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d5ae59><colcolor=#000> 규칙 | 국가별 룰, 초읽기, 접바둑, 덤, 착수금지 | |
기초 원리 | 활로(단수), 따냄, 집, 행마 | ||
기본 형태 | 축, 패, 자충, 빅, 장문, 촉촉수, 환격, 후절수, 귀곡사, 공배, 궁도 | ||
특수 형태 | 장생, 삼패, 진신두 | ||
대국 흐름 | 포석, 정석, 끝내기, 계가, 복기, 기보 | ||
수읽기 | 먹여치기, 사활, 수상전, 수나누기, 교환, 맞보기 | ||
도구 | 바둑판, 바둑돌, 인공지능, 101weiqi | ||
사람 및 기관 | 바둑 기사, 품계, 기원, 한국기원, 대한바둑협회, 일본기원, 관서기원, 중국기원, 바둑 기전 | ||
프로젝트 | 나무위키 바둑 프로젝트 | ||
기타 | 용어, 격언, 특징, 화점 | }}}}}}}}} |
1. 개요
後切手. 돌을 따낸 자리의 돌을 다시 끊어잡는 것. '돌 밑' 이라는 단어를 쓰는 경우도 드물게 있다.2. 내용
돌을 따낸 자리에 두어 다시 돌을 잡는 것에서 환격과 유사성이 좀 있지만 환격은 바로 돌을 되따내는데 비해 후절수는 끊어서 바로 따내지는 않고 잡는 형태로 만든다는 차이점이 있다.가장 일반적인 후절수의 형태. 여기서 백이 흑을 잡으면 어떻게 될까?
돌을 들어낸 자리에 바로 백돌을 끊어잡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일종의 역관광이라 볼 수 있다. 다만 어쨌든 백은 흑돌을 4개 잡았기 때문에 끝내기 상으로는 흑이 손해다. 따라서 이런 후절수의 묘는 주로 사활에서 묘미가 있다. 죽은 줄 알았던 돌이 살아나거나 살은 것 같은 돌들이 후절수 때문에 죽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맥을 이용하면 상당한 쾌감을 느낄 수 있다.
백이 흑을 잡기 위해 먹여친 장면. 상당히 위태로운 상황인데 이를 후절수를 이용하면 잘 넘길 수 있다.
만약 흑 4점을 아껴서 백의 미끼를 덥썩 물면 그대로 옥집이 되어 사망하고 만다.
그래서 이때는 흑 4점을 버려야 한다. 비만인 사람도 다이어트를 통해 몸의 지방을 빼야하듯이 바둑에서도 버려야 할 것은 버려야 하는 융통성을 발휘해야 한다.
지방덩어리를 백에게 주고 나면 홀쭉하지만 이렇게 후절수를 통해 삶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형태는 위의 형태에서 백이 A로 치중했을 때 나오는 중급 사활 문제이다.[1] 이렇게 사활에 역전용으로 주로 사용되는데, 사실 후절수는 실전에서 보기 상당히 힘든 형태이다. 후절수 형태 자체는 이렇게 돌 두 개를 끊는 것 외에도 돌 하나를 끊는 것도 있는 등 다양하지만 이 형태 자체를 만드는 것이 실전에서는 쉽지 않기 때문. 그래서 웬만큼 바둑을 둔 사람도 후절수를 실전에서 많이 본 사람은 별로 없으며 이 때문에 후절수로 유도할 수 있는 형태도 놓치고 넘어가는 경우도 존재한다. 실전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환격과는 대조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래도 프로 바둑에서 후절수는 한 번씩 나오긴 나온다! 프로 대국에서 후절수가 나올 때마다 정말 충격적인 모양으로 나오는지라 바둑 관련 언론에 기보가 실리곤 한다.
3. 관련 문서
[1] 정답 공개 : 백이 A(3,1)로 치중했을 경우 - 흑(2,1), 백(3,2), 흑(4,1), 백(3,2), 흑(2,3), 백(3,1), 흑(4,2)로 백의 후절수처럼 보이지만 흑의 최종 후절수로 되받아쳐서 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