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9 17:53:06

포켓몬 에볼루션즈

파일:포켓몬스터 로고.svg 애니메이션 시리즈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0%"
{{{#!wiki style="margin:0 -10px -5px"
{{{#3861ad {{{#!folding [ TVA 시리즈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tablebgcolor=#ffffff,#2d2f34>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Original_series_logo.png 파일:ag 로고.png 파일:dp 로고.png
포켓몬스터(1997) 포켓몬스터 AG 포켓몬스터 DP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Pokemon_Best_Wishes_Series.png 파일:external/upload.inven.co.kr/i0504491607.png 파일:썬문 로고.png
파일:신무인 로고.webp 파일:포켓몬스터2023_로고.png
포켓몬스터W
}}}}}}}}}}}}}}}
{{{#!folding [ ONA 시리즈 ]
{{{#!folding [ 관련 문서 ]
||
포켓몬 에볼루션즈 (2021)
Pokémon Evolutions
파일:포켓몬 에볼루션즈.jpg
{{{#1290ff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장르 판타지, 모험
원작 포켓몬스터 시리즈
감독 토미야스 다이키1화
후데사카 아키노리2화
야마모토 요스케3화
타케우치 마사토4화, 8화
요시오카 시노부, 쿠로다 켄지, 이토 유이치5화
마츠네 마사토, 야마모토 준이치6화
와카노 테츠야7화
각본 Benjamin Townsend
캐릭터 디자인 야마자키 레이, 오카다 에리카1화
타카다 하루히토2화
와타나베 야에코3화
무라타 오사무4화
니시 마유코5화
오노 카노코6화
에비스 타쿠마7화
우나바라 카이리8화
음향 감독 미마 마사후미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카토 히로유키
애니메이션 제작 OLM TEAM KATO1~8화
CloverWorks3화
라이덴 필름 오사카 스튜디오5화
WIT STUDIO7화
송신 기간 2021. 09. 09. ~ 2021. 12. 23.
스트리밍 포켓몬스터 공식 유튜브 채널
편당 러닝타임 7~11분
화수 8화
시청 등급 정보 없음
}}}}}}}}} ||
1. 개요2. 등장인물
2.1. 성우진
3. 회차 목록4. 평가5. 기타

[clearfix]

1. 개요

준비하라, 최고의 배틀을. 모험하라, 포켓몬의 세계를
GET READY, TO BATTLE. EXPLORE, THE POKEMON WORLD
한국어판 PV
한국어판 2차 PV
영어판 PV

포켓몬스터 시리즈 25주년을 기념하여 제작되는 8부작 웹 애니메이션.

8세대부터 시작하여 거꾸로 진행되며 포켓몬스터 THE ORIGIN, 포켓몬스터 새벽빛의 날개, 포켓몬 제너레이션즈와 유사한 원작 게임 스토리의 애니화이다.

2. 등장인물

주인공
트레이너 등장 화
보연 8화
심향[1] 7화
봄이 6화
광휘 5화
투희 4화
칼름 3화
미월 2화
승재 1화

라이벌
트레이너 등장 화
진우 8화
용식 5화
체렌 4화
세레나 3화
사나
하우 2화
글라디오
호브 1화
마리

챔피언
트레이너 등장 화
노간주 4화
카르네 3화
단델 1화

체육관 관장
트레이너 등장 화
그린[2] 8화
유빈 7화
강석 5화
비트 1화

악의 조직
조직 트레이너 등장 화
갤럭시단 태홍 5화
주피터
마스
플라스마단 게치스 4화
N
사랑의 여신·평화의 여신
플레어단 플라드리 3화
스컬단 구즈마 2화
에테르재단 루자미네

포켓몬 트레이너
트레이너 등장 화
레드 8화
블루[3] 8화
피아나 6화
종수 5화
파키라[4] 3화
릴리에 2화

포켓몬 박사
트레이너 등장 화
오박사 8화
플라타느박사 3화

2.1. 성우진

미국 일본 한국
단델 알렉스 리[알렉스르] 오노 다이스케[W] 임채헌[W&TW]
호브 아드리엘 발락(Adriel Varlack) 이리노 미유[8][9] 김다올
승재[10] 알렉스 리[알렉스리][12] 타나베 코스케 강성우
릴리에 아만다 리[13] 카야노 아이 윤아영[SM]
루자미네 던 M. 베넷 소노자키 미에[15] 김보영[SM]
글라디오 - 사카타 쇼고 -
미월[17] -[18] - 이다은
구즈마 -[19] - 황창영[SM]
별구름 - 나츠메 히나(夏目 妃菜) -
루나아라 - 모토요시 유키코(元吉 有希子) -
네크로즈마 - 사카타 쇼고 -
플라드리 아딘 러드[21] 하시 타카야 안장혁[XY&GE]
카르네 앰버 리 코너스 미츠이시 코토노 여민정[XY&GE]
플라타느박사 오스틴 리 매튜스 - 강호철[XY]
세레나 -[25] - 김현지[XY]
파키라 마리사 렌티 타네자키 아츠미 김현지[27][28]
투희 - 나츠메 히나 장예나
게치스 아르멘 테일러[29] 코야스 타케히토 김영선[BW]
N 크리스 해크니[31] 성인 - 마츠오카 요시츠구
유년기 - 미우라 치유키(三浦千幸)
신용우[BW]
노간주 앤드류 일스(Andrew Eales) 마미야 야스히로 오인성[BW]
사랑의 여신 브리태니 라우다 모토요시 유키코 장예나[34][35]
평화의 여신 다니 아르투드(Dani Artaud) 네모토 미야리 윤은서[36][37]
용식 코너 루도바이스(Connor Ludovice) 무라세 아유무 이새벽[38]
종수 카이지 탕[39] 모리타 마사카즈[40] 윤용식[41]
주피터 수지 영 후지타 사키[42] 박고운[43]
봄이[44] - 나츠메 히나[45] 박시윤
피아나 로라 스탈[46] 사쿠라 아야네[47] 김하루[48]
옥희[49] 헤더 곤잘레스[50] 우에다 레이나 신온유
난주[51] 제니 요코보리 센본기 사야카 김수영
예솔[52] 재키 라스트라[53] 무라카와 리에 박시윤[54]
태희[55] 로라 포스트[56] 모로호시 스미레[57] 강새봄
수정[58] 잰시 윈[59] 후지타 아카네 장미
무대 스태프[60] 알렉스 리[알렉스리] 사카타 쇼고 박주광
보연[62] 브리태니 라우다 나가이 마리코 김가령
블루 크리스티나 발렌주엘라[63] 미모리 스즈코 장예나[64]
진우 브랜던 윙클러[65] 사이토 소마 김민주[66]
오박사 키스 실버스틴 소노베 케이이치 신용우[67]

3. 회차 목록

  • 전화 각본: Benjamin Townsend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콘티 연출 작화감독 캐릭터 디자인 방영일 등장지방 본편 링크[70]
1화 The Champion
챔피언
ザ・チャンピオン
토미야스 다이키 야마자키 레이아
(山崎玲愛)
야마자키 레이아
오카다 에리카
(岡田絵里香)
2021.09.09 가라르지방 파일:유튜브 아이콘.svg(한)
파일:유튜브 아이콘.svg(En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日)
2화 The Eclipse
이클립스
ジ・イクリプス
후데사카 아키노리
(筆坂明規)
사토 카즈미
(佐藤和巳)
타카다 하루히토
(高田晴仁)
2021.09.23 알로라지방 파일:유튜브 아이콘.svg(한)
파일:유튜브 아이콘.svg(En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日)
3화 The Visionary
비저너리
ザ・ビジョナリー
야마모토 요스케
(山本陽介)
와타나베 야에코
(渡邉八重子)
2021.10.07 칼로스지방 파일:유튜브 아이콘.svg(한)
파일:유튜브 아이콘.svg(En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日)
4화 The Plan
플랜
ザ・プラン
타케우치 마사토
(竹内雅人)
무라타 오사무 2021.10.21 하나지방 파일:유튜브 아이콘.svg(한)
파일:유튜브 아이콘.svg(En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日)
5화 The Rival
라이벌
ザ・ライバル
요시오카 시노부
(吉岡 忍)
요시오카 시노부
쿠로다 켄지
(黒田健司)
이토 유이치
(伊東優一)
타카다 요코
(高田謡子)
사마모토 미츠쿠니
(佐本三国)
니시 마유코
[총작화감독]
(西真由子)
니시 마유코 2021.12.02 신오지방 파일:유튜브 아이콘.svg(한)
파일:유튜브 아이콘.svg(En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日)
6화 The Wish
소원
ザ・ウィッシュ
야마모토 준이치 마츠네 마사토
(松根マサト)
야마모토 준이치
사카타 아이코
(坂田愛子)
나카야 토시코
(中矢利子)
사카이 유미
(酒井裕未)
오노 카나코
[총작화감독]
(小野可奈子)
오노 카나코 2021.12.09 호연지방 파일:유튜브 아이콘.svg(한)
파일:유튜브 아이콘.svg(En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日)
7화[73] The Show

ザ・ショウ
와타나베 테츠아키 에비스 타쿠마 2021.12.16 성도지방 파일:유튜브 아이콘.svg(한)
파일:유튜브 아이콘.svg(En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日)
8화 The Discovery
디스커버리
ザ・ディスカバリー
타케우치 마사토 うなばら海里 2021.12.23 관동지방 파일:유튜브 아이콘.svg(한)
파일:유튜브 아이콘.svg(En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日)

4. 평가

파일:IMDb 로고.svg
유저 평점 7.2/10
  • 1화
    전반적으로 작화가 상당히 호불호가 갈린다.[74] 주인공과 그 비슷한 나잇대의 인물들이 모두 폭풍성장하여 디 오리진이나 새벽빛의 날개 등 다른 작품에 비해 얼굴이 작고 등신대가 높으며, 유독 엣되지 않고 성숙해 보이는 인상[75]으로 그려졌다. 이에 맞춰 이 나잇대에 남자 캐릭터인 승재와 호브의 성우 또한 여자 성우[76]가 아닌 남자 성우가 연기를 했다.[77] 포켓몬 미디어 믹스가 원작 게임에서 유저의 선택에 따라 변하는 설정이 너무 많고 그만큼 정사를 명확하게 따지지 않는 양상이 크긴 했지만, 등장인물들의 추정 나잇대를 변경한 것은 본작이 최초다.

    덩달아 성인 캐릭터인 단델의 얼굴 또한 거의 30대 중반인가 싶을 정도로 삭아서 세월의 풍파를 정통으로 맞았다며 안타까워하는 반응이 많다. 다만 본작에서 단델은 자신의 시대에 끝이 다가옴을 직감하고 다음 세대의 젊은 트레이너들에게 자리를 물려줘야 한다는 사실과 가라르의 모든 트레이너를 강하게 만든다는 목표 등을 놓고 작중 내내 끊임없이 괴로워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게임판에 비해 나이가 있어 보이는 작화가 이러한 묘사에 어울린다는 평도 있으며 원작 내에선 간접적으로만 명시된 단델의 또 다른 일면을 보여준 것에 대해서는 호평이 많다.[78]
  • 2화
    작화에 대해서는 호평이 많다. 1화에 비해 보다 원작에 가까운 작화를 보여주었으며 네크로즈마와 루나아라의 전투신 연출도 매우 훌륭하다.[79]

    다만 스토리 관련해서는 호불호가 크게 갈리는데 원작을 너무 충실하게 반영해서 에피소드 내내 릴리에의 얼굴만 지겹도록 보여주고 미월이는 마지막에 약간의 신음 소리와 함께 슬쩍 끼어드는 것 이외에는 어떠한 분량도 아예 없다. 역시 대사는 없지만 릴리에를 부축하러 뛰어나온 장면이 있는 글라디오만도 못한 수준. 심지어 그 끼어드는 장면에서조차 화면의 포커스는 릴리에에게 초집중되어 있어 7세대를 비판적으로 보는 유저들에게 크게 분노를 샀다. 자아비판 측면에서 의도된 연출일 수도 있으나, 미월이가 처음으로 애니메이션에 등장할 수 있었던 절호의 기회가 날아갔으므로 이는 비판받아 마땅하다. 게다가 기반이 된 게임인 울트라썬문의 경우 썬문에 비하면 플레이어의 비중이 그나마 증가하였는데, 이에 따라 합체 네크로즈마와의 배틀과 같은 미월이의 역할을 충분히 조명할 수 있었음에도 통째로 잘라버린 것.

    또한 울썬문에서 개판으로 망가졌던 루자미네의 묘사도 그대로인데, 분명 에테르파라다이스에서는 릴리에한테 자기가 언제부터 네 엄마였냐는, 넌 트레이너가 될 재능도 장래성도 뭣도 없는 무능아에 불과하다는 비난을 퍼부으며 별구름을 빼앗아 갔던 악역으서의 면모만 묘사되더니, 나중에는 갑작스레 저놈은 괴물이니 도망치라니 뭐니 하며 어머니 행세를 하는 이중성을 보인다.

    결국 주인공의 역할을 제외하고 보더라도 게임에서는 볼 수 없었던 단델의 다른 일면을 보여줘 호평을 받은 1화와는 달리, 2화는 릴리에를 열심히 비춰주기만 할 뿐 실질적으로 릴리에가 하는 일이 없다는 것은 그대로이며, 1화의 단델처럼 캐릭터 자체의 보완이 이루어진 것도 아니다. 1화에서는 주인공과의 배틀을 앞두고 단델이 어떤 각오로 임했는지 보여주고, 3화에서는 플라드리의 사상과 동기에 대해 옅게나마 보완을 해주었다면 2화의 릴리에는 가뜩이나 원작에서도 의도를 알 수 없다고 혹평받은 캐릭터인데 에볼루션즈에서조차 캐릭터 자체의 심리 묘사가 거의 부재하다. 게다가 호평받은 전투신 역시 울트라메가로폴리스와 네크로즈마의 설정[80]을 알려주지 않아 에볼루션즈만 봐서는 왜 두 포켓몬이 격렬한 싸움을 하는지 알 수 없다. 즉 다른 화들과 달리 보완은 커녕 원작보다도 설명이 더 부실하다.
    결국 작화(비주얼)는 훌륭했지만 원작의 문제점이 그대로 답습되어 내용은 없다는 점에서는 충실하기만 할 뿐인 에피소드였다는 점에서 혹평 또한 많은 에피소드였다.
  • 3화
    칼름 역에도 남자 성우가 기용된 것이 밝혀졌는데, 게임판에서도 칼름의 추정 연령대는 17세 이상이었던 만큼 이질적이지는 않다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원작이 스토리와 연출 부분에서 큰 비판을 받은 것을 감안했는지 원작에서 제대로 묘사되지 않았던 플라드리의 심리와 고뇌를 표현했으며 최종병기가 가동될 때 다소 심심한 연출뿐이었던 게임판과 달리 최종병기가 가동이 굉장히 위엄있게 표현되었다. 사건이 끝난 직후 아무런 행적이 밝혀지지 않은 원작과 달리 파키라가 홀로캐스터를 통해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달라는 플라드리의 이전 영상을 시민들에게 남기는 것으로 끝맺었다. 전체적으로 원작의 부족했던 부분을 적게나마 보완한 쪽으로 나오면서 2화보다는 호평이 많다.
작화쪽에서도 다소 부담되는 카르네 작화 정도가 호불호가 갈릴뿐 전체적으로 굉장히 잘 뽑혔다는 반응이 많으며 특히 라이벌 세레나의 작화에 대한 반응이 매우 좋았다.
  • 4화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미디어믹스 최초로 투희가 마침내 메인 주인공으로 등장했으며, 투희가 등장한 것만으로 팬들의 엄청난 대호평을 받았다. N의 성장과정과 게치스의 심리묘사가 보다 자세하게 표현되었다. 또한 원작에서 단순히 노간주의 패배로 끝난 장면이 불카모스vs제크로무의 대결을 통해 패배하는 과정으로 자세히 묘사되었고 이 과정에서 노간주가 게치스가 거짓말쟁이라는 말을 N에게 하고나서 N이 동요하는 장면이 나오게되어 노간주가 N의 심경에 변화를 주었음이 암시되었다. 또한 원작 BW의 오프닝 및 게치스의 연설 등 인게임에서 표현된 장면들이 그대로 삽입되어 대체로 호평을 받고 있다.

    또한 N이 게치스에게 거두어지기도 훨씬 전의 과거가 자세히 조명되는데, 숲에서 포켓몬과 함께 생활하던 야생 소년]었다. 게임에서는 단순히 고아였고 포켓몬들과 어울려 놀았다는 정도로만 알려져 있었는데, 이번 회차에서 거기에 살을 붙인 것이다.

    다만 정작 N을 흔들리게 한 주인공과의 교류장면이 전부 잘린데다가 하이라이트인 제크로무 vs 레시라무 전이 나오지 않은 점은 아쉽다고 평가받고 있다.
  • 5화
    기존 애니메이션과 다르게 한국판 용식 역을 여자 성우가 맡았으며[81], 원작 및 애니의 까불거리는 성격은 어디 가고 꿈 많고 진지한 소년으로 그려졌다. 리메이크에서도 보완되지 못한 용식이의 이야기를 진중하게 보완하고 아버지인 종수와의 배틀로 용식이의 성장을 그려낸 점이 호평받았다.
  • 6화
    원작에서는 여러모로 뜬구름 잡는 소리만 해서 이해하기 힘든 피아나의 행동들에 과거회상을 추가해서 이전보다는 좀 더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역대 주인공들 중 봄이의 비중과 활약을 가장 잘 살렸다는 평을 받는다.
  • 7화
    전반적인 작화에 대해서는 호평이 많다. 전통무용수들이 수려하게 표현되었으며, 포켓몬들과 함께 연극을 관람하는 사람들이나 축제에서 포켓몬과 함께 지내는 사람들의 모습이 묘사되는 등, 포켓몬과 사람이 공존하며 살아가는 인주시티의 풍경이 그대로 녹아있는 점이 고평가를 받는다.

    또한 이번 화에서 루기아에 대한 성도의 전설이 보다 세밀하고 위엄있게 표현되었으며, 불탄탑이 과거 루기아가 살았던 탑이었음을 이번 화를 통해서 공식 측에서 완전히 공인되었다. 그리고 탑이 번개에 맞은 직후에 루기아가 비바람으로 이를 저지했다는 새로운 설정을 붙여 성도지방 전설의 대략적인 틀을 이번 화를 통해 완성시켰다.[82]

    다만 스토리상 루기아에게 인정받을 주인공은 축제 현장을 보며 지나가는 장면으로만 짤막하게 나오고, 전통무용수들이 주인공 앞에서 루기아를 깨우는 의식 관련 장면은 통째로 잘려나가 이에 대한 비판이 있다. 철저하게 루기아의 전설의 묘사에만 집중한 에피소드였긴 했지만, 비중 자체는 미월이보다도 더욱 적었으며, 더구나 바로 전인 6화의 봄이는 포켓몬 에볼루션즈 시리즈에서 최고의 대우를 받은 것과 대비되었기에 여러모로 아쉽다고 평가받는다.[83]
  • 8화
    여자 성우가 연기한 용식보다 어릴 것으로 추정되는 진우에게 남자 성우가 기용되어[84] 의외라는 반응이 있으며, 언제나 위엄 있던 뮤츠가 한순간 어이가 털린 표정을 지은 게 재밌고 귀엽다는 평가도 있다. 마지막에는 포켓몬과의 여행을 함축한 오박사의 설교로서 마지막화다운 감동을 주었다. 전체적으로 진지했던 이전의 에피소드에 비해 원작처럼 보연에게 몬스터볼을 집어던지는 블루, 몬스터볼에 얻어맞고도 뮤츠를 잡았다고 헤벌쭉하는 보연 등 가벼운 개그신이 많은 에피소드이다.

5. 기타

  • 짝수 세대는 남주인공, 홀수 세대는 여주인공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 기반 게임
지방 기반 게임 근거
관동지방 레츠고 피카츄 보연피카츄를, 진우쥬피썬더를 소유하고 있음
성도지방 소울실버 전통무용수가 "루기아가 깨끗한 마음을 가진 사람이 나타나기를 기다린다"고 언급[85]
호연지방 오메가루비 피아나가 등장, 봄이라티오스를 소유하고 있음[86]
신오지방 DP 디아루가 스타팅 포켓몬 획득 장소가 진실호수[87], 창기둥에서 디아루가가 등장
하나지방 블랙 N제크로무를, 투희가 라이트스톤을 소유하고 있음
칼로스지방 X 칼름제르네아스를 소유하고 있음
알로라지방 울트라문 미월의 복장이 울트라썬·울트라문의 모습, 루나아라가 등장
가라르지방 소드 승재가 녹슨검을, 호브가 녹슨방패를 소유하고 있음[88]
  • 작중 주요 배경
지방 지역
관동지방 24번도로, 블루시티동굴
태초마을 오박사 연구소[89]
성도지방 인주시티, 소용돌이섬
호연지방 하늘 기둥, 황금마을
신오지방 배틀타워
진실호수, 무쇠체육관, 예지호수, 창기둥[90]
하나지방 넝쿨마을, 용나선탑, 포켓몬리그, N의 성
칼로스지방 옥유마을 플레어단 비밀기지
미르시티 솔레유 카페, 칼로스 7번도로[91]
미르시티 플라타느박사 연구소[92]
알로라지방 월륜의 제단
마할로 산길, 에테르파라다이스[93]
바다민족의 마을[94]
가라르지방 슛시티, 슛스타디움
너클시티 에너지플랜트[95]
  • 주인공의 스타팅 포켓몬
지방 스타팅 포켓몬
관동지방 피카츄
성도지방 불명
호연지방 메가대짱이
신오지방 초염몽
하나지방 뚜꾸리
칼로스지방 불명
알로라지방 불명
가라르지방 인텔리레온[96]
  • 1세대는 디 오리진, 1~6세대 전체는 제너레이션즈, 8세대는 새벽빛의 날개에서 게임 기반 애니화가 된 적이 있었지만 7세대는 게임 기반으로 애니화되는 것이 처음이다. 다만 안타깝게도 스토리가 게임 기반이 아닌 썬&문 TVA의 퀄리티를 따라가진 못했다. 또한 1세대의 경우는 포켓몬스터 레츠고! 피카츄·레츠고! 이브이를 기반으로 애니메이션화 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여주인공과 진우, 블루는 이번을 처음으로 애니메이션화가 된다. 게임을 100% 똑같이 따라가는 것은 아니고 8화에서 인게임과는 달리 그린이 이상해꽃, 레드가 리자몽을 가지고 있는 등 어느 정도의 각색은 가해졌다.
  • 1화의 주인공인 승재의 인종이 기본 인종인 황인이 아닌 흑인으로 등장한다. 관객석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어머니 역시 마찬가지. 미디어믹스 상에서 등장하는 주인공의 모습이 기본 인종이 아닌 것은 이번이 최초이다. 이후 8화의 보연도 머리카락과 피부가 짙은 색으로 나온다.
  • 한국 한정으로 4화까지는 거의 모든 등장인물의 성우가 TVA와 동일하다.[97] 연출 PD는 배준후. 대사 없이 숨소리만 나온 세레나도 애니메이션판의 김현지 성우가 그대로 담당했다.[98] 또한 6세대의 경우는 포켓몬 제너레이션즈하고도 동일하다. 그러나 5화부터는 연출하는 PD가 '윤나리'라는 PD[99]로 교체돼서 그런지 TVA와 달리 새로운 성우들로 캐스팅되었다. 사실 1화 2화 안에서는 중복이 계속 없는걸 유지하기 위해선 불가피했고, DP의 주피터 같은 경우에는 원래 맡던 성우가 은퇴를 해서 어쩔 수 없었다. 이후 원래 맡던 PD가 다시 맡은 6화의 봄이도 바뀐걸 보면 5화부터 성우 유지는 배제한 것으로 추정.[100] 이후 7화에서 다시 윤나리 PD가 맡았다.[101] 그러나 7~8화에서는 이전 화에서 출연했던 성우가 중복으로 맡는 경우도 생겼다.[102] 이미 하차해서 다른 미출연 성우를 부를 수 있는데, 왜 굳이 중복으로 맡기면서까지 다시 불렀는지는 불명.
  • 일본어판과 영어판의 경우는 이전에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및 게임 더빙에 참여해본 성우들이 제법 있으나 종전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거의 모든 등장인물들이 TVA는 물론이고, 새벽빛의 날개, 제너레이션즈, 마스터즈와도 겹치지 않게 성우를 배치하고 있다.

[1] 초반 축제 장면에 뒷모습만 스쳐지나간다.[2] 상록체육관 관장으로 등장[3] 레츠고 피카츄·이브이 버전 복장.[4] 홀로캐스터의 뉴스 앵커로 등장[알렉스르] 성우 겸 유튜버로 한국계 미국인. 포켓몬 마스터즈에서 두송휘웅의 영어판 목소리를 담당했다.[W] 포켓몬스터W와 동일.[W&TW] 포켓몬스터W, 새벽빛의 날개와 동일.[8] 새벽빛의 날개에선 여성 성우가 맡았는데 남성 성우로 교체되었다. 작화 상 좀 더 나이가 있어보이기 때문인 듯.[9]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2 PV 영상에서 공명 역을 맡았다. 더불어 단델 역의 오노 다이스케와는 오소마츠 상에서 쌍둥이 관계인 마츠노 쥬시마츠마츠노 토도마츠로 출연했다.[10] 디폴트 네임 대신 챌린저라고 나온다.[알렉스리] [12] 트윗[13] 포켓몬 마스터즈에서 수련을 맡았다.[SM] 포켓몬스터 썬&문과 동일.[15] 포켓몬 마스터즈에서 난천을 맡았다.[SM] [17] 디폴트 네임 대신 플레이어라고 나온다.[18] 대사가 없어서 따로 성우가 기용되지 않았다.[19] 대사가 없어서 따로 성우가 기용되지 않았다.[SM] [21] 포켓몬 마스터즈에서 아강을 맡았다.[XY&GE] XY/XY&Z, 포켓몬 제네레이션즈와 동일.[XY&GE] [XY] XY/XY&Z와 동일.[25] 대사가 없어서 따로 성우가 기용되지 않았다.[XY] [27] XY, 포켓몬 제네레이션즈에선 김도영.[28] 크레딧에서는 나오지 않았다. 중복 배역이라 그런 듯.[29] 포켓몬 마스터즈에서 태홍을 맡았다.[BW] 베스트위시와 동일.[31] 포켓몬 마스터즈에서 전진을, 새벽빛의 날개에서 세이버리를 맡았다.[BW] [BW] [34] 베스트위시에서는 김현지가 맡았다.[35] W에서 염버니, 숙희 등을 맡고 있다.[36] 베스트위시에서는 윤승희가 맡았다.[37] W에서 채하루 등을 맡고 있다.[38] DP에서는 오인성이 맡았다.[39] 포켓몬 마스터즈에서 다투라, 애호가클럽, 등산가를 맡았다.[40] 베스트위시에서 을 맡았다.[41] DP에서는 신용우가 맡았다.[42] 베스트위시에서 사랑의 여신 역을 맡았다.[43] DP에서는 유상우가 맡았다. 유상우 성우가 현재 은퇴한 관계로 교체가 불가피했다.[44] 디폴트 네임 대신 플레이어라고 나온다.[45] 투희와 동일.[46] 포켓몬 마스터즈에서 풍란, 하우와 짧은 치마를, 새벽빛의 날개에서 채두를 맡았다.[47] 포켓몬 마스터즈에서 이슬 역을 담당하고 있다. 그 외에는 후파: 광륜의 초마신에서 메아리의 어린 시절을 담당.[48] 썬&문에서 말리화를 맡았다.[49] 블래키를 사용하는 전통무용수.[50] 포켓몬 마스터즈에서 로켓단 여자 조무래기를 맡았다.[51] 부스터를 사용하는 전통무용수.[52] 쥬피썬더를 사용하는 전통무용수.[53] 포켓몬 마스터즈에서 세레나를 맡았다.[54] 6화의 봄이와 동일.[55] 샤미드를 사용하는 전통무용수.[56] 포켓몬 마스터즈에서 민지모미를, 새벽빛의 날개에서 포플러를 맡았다.[57] 썬문에서 아세로라를 맡았다.[58] 에브이를 사용하는 전통무용수.[59] 포켓몬 마스터즈에서 민화를 맡았다.[60] 직접적으로 나오지는 않고 "5분 전이요."라는 대사 한 마디만 나온다.[알렉스리] [62] 디폴트 네임 대신 플레이어로 나온다. 다만 일본판 한정으로 보연의 일본명인 아유미(アユミ)로 표시된다.[63] 포켓몬스터W에서 지우의 리오르를, 포켓몬 마스터즈에서 호일, 회연마리를 맡았다.[64] 4화의 사랑의 여신과 동일.[65] 포켓몬 마스터즈에서 레드를, 새벽빛의 날개에서 비트를 맡았다.[66] W에서 렌지를 맡고 있다.[67] TVA와 동일. 본편 4화의 N도 맡았다.[68] 1화에서 아나운서 역을 맡았다.[69] 1화에서 관객 역을 맡았다. 전율의 미라주 포켓몬에서 이슬, 포켓몬스터(2023)에서 리코를 맡은 적이 있다.[70] 일본어판은 일본 IP만 시청 가능[총작화감독] [총작화감독] [73] WIT STUDIO에 하청 준 에피소드.[74] 다만 작화를 이렇게 그리도록 고안한 장본인이 제임스 터너임이 밝혀지면서 불호 쪽이 조금 더 우세한 편이다.[75] 얼굴이 길고 눈이 작으며, 턱선도 각지고 날카로운 편이다.[76] 단, 승재의 일본판 성우는 새벽빛의 날개에서도 남자 성우다. 같은 인물이라도 작품마다 성우가 바뀌는 포켓몬 애니 특성상 동일 성우는 아니지만. 한국판은 두 인물 모두 여자 성우다.[77] 예전의 묘사가 초등학교 고학년~중2 정도였다면, 본작에서는 얼굴 인상이나 목소리나 거의 고등학생 느낌이다.[78] 사실 이러한 단델의 심경 변화에 대한 이야기는 원래 유저들의 추측으로부터 시작된 것인데, 결국 포켓몬 컴퍼니에서 유저들의 해석이 맞았음을 공인한 셈이 되었다.[79] 게임에서는 어느 정도 호각으로 싸우는가 싶더니 바로 10초컷이 나 버렸지만, 여기서는 비록 종국에는 압도당했어도 네크로즈마의 손아귀를 뿌리치고 나와 유효타를 주기도 하며 가히 난형난제의 혈투를 선보였다.[80] 울트라메가로폴리스 세계의 빛이 사라져 네크로즈마가 빛을 갈구하고 있으며 그 때문에 루나아라를 덮친 것이다.[81] 일본판은 남자 성우긴 하지만, 성인임에도 변성기 이전의 목소리를 내는 게 가능한 사람이다.[82] 루기아가 바람으로 불길을 저지한 시기는 당연히 칠색조가 나타나고 불탄탑에서 죽은 세마리의 포켓몬들을 살려내기 이전이므로 스토리 상으로 포켓몬스터 제너레이션즈 6화의 칠색조의 전설과도 연결된다.[83] 사실 전반적으로 남자 주인공보다는 여자 주인공의 취급이 더 좋다. 남자 주인공 중에 조금이라도 대사가 있는 인물은 승재와 칼름이 전부인 반면, 여자 주인공들은 약간의 대사는 물론 인물에 따라 전투씬 등이 묘사되기도 한다.[84] 연상인 블루보다도 성숙한 목소리라서 둘이 대화할 때 위화감이 느껴진다는 평도 있다.[85] 하트골드 버전에서는 칠색조를 언급한다. 루기아 포획 자체는 하트골드 소울실버 모두 같은 장소에서 가능하나, 하트골드에서는 전통무용수와 루기아와의 접점이 매우 적다.[86] 스토리 중 오메가루비에서는 라티오스를, 알파사파이어에서는 라티아스를 입수하게 된다. 알파사파이어에서는 배포 아이템인 무한티켓이 있을 때만 한정적으로 라티오스를 입수할 수 있다.[87] Pt버전에서는 201번도로[88] 실드에서는 주인공이 녹슨방패를, 호브가 녹슨검을 지니고 있다.[89] 이외에 한 컷씩 지나가는 배경으로 상록숲, 달맞이산, 20번수로, 상록체육관, 석영고원이 등장한다.[90] 회상 장면[91] 회상 장면[92] 이외에 한 컷씩 지나가는 배경으로 메르목장, 후늬시티, 이설시티, 향전시티가 등장한다.[93] 회상 장면[94] 쿠키영상[95] 회상 장면[96] 승재는 주로 에이스번으로 선정되어 왔는데, 인텔리레온이 채택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인텔리레온은 포켓몬 마스터즈, 코토부키야 피규어 등에서 주로 우리의 스타팅으로 선정된 적이 많다.[97] TVA에 등장하지 못한 인물은 따로 성우를 기용했다.[98] 심지어 중복 캐스팅으로 악명높았던 베스트위시 때 성우진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기묘하게 N, 게치스, 노간주의 성우가 서로 겹치지 않았기 때문인 듯하다. 다만 사랑의 여신과 평화의 여신은 원래 맡던 성우가 아닌 새로운 성우가 맡았다.[99] 어느 출신의 PD인지는 불명. 정황상 CIC 미디어 출신일 가능성이 높다.[100] 사실 봄이의 경우 본편에서도 여러 성우가 맡았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101] 동시에 그 영향인지 이전 화까진 기존 역을 제외하면 투니버스대원방송 출신 및 인기 성우 위주로만 부르다가, 뜬금없이 출연률 낮은 KBS 신인급인 신온유박주광, EBS 출신의 김수영 성우를 부르면서 성우 부르는 방식 및 폭이 아주 조금 넓어지면서도 변했다.[102] 7화에서는 6화의 봄이를 맡은 박시윤이 예솔을 동시에 맡았으며, 8화에서는 4화의 N과 사랑의 여신으로 출연했던 신용우장예나가 각각 오박사와 블루를 동시에 맡았다. 다만 오박사의 경우는 TVA와 동일한데, 이쪽은 최근 시리즈에서도 등장하다보니 그대로 유지한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