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0 13:13:21

FC 모바일

피파 모바일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글로벌 버전}}}에 대한 내용은 [[FC Mobile]]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FC Mobile#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FC Mobile#|]]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글로벌 버전: }}}[[FC Mobile]]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FC Mobile#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FC Mobile#|]]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EA-Sports-FC-Logo.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출시
파일:EA 스포츠 FC 로고 가로형 (화이트).png
International Soccer · 95 · 96 · 97 · 98 · 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06 · 07 · 08 · 0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EA SPORTS FC™ 26|
26
]]
파일:fc온라인.png
FIFA Online · FIFA Online 2 · FIFA Online 3 · [[FC 온라인|
FC Online
]]
파일:FC Mobile 로고 화이트.png
[[FC Mobile|
FC Mobile
]] · [[FC 모바일|
FC Mobile(Nexon)
]]
출시 예정
파일:축구 택티컬.png
[[FC Tactical|
FC Tactical
]]
단종
World Cup 시리즈
World Cup 98 · 2002 World Cup · 2006 World Cup · 2010 World Cup · 2014 World Cup
UEFA Euro 시리즈
Euro 2000 · Euro 2004 · Euro 2008
기타
Stars 시리즈 · UEFA Champions League 시리즈 · FIFA Street 시리즈 · FIFA Manager 시리즈
}}}}}}}}} ||

파일:FC Mobile.png
선수 특성 · 개인기 · 대사 · 클래스 · 업데이트 내역 · 문제점 · 사건 사고 · 유튜브 채널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 파일:FC모바일로고.jpgFC 모바일(넥슨)
FC Mobile(Nexon)
}}}
파일:피모배너.png
<colbgcolor=#000><colcolor=#0CF25D> 개발 EA 스포츠
유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넥슨
플랫폼 Android | iOS
장르 스포츠 게임
출시일 2020년 6월 9일(FIFA 모바일)
2023년 9월 22일(FC 모바일)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전체이용가
관련 사이트 파일:넥슨 아이콘.svg파일:넥슨 아이콘 다크.svg | 파일:넥슨 커뮤니티 아이콘.svg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다운로드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1. 개요2. 게임 구성
2.1. 재화
2.1.1. 코인2.1.2. TP2.1.3. FV2.1.4. 강화 / 진화2.1.5. 훈련2.1.6. 특별훈련 / 각성2.1.7. 스킬부스트
2.2. 플레이 센터2.3. 이벤트 센터2.4. 이적 시장2.5. 상점
2.5.1. 특가2.5.2. 이벤트 상점2.5.3. 성장재료 / 포인트2.5.4. 충전소
2.6. 클랜2.7. 라커룸
2.7.1. 지원 국가대표팀/리그
2.8. 매치 센터
2.8.1. 공격모드2.8.2. 일반모드2.8.3. 시뮬레이션 리그2.8.4. 매니저 모드2.8.5. [일반] 관전 경기2.8.6. [공격/일반] 친선 경기2.8.7. 소셜 리그 (관전/친선)
2.9. 클래스2.10. 선수 특성2.11. 개인기2.12. 대사
3. 문제점4. 사건 사고5. 업데이트 내역6. 유튜브 채널7. 평가8. 여담9. 둘러보기10. 관련 사이트

1. 개요

이젠 모두가 즐길 차례! | FC모바일 | FC MOBIL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구) FIFA Mobile 트레일러 영상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Welcome to the club!
BE THE NEXT ICON

넥슨의 국내 독점 서비스를 위한 FC Mobile로컬라이징 버전.

EA와 국제축구연맹과의 네이밍 라이센스 계약이 종료됨에 따라 원작의 FIFA 시리즈가 역사 속으로 사라졌고 EA SPORTS FC가 탄생하였다.

이에 반해 기존의 FIFA 모바일은 서비스 종료를 하지 않고 2023년 9월 22일, 본가와 같이 FIFA Mobile에서 FC Mobile로 명칭이 바뀌었다. 정식 명칭은 EA SPORTS FC Mobile 이다.[1]

2. 게임 구성

2.1. 재화

2.1.1. 코인

새 디자인
파일:1000001840.jpg

게임 내의 기본 재화.

일일 미션, 클랜전 등으로 얻을 수 있으며 특별 훈련 각성이나 스킬 부스트 레벨업 등에 사용된다. 스킬 부스트나 강화 전수권, 강화 재료 등을 코인을 사용하여 교환할 수 있다.

공급은 적은데 수요가 많은 재화라서 유저들 사이에서 부족하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2.1.2. TP

파일:DA0F21B9-B35D-4993-9692-0EDE2BB913A7.jpg

이적 시장에서 사용되는 재화.

이벤트나 일일 미션이나 상점에서 판매하는 '선수/TP팩'에서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운이 좋지 않다면 적은 양의 TP가 나와 손해를 볼 수 있다.
  • 시작 초기에는 무료 보상으로 선수를 구입하여 팀을 꾸리는 방법밖에 없지만 사용하는 선수에 진화를 하거나 무료 이벤트들을 열심히 하여 받는 보상으로 주는 선수들을 팔아 TP를 모을 수 있다.
  • 무료 보상이 생각보다 짭짤해서 게임 초반에도 100억 정도를 모아 놓을 수 있다.
  • 점점 레벨이 올라갈수록 좋은 선수가 필요해지니 때로는 너무 낭비하지 말고 쟁여두는 습관을 들이는 게 좋다.

참고로 글로벌 버전에는 TP가 없다. 코인으로 선수를 사고 훈련을 하는 등 코인으로 다 해결한다.

2.1.3. FV

새 디자인
파일:FC모바일 FV 새 디자인 .jpg

게임 내에서 가장 희귀한 재화.

희귀 재화답게 얻는 방법이 까다로운데, 대표적으로 현질. 상점에서 현질로 FV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무조건 현질을 해야 하는 건 아니고, 무료로도 FV를 얻을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조.
  • 레벨업으로 스페셜 혜택의 레벨 달성 탭에서 FV 받기[2]
  • 핫 타임 접속 보상[3]

FV로 할 수 있는 대표적인 건 상점 팩 구매, 스타패스 레벨업 등이다.

2.1.4. 강화 / 진화

파일:FC모바일강화.jpg
파일:FC모바일진화.jpg
성장 시스템 2.0이 등장하기 전 유저들은 보통 일반카드 7~8진을 훈련시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지금은 단일 팀을 제외하면 거의 전멸했다.

강화 또는 각성이 된 카드는 다른 선수에게 전수를 해야 이적시장에 팔 수 있지만, 진화가 된 카드는 전수 없이 그대로 팔 수 있다. 진화 레벨이 높을수록 이적시장에서 가격이 높아진다.

FC 온라인의 강화 시스템과 비슷한데, 이것 때문에 FC 모바일을 그만두는 유저들도 있다.

7~8진 중에서 하나가 터지면 복구하기가 매우 힘들다.

지금은 2021년 7월 15일 업데이트가 되어 진화를 실패했을 때 1레벨씩만 떨어진다. 비난받던 크리티컬 실패가 사라졌다.

진화 재료의 기본 오버롤 제한이 사라져 실금 진화를 할 수 있게 되었으며 2022년 4월 봄 업데이트를 통해 진화 보호권이 생겼다.[4]

강화확률은 아래 내용과 같다.
1강 100%
2강 81%
3강 81%
4강 61%
5강 61%
6강 41%
7강 41%
8강 41%
9강 35%
10강 30%
진화확률은 다음과 같다.[5]
0 → 1진 100%
1 → 2진 100%
2 → 3진 81%
3 → 4진 64%
4 → 5진 50%
5 → 6진 26%
6 → 7진 15%
7 → 8진 7%
8 → 9진 4%
9 → 10진 2%

가끔씩은 보라색 화면이 뜨며 크리티컬이 뜨는데, 한 번에 2~3 진화레벨이 올라가나 확률은 낮다.

2.1.5. 훈련[6]

파일:넥피모훈련.jpg
FC 모바일의 재화 중 하나인 코인을 사용해 선수의 오버롤을 높이는 방법이다.

코인과 경험치가 쓰이고 오버롤을 훈련으로 올리는 데는 필요한 코인과 경험치가 정해져 있다. 오버롤이 높아질수록 필요한 코인과 경험치도 오르는데 경험치 대신 선수를 넣는 것도 가능하다. 각 선수의 오버롤에 따라 정해진 경험치가 있는데, 훈련이 된 선수를 넣을 시 그 선수를 훈련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코인을 조금 할인해 준다.

그러나 2023~4년쯤부터 출시 선수들의 오버롤이 점점 높아지면서 사실상 필요없는 시스템이 되어버렸다. 설령 쓰려고 해도 적용 가능 선수의 대부분 OVR이 100대라서 후술할 특별훈련각성을 쓰게 된다.
  • 각성이 된 선수를 넣을 시, 각성을 이어 받기 위해 선수 오버롤이 100이 되어야 하지만, 실제 선수의 경험치의 가치는 오버롤을 얼마 올려주지 않아 단숨에 훈련을 100까지 할 수 있지만 코인은 싸지는 꿀팁이 있다.[7]
  • 글로벌 버전 FC 모바일과 달리 훈련을 조금만 해도 오버롤 +10 또는 +20까지 가능하다. 때문에 훈련을 안 한 선수와 훈련을 한 선수의 차이가 상당히 많이 난다. 한때 저오버롤 고진화 선수가 유행하는 데에도 이게 한 몫을 했다.
  • 참고로 기본 OVR이 99까지인 카드만 가능하다.

2.1.6. 특별훈련 / 각성

파일:FC모바일특별훈련.jpg

일명 특훈. 같은 포지션의 선수를 이용해 단계를 올리고 3단계마다 '각성 재료'를 이용해 다시 레벨업을 할 수 있다.
  • 훈련(기본) OVR이 100 이상일 경우 해금된다.
  • 특별 훈련을 하기 위해서는 선수가 필요하다. 선수의 OVR이 높을수록 특별 훈련 경험치가 높다. 보통 기본 OVR 104~107선수를 재료로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선수 1명당 특별 훈련 경험치는 OVR 104 = 900, OVR 105 = 1000, OVR 106 = 1250, OVR 107 = 1500이다.
  • 특별 훈련 재료를 구할 때 특훈할 선수가 FW (ST, LW, RW, CF) MF (LM, CAM, CM, CDM, RM), DF (LWB, LB, CB, RB, RWB), GK 4가지 중 어느 포지션인지 확인하고 이에 맞는 포지션의 특훈 재료를 사야 한다.
  • 특별 훈련 레벨이 높아질수록 레벨업하기 위해 필요한 특별 훈련 경험치가 엄청나게 많아진다. 특별 훈련 레벨을 0에서 1레벨로 올리는 데 필요한 경험치가 500, 29에서 30레벨로 올리는 데 필요한 경험치 2850, 44에서 45레벨로 올리는 데 필요한 경험치 36150, 62에서 63레벨로 올리는 데 필요한 경험치는 무려 233,750이다.
  • 특별 훈련을 1번 해서 레벨업 할 때마다 세부 능력치 한두 가지가 올라간다. 30레벨 이상부터는 레벨업 할 때마다 더 많은 세부능력치가 올라간다.
  • 특별 훈련을 해서 3회 레벨업을 하면 각성을 할 수 있다.
  • 각성 시 각성재료와 코인이 필요하다.[8]
  • 각성 성공 시 선수의 OVR이 1 올라가며, 세부 능력치 한두 가지가 올라간다. 10각성 (30특훈) 이상부터 각성 성공 시 더 많은 세부 능력치가 올라간다.
* 11각성 (33특훈)을 넘어가면 레벨업 도전 시 실패 확률이 생긴다.[9]

2.1.7. 스킬부스트

파일:FC모바일스킬부스트.png
상점이나 코인 교환으로 획득할 수 있고, 스킬부스트를 사용하여 선수의 능력치를 키울 수 있다.
업그레이드를 하면 코인을 획득할 수 있다.

2.2. 플레이 센터

파일:Screenshot_20230925_222001_FC .jpg
파일:IMG_2025-09-17.png
[10]
기간이 길거나 짧은 이벤트가 꾸준히 열리는데, 스태미나를 사용하거나 스태미나 소모가 없는 미니게임과 각종 미션들을 성공시키고선수나 이벤트 전용 보상들을 획득할 수 있다.

2.3. 이벤트 센터

여러 이벤트들이 열리고 상점과 쿠폰 센터가 있다.[11]

2.4. 이적 시장

파일:FC모바일이적시장.jpg
파일:FC모바일이적시장선수거래.jpg

이벤트나 그 외의 보상으로 얻은 선수들을 이적 시장에 올려 거래할 수 있으며 보유 선수 목록에서 판매할 선수를 팔거나 사고 싶은 선수를 따로 관심 선수로 정할 수도 있다. 단, 새벽 3시 ~ 오전 5시[12]에는 이적시장이 폐쇄되었다는 문구가 뜨며 이용할 수 없다.[13]

2.5. 상점

파일:Screenshot_20230922_150438_FC .jpg
파일:fc모바일2025-09-17신규상품.png
다양한 선수 팩을 구매하거나 그 밖의 현질을 할 수 있는 곳이다.
[14]

2.5.1. 특가

파일:FC모바일특가상점.png
사실상 상점의 메인이자, 가장 많은 현질 요소들이 있는 곳이다.

대부분의 현질 요소, 선수 팩 등을 구매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스타패스, 계정 1회 혜택[15], 레벨업 패키지, 일일 특가 상품, VIP 혜택 패키지 등을 구매할 수 있는 곳이다.

2.5.2. 이벤트 상점

파일:FC모바일이벤트상점.png
여러 이벤트 때 이벤트 한정 상품이나, 이벤트 재화로 살 수 있는 상품들이 있는 곳이다. [16]

2.5.3. 성장재료 / 포인트

파일:FC모바일성장재료상점.png
성장재료나 포인트 등을 구매할 수 있는 곳이다.

이터널 아이콘 팬카드, 챌린지 토큰 상품[17], 강화재료, 각성재료, 전수권, 스킬 부스트, 추가 라인업, 기본 선수팩 등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이곳에는 클랜 상점도 있는데, 상품들이 매우 비효율적이고 노후화되어 있어서 자주 쓰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현재는 진화 보호권을 얻을 수 있어서 자주 쓰인다.

2.5.4. 충전소

파일:FC모바일충전소.png
재화를 구매할 수 있는 곳이다.

FV, 스페셜 찬스 이용권, 코인, 스테미나 등을 얻을 수 있다.

2.6. 클랜

유저들이 여러 명 (4명 이상) 모여서 클랜 챔피언십[18], 클랜 토너먼트[19] 등을 하는 곳이다. 클랜 랭킹이 매겨져 있는 순위표도 있으며 클랜 상점에서 보상을 얻을 수도 있다. 오직 공격 모드에만 집중된 유저들의 모임이라고 보면 쉬울 듯 하다.

2.7. 라커룸

파일:bandicam 2024-11-28 16-56-42-824.jpg

2021년 12월 16일 겨울 업데이트로 새롭게 추가됐다. 여기서는 팀 엠블럼과 유니폼을 바로 변경할 수 있다. 또 유니폼 소매 길이, 핏, 허리 스타일, 양말, 축구화 등 선수를 세부적으로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고 더욱 다양한 외형을 지원하고 선수 별로 등번호를 지정하는 기능 그리고 VIP 프레임의 ON /OFF 기능도 적용할 수 있다.

2.7.1. 지원 국가대표팀/리그

파일:FC Mobile.png 지원 국가대표팀 (Men's National) 목록
파일: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colcolor=#fff> 파일:로고.svg <colcolor=#fff> 파일: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colcolor=#fff> 파일: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colcolor=#fff> 파일: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colcolor=#0CF25D> 아르헨티나
(Argentina)
벨기에
(Belgium)
크로아티아
(Croatia)
체코
(Czech Republic)
덴마크
(Denmark)
파일: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프랑스 축구 연맹 로고.svg 파일: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파일:가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잉글랜드
(England)
핀란드
(Finland)
프랑스
(France)
독일
(Germany)
가나
(Ghana)
파일: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아이슬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원정 로고.svg 파일: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22~).svg
헝가리
(Hungary)
아이슬란드
(Iceland)
이탈리아
(Italy)
대한민국
(Korea Republic)
멕시코
(Mexico)
파일: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파일: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화이트).svg 파일: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모로코
(Morocco)
네덜란드
(Netherlands)
뉴질랜드
(New Zealand)
북아일랜드
(Northern Ireland)
노르웨이
(Norway)
파일:폴란드 국장.svg 파일: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카타르 축구 협회 로고.svg 파일: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폴란드
(Poland)
포르투갈
(Portugal)
카타르
(Qatar)
아일랜드
(Ireland)
루마니아
(Romania)
파일: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파일: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미국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스코틀랜드
(Scotland)
스페인
(Spain)
스웨덴
(Sweden)
우크라이나
(Ukraine)
미국
(United States)
파일: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웨일스
(Wales)
파일:FC Mobile.png 지원 리그 목록
파일:프리미어 리그 로고.svg파일:프리미어 리그 로고(화이트).svg <colcolor=#fff> 파일:라리가 로고(세로형).svg <colcolor=#fff> 파일:분데스리가 로고.svg <colcolor=#fff> 파일:세리에 A 로고.svg <colcolor=#fff> 파일:League 1.png
<colcolor=#0CF25D>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Premier League)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리가
(LALIGA EA SPORTS)
파일:독일 국기.svg 분데스리가
(Bundeslig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세리에 A
(Serie A TIM)
파일:프랑스 국기.svg 리그 1
(LIGUE 1 McDonald's)
파일:프리메이라 리가 벳클릭 로고.svg 파일:에레디비시 로고.svg파일:에레디비시 로고(화이트).svg 파일:트렌디욜 쉬페르리그 로고.svg 파일:logo_lpf_1.png 파일:MLS 로고.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리가 포르투갈
(Liga Portugal)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에레디비시
(Eredivisie)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쉬페르리그
(Trendoyol Süper Li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리가 프로페시오날
(LPF)
파일:미국 국기.svg 메이저 리그 사커
(MLS)
파일:K리그1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리그1
(KL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 프로페셔널 리그
(RSL)

파일:벨기에 국기.svg 주필러 프로 리그
(Jupiler Pro League)

2.8. 매치 센터

여기에서는 공격모드, 일반모드, 매니저 모드, 시뮬레이션 리그를 플레이 할 수 있고 경기 관전이 가능한 관전경기와 친구들과 함께 플레이 가능한 친선경기도 플레이가 가능하다.[20]

2.8.1. 공격모드

"팀 OVR 기반의 공격 집중 모드"
파일:Screenshot_20230925_225347_FC .jpg

플레이 버튼을 누르면 다른 유저와 승부를 가리게 된다. 1분 30초 동안 공격상황이 연이어 주어지는데, 최종적으로 골을 가장 많이 넣은 유저가 승리한다.

경기 시작 전, 양쪽 유저의 오버롤, 조직력과 함께 포메이션을 보여주는데, 오버롤과 팀 조직력이 높을수록 더 유리해진다. 경기가 시작되면 홈 팀, 원정 팀 순서대로 라인업을 보여준다.

참고로, 실력보다 팀 OVR이 더 중요한 모드이다.[21]

그렇다고 자신의 기회가 거의 없어서 포기하는 건 좋지 않다. OVR이 낮다고 무조건 패배하는 건 아니기 때문. 이게 희망고문이 아닌 것이, 상대가 아무리 좋은 선수란 선수는 다 때려박아서 최정예 고OVR 팀을 만들더라도, 실력이 없거나 우리 팀 골키퍼가 스탯이 훌륭하다면 모든 절호의 기회를 날릴 수 있다. 반대로, OVR은 부족하더라도 실력으로 커버가 된다면 승리에 조금 더 가까울 수 있다.

2.8.2. 일반모드

"내 실력을 보여줄 정식 대결 모드"
파일:Screenshot_20230925_225341_FC .jpg

일반적인 공식 경기로 유저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모드이다.

수비 모드, 밸런스 모드, 공격 모드 중 하나를 골라 전술 조정을 한 뒤 상대팀과 90분 풀타임 경기를 치르는[22] 모드이다. 공격 모드보다 플레이 시간이 더 길며 전략적인 플레이를 해야 한다.

경기 시작 전 양쪽 유저들의 포메이션, 오버롤과 함께 공격, 미드필드, 수비에 대한 힘의 균형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
공격모드와 똑같이 게임이 시작되면 홈 팀, 원정 팀 순서대로 라인업을 보여준다.

랭크는 랭크 없음 - 아마추어(3~1) - 프로(3~1) - 월드 클래스(3~1) - 레전더리(3~1) - FC 챔피언(3~1)으로 나뉜다. 월드 클래스 3까지는 상대가 모두 AI이어서 플레이하기 쉽고 이길 확률이 높지만, 월드클래스 2부터는 실제 유저들과 매칭이 잡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실력을 보유해야 이길 수 있다.

유저들 사이에서는 일반 모드 플레이 시 특히 자신이 상대보다 오버롤이 압도적으로 높을때, 선수들의 판단력과 골키퍼의 방향 미스 등 오류가 훨씬 더 많이 일어나는 현상[23]이 존재한다고 이야기를 한다.

공격모드보단 덜할 뿐이지 팀 오버롤이 10~50 이상씩 차이나는 매칭이 잡힐수도 있을 뿐더러, 그렇게 되면 상대방이 AI여도 이기기 어렵다.[24]

2.8.3. 시뮬레이션 리그

"리그 우승을 위한 자동 시뮬레이션 경기"
파일:Screenshot_20230925_225328_FC .jpg

16명의 유저들이 리그를 이루어 가상(시뮬레이션) 일반 모드를 치르는 곳이다. 상대의 정보를 파악한 뒤 포메이션과 전술을 조정할 수 있다.

경기 일정이 상단에 따로 나오며, 리그 순위와 리그 보상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하위 3팀은 강등,상위 2팀은 승격하며 아마추어리그는 강등제가 없고 월드클래스 리그는 승격제가 없다.

아마추어 - 세미프로 - 프로 3 - 프로 2 - 프로 1 - 챔피언스 - 월드클래스 순으로 등급이 나누어지며 등급이 높은 리그에서 1위를 차지하면 더 좋은 보상을 획득할 수 있다. 현재는 보상이 적어졌다.[25]

홈 원정 차이가 매우 크고 월드클래스 리그 플레이 시 사실상 버프권은 필수이다.[26] 홈에서는 오버롤 137인 팀이 버프 없이도 150인 팀도 이기지만, 원정이면 버프를 최대로 해도 140인 팀에 지고 만다. 이건 챔피언스 리그 기준이고, 월드클래스 리그에서는 홈과 원정 차이가 더 커지기 때문에 오버롤이 비슷한 팀끼리만 한다.

2.8.4. 매니저 모드

"감독이 되어 실시간 경기를 지휘하세요"
파일:Screenshot_20230925_225336_FC .jpg
전술 조정을 한 팀으로 다른 유저와의 자동 즉 AI가 일반 모드를 치르는 모드라고 이해하면 쉽다. 시뮬레이션 리그와는 다르게 플레이어가 직접 경기를 볼 수 있다. 승점 시스템으로 진행되며, 특정 승점에 도달하면 잔류하거나 승격할 수 있다. 피파 챔피언 디비전에 진입하면 승점 시스템이 아닌 순위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단, 매일 순위가 갱신되는 시간에 순위 유지를 위한 조건을 달성하지 못하면 강등될 수 있다. 매니저 모드는 친구 추가 목록에서 볼 때 보이지 않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아무래도 AI가 조종을 하는 모드이다 보니 특성이 많은 선수가 유리하다.

2.8.5. [일반] 관전 경기

파일:Screenshot_20230925_221944_FC .jpg

원래 이름은 친선모드였으나 2022년 4월 14일 업데이트로 [일반] 관전 경기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말 그대로 경기 관전이 가능한 모드이다. 두 유저를 초대해 경기를 관전할 수 있고, 직접 경기에 참여할 수도 있다.[27]

관전은 최대 5명까지 가능하며, 홈 / 어웨이 팀과 5명의 관중까지 모두 참여한다면 총 7명이 경기를 즐기게 된다.

그리고 방 만료 시간이 있는데 10분 안에 경기를 시작해야 한다. 10분이 넘어간다면 강퇴당한다.

게임 시스템상에서 일반모드로 인정된다.

2.8.6. [공격/일반] 친선 경기

파일:FC모바일 친구친선.jpg

본인의 게임 내 친구[28]와 공격모드 또는 일반모드를 선택해 같이 즐길 수 있다.

2.8.7. 소셜 리그 (관전/친선)

파일:FC모바일 소셜리그 .jpg

2024년 5월 2일 점검으로 새로 생긴 콘텐츠이다.


2025년 6월 5일 업데이트로 100~109 OVR 선수들을 주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29] FV는 매일 생기는 데일리 리워드로 매일 30FV를 얻을 수 있게 바뀌었다.

2.9. 클래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C 모바일/클래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C 모바일/클래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C 모바일/클래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FC 모바일에 존재하는 클래스들의 정보를 모은 문서.

2.10. 선수 특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C 모바일/선수 특성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C 모바일/선수 특성#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C 모바일/선수 특성#|]]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1. 개인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C 모바일/개인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C 모바일/개인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C 모바일/개인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2. 대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C 모바일/대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C 모바일/대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C 모바일/대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문제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C 모바일/문제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C 모바일/문제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C 모바일/문제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C 모바일/사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C 모바일/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C 모바일/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업데이트 내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C 모바일/업데이트 내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C 모바일/업데이트 내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C 모바일/업데이트 내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유튜브 채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C 모바일/유튜브 채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C 모바일/유튜브 채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C 모바일/유튜브 채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평가

FC 온라인 못지 않게 큰 비판들을 받고 있다. 가면 갈수록 퇴보하는 업데이트, 보정, 현질 유도 등의 여러 문제들로 인해 비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8. 여담

  • 닉네임 변경권이 없었으나, 2023년 12월 21일, 2024년 7월 18일 'FC 개명촌' 업데이트로 닉네임 변경이 가능했었다. 그리고 2025년 8월 25일 현재 업데이트로 현재 모든 유저들에게 개명촌 이용권이 주어지며 닉네임 개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시즌 이후 FC 모바일의 인기가 급상승했고, 그만큼 FC 모바일 전문 유튜버들도 구독자가 상승하였다.
  • 2023년 3월 6일에는 FIFA 모바일 한국 정식 런칭 1000일을 맞이하였다.

* 2022년, 피파 모바일 초기의 호나우두 클래스 10진이 나왔다! 당시에는 1700억이 넘는 엄청난 금액이어서 큰 화제였다. 나중에는 1200억 정도에 거래가 되었지만 지금은 실사용이 힘들정도의 성능이다.
파일:CBC521E3-8123-4BC9-8C61-D3F952D7EE7F.jpg
파일:6C5EF272-44F4-48BF-A4C0-A4AF7F741924.jpg
  • FIFA와의 라이센스 문제로 2023년 9월 22일에 FIFA 모바일에서 EA SPORTS FC MOBILE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 FC 모바일 출시 전에 베타 버전을 먼저 공개 하였다. 하지만 바뀐 후 평이 매우 좋지 않다. 라 크로케타 등 1티어 개인기들이 너프가 되었기 때문. 게다가 게임 템포가 전에 비해 느려지고 슈팅도 전작에 비해 잘 안들어가서 노잼이라는 평이 대다수. 그러나 계속 업데이트를 거듭하며 더 좋아지고 있다.
  • FC모바일 유튜버들이 진화, 팩깡을 할 때 "수용이형"을 외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박수용이 FC 모바일 담당이기 때문이다.[30]
  • 최근 들어 베트남 유저들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31] 일반모드의 저~중 티어[32]에서 간간히 만날 수 있는데 대체로 인터넷 연결 상태가 좋지 않고, 풀세[33]나 이모티콘 테러 등의 비매너 행위를 하는지라, 여러 유저들, 유튜버들이 문제삼고 있다.

9. 둘러보기


파일:EA 스포츠 로고 가로형.svg파일:EA 스포츠 가로형 로고_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현재
미식축구 축구 아이스하키
파일:EA SPORTS MADDEN NFL.png파일:EA SPORTS MADDEN NFL 화이트.png 파일:EA-Sports-FC-Logo.svg파일:fc24-primary-logo.svg 파일:EA SPORTS NHL.png파일:EA SPORTS NHL 화이트.png
종합격투기 골프 농구
파일:EA SPORTS UFC 다크.png파일:EA SPORTS UFC.png 파일:ea-pga-tour-logo-nav.svg파일:EA 스포츠 PGA 투어 로고 화이트.svg 파일:EA SPORTS NBA 라이브 로고.png파일:EA SPORTS NBA 라이브 로고 화이트.png
야구 오픈휠 레이싱 랠리
파일:SMB4 로고 화이트.png
파일:탭 스포츠 베이스볼 23 로고 화이트.png
파일:EA Sports F1 (Dark).svg파일:EA Sports F1.svg 파일:EA SPORTS WRC 로고 블랙.png파일:EA SPORTS WRC 로고 화이트.png
단종
야구 농구
트리플 플레이 / MVP 베이스볼 NBA 라이브
테니스 권투 스노보드
그랜드 슬램 테니스 파이트 나이트 SSX
기타
NASCAR, 슈퍼카, 슈퍼바이크, 럭비 유니온, 럭비 리그, 오스트레일리안 풋볼 리그, 아레나 풋볼, 크리켓, NCAA 등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42947,#919194><tablebgcolor=transparent><tablecolor=#042947,#e0e0e0><nopad>
파일:넥슨 아이콘.svg 넥슨게임
||
{{{#!wiki style="margin: 0 -10px -3px; min-height: 26px; text-align:center; font-size:0.95em"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lding [ RPG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font-size:0.7em"
파일:IJKx25132105570.png 파일:블루 아카이브 앱 아이콘.png 파일:v4.webp 파일:Vi4C25142729223.png 파일:HIT2.jpg 파일:바람의 나라 모바일 아이콘.jpg
파일:프라시아.jpg 파일:iczZ25143058078.png 파일:RHW725141318563.png 파일:PegT17074349233.png 파일:g2VZ25131640536.png 파일:마비노기 모바일 로고.png
파일:0Ciz25132438260.png 파일:6ROO25133219743.png 파일:데이브 더 다이버 아이콘.jp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액션 RPG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font-size:0.7em"
파일:CfsK25114803469.png 파일:CYS715115226120.jpg파일:SMic01111946130.png 파일:Jqct27121535289.jpg 파일:퍼스트 버서커 카잔.png 파일:tfd_icon.pn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캐주얼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font-size:0.7em"
파일:pshJ17170441562.png 파일:nzo928144011728.png 파일:카러플 앱 아이콘.png 파일:maplestoryworlds.jpg 파일:Kartrider Drift icon.png (출시 예정)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슈팅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font-size:0.7em"
파일:MfDx25133042023.png 파일:PF9Z25141624118.png 파일:THE FINALS Icon.pn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스포츠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font-size:0.7em"
파일:477r25113653533.png 파일:FC모바일로고.jp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lding [ PVP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font-size:0.7em"
파일:fkUS21145238222.pn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lding [ AOS/MOBA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font-size:0.7em"
파일:otn225132906905.pn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lding [ 배틀로얄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font-size:0.7em"
파일:슈퍼바이브.jp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전략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font-size:0.7em"
파일:고질라 디펜스 포스.webp
}}}}}}}}}}}}서비스 종료

10. 관련 사이트


[1] 그 외로 FC 모바일이나 엪모로 불리며, 예전 명칭인 피모라고도 불린다.[2] 50레벨이 될 때까지 매 정해진 레벨에 도달할 때마다 상당한 양의 FV를 지급한다.[34][3] 기존에 스태미나를 주던 곳에서 각각 10FV씩 매일 30FV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기존 소셜 리그 데일리에서 주던 보상과 달리 기간이 영구 보존이라 무과금도 열심히 모으면 팩 개봉이 가능하다![4] 5진 이상일 때 또는 선수 기본 오버롤이 높을 때는 진화할 때 진화 보호권을 쓰는 것을 추천한다.[5] 참고로 게이지를 끝까지 채웠을 때의 확률이다.[6] 현재는 출시되는 선수들의 기본 오버롤이 120대 후반에서 130대, 높으면 140대이므로 쓸 일이 적다.[7] 예를 들면 80 오버롤 선수를 훈련하기 위해 각성이 되어있는 오버롤 100 선수를 넣었다면, 내가 훈련을 하는 선수는 각성을 이어받기 위해 오버롤이 100이 된다. 하지만 오버롤 100 선수의 경험치 가치로는 오버롤이 90까지만 올라간다. 그래서 선수를 80-90으로 올려주는만큼 코인을 내지만, 실제 선수의 오버롤은 100까지 훈련이 되는 것.[8] 1~4 각성 도전 시 동일 포지션 (공격수, 미드필더, 수비수, 골키퍼)의 엘리트 각성 재료 1개 필요, 5~9 각성 도전 시 동일 포지션의 엘리트, 마스터 각성 재료가 각각 1개씩 필요, 10각성 이상부터 엘리트, 마스터, 레전더리 각성 재료가 각각 1개씩 필요[9] 11각성 성공 확률 93%, 12각성 86%, 13각성 79%, 14각성 72%, 15각성 65%, 16각성 58%, 17각성 51%, 18각성 44%, 19각성 37%, 20각성(60특훈) 성공 확률 30%[10] 2년전에 찍은것은 위,지금은 아래이다. 상당히 2년전에 126 까지 있었는데 지금은 141이라는것을 보면 알 수 있다. 2년전에 토너먼트 모드가 있었는데 지금은 사라졌다.[11] 무과금 유저들은 이벤트를 풀참하는 것을 추천한다.[12] 원래는 오전 1시부터 오전 8시까지였으나 편리성을 위해 오전 2시에서 오전 7시로 바꾸었는데, 이것마저도 유저들이 불만을 표시하며 지금의 시간으로 단축되었다.[13] 아마도 유저가 적은 시간대에 시세를 조작하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으로 보인다.[14] 2년전 500원팩은 있는데 지금은 사라졌다.[15] 초보자 패키지, 스타디움, 팀 개인기 등[16] 참고로 위 사진에 나와있는 이벤트들은 이미 모두 끝난 상태이다.[17] 챌린지 토큰은 매치 센터에서 얻을 수 있다.[18] 클랜원들끼리의 단판 토너먼트 대회다. 우승 보상으로 클랜 상점에 사용되는 재화를 얻는다.[19] 클랜 vs 클랜 토너먼트는 두 클랜원 서로간의 공격모드 경기를 통해 총합 더 많은 골을 넣은 클랜이 승리를 가져가는 방식이다. 클랜원의 실력, 팀 못지않게 참여율이 중요한 경기다. 본인에게 할당된 공격 기회는 모두 사용하도록 하자.[20] 참고로 초심자들을 위한 봇이 존재한다. 랭크 등급이 낮거나, 접속 유저가 적은 시간대에 만날 수 있다. 실제 축구 선수의 이름을 사용하며 친구 추가가 불가능하다. 봇임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닉네임에 숫자가 들어가 있는지를 보면 된다. 또 프로필 사용 불가라는 말이 뜨면서 라인업을 볼 수 없다. 그리고 모든 봇은 어떤 유저의 닉네임 뒤에 숫자를 붙인 닉네임을 사용하고, 그 유저의 예전 스쿼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론상 플레이어가 자신의 도플갱어를 만날 수도 있다!(실제로 만난 유저도 있다!)[21] OVR이 높을수록 절호의 기회가 나올 확률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실력이 아무리 좋다고 해도 OVR이 낮으면 좋은 기회가 잘 오지 않는다.[22] 실제 플레이 시간은 평균 5~7분 정도이다.[23] 일명 보정. EA 측에서는 FC 온라인이나 FC 시리즈에서 보정의 존재를 계속해서 공식적으로 부정해오고 있지만, 게임을 꽤 오래 해본 거의 대부분의 유저들 사이에서 보정 시스템은 거의 정설로 받아들이고 있다. 어찌보면 넥슨 입장에서는 당연히 보정 같은 건 없다고 말해야 하는데, 보정이 있다고 하면 현질이 점점 줄어들것이고 결국 개삽질이 되는 꼴이기 때문이다.[24] 다만 보정이면 오히려 이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실제로도 오버롤 160 언더인 계정으로 FC 챔피언 티어를 찍은 계정들도 많이 존재한다.[25] 전에는 시뮬레이션 코인이라는 것으로 100 ~ 115선수에 사용하면 무작위로 15명을 얻을 수 있어 TP벌이가 어느 정도 되었었다. 그 외로 스페셜 부스터를 한 주가 끝날때마다 챔피언스 리그 기준 하위권으로 생존해도 코인 2~3으로 스킬 부스트 3000개를 그냥 얻었다. 더불어 강화재료도 덤.[26] 풀 버프 시 월드클래스 리그 1위 유저가 버프 없이 하면 10위권으로 떨어진다고 보면 된다.[27] 대전 위치로 가기라는 버튼을 누르면 된다.[28] 친구 추가 버튼을 눌러서 원하는 친구를 검색할 수도 있다.[29] 그전에는 FV를 주었다.[30] FC 온라인 유튜버들이 정무형을 외치는 것과 비슷하다.[31] 베트남의 규제로 인하여 EA가 베트남에서 글로벌 FC 모바일을 더 이상 제공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32] 최근에는 랭킹 100위 안에서도 자주 보일 정도로 심각해졌다.[33] 골을 넣은 후 세레머니를 넘기지 않는 행위. 간혹 풀세가 왜 비매너인지 모르는 사람들이 있는데, 원래 피파 모바일 시절부터 유저들 사이에서 비매너 행위였다. 세리머니를 넘기는 게 시간을 끌지 않고 상대를 존중하는 의미라는 것. 풀세에다가 하이라이트까지 끝까지 스킵하지 않으면 더욱 비매너가 되니 자제하도록 하자. 풀세를 한 후 상대에게 골을 먹으면 똑같이 당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