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8 02:43:11

호주-대만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 서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아메리카 · 아프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오세아니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다자관계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CANZUK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이브 아이즈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호주-발트 3국 관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Quad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볼드체 표시는 대만의 수교국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제주특별자치도기.svg
제주특별자치도
파일:대한민국 원형 국기.svg
파일:오키나와현 현기.svg
오키나와
파일:일본 원형 국기.svg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아프리카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소말릴란드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트메 프린시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다자관계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중화권·러시아·만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대한민국·대만·일본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호주 연방
澳大利亞
Commonwealth of Australia
중화민국
中華民國
Republic of China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호주 독립 이전2.2. 20세기2.3. 21세기
3. 교통 교류4. 문화 교류5. 대표부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호주대만과의 관계. 호주는 1970년대에 대만과 단교하고 중국과 수교했지만, 양국은 현재에도 교류와 협력이 활발하다.

2. 역사적 관계

2.1. 호주 독립 이전

의외로 호주와 중국과의 접촉은 생각외로 오래되었는데 해삼 채집 때문이었다. 17세기경부터 중국인 상인들이 해상무역망을 따라 해삼채집을 위해 원주민들만 살던 호주에까지 내려와서 해삼을 수입해온 것이다. 인도네시아와 호주 원주민 간의 교류가 오래전부터 있었고 중국인 상인들도 뱃길을 통해 인도네시아와 교류를 했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그렇게 이상한 일은 아니다.

다만 중화권과는 거리가 위낙에 떨어져 있었고 어디까지나 일부 상인들이 오가는 수준인지라 그 규모가 크지는 않았고, 문자 등 선진문물을 전파하는 활동도 없었기에 눈에 띄는일은 별로 없다. 1848년과 1853년 사이에 3,000여 명 이상의 중국인 계약 노동자(쿨리)들이 노동 계약을 맺고 뉴사우스웨일스 지역에 유입된 것을 계기로 상당수의 중국인 인구가 유입되었다.

당시 호주에는 골드 러시가 한창이었는데 자신들의 금광 노다지 채굴 기회를 중국인들이 가로챌지 모른다고 불안해했던 현지 호주 백인들이 중국인 쿨리 유입에 격렬하게 반발하였으며, 많은 쿨리들이 심각한 차별을 받는다.

2.2. 20세기

1940년대 초, 중화민국 정부가 대륙에 있던 시절에 호주와 중화민국은 공식 수교했다. 호주도 중일전쟁 당시에 중화민국을 지지했었고, 거기에 양국은 일본 제국의 침략을 받았기 때문에 서로 협력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후에도 중화민국과 호주는 계속 수교를 유지했다.

국공내전 으로 공산정권이 중국 본토를 차지하여 국민당이 대만으로 피난갈 때도 호주는 대만과의 관계를 유지했다. 하지만 대륙 정권의 힘이 커지고 닉슨 독트린의 영향으로 1972년에 호주는 뉴질랜드와 같은 해에 대만과 단교하고 중국과 공식 수교했다.

2.3. 21세기

현재에도 비공식 관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양국은 교류가 활발하다. 호주 내에는 수많은 대만인 유학생들이 많이 있고 양국은 정치, 경제에서 협력을 유지하고 있다.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호주와 중국은 갈등을 빚으면서 호주도 대만과의 관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양국은 반중감정이 높아졌고 2020년부터 코로나19로 인해 호주는 대만과 함께 협력하고 있다. 또한, 인도-태평양에도 호주와 대만은 참가하고 있다.

호주의 피터 더튼 국방장관은 대만을 둘러싼 문제에서 호주가 대만 문제에 개입해야 하고 중국은 능력, 힘, 자격이 없다고 밝혔다.#

호주의 피터 더튼 국방장관이 미국이 대만을 방어하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면 호주도 참가한다고 밝혔다.#

2022년 12월 6일, 미국과 호주는 대만의 국제기구 진출을 지원한다는 뜻을 밝혔다.#

2023년 2월 24일, 대만이 호주로부터 계란을 수입하기로 했다.#

3. 교통 교류

대만인들의 경우 호주에 입국할 때는 중국 본토와 달리 입국자체가 자유로운 편이다. 그리고 양국 모두 무비자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4. 문화 교류

표준 중국어는 호주 내 주요 외국어이며, 호주인 원어민 교사도 대만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중국계 호주인을 통해 양국 간 거래나 교류가 활발하다. 킴벌리 챈(陳芳語)가 중국계 호주인,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가수이며 주로 대만에서 활동한다. 호주에서도 TOCFL이, 대만에서는 IELTS를 치며 양국 대학 간 교환학생 교류, 호주인 관광객의 대만 관광, 대만인 관광객의 호주 관광이 활발하다.

5. 대표부

양국은 중국과의 관계 때문에 비공식 관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양국 대표부를 두고 있다.

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