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의 의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b0c02><tablebgcolor=#8b0c02> | 동대문구 제1선거구 동대문구 일부 東大門區第一選擧區 Dongdaemun District 1 | }}} | |||
<colbgcolor=#8b0c02><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76,313명 (2022) | |||||
상위 행정구역 | 서울특별시 | |||||
관할 구역 |
| |||||
시의원 | | 이병윤 |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의회의 시의원 선거구. 동대문구의 네 선거구 중 가장 보수 성향이 강하다.2. 역대 선거 결과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동대문구 제1선거구 용신동, 제기동, 청량리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최병조(崔秉助) | 16,097 | 2위 |
| 43.18% | 낙선 | |
2 | 전철수(田鐵秀) | 21,177 | 1위 |
[[민주당(2008년)|]] | 56.81%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72,201 | 투표율 52.79% |
투표 수 | 38,116 | ||
무효표 수 | 842 |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동대문구 제1선거구 용신동, 제기동, 청량리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한지엽(韓枝燁) | 18,017 | 2위 |
[[새누리당|]] | 45.31% | 낙선 | |
2 | 전철수(田鐵秀) | 21,743 | 1위 |
[[새정치민주연합|]] | 54.68%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72,543 | 투표율 56.03% |
투표 수 | 40,647 | ||
무효표 수 | 887 |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동대문구 제1선거구 용신동, 제기동, 청량리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송정빈(宋正彬) | 23,590 | 1위 |
| 61.41% | 당선 | |
2 | 이병윤(李秉潤) | 14,821 | 2위 |
[[자유한국당|]] | 38.5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70,471 | 투표율 56.26% |
투표 수 | 39,646 | ||
무효표 수 | 1,235 |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동대문구 제1선거구 용신동, 제기동, 청량리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병기(金秉基) | 15,694 | 2위 |
| 44.74% | 낙선 | |
2 | 이병윤(李秉潤) | 19,381 | 1위 |
| 55.25%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70,436 | 투표율 50.81% |
투표 수 | 35,789 | ||
무효표 수 | 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