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21468b> 상징 | <colcolor=#000,#fff>국기 · 국가 · 국호 · 주황색 · 흑꼬리도요 |
| 역사 | 역사 전반 · 네덜란드 공화국 · 바타비아 공화국 · 연합 네덜란드 주권공국 · 네덜란드 연합왕국 | |
| 사회 | 사회 전반 · 인구 · 행정구역 | |
| 정치 | 정치 전반 · 헌법(네덜란드 왕국 헌장) · 국왕 · 행정구역 · 국가의회(상원 · 하원) · 총리 | |
| 선거 | 유럽의회 선거 | |
| 외교 | 외교 전반 · 베네룩스 ·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유럽연합 | |
| 경제 | 경제 전반 · | |
| 교통 | 교통 전반 · 철도 환경(NS · 유로스타 · Thalys · ICE) · 암스테르담 메트로 · 스키폴 공항 · KLM 네덜란드 항공 | |
| 교육 | 교육 전반 · 대학 틀 | |
| 국방 | 네덜란드군 · 육군 · 해군 · 공군 · NATO | |
| 문화 | 문화 전반 · 관광 · 영화 · 요리 · 보렌반트 | |
| 언어 | 네덜란드어 · 네덜란드어 연합 | |
| 인물 | 빌럼 1세 · 에라스뮈스 · 안토니 판 레이우엔훅 · 빈센트 반 고흐 · 안네 프랑크· 요한 크루이프 · 핌 포르튀인 | |
| 스포츠 | 축구 국가대표팀 · 풋살 국가대표팀 · 네덜란드 왕립 축구 협회 · 에레디비시 · 에레디비시 프라우언 · 네덜란드 그랑프리 | |
| 민족 | 네덜란드인(인도네시아계 · 수리남계 · 러시아계 · 중국계 · 튀르키예계 · 폴란드계 · 그리스계 · 아르메니아계) · 네덜란드계 미국인 · 네덜란드계 러시아인 · 네덜란드계 캐나다인 · 네덜란드계 브라질인 · 네덜란드계 호주인 | |
| }}}}}}}}} | ||
| 흑꼬리도요 Black-tailed godwit | |
| | |
| 학명 | Limosa limosa Linnaeus, 1758 |
| 분류 |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Animalia) |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강 | 조강(Aves) |
| 하강 | 신악하강(Neognathae) |
| 상목 | 신조상목(Neoaves) |
| 목 | 도요목(Charadriiformes) |
| 아목 | 도요아목(Scolopaci) |
| 과 | 도요과(Scolopacidae) |
| 속 | 흑꼬리도요속(Limosa) |
| 종 | 흑꼬리도요(L. limosa) |
| 멸종위기등급 | |
| | |
1. 개요
흑꼬리도요는 도요목 도요과에 속하는 새이며 네덜란드의 국조다. 4아종으로 나뉜다.2. 생김새
부리에서 부터 꼬리까지의 길이는 42cm, 날개 길이는 70~82cm 이며 무게는 수컷은 약 280g, 암컷은 340g 이다. 암컷이 수컷보다 약간 더 크다. 부리는 곧고 길며 멱은 적갈색을 띈다.3. 생태
유럽과 아시아에서 번식을 하며 아프리카와 오세아니아에서 월동을 한다. 갯벌, 강 하구, 습지 등지에서 생활하며 주로 무척추동물을 먹지만 물고기나 개구리의 알, 수초를 먹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4~5월, 8~10월 경 관찰되는 흔한 나그네새로서 주로 서해안의 갯벌에서 관찰할 수 있다.4. 여담
흑꼬리도요가 제일 많이 도래하는 지역은 바로 충청남도 아산시에 위치한 아산만 갯벌이다. 봄철 흑꼬리도요의 도래 개체수는 무려 5000마리가 넘는다. [1][1] 흑꼬리도요가 많이 오는 이유는 갯벌 바로 옆에 무논이 있기 때문이다. 흑꼬리도요는 다른 도요새들과 달리 논을 선호하는 도요새이며 간조일때는 갯벌에 있다가 만조가 되면 옆논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활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