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9 21:38:52

1구 승리투수


1. 개요2. 역대 1구 승리투수3. 각 구단별 성적4. 0구 승리투수5. 여담6. 관련 문서

1. 개요

말 그대로 공 1개만 던지고 승리투수가 된 케이스를 말한다. 반대로 1구 패전투수가 있다.

2. 역대 1구 승리투수

팀 순서는 승리팀 선순위로 함
* 초대
김청수(롯데) - 1990. 07. 26. 마산 롯데 자이언츠 vs 빙그레 이글스
* 2대
류택현(LG) - 2000. 06. 14. 잠실 LG 트윈스 vs 삼성 라이온즈
* 3대
조용준(현대) - 2004. 10. 04. 수원 현대 유니콘스 vs KIA 타이거즈
* 4대
구대성(한화) - 2006. 09. 18. 대전 한화 이글스 vs 롯데 자이언츠
* 5대
이현승(현대) - 2007. 06. 19. 수원 현대 유니콘스 vs 두산 베어스
* 6대
송신영(우리) - 2008. 09. 12. 목동 우리 히어로즈 vs LG 트윈스
* 7대
이정민(롯데) - 2009. 04. 04. 사직 롯데 자이언츠 vs 서울 히어로즈
* 8대
최원제(삼성) - 2009. 05. 06. 대전 삼성 라이온즈 vs 한화 이글스[1]
* 9대
이동현(LG) - 2010. 07. 09. 잠실 LG 트윈스 vs 두산 베어스
* 10대
최대성(롯데) - 2012. 05. 03. 목동 롯데 자이언츠 vs 넥센 히어로즈
* 11대
진해수(KIA) - 2012. 06. 07. 광주 KIA 타이거즈 vs 삼성 라이온즈
* 12대
유원상(LG) - 2013. 03. 30. 문학 LG 트윈스 vs SK 와이번스
* 13대
이명우(롯데) - 2013. 04. 24. 사직 롯데 자이언츠 vs SK 와이번스
* 14대
봉중근 (LG) - 2013. 05. 26. 잠실 LG 트윈스 vs SK 와이번스
* 15대
김선규(LG) - 2015. 04. 10. 잠실 LG 트윈스 vs 두산 베어스
* 16대
백정현(삼성) - 2016. 05. 06. 대구 삼성 라이온즈 vs SK 와이번스
* 17대
이현호(두산) - 2017.04.29 잠실 두산 베어스 vs 롯데 자이언츠
* 18대
정찬헌(LG) - 2017. 07. 07. 잠실 LG 트윈스 vs 넥센 히어로즈
* 19대
정찬헌(LG) - 2017. 07. 27. 잠실 LG 트윈스 vs 넥센 히어로즈[2]
* 20대
임기준(KIA) - 2018. 04. 08. 광주 KIA 타이거즈 vs 넥센 히어로즈
* 21대
정찬헌(LG)[3] - 2018. 07. 26. 잠실 LG 트윈스 vs 삼성 라이온즈
* 22대
정성종(롯데) - 2019. 04. 18. 사직 롯데 자이언츠 vs KIA 타이거즈
* 23대
김승회(두산) - 2019. 05. 07. 잠실 두산 베어스 vs KIA 타이거즈
* 24대
임정호(NC) - 2024. 04. 17. 창원 NC 다이노스 vs 한화 이글스
* 25대
우규민(kt) - 2024. 09. 27. 수원 kt wiz vs 키움 히어로즈
* 26대
최원준(두산) - 2025. 08. 19. 대전 두산 베어스 vs 한화 이글스

3. 각 구단별 성적

4. 0구 승리투수

이론적으로 초구 이전에 견제사를 성공하면 0구 승리투수가 나올 수도 있다. NPB는 단 1번도 없고, MLB에서도 3번밖에 없는 매우 진귀한 기록이다.

KBO 리그에서는 2024년 3월 23일 NC 다이노스이용찬이 이 방법으로 KBO 역사상 최초로, 그것도 개막전에 0구 승리투수라는 진기록의 주인공이 되었다. 9회초 2아웃 1루 상황, 3대 3 동점인 상태에서 등판한 이용찬은 타석의 박준영에게 공을 던지기 전 1루 주자였던 이유찬을 견제사로 잡아내면서 이닝을 끝냈는데, 9회말 팀이 끝내기 안타로 승리하면서 이용찬은 투구수 0으로 승리를 챙겼다.

피치 클락이 추가된 이후, 투수가 초구를 던지기 전에 타자가 피치 클락을 3회 연속 위반하여 삼진아웃이 되는 방법으로도 0구 승리투수가 될 수 있게 되었다. 상식적으로 일어날 일은 없겠지만 이론상 이 방법으로 0구 완봉승(0구 퍼펙트 게임)도 가능하다.

5. 여담

  • 19대까지는 모두 다른 투수가 기록했으나 정찬헌이 연속 두 번 1구 승리투수가 되는 진기록을 세웠다.[4]
  • 2013시즌, 3번으로 최다 1구 승리투수가 나왔다.
  • 1구 승리투수를 한 번 기록한 류택현1구 패전투수를 두 번 겪었다.

6. 관련 문서


[1] 최초의 원정팀 1구 승리투수.[2] 연속 1구 승리투수이자 이틀 연속 구원승으로, 둘 중 하나도 레어한 기록인데 이걸 동시에 했다.[3] KBO리그 사상 최초로 1구 승리투수를 세번 기록하였다.[4] 사실 임기준보다도 먼저 1구 승리투수를 또 기록했다면 연속 3번도 가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