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의 의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b0c02><tablebgcolor=#8b0c02> | 중구 제2선거구 (서울) 중구 일부 中區第二選擧區 Jung District 2 | }}} | |||
<colbgcolor=#8b0c02><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52,490명 (2022) | |||||
상위 행정구역 | 서울특별시 | |||||
관할 구역 |
| |||||
신설년도 | 1995년 | |||||
시의원 | | 옥재은 (초선) |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의회의 시의원 선거구.2. 역대 선거 결과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중구 제2선거구 회현동, 필동, 장충동, 다산동, 약수동, 청구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최명옥(崔明玉) | 6,688 | 2위 |
[[열린우리당|]] | 24.08% | 낙선 | |
2 | 최병환(崔炳煥) | 14,339 | 1위 |
| 51.64% | 당선 | |
3 | 송진호(宋鎭鎬) | 1,993 | 4위 |
[[민주당(2005년)|]] | 7.17% | 낙선 | |
4 | 나선주(羅善株) | 1,921 | 5위 |
[[민주노동당|]] | 6.91% | 낙선 | |
6 | 서인종(徐仁鍾) | 2,826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0.1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5,875 | 투표율 50.63% |
투표 수 | 28,290 | ||
무효표 수 | 523 |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중구 제2선거구 회현동, 필동, 장충동, 다산동, 약수동, 청구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류재택(柳在澤) | 14,586 | 2위 |
| 47.07% | 2위 | |
2 | 김연선(金連善) | 16,397 | 1위 |
[[민주당(2008년)|]] | 52.92%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56,550 | 투표율 56.13% |
투표 수 | 31,743 | ||
무효표 수 | 760 |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중구 제2선거구 회현동, 필동, 장충동, 다산동, 약수동, 청구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혜경(李惠慶) | 16,527 | 1위 |
[[새누리당|]] | 50.74% | 당선 | |
2 | 이영건(李永健) | 16,044 | 2위 |
[[새정치민주연합|]] | 49.2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7,792 | 투표율 58.66% |
투표 수 | 33,902 | ||
무효표 수 | 1,331 |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중구 제2선거구 회현동, 필동, 장충동, 다산동, 약수동, 청구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기재(朴奇在) | 18,574 | 1위 |
| 57.67% | 당선 | |
2 | 이혜경(李惠慶) | 10,843 | 2위 |
[[자유한국당|]] | 33.66% | 낙선 | |
4 | 채성만(蔡性晩) | 2,788 | 3위 |
[[민주평화당|]] | 8.6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4,822 | 투표율 60.59% |
투표 수 | 33,218 | ||
무효표 수 | 1,013 |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중구 제2선거구 회현동, 필동, 장충동, 다산동, 약수동, 청구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혜영(李惠英) | 13,629 | 2위 |
| 47.68% | 낙선 | |
2 | 옥재은(玉在恩) | 14,951 | 1위 |
| 52.31%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52,490 | 투표율 55.65% |
투표 수 | 29,211 | ||
무효표 수 | 6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