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4 08:15:58

튀르키예-리투아니아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가가우지아 기.svg
가가우지아
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아메리카 · 아프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UN기.svg
키프로스 5+1 회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튀르키예·시리아·이라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튀르키예·이란·아랍권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튀르키예·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연합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유럽 · 아메리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다자관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발트 3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러시아·폴란드·리투아니아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폴란드·우크라이나·발트 3국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호주·발트 3국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미국·발트 3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루블린 삼각동맹
}}}}}}}}}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튀르키예 리투아니아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전근대2.2. 20세기2.3. 21세기
3. 문화 교류4. 대사관5. 관련 문서

1. 개요

튀르키예리투아니아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튀르키예와 리투아니아는 오스만 제국의 번국 크림 칸국리투아니아 대공국 시절에 전쟁을 자주 치렀고 리투아니아 대공국이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으로 폴란드 왕국과 연방제로 통일한 이후에는 직접 오스만 제국과 17세기 내내 장기간 전쟁을 벌였던 역사가 있다.

리투아니아는 1991년 소련 해체 이후 독립한 이후 튀르키예와 수교했으며 오늘날에는 튀르키예 항공이 리투아니아 빌뉴스 국제공항에 취항하는 등 양국의 교류는 90년대부터 활발해지고 있다.

2. 역사적 관계

2.1. 전근대

중세 리투아니아 대공국킵차크 칸국에 예속되었던 오늘날에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지역에 위치해있던 여러 루테니아계 공국들을 병합하면서 영토를 크게 확장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킵차크 칸국으로부터 분열되어 나온 크림 칸국을 지원하였고 결국 킵차크 칸국은 분열하면서 멸망하고 과거 리투아니아 대공국이 지원하였던 크림 칸국과 리투아니아 대공국이 대치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오스만 제국의 번국이 된 크림 칸국은 국가 내부를 정비한 후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동남부 영토를 정기적으로 약탈하였는데, 약탈의 주 목적은 노예 사냥이었다. 크림 타타르 전사들의 약탈로 인해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영토 상당부분이 황폐화되었고 이는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해당 지역에 대한 영향권 상실로 이어진다. 당시 크림 타타르인들의 약탈 때문에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행정이 마비되면서 심지어 발트 해 연안의 빌뉴스에도 크림 타타르인들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성벽이 보강될 정도였다. 이 때문에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당시 동군연합을 맺었던 폴란드 왕국에 더 의존할 수밖에 없었으며, 그 이후에도 크림 타타르인들의 약탈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였다. 크림 칸국의 약탈이 저지된 것은 공백지가 된 초르노젬 지역에 슬라브계 반농반목 자치 공동체 코사크들이 자체적으로 방어에 성공하면서부터였다. 물론 크림 타타르로부터 자력 방어에 성공한 코사크들은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재예속 시도에 거부하였다.

1492년 크림 칸국의 칸은 키예프 사람들과 체르카시 사람들이 크림 타타르족들의 배를 불질렀다고 리투아니아 대공국 측에 항의하였고 리투아니아의 알렉산드라스 대공은 우크라이나 코사크들 사이에서 범인을 찾아내겠노라고 약속한 이후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기존에는 크림 타타르족 전사들이 리투아니아 대공국 영토를 약탈해서 리투아니아 측에서 항의하면 크림 칸국 측에서 같은 방식으로 대응하곤 했었다.

양국은 적대 관계만 맺은 것은 아니었다.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비타우타스 대공크림 반도에 거주하던 카라임 유대인들을 초청하여 빌뉴스트라카이에 정착시켰는데 이들은 크림 칸국과 리투아니아 대공국을 오고가며 무역에 종사하였다. 양국은 공식적으로는 적대 관계였지만, 크림 칸국과 리투아니아 대공국을 오고가는 카라임 유대인을 통해 무역을 진행하였다.[1] 카라임 유대인을 초빙했던 비타우타스 대공토크타미쉬 칸을 따라온 타타르 전사들을 트라카이에 정착시켰는데 이들은 립카 타타르로 불렸으며 오스만 제국과 영향을 주고 받았다. 리투아니아내의 립카 타타르족들은 모스크 및 주택 양식이 볼가 타타르식 목조 양식으로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지만, 오스만 제국과의 교류 또한 적지 않았다. 16세기 이후 오스만 제국 술탄은 칼리프를 겸직했기 때문에 립카 타타르인들은 종교적으로 오스만 제국 술탄의 권위를 인정하는 편이었다. 립카 타타르인들이 쉴레이만 1세에게 보낸 서신에 따르면 폴란드 왕국과 리투아니아 대공국에는 백여개의 립카 타타르인 마을이 있다는 문장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폴란드-리투아니아에서 귀족으로서 특혜를 받는 조건으로 병역을 제공하고 있었기 때문에 전장에서는 오스만 제국 군대와 립카 타타르 기병들이 서로 전투를 벌이는 일도 일어났다.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으로 거듭나면서 오스만 제국과 17세기 중반 내내 전쟁을 치르기도 했다.[2] 2차 빈 공방전 이전 오스만 제국은 폴란드 리투아니아 연방과 국경을 접했고 이 때문에 양국 사이에는 잦은 전쟁이 벌어졌다. 17세기 말 2차 빈 공방전에서 오스만 제국 군대가 폴란드 군대의 공격을 받아 대패하면서 오스만 제국 영토 상당수는 오스트리아가 장악하고 양국은 더 이상 국경을 접하지 않게 되었다. 이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역시 한 세기 이후 프로이센 왕국, 합스부르크 군주국, 러시아 제국에 의해 분할되면서 양국의 외교관계는 단절되었다.

2.2. 20세기

리투아니아가 잠시 러시아 제국의 지배에서 벗어난 뒤에 양국은 공식수교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 소련의 발트3국 합병 이전에는 외교관계를 유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리투아니아가 소련의 공화국으로 합병되면서 양국은 외교관계가 단절되었다. 리투아니아는 91년에 소련 해체이후에 독립국이 되었고 양국은 재수교했다.

2.3. 21세기

양국은 현재 교류외에도 협력이 활발한 편이다. 그리고 리투아니아와 튀르키예는 러시아를 견제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2005년에 리투아니아가 유럽연합외에도 북대서양 조약 기구에 가입하면서 양국은 나토회원국들이 되었다. 유럽 난민 사태 이후 리투아니아 내에 이슬람혐오증이 심화되면서 튀르키예에 대한 리투아니아의 국민 감정도 안 좋은 방향으로 재부각되고 있다.

3. 문화 교류

리투아니아는 중세 대공국 시대 이후로 튀르크-타타르 문화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아왔다. 리투아니아 내에는 토크타미쉬 칸의 귀순을 계기로 정착한 상당한 규모의 립카 타타르인들이 거주하였는데, 오스만 제국의 튀르키예인들과 마찬가지로 립카 타타르인들도 이슬람 순니파 중에서 하나피파 마드하브인 것은 물론 16세기 이후에는 오스만 제국 술탄이 이슬람 칼리프를 겸임했기 때문에 정치적으로는 적대 관계여도 종교적으로는 관계를 유지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 이 때문에 종종 튀르키예 민족주의자들이 립카 타타르인들에게 관심을 가지는 경우도 있으나 폴란드 분할 이후 립카 타타르인들은 특혜가 취소되고 급속히 폴란드인으로 동화하면서, 오늘날에는 극소수만 남아있는 상황이다, 그마저도 리투아니아와 벨라루스가 소련에 속해있던 시절 종교 탄압으로 문화적으로도 많이 달라졌다(예컨대, 립카 타타르인들이 예배를 할때 남녀가 예배를 하는 것 등).

오스만 제국과 리투아니아와의 교류는 립카 타타르인 외에도 크림 반도의 카라임 유대인들을 통해서도 이루어졌다. 크림 반도와 폴란드 왕국과의 교류는 주로 리비우와 크림 반도 일대를 오가는 크림 타타르어를 사용하는 아르메니아인들에 의해 이루어졌었다면, 리투아니아 대공국과의 교류는 빌뉴스와 트라카이, 크림 반도를 잇는 카라임 교역 네트워크에 의존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오스만 제국의 문화 일부가 리투아니아로 이식되었었다. 여담으로 립카 타타르인 인구가 대폭 감소한 것과 마찬가지로 리투아니아의 동서 교역에 큰 역할을 담당했었던 카라임 유대인 역시 오늘날에는 소련 시절 탄압이나 홀로코스트 등의 여파로 다른 아슈케나짐 유대인과 동화하면서 극소수 수백여 명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오늘날에는 리투아니아 경제가 소련 해체의 여파로부터 복구되고 경제적으로 성장함과 동시에 튀르키예가 저렴한 물가에 풍부한 볼거리로 동유럽, 북유럽인들의 인기 관광지로 각광을 받으면서 리투아니아에서 튀르키예로 관광을 가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기도 했다.

4. 대사관

빌뉴스에는 주 리투아니아 튀르키예 대사관, 앙카라에는 주 튀르키예 리투아니아 대사관이 각각 소재하고 있다.

5. 관련 문서



[1] 같은 이유에서 오스만 제국은 종교적인 이유로 적대한 사파비 제국아르메니아인 상인들을 이용해서 무역을 진행하였다.[2] 15세기에도 봉신국 몰다비아 영토를 두고 폴란드 리투아니아 동군연합과 오스만 제국과의 직접적인 전쟁이 일어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