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볼드체 표시에 진한 은색 바탕에 있는 국가는 대만의 수교국 | ||||||
아시아 | |||||||
대한민국 | 북한 | 일본 | 중국 | 홍콩 | |||
싱가포르 | 티베트 | 몽골 | 베트남 | 필리핀 | |||
인도 | 투르크메니스탄 | 위구르 | 제주특별자치도 | 오키나와 | |||
유럽 |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벨라루스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
독일 | 체코 | 슬로바키아 | 영국 | 프랑스 | |||
아일랜드 | 바티칸 | 그리스 | 알바니아 | 튀르키예 |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에스토니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사우디아라비아 | 이스라엘 | 이란 | 리비아 | ||||
아메리카 | |||||||
미국 | 캐나다 |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키츠 네비스 | 파라과이 | |||
과테말라 | 벨리즈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니카라과 | |||
아이티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
아프리카 | |||||||
소말릴란드 | 감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에스와티니 | 레소토 | |||
상투메 프린시페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마셜 제도 | 투발루 | 사모아 | |||
팔라우 | 나우루 | ||||||
다자관계 | |||||||
중화권·러시아·만주 | 대한민국·대만·일본 | ||||||
과거의 대외관계 | |||||||
소련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싱가포르 | |
베트남 | |||||
유럽 ·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 |||||
러시아 | 스페인 | 미국 | 멕시코 | 호주 | |
뉴질랜드 |
| |
중화민국 中華民國 (台灣) Republika ng Tsina Republic of China | 필리핀 Pilipinas Philippines 菲律賓 |
영어 | Taiwan-Philippines Relations Philippines-Taiwan Relations[1] |
타갈로그어 | Relasyon ng Pilipinas at Taiwan |
중국어 | 中華民國—菲律賓關係 |
1. 개요
대만, 필리핀의 대외관계에 대한 문서이다.타이완섬 최남단과 루손섬 최북단의 거리는 불과 250km로 지리적으로 매우 가까워 이래저래 인적 교류도 제법 되지만, 상호 간 수도가 가장 가까운 나라 치고 외교적 중요성은 떨어지는 편이다.
2. 역사적 관계
2.1. 고대 ~ 중근세
생각보다 양 국가 간 거리가 멀지 않아 양 쪽의 원주민들이 상호 영토에 정착하여 살아간 경우들이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대만 원주민 문서에도 나오지만 민족 어족적으로 대만 원주민은 한족보다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인 필리핀인에 가깝다.1500년대 전까지는 양 측 모두 역사상 기록이 거의 없다가 대만은 명나라에 속하게 되었고 필리핀은 스페인이 점령하게 되면서 역사서에 기록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2.2. 근현대
대만은 청나라의 영토에 속하다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으며, 필리핀은 스페인의 식민지였다가 미국의 사실상 식민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대만은 중화민국에 귀속되고 필리핀은 독립하면서 양 측의 관계는 중화민국-필리핀 공화국 관계로 바뀌었다.1946년부터 1975년 6월 9일 이전까지 필리핀은 대만에 소재한 중화민국을 유일한 중국으로 인정했으나, 1975년 이후 필리핀이 중국과 외교를 맺으면서 대만과의 관계는 단절되었다. 그러나 이후에도 여전히 많은 투자, 문화적 교류들이 이어지고 있긴 하다. 한편으로는 대만과 필리핀 사이에 있는 바타네스 주(batanes)의 작은 군도를 둘러싼 분쟁 및 갈등이 있다.[2]
2.2.1. 2010년대
2013년에는 타이완 어민이 필리핀 해양경비대에 의해 총을 맞아 사망하면서 두 나라 간의 갈등이 일어나기도 했었다.#결국 시위가 일어났으며#, 필리핀은 처음에 사과를 하지 않으려다가 필리핀 대통령은 대만에 사과를 했다#, #.
2.2.2. 2020년대
2020년에는 코로나 19로 인해 필리핀이 대만을 여행금지로 지정했다가 나중에 해제했다.#, #, #2020년 8월, 필리핀에서 코로나19가 재확산되면서 타이완은 필리핀에서 오는 사람들을 격리한다고 보도했다.#
2021년 12월, 필리핀에서 태풍 라이가 나타나면서 큰 피해를 입자 대만 정부는 필리핀에 기부를 했다.#
2024년, 대만 정부총통 선거에서 라이칭더 후보가 당선되자 필리핀의 봉봉 마르코스 대통령은 축전을 보냈다. 이에 중화인민공화국은 주중 필리핀 대사를 초치해 항의했다.
5월 14일, 대만과 필리핀 양국이 남중국해에서 중국 도발에 대응하기로 했다.#
2025년 4월 2일, 로미오 브라우너 필리핀군 참모총장은 대만이 침공당할 경우 불가피하게 개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3. 대표부
필리핀 수도 마닐라에는 대만 경제문화사무소가 존재한다. 대만 수도 타이베이에도 경제문화사무소가 존재한다.4. 교통 교류
대만 여권을 가진 대만 국민들은 30일 동안 필리핀에 입국할 수 있다. 필리핀 여권을 소지한 필리핀인들은 무비자로 최대 14일 동안 대만에 입국할 수 있다.두 국가가 워낙 가깝고 시차도 없는데다 필리핀 출신 노동자와 가사도우미들의 수가 상당하여 비행 수요가 많아 타이베이-마닐라 간 항공편은 일일 10~12회 가량 운행한다. 다만 양 국간의 비행편은 거의 타이베이-마닐라 노선에만 집중되어 있다.
5. 문화 교류
필리핀 영어와 타갈로그어에는 민난어, 복건어, 대만어 유래 어휘가 많이 있다.6. 관련 문서
- 대만/외교
- 필리핀/외교
- 대만/역사
- 필리핀/역사
- 대만/경제
- 필리핀/경제
- 스프래틀리 군도
- 대만/문화
- 필리핀/문화
- 대만인 / 필리핀인
- 영어
- 표준 중국어 / 필리핀 영어, 타갈로그어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남아시아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