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보잉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민항기 | ||
<colbgcolor=#d4def7,#666> | 협동체 | 광동체 | |
쌍발기 | 717(MD95) · 737(오리지널 · 클래식 · NG · MAX) · 757 | 767 · 777(-200 · -300 · 777X) · 787 드림라이너 | |
3발기 | 727 | - | |
4발기 | 707 | 747(-100 · -200 · SP · -300 · -400 · -8 · 특수목적용) | |
초창기 모델 | 247 · 307 · 314 · 377 · 367-80 | ||
개발 중단 / 개발 중 | 2707 · 7J7 · 소닉크루저 · NMA | ||
군용기 | |||
훈련기 | T-7 | ||
전투기 | P-26 · F-15E/EX · F/A-18E/F | ||
전자전기 | EA-18G | ||
폭격기 | B-9 · B-17 · B-29 · B-47 · B-52 | ||
수송기 | C-135 · C-137 · VC-137 · VC-25 · C-32 · C-17 · C-40 | ||
조기경보기 / 지휘관제기 | OC-135 · RC-135 · WC-135 · EC-135 · E-3 · E-6 · E-8 · E-767 · E-4 · E-7 | ||
공중급유기 | KC-97 · KC-135 · KC-767 · KC-46 | ||
대잠초계기 | P-8 | ||
무인기 | MQ-25 ·MQ-28 | ||
헬리콥터 | CH-46 · CH-47 · A/M/EH-6 · AH-64D/E | ||
개발 중단 / 컨셉 / 실험기 | YC-14 · X-32 · X-48 · YAL-1 · B-1R · F-15SE · 팬텀 레이 | ||
인수 합병 및 공동 개발 | |||
맥도넬 더글라스의 항공기 · F-22 · B-1 · V-22 · 디파이언트 X | |||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 |
보잉 777 형식 목록 | ||
777-200 | 777-300
| 777X |
캐세이퍼시픽항공, 777-367, B-HNE 보잉 777-300의 프로토타입[1] |
일본항공, 777-346ER, JA732J 보잉 777-300ER의 프로토타입[2] |
1. 개요
보잉의 쌍발 광동체 여객기 보잉 777의 동체 연장형인 777-300과 그 파생형에 대한 문서.2. 제원
보잉 777 | 777X | ||||||||
형식 | 777-200 | 777-200ER | 777-200LR | 777F | 777-300 | 777-300ER | 777-8 | 777-9 | |
운항승무원 | 2 | ||||||||
표준좌석수 | 2클래스 | 313 | 313 | 317 | - | 396 | 396 | 395 | 426 |
3클래스 | 305 | 301 | 301 | - | 368 | 365 | 357 | ||
최대좌석수[3] | 440 | 11 | 550 | 470 | 570 | ||||
화물용적 | 162 m³ (LD3 컨테이너 x32) | 653 m³ (팔레트 x37) | 216 m³ (LD3 컨테이너 x44) | LD3 컨테이너 x40 | LD3 컨테이너 x48 | ||||
길이 | 63.7 m | 73.9 m | 70.86 m | 76.72 m | |||||
폭 | 60.9 m | 64.8 m | 60.9 m | 64.8 m | 71.75 m (윙팁 접을때 : 64.85 m) | ||||
날개면적 | 427.8 m² | 516.7 m² | |||||||
날개 후퇴각 | 31.6° | TBA | |||||||
날개 가로세로비 | 8.68 | 9.04 | 8.68 | 9.04 | |||||
높이 | 18.5 m | 18.6 m | 18.5 m | 19.7 m | |||||
동체폭(내벽) | 5.87 m | 5.97 m | |||||||
최대연료탑재량 | 117,348 L | 171,177 L | 181,283 L | 171,177 L | 181,283 L | 197,977 L | |||
표준운항중량 (OEW) | 134,800 kg | 138,100 kg | 145,150 kg | 144,400 kg | 160,500 kg | 167,800 kg | TBA | ||
최대이륙중량 (MTOW) | 247,200 kg | 297,550 kg | 347,500 kg | 347,800 kg | 299,370 kg | 351,500 kg | |||
항속거리 | 9,700 km | 14,310 km | 17,395 km | 9,200 km[4] | 11,120 km | 14,490 km | 16,090 km | 13,940km | |
최대순항속도 | 마하 0.87, 1,066km/h | 마하 0.89, 1,090km/h | TBA | ||||||
이륙거리 | 2,440m | 3,380m | 2,800m | 2,830m | 3,230m | 3,050m | TBA | ||
엔진 x2 | GE | GE90-77B (77,000 lb) | GE90-94B (93,700 lb) | GE90-110B1 (110,100 lb) GE90-115B (115,300 lb) | GE90-92B (92,000 lb) GE90-94B (93,700 lb) | GE90-115B (115,300 lb) | GE9X-105B1A (105,000 lb) | ||
P&W | PW4077 (77,000 lb) | PW4090 (90,000 lb) | X | PW4098 (98,000 lb) | X | ||||
RR | Trent 877 (77,000 lb) | Trent 895 (93,400 lb) | X | Trent 892 (92,000 lb) | X | ||||
코드 | ICAO | B772 [5] | B77L | B773 | B77W | B778 | B779 | ||
IATA | 772 | 77L | 77X | 773 | 77W | 778 | 779 |
3. 세부 형식
3.1. 777-300 (B773)
캐세이퍼시픽항공[LC], B-HNQ 마지막으로 생산된 777-300 |
대한항공, HL7573 |
777-300은 777-200ER의 동체 연장형으로, 1995 파리 에어쇼에서 런칭된 1세대 777 중 하나이다. 777-300은 777-200, 777-200ER과 같은 날개를 사용하며, 777-200ER과 크게 다르지 않은 660,000파운드의 최대이륙중량을 가지고 있고 연료 탑재량은 777-200ER과 같다. 777-300은 777-200ER에 비해 대량 2,000km가량 줄어든 11,165km의 항속거리를 가지고 있으며, 엔진 옵션으로는 제너럴 일렉트릭 GE90, 롤스로이스 Trent 800, 프랫 & 휘트니 PW4000이 있으나 이 엔진들 중 GE90은 777-300을 주문한 항공사들이 선택하지 않았고, 오직 트렌트 800과 PW4000만 777-300에 사용되었다. 여담으로 777-300에 사용된 PW4098 엔진은 당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출력의 엔진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다.
777-300은 1997년 3월부터 본격적인 조립이 진행되었고, 9월 8일에 롤아웃했으며, 10월 16일에 첫 비행을 했다. 777-300의 첫 비행은 757-200을 이어 2번째로 RR 엔진으로 진행한 보잉 상업용 항공기의 첫 비행 타이틀을 가지게 되었다. 777-300은 73.9m의 길이로 당시의 상업용 항공기 중 가장 긴 길이를 가졌고, 1998년 5월 4일에 인증을 받은 후 1998년 5월 27일에 캐세이퍼시픽항공에 첫 생산분이 인도되면서 상업 운항을 시작하였다. 총 8개의 항공사가 60대의 777-300을 인도받았다. 현재 보잉은 더 이상 자사의 상업용 항공기 라인업에서 777-300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777-300의 판매 및 제작도 중단한 상태다.
777-300은 현재 대체가 시작된 기종 중 하나다. 777-300이 노후화된 기종이기도 하고, A350-1000, 777-300ER, 777-9 등의 효율적인 기종들이 등장하였기 때문이다. 에미레이트 항공은 777-300ER로 모든 777-300을 대체한 상태며, 싱가포르항공 등의 다른 항공사들도 777-300을 777-300ER 등의 다른 기종들로 대체하고 있다.
777-300과 777-300의 항속거리 연장형인 777-300ER의 외관 상 주 차이점은 날개와 엔진인데, 777-300의 날개는 777-200, 777-200ER에서 사용된 것과 같기 때문에 777-300ER의 더욱 길고 개선된 날개와는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또한, 제너럴 일렉트릭 GE90 엔진이 적용되지 않고 롤스로이스 Trent 800과 프랫 & 휘트니 PW4000 엔진만을 사용하는 777-300과 달리[7] 777-300ER은 제너럴 일렉트릭 GE90 엔진만 사용하기 때문에 777-300의 엔진이 777-300ER의 엔진에 비해 팬 블레이드가 구식이고, 더욱 작다.
참고로 대한항공은 총 4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항공기 등록번호는 HL7532, HL7533, HL7534, HL7573이다.[8]
3.2. 777-300ER (B77W)
에어 프랑스[LC], F-GSQA |
에미레이트 항공, A6-EGO 1000번째로 생산된 보잉 777 |
아에로플로트, RA-73141 마지막으로 생산된 777-300ER |
777-300ER은 앞서 서술한 777-300의 개량형이며, 2세대 보잉 777로 분류되는 기종이다. 777-300ER은 777-200LR과 함께 개발된 기종으로, 777-200LR과 같은 연료 탑재량을 가지고 있다. 777-300보다 개선된 최대이륙중량인 775,000파운드로 777-200LR, 777F와 같은 320,863파운드의 연료를 탑재할 수 있으며, 승객을 태운 상태로 13,649km를 비행하여 777-200ER과 유사한 수준의 항속거리를 가지게 되었다. 777-300이 제너럴 일렉트릭 GE90, 롤스로이스 Trent 800, 프랫 & 휘트니 PW4000 엔진 중 선택할 수 있는 것과 다르게 777-300ER은 제너럴 일렉트릭의 새롭게 개발된 GE90-115B 엔진만 사용할 수 있으며, GE90-115B 엔진은 기존의 GE90보다 개선된 효율성과 출력을 가지고 있다. 777-300ER은 에어 프랑스가 첫 주문을 하면서 런칭되었다.
777-300ER의 개선된 날개 끝에는 레이크드 윙팁이 적용되어 있다. 이 레이크드 윙팁은 767-400ER에서도 적용된 것으로, 기존의 윙렛과는 달리 일반 윙팁에 후퇴각을 준 것으로 항공기의 효율성을 높여 준다. 이러한 개선점으로 인해 777-300ER은 동세대 경쟁 기종인 에어버스 A340-600에 비해 9% 가량 높은 효율성을 보여준다고 한다. 777-300ER은 777-200LR, 777F보다 빠른 2002년 12월 14일 롤아웃 되었으며, 2003년 2월 24일에 첫 비행을 진행하였고, FAA와 EASA가 같이 777-300ER을 2004년 3월 16일에 인증하였다. 이후 777-300ER은 최초 발주 고객인 에어 프랑스에 2004년 4월 29일에 처음으로 인도되었고, 대한민국의 항공사들 중에서는 대한항공이 777-300ER을 주문하고 인도받았다. 대한항공은 777-300ER을 주력 기종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777-300ER은 대한항공의 중고수요 국제선에 상당히 많이 투입하며 코로나19 사태에 777-300ER 여객기로 화물을 수송하거나, 기존에 747-8I, A380-800이 투입되었던 노선에도 777-300ER이 투입되고 있다.
항공사들은 777-300ER을 보유하고 있던 보잉 747-400의 주력 대체 기종으로 사용하고 있다. 777-300ER을 747-400의 대체 기종으로 사용한 항공사는 매우 많은데, 영국항공, 에어 프랑스, 유나이티드 항공, 타이항공, 대한항공[10], ANA, 일본항공, 필리핀 항공 등의 항공사들이 777-300ER을 747-400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하였으며 영국항공, KLM 등의 일부 항공사들은 최근에도 777-300ER을 추가로 주문하여 보잉으로부터 인도받고 있다. 또한 777-300ER은 보잉 777의 형식 중 가장 많이 팔린 형식인데, 777-300ER은 800대가 넘는 판매량으로 777-200ER, 777F, 777-9 등의 다른 잘 팔린 777의 형식과 비교해도 훨씬 높은 판매량을 차지하고 있다. 777-300ER의 최대 운용사는 에미레이트 항공으로, 무려 131대를 보유하고 있다. 777-300ER의 후속 기종은 777-9로, 새로운 날개와 엔진 등으로 더욱 효율적인 운항이 가능하다.
777-300ER은 국가 전용기로도 사용되는데, 일본 항공자위대가 기존 일본정부전용기로 운용 중이던 보잉 747-400 2대를 대체하기 위해 2019년에 777-300ER[11] 2대를 도입하였다.
2021년 5월, 아에로플로트로 인도될 마지막 생산분이 첫 테스트 비행에 성공하였고 인도까지 완료되었다. 등록 번호가 VP-BFC였다가 2022년 대러시아 경제제재로 인한 강제 리스반납을 피하기 위해 블라디미르 푸틴 정권에 의해 몰수되어 현재 RA-73141로 재등록되었다.
이 기종도 777-300과 같이 대체가 시작된 기종이다.[12][13]
대한민국에선 대한항공이 25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티웨이항공이 2025년 4월까지 2대를 추가 도입할 예정이다.
3.3. 777-300ERSF
IAI사의 B777-300ERSF 홍보 페이지737-800BDSF, 747-400BDSF, 767-300BDSF 등 여객기의 화물기 개조로 유명한 이스라엘의 IAI가 발표한 모델로, 777-300ER 여객기를 화물기로 개조하는 형식이다. 777-300ERSF는 이스라엘의 IAI와 GECAS가 2019년 10월 런칭하였고, 첫 고객은 777-300ERSF를 런칭한 GECAS가 되었다. 777-300ERSF는 공식적으로 발표된 최초의 보잉 777 여객기를 화물기로 개조하는 형식으로써 많은 화물 항공사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747-400F의 대체기를 찾는 항공사들에게 좋은 대안이 될 것으로 IAI는 보고 있다. IAI에 따르면, 777-300ERSF는 747-400F에 비해 1t당 21% 낮은 연료를 소모하는 뛰어난 연료 효율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현재 777-300ERSF 프로그램은 순조롭게 흘러가고 있다. IAI는 에미레이트 항공에게 2005년 인도되어 현재는 퇴역한 기체인 A6-EBB를 GECAS로부터 인도받은 후 자사 공장에서 작업 중이다. 개조가 완료되면 칼리타 에어로 인도된다. 칼리타 에어는 해당 기종을 3대 도입할 예정이다. # 대한민국에서는 에어인천이 5대를 도입할 예정이다. #
2024년부터는 IAI-샤프테크닉스케이의 인천국제공항 공장에서도 생산될 예정이다.[14]
2023년 3월 첫 비행에 성공했다.
4. 관련 문서
[1] 이 항공기는 아직도 현역이다.[2] 원월드 특별도장 적용[3] 일반석 1클래스 기준[4] 화물적재량 102톤 기준[5] 간혹 B77E 혹은 77E라는 B777-200ER의 코드가 따로 존재한다고 하는 경우가 보이는데, 이 코드는 존재하지 않는다. 사실상 ER/LR 파생형 기종에 다른 코드가 붙는 경우는 거의 없다. 200LR과 F, 300ER은 주요 구조물인 주익의 폭 자체가 200, 200ER, 300(Non ER)과 다르기 때문에 다른 코드를 받는 것이다.[LC] 해당 형식의 런치 커스터머[7] 다만 사양상으론 B777-300에 GE90도 선택 할 순 있었다. 이 옵션을 선택한 항공사가 단 하나도 없어서 그럴 뿐.[8] 다만 아직 퇴역 계획은 없는 모양이다. 대한민국 최고령 여객기인 HL7534의 경우 2024년 기준으로 기령이 26년인데 한 대를 제외하고 모두 1998년에 생산된 오래 된 기체이다. 4대 중 마지막 기체인 HL7573 역시 2000년에 생산된 비교적 오래 된 기체인데 2027년까지 모두 퇴역하거나 진에어로 넘어갈 예정인 최후의 B777-200ER 5대(HL7751, HL7752, HL7764~HL7766)는 2007-2008년식으로 해당 기체들보다 노후화가 덜 되었다.[LC] [10] 이쪽은 보잉 747-8도 대체 기종으로 사용하고 있다.[11] BBJ이다.[12] 최대 운용사였던 에미레이트 항공도 이미 22대를 퇴역시켰다. 그 외에도 일본항공, 에어 뉴질랜드, 전일본공수, 케세이 퍼시픽 등등이 퇴역을 진행 중이다. 여담으로 대한항공도 HL7784를 러시아의 노드윈드 항공에 넘겼는데, 노후화로 퇴역한 것이 아니라 리스 계약 만료로 반납했다.[13] 제트 에어웨이즈,싱가포르항공,전일본공수에서 운용하던 일부 기체는 스크랩되었다.[14] 인천공항공사가 격납고를 건설하고 IAI가 샤프테크닉스케이와 합작사로 입주해 생산하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