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특별시의 의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b0c02><tablebgcolor=#8b0c02> | 종로구 제1선거구 청운효자동, 사직동, 삼청동, 부암동, 평창동, 무악동, 교남동, 가회동 鐘路區 第一選擧區 Jongno District 1 | }}} | |||
| <nopad> | ||||||
| <colbgcolor=#8b0c02><colcolor=#fff> 선거인 수 | 63,740명 (2022) | |||||
| 상위 행정구역 | 서울특별시 | |||||
| 관할 구역 |
| |||||
| 신설년도 | 1995년 | |||||
| 시의원 | | 윤종복[1] (초선) | ||||
1. 개요
서울특별시의회의 시의원 선거구로 종로구 삼청동, 가회동, 사직동, 청운효자동, 평창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청와대, 국무총리 관저, 헌법재판소 등을 관할한다.고소득층, 서울토박이, 중산층, 고위공무원이 많이 거주하는 종로구 북서부로 구성되어 있다보니 국민의힘 우세 지역이다. 이화동, 종로1.2.3.4가동, 혜화동으로 구성되어 있는 종로구 제2선거구와는 반대되는 정치적 지형을 갖고 있다.
2. 역대 선거 결과
| <rowcolor=#fff> 대수 | 당선인 | 당적 | 임기 |
| 제4대 | 이성호 | [[민주당(1991년)| 민주당 ]]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 제5대 |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 ]]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
| 제6대 | 이헌구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 제7대 | 남재경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 제8대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
| 제9대 |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
| 제10대 | 고병국 |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 제11대 | 윤종복 | | 2022년 7월 1일 ~ 현재 |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종로구 제1선거구 청운동, 효자동, 사직동, 부암동, 평창동, 무악동, 교남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남상해(南相海) | 16,470 | 2위 |
| [[민주자유당| 민주자유당 ]] | 45.50% | 낙선 | |
| 2 | 이성호(李成浩) | 19,726 | 1위 |
| [[민주당(1991년)| 민주당 ]] | 54.49% | 당선 | |
| 계 | 선거인 수 | 56,258 | 투표율 66.97% |
| 투표 수 | 37,678 | ||
| 무효표 수 | 1,482 | ||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종로구 제1선거구 청운동, 효자동, 사직동, 삼청동, 부암동, 평창동, 무악동, 교남동, 세종로동, 가회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전재갑(全在甲) | 14,394 | 2위 |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47.76% | 낙선 | |
| 2 | 이성호(李成浩) | 15,743 | 1위 |
|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 ]] | 52.23% | 당선 | |
| 계 | 선거인 수 | 66,517 | 투표율 52.32% |
| 투표 수 | 34,805 | ||
| 무효표 수 | 4,668 | ||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종로구 제1선거구 청운동, 효자동, 사직동, 삼청동, 부암동, 평창동, 무악동, 교남동, 가회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이헌구(李憲九) | 19,871 | 1위 |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55.98% | 당선 | |
| 2 | 안재홍(安載弘) | 14,280 | 2위 |
|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 40.23% | 낙선 | |
| 3 | 정재복(鄭在福) | 1,340 | 3위 |
| 노년권익보호당 | 3.77%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69,053 | 투표율 52.83% |
| 투표 수 | 36,481 | ||
| 무효표 수 | 990 | ||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종로구 제1선거구 청운동, 효자동, 사직동, 삼청동, 부암동, 평창동, 무악동, 교남동, 가회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강지원(姜智遠) | 9,749 | 2위 |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 27.43% | 낙선 | |
| 2 | 남재경(南裁慶) | 21,825 | 1위 |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61.41% | 당선 | |
| 3 | 유성상(劉成相) | 3,965 | 3위 |
| [[민주당(2005년)| 민주당 ]] | 11.15%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65,454 | 투표율 55.14% |
| 투표 수 | 36,093 | ||
| 무효표 수 | 554 | ||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종로구 제1선거구 청운효자동, 사직동, 삼청동, 부암동, 평창동, 무악동, 교남동, 가회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남재경(南裁慶) | 18,719 | 1위 |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48.45% | 당선 | |
| 2 | 강지원(姜智遠) | 16,242 | 2위 |
| [[민주당(2008년)| 민주당 ]] | 42.04% | 낙선 | |
| 7 | 정재복(鄭在福) | 240 | 4위 |
| [[건국당(2010년)| 건국당 ]] | 0.62% | 낙선 | |
| 8 | 김양희(金亮姬) | 3,430 | 3위 |
| [[국민참여당| 국민참여당 ]] | 8.87%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66,998 | 투표율 58.81% |
| 투표 수 | 39,404 | ||
| 무효표 수 | 773 | ||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종로구 제1선거구 청운효자동, 사직동, 삼청동, 부암동, 평창동, 무악동, 교남동, 가회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남재경(南裁慶) | 21,531 | 1위 |
| | 54.54% | 당선 | |
| 2 | 김양환(金良奐) | 15,461 | 2위 |
| [[새정치민주연합| 새정치민주연합 ]] | 39.16% | 낙선 | |
| 4 | 장석준(張碩峻) | 2,480 | 3위 |
| | 6.28%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64,384 | 투표율 62.71% |
| 투표 수 | 40,377 | ||
| 무효표 수 | 905 | ||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종로구 제1선거구 청운효자동, 사직동, 삼청동, 부암동, 평창동, 무악동, 교남동, 가회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고병국(高炳國) | 22,198 | 1위 |
| | 54.22% | 당선 | |
| 2 | 남재경(南裁慶) | 14,916 | 2위 |
| | 36.43% | 낙선 | |
| 3 | 정동희(鄭東熙) | 3,821 | 3위 |
| [[바른미래당| 바른미래당 ]] | 9.33%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65,948 | 투표율 63.63% |
| 투표 수 | 41,964 | ||
| 무효표 수 | 1,029 | ||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종로구 제1선거구 청운효자동, 사직동, 삼청동, 부암동, 평창동, 무악동, 교남동, 가회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채행숙(蔡幸潚) | 15,957 | 2위 |
| | 44.00% | 낙선 | |
| 2 | 윤종복(尹鍾福) | 20,302 | 1위 |
| | 55.99% | 당선 | |
| 계 | 선거인 수 | 63,740 | 투표율 57.73% |
| 투표 수 | 36,803 | ||
| 무효표 수 | 544 | ||
한편 현역 고병국 의원은 체급을 올려 종로구청장에 도전했으나 경선에서 패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