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패션시티(노래)|{{{#!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패션시티〉 Audio |
<colbgcolor=#5a1342><colcolor=#fff> 패션시티 | |
곡명 | 패션시티 |
재생시간 | 3:25 |
아티스트 | 개콘전국구 |
작사 | 신사동호랭이, 개콘전국구 |
작곡 | 신사동호랭이, R.Tee |
편곡 | R.Tee |
1. 개요
개그콘서트의 전국구가 2013년 4월 15일에 큐브 엔터테인먼트를 통해 발표한 디지털 싱글로 신사동호랭이와 R.Tee[1]가 프로듀싱하고 김기리, 이종훈, 이상민, 이상호가 부른 곡.2. 뮤직비디오
2.1. 티저
무슨 이유에서인지 2019년에 똑같은 내용의 티저가 다시 올라온 적이 있었다. #
2.2. 비디오
3. 가사
(여긴 패션시티)[2] 느껴지는 시선에 네가 패셔니스타 같아 주위를 둘러봐 봐 넌 정말 (붐바빠 빠라빠라) 머리부터 발끝까지 핫이슈[3]가 없지 자 날 보고 따라 입어 (붐바빠 빠라빠라) 윗옷은 명품으로 입어야지 (오) 바지는 핏이 제일 중요하지 (오) 액세서리 하나 정도는 해줘야지 (오) 이제 시선 즐기면 돼 여긴 패션시티 Oh party time 여기는 전 세계가 주목한 가장 핫한 곳이야 Oh move your mind 제대로 입고 모두 같이 다 신나게 놀자 여긴 패션시티 여긴 패션시티 골라 골라 골라 골라 골라 골라 여긴 패션시티 골라 골라 골라 골라 골라 골라 여긴 패션시티 Tonight 나만 혼자인 사람들 이리 와 이리 와 Tonight all night 혼자인 사람들 빨리 와 빨리 와 Hey girl 잠깐만 그렇게 꽁꽁 싸맬 거야 올 나간 레깅스는 그것밖에 없는 거야 눈썹은 원래 그렇게 있다 없다 하는 거야 그게 아냐 웰컴 투 패션시티 Oh party time 여기는 전 세계가 주목한 가장 핫 한 곳이야 Oh move your mind 제대로 입고 모두 같이 다 신나게 놀자 남녀노소 모두 모두 모두 여긴 패션시티 여긴 패션시티 골라 골라 골라 골라 골라 골라 여긴 패션시티 골라 골라 골라 골라 골라 골라 여긴 패션시티 골라 골라 골라 골라 골라 골라 골라 골라 골라 골라 골라 골라 |
4. 평가
긴 말 할 것 없이, 보컬이 있는 원곡과 보컬이 없는 Instrumental 버전을 비교해 보면 후자가 훨씬 들을 만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신사동호랭이와 R.Tee가 작곡한 배경음 자체는 테크노와 EDM을 결합한 자칭 '일렉트로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장르로, 저명한 작곡가 둘이 작곡했으니 곡이 나쁠 수가 없다. 당장 이들의 다른 곡을 보면 R.Tee는 BLACKPINK의 뚜두뚜두나 K-POP에서 퓨처 베이스를 거의 처음으로 도입한 BIGBANG의 에라 모르겠다 등 상당히 높은 수준의 음악을 작곡하며, 신사동호랭이는 대표곡 문단을 참고할 것.다만 애초에 전국구의 콘셉트는 뛰어난 가창력이 아니라 '패션 테러'라는 '저질'을 메인 키워드로 내세웠다는 점에서는 이러한 저질스런 가사와 보컬이 되려 코너 특유의 콘셉트를 잘 살린 편이라고 할 수는 있다. 문제는 쓸데없이 고퀄리티인 Inst에 반해 가수들은 정작 저질 가사와 더불어 가수와는 거리가 멀고 가창력도 그저 일반인 수준인 개그맨들이 불렀기도 했고, 전국구 컨셉 자체가 사람들에게 그닥 인기가 있는 컨셉이 아니었기 때문에 뜨지도 못하고 빠르게 묻혀버렸다.
아무튼 2013년에 전국구 코너가 종영되고 시간이 지나며 점점 묻혀가던 이 노래가 유명해진 진짜 이유는 따로 있었다.
5. 응디시티
원본 복원본 | 고화질 리마스터 |
그리고 이를 업로드한 유튜브 영상의 조회수가 1,600만 회(2021년 12월 19일 기준)[7][8]를 달성하면서 이 노래는 전혀 다른 의미로 유명해지게 된다. 2014년 9월 6일 세월호 관련 집회에서 폭식 농성을 하던 일베저장소 회원들이 떼창[9]을 하는 등 일베저장소에서 상징가로 통하며, 일베저장소 합성물 역사상 가장 높은 조회수를 기록했기 때문에 일베저장소의 상징곡이 되어버렸다. 이렇다 보니 음지에서 만들어진 합성물 치고는 일반 대중에게도 어느 정도 알려진 편이다.
하나 원본 영상이 2021년 12월 21일 22시 30분경 고무통이 채널을 지워 삭제되어 버렸다.[10]
사망한 전 대통령으로 드립을 친 결과물 가운데 가장 영향력과 인지도가 높았던 것이 응디시티인 만큼, 응디시티가 전성기일 때는 정말로 나라에 무슨 사건이 생길 때마다 찾아오는 영상이었다. 일베 회원들의 막장성은 누구나 잘 알 정도로 심각하며, 그들에게는 대한민국의 모든 논란들이 가십거리인 것이 당연하다. 이렇게 나라의 사건사고를 그저 가십거리로 소비하는 것은 일베 세력 뿐만 아니라 민감한 이슈를 희화화하고 혐오팔이를 하는 것에 매력을 느끼는 도파민 중독에 걸린 모든 이들이 가지는 공통점이기 때문에, 노무현 비하 + 합성물 컨텐츠 + 저질스럽고 병맛적인 가사+ 원초적으로 우스꽝스러운 동작을 표현한 영상 + 인지도가 낮은 곡을 2차 창작하여 원곡에서 느끼기 힘든 중독적인 맛을 더한 결과물이라는, 어찌보면 어그로를 끌기 좋은 요소들을 모두 합친 종합세트인 응디시티는 무슨 일이 생길 때마다 자꾸만 재조명을 받는 송신탑 신세가 되는 현상으로 이어진 것. 특히 응디시티가 만들어지고 삭제되기 이전인 2014년~2021년 사이에는 국가 단위의 큰 이슈가 꽤 많았기 때문에 더 부각된 측면도 있다.
원곡인 패션시티 영상 댓글들마저도 거의 전부 노무현이나 응디시티, MC무현, 표절곡 드립("왜 응디시티 표절했냐"), 가사 드립("가사 다 틀리네") 관련인 데다 금영노래방 계정에 올라온 패션시티 반주 영상에 달리는 댓글들도 비슷하다. 물론 인지도가 높아졌다고 해 봐야 일베발 합성물로 인한 희화화에 불과하며 이 곡으로 원작자가 콘서트를 여는 것은 이 노래를 트는 순간 누가 들어도 응디시티가 연상될 것인데다, 콘서트장에서 관중들이 떼창으로 응디시티를 부를 가능성이 높아 불가능할 뿐더러 그렇다고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니 원작자 입장에서는 마른 하늘에 날벼락인 셈이다. 심지어 원작자도 응디시티를 분명 들어봤을 것이다, 원작자도 패션시티를 부르다 응디시티로 잘못 부르는 실수를 저지르는 참사가 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는데, 이들의 직업을 생각해보면 일리 있는 주장이다.
그 때문에 실제로 개그맨 김기리가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에 출연해서 이 노래를 소개했을 때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응디시티, MC무현 드립이 회자되며 웃음거리가 되었다. 이 때문에 '부르다가 실수[11]하면 곧 방송사고'라는 농담 반 진담 반 섞인 말도 나올 정도...
한때 응디시티가 한국의 유튜브 검색 목록에서 차단된 적이 있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차단이 풀렸다. MC무현의 팬들은 이 날(2020년 11월 14일)을 응디펜던스 데이라고 불렀다.
또한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에도 사용되기도 했으며 노무현 대통령이 운동하던 동작도 따라했다. 이런 모습은 디시인사이드와 유튜브에도 올라와 있으며, 대통령의 직무 정지 하루 후인 15일에 올라온 원본 영상은 삭제되었다. 유튜브의 영상에선 이재명 대표 사진을 짓밟는다.###
2016년경 유튜브와 인터넷 방송의 수질을 흐린 자극적 콘텐츠를 생성한 사람 중 한 명으로 유명한 유튜버 김윤태가 엑셀 방송에서 응디시티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는 리액션을 하였다.
박정희 버전도 있다. 응디시티와 더불어 일베들에게 패션시티의 원곡이라고 주장되는 대표적인 패러디로, 제목은 발터시티다. 박정희만 등장하는 것은 아니고 일부 파트는 노무현의 목소리를 합성했으며, 후렴구의 '발터 발터'도 응디시티처럼 고 노 전 대통령의 음성을 사용하였다.
박원순 전 서울시장 버전인 시발시티도 있으며, 문재인 버전의 적폐시티도 있으나 적폐시티는 잘 알려지진 않았다.
6. 여담
- 뮤직비디오 마지막[12]에 등장하는 버스는 계산동과 여의도를 오가는 부천 버스 88이며, 촬영 장소는 여의도 환승센터다.
- 금영엔터테인먼트에도 등재되어 있다. 곡번호는 48079.[13]
- 브베가 방송에서 이 노래를 틀고 춤을 춘 적이 있다. # # 유튜브 댓글창이랑 당시 생방송 채팅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응디시티로 도배되어 있다.
- 피닉스박도 방송 중에 이 노래를 튼 적이 있다. # 당시 생방송 채팅은 응디시티가 아닌 패션시티에 대한 반응도 꽤 있었지만, 대부분이 일베 표식을 암시하는 이모티콘 등으로 반응을 해서 패션시티 반응이 묻혔으며[14] 노래가 끝나갈 때쯤에 채팅창을 얼린 후 응디시티로 반응한 사람을 전부 밴하는 대처를 보였다(...). 채팅창을 얼린 직후 매니저의 "제가이래서 안트는거" 라는 채팅이 압권.
- 호러 버전
- 제작 과정 #1 #2 #3 #4
- 뮤직비디오에서 김기열이 우정출연할 예정이었지만 촬영장에서 기다리기만 하고 못 나왔다고 한다.#
- 마침 소셜 게임 패션시티와 이름이 같다 보니 특정 브랜드와 이름이 같다는 이유로 KBS 심의실로부터 방송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 # 재밌는 것은 정작 개그콘서트 방송사인 KBS에서는 방송 부적격 판정을 받았지만 MBC, SBS에서는 통과했다는 사실이다.
- 쇼미더머니 11 프로듀서로 R.Tee가 공개되며 패션시티의 공동작곡자로 참여한 적이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15] 힙합 갤러리에서 화제가 되었다.
- 정상수도 방송에서 이 노래를 틀고 따라부르며 춤을 췄다. # 자세히 들어보면 패션시티만 튼 것이 아니라 응디시티를 겹쳐 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정상수는 모든 가사를 패션시티 버전으로 따라 불렀다. 물론 유튜브 댓글창과 채팅은 브베 때와 마찬가지로 전부 응디시티로 도배되어 있다.
7. 관련 문서
- 전국구(개그콘서트)
- 금기[16]
- MC무현
- 일베저장소
- 풍평피해
- 고인드립
- L'Amour Toujours - 독일판 응디시티[17]. 원곡은 평범한 노래지만, 독일의 극우층에서 이 노래를 'Ausländer raus(외국인은 나가라)', 'Deutschland den Deutschen(독일은 독일인의 것)'으로 개사한 버전이 논란이 되어 현재는 독일에서 이 노래를 트는 것이 금지되었다.[18] 한국에서는 인형뽑기의 한 종류인 스마트 푸시라는 인형뽑기에서 이 음악이 들린다.
- 응디
[1] 블랙핑크, 빅뱅, 위너, 아이콘, 승리, 전소미, 트레저를 비롯한 가수들의 노래들을 프로듀싱한 YG소속 프로듀서이다.[2] 잘 들어보면 '시-디'라고 들린다.[3] 핫이슈와 완전히 똑같지만 작곡가가 신사동호랭이로 같은 사람이므로 표절이 아니다.[4] 패션시티 노래가 발매된 지 정확히 1년만이다.[5] 흔한 유동닉이지만, 실제 작곡업계에서 일하고 있던 사람이라는 소문이 있다.[6] 그로부터 4일 뒤 세월호 참사가 발생하였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일베 회원들 입장에서는 참사라는 호재가 하나 더 생기게 된 셈이 되었다.[7]
[8] 조회수 200만 회를 기록한 원곡의 8배 이상 높다. 사실 이 정도의 차이조차 응디시티가 유명해지고 난 다음 패션시티의 조회수가 증가하면서 가능했던 것이며 당시 패션시티의 조회수는 10만 회도 안 되는 수치였다. 그 예시로 대중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호러 버전이나 자동으로 등록된 음원 조회수에서 짐작해 볼 수 있다.[9] 이 영상마저도 패션시티 원본 영상을 아득히 뛰어넘을 정도이다.(모종의 이유로 기존에 이미 올라갔던 조회수 500만대의 영상이 내려가고 다른 사용자의 계정의 영상으로 대체되면서 2025년 4월 현재 조회수는 5.2만 회로 뜬다.)[10] 위의 영상은 복원본이며 조회수는 약 400만회 정도다.[11] 첫 소절을 부르는데 대한민국이 나온다던지, '주위를 둘러봐봐 넌 정말' 다음에 북따닥 따닥따닥이 나온다던지, '여긴 패션시티' 다음에 원가사인 골라 골라를 잊고 응디 응디거리는 등.[12]
[13] 물론 거의 대부분은 응디시티 버전으로 부른다.[14] 피닉스박 본인은 이에 대해서 "제가 뭐 이상한 노래를 틀었나요? 개그맨들이 부른 노래 틀었는데? 자꾸 개짓거리 하지 마세요~" 라고 발언하는 것을 볼 수 있다.[15] 기존에는 신사동호랭이의 단독 작업물로 알려졌었다.[16] 원곡이 아닌 문서 하단에 서술된 합성물 한정. 하위 문단도 마찬가지다.[17] 정확히는 이탈리아 노래이나 후술하듯 독일어권에서 논란이 되었다.[18] 개사 과정을 보면 윤 어게인 시위대들이 수원 삼성의 응원가 패륜송을 혐중,혐북 정서 조장을 위해 '짱깨북괴송'(이른바 '짱북송')으로 개사해 부르는 것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