기는 절대 쓰지 않는다. 후쿠오카 야후오쿠! 돔이 지붕을 열지 않는 이유와 마찬가지인데, 때문에 이곳에서는 일본 야구의 특징적 문화인 트럼펫 응원을 볼 수 없다. 하지만 도호쿠 라쿠텐 응원단이 타 구장 원정을 갈 땐 트럼펫을 사용한다. 물론 후쿠오카 루프 오픈 데이이면 원정에서도 트럼펫 불가능. 그러다 2018년부터 KBO 리그에서 많이 하는 앰프 응원을 도입했다. 괜찮겠지?
  • 일본프로야구 규정상 일본시리즈를 개최하려면 최소 3만 명 이상 수용능력이 요구되고 있으나 이 구장은 23,000명 남짓밖에 되지 않았다.[8] 그래서 1974년 일본시리즈 때 롯데 측 홈경기는 고라쿠엔 구장에서 치렀고 2013년 일본시리즈 개최시에는 가설 스탠드를 세워서 약 5,000석을 추가하는 땜질 처방에 나섰다. 일본프로야구기구나 타구단으로부터의 증설요구에 대해서는 "센다이 정도 인구 수준(약 108만 명)에는 23,000명 수용 규모가 적절하다."면서 배를 째고 있는 상태(...)였으나, 2014년 3루 측 가설 스탠드를 철거한 후 상설 스탠드를 만들어 좌석이 28,736명 규모로 늘어났다. 구단 측에서는 이를 계기로 3만 명으로 수용 인원을 늘릴 계획. 그리고 2014년의 상설 스탠드 증설 이후 구단은 홈경기 시즌 최고 입장기록을 갱신하였으며, 2015년에도 그 기록을 깨나가고 있다. 진작에 했었으면 그동안 관중들을 더 끌어올 수 있었잖아!

파일:external/a2a98f1f95b1cc1ca5f83533244c13a4083e74fdae98959f581ac898bc767416.jpg
파일:2017121201000753500035891.jpg
  • 2015년 시즌 종료 후, 30억 엔을 들여서 구장 잔디를 다시 천연잔디로 바꾸고(파울지역은 인조잔디) 인원을 3만 명 이상 수용 가능하도록 보수공사를 했다. 구단 측에서 언급한 모델은 펫코 파크. 그리고 2016년 5월에 세계 최초로 야구장에 관람차가 오픈했다.
  • 2019년 시즌부터 캐시리스 시스템을 도입해서 현금으로 뭘 사 먹을 수가 없다. 라쿠텐페이, 라쿠텐Edy나 신용카드, 체크카드[9]로 사먹어야 한다. Suica 등 교통계열 IC카드마저 사용불가였으나 2020년부터 사용가능으로 바뀌었다. 또한 일본은 한국에 비해 신용카드 사용이 매우 저조하다보니[10] 이런 사람들을 위해 구장 안의 카운터에서 충전식 선불카드를 대여해 준다고 한다. 단, 자판기는 현금 가능.
  • 2020년 6월부터 파울 지역에 있는 인조잔디도 천연잔디로 교체해 퍼시픽리그 유일 전면 천연잔디 제1홈구장이었으나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가 개장하며 유이한 전면 천연잔디 제1홈구장이 되었다.

3. 역사

파일:external/userdisk.webry.biglobe.ne.jp/127364529937416318079.jpg
파일:external/earthjp.net/m_0712220004.jpg
리모델링 이전의 미야기 구장.

일본 육군 연병장 부지에 건설되기 시작, 1950년 5월 27일에 완공되었다. 특이하게 개장일이 완공일보다 빠른데 이 경기장에서 처음으로 열린 경기는 퍼시픽리그 경기인 마이니치 오리온즈난카이 호크스, 다이에이 스타즈[11]와의 변칙 더블헤더 경기였다. 이날 경기에서 경기장에 몰린 사람들이 깔리는 바람에 압사사고가 발생, 3명이 숨지고 26명이 중경상을 입는 사고가 터지기도 했다.

1973년, 롯데 오리온즈가 홈구장으로 사용하던 도쿄 스타디움이 해체되면서,[12] 갈곳이 필요했고, 1977년까지 임시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완전히 정착하진 못하고 고라쿠엔 구장, 메이지진구 야구장, 가와사키 구장 등을 떠돌아다니며 홈경기를 치렀다. 거기다 구단 사무실이나 선수단 숙소, 자택 등도 도쿄에 그대로 있었으며 1974년 일본시리즈 땐 미야기 구장이 일본시리즈 개최조건인 관객수용량 3만명에 미달한다는 이유로 고라쿠엔 구장에서 홈경기를 치러야 했다. 그나마 우승을 달성하긴 했는데, 문제는 그 해 우승 퍼레이드를 도쿄에서만 치르고 센다이시는 완전히 무시를 해버린 것. 이래서 롯데 오리온즈는 집시 롯데 란 멸칭을 얻으며 많은 호응을 얻지 못했다. 지금도 라쿠텐 팬덤에서는 이 통수[13] 때문에 롯데를 싫어하는 사람이 많다.

1978년 롯데 오리온즈카와사키 구장으로 홈구장을 이전하면서[14] 프로야구와는 멀어졌다. 하지만 2004년까지(중간에 1992년 치바로 연고이전하며 치바 롯데 마린즈로 팀명 변경) 한해에 3경기~10경기 정도를 이곳에서 치르기도 했다.

1992년 일본프로야구 올스타 3차전이 열렸는데 이때 시설이 열악한 수준이라는 것이 도드라졌고 그라운드 배수가 잘 되지 않아 안 그래도 비가 많이 오는 미야기 현의 사정상 여름 코시엔 고교야구 대회 예선도 우천취소되기 일쑤였다. 1999년에는 시민 12만명이 서명운동을 펼쳤기도 했는데 시 재정상 난색을 표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83%95%E3%83%AB%E3%82%AD%E3%83%A3%E3%82%B9%E3%83%88%E3%82%B9%E3%82%BF%E3%82%B8%E3%82%A2%E3%83%A0%E5%AE%AE%E5%9F%8E050911.jpg
1차 리모델링이 완료된 모습.

그뒤 2004년 라쿠텐 이글스가 창단되면서 이곳을 홈으로 쓰기로 결정, 그해 12월부터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개시했고 2005년 3월에 1차 리모델링을 완료, 2006년 3월에 2차 리모델링을 완료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Kleenex_Stadium_Miyagi_100322.jpg
2006년 새롭게 설치된 전광판. 왼쪽이 기존의 전광판, 오른쪽이 새로이 설치된 전광판이다.[15]
파일:external/o.aolcdn.com/googlemaps2.jpg
대략 2012년경 촬영된 구장 전경

폭풍증축의 역사를 대략적으로나마 보고 싶으면 여기를 참조.

4. 명명권

2004년 구단이 창단되고 대대적인 구장 리모델링을 하면서 명명권 판매를 시도했고 2008년 제지회사인 크리넥스에서 명명권을 구매해 "크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라는 이름을 달게 되었다.

그후 2013년까지 계약이 되어 있던 일본제지에서 명명권 계약연장을 하지 않았고 명명권 판매를 알리게 되었다. 공개입찰에서는 모기업인 라쿠텐을 포함한 다른 기업 1군데가 명명권에 응찰, 이후 모기업인 라쿠텐이 낙찰되면서 새롭계 계약을 체결했다. 참고로 kobo는 라쿠텐에서 운영하고 있는 전자 서적 서비스 브랜드 명칭이다. 재미있는 것은 스폰서가 클리넥스 시절일 때도 지금의 라쿠텐 kobo 시절에도 약칭은 'K스타 미야기'로 동일하다는 것. 2020년부터는 라쿠텐이 직접 명명권을 사 '라쿠텐생명파크 미야기'로 바뀌었다. 2023년에 2020년 서비스를 시작한 라쿠텐 모바일에서 명명권을 구입하여 ‘라쿠텐모바일파크 미야기로 바뀌었다.

5. 기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선수였던 에지리 신타로는 재수학원에 다니던 시절 9,500엔에 여기를 빌려서 야구를 했다고 한다. 라쿠텐이 미야기 구장으로 입주하기 이전의 이야기.[16]

6. 관련 문서


[1] 홈 덕아웃이 3루인 곳은 이 곳과 사이타마 둘 뿐이며, 이 두 구장이 모두 퍼시픽 리그이다. 나머지 1군구장은 홈 덕아웃이 1루에 있으며 센트럴리그는 전부 홈구장이 1루에 있다.[2] 한국에서는 삼성 라이온즈 기아 타이거즈와 동일하다.[3] 전국시대 무장 다테 마사무네의 초승달 투구를 본땄다는 이야기도 있다.[4] 더 윗쪽에 있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의 경우엔 이전 홈구장인 삿포로 돔이나 기타히로시마에 세워진 현재 홈구장인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돔구장이기 때문에 눈 맞을 일이 없다.[5] 도호쿠 지방은 일본에서 낙후지역에 속한다.[6] 특히 따뜻한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의 라쿠텐 3루수 호세 페르난데스는 복면까지 걸치고 나오는 방한대책에도 불구하고 2실책에 기록되지 않은 실책성 플레이 1개를 기록했다. 그 와중에 밀어쳐서 홈런을 친 일본 시절의 카림 가르시아도 보인다[7] 2004년까지는 쓴 듯하다. 롯데의 미야기 지방경기 당시 이승엽 응원가[8] 이는 우리나라도 비슷하다.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시절의 삼성 라이온즈무등경기장 야구장 시절의 기아 타이거즈가 그랬다. 이들 경기장을 홈으로 삼던 시절엔 1, 2, 3, 4 차전은 기존 홈구장에서 그대로 치르되, 5, 6, 7차전은 잠실야구장에서 치르는 방식. 다만 삼성과 기아가 신축구장을 완공하였고, 개최 하한선을 폐지하여 이제 그럴 일은 없다.[9] 체크카드를 가져간다면, 하나카드 VIVA 등 해외수수료가 저렴한 카드나 트래블로그, 신한카드 sol 트래블카드처럼 엔화로 직불결제되는 카드로 가져가길 권한다.[10] 센다이는 번화가에 가보면 지방은행인 77은행, 센다이은행 및 옆동네 야마가타의 야마가타은행, 쇼나이은행, 키라야카은행 카드가 심심치 않게 보인다. 문제는 현금카드 겸용의 경우 ATM 규격이 달라서 한국과 카드도 다르다는 것.[11] 후에 마이니치와 합병하면서 팀이 사라졌다.[12] 롯데가 야구단과 홈구장 원 소유주였던 다이에이(大映)로부터 야구단을 인수할 때 다이에이 측이 "구단을 사갔으니 야구장도 같이 사가!" 라고 주장했으나 팀컬러가 구장과 맞지 않다는 이유로 매입하지 않았고, 이 후 다이에이가 부도가 나면서 야구장 부지가 경매로 넘어가 그대로 해체되었다. 이를 두고 롯데가 돈 아낀다고 하는 경우도 있으나,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이 구장은 입지부터 크기까지 문제가 많은 구장이었다. 이 당시 감독이던 가네다 마사이치도 사용을 거부했을 정도.[13] 일본시리즈 미개최는 원칙 문제라 하더라도, 우승 퍼레이드 미개최는 완전한 뒤통수 치기였다.[14] 타이요 훼일즈가 1955~1977년 쓰던 야구장으로, 1978년 타이요가 요코하마 스타디움으로 이전하며 빈 터가 된 구장을 롯데가 쓰게 되었다. 근데 원래 롯데도 요코하마 스타디움을 쓰려다 실패하고(...) 신설 야구장을 날로 먹으려 드니 누가 좋아할까 할 수 없이 빈 터가 된 가와사키시로 이전했다는 흑역사가 있다. 1991년 롯데가 치바로 연고이전하며 다시 빈 터가 되었고 현재는 미식축구장으로 개조되어 사용중.[15] 사진 자체는 2010년에 찍혔다.[16] 에지리 신타로는 미야기현 최고 명문고인 현립 센다이제2고교 출신으로, 게이오기주쿠대학의 스카우트 제의를 거부하고 와세다대학에 삼수해서 들어갔다. 2002년~2014년까지 통산 277경기 등판, 28승 20패, 평균자책점 4.48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