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의 의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b0c02><tablebgcolor=#8b0c02> | 강동구 제2선거구 강동구 일부 江東區第二選擧區 Gangdong District 2 | }}} | |||
| ||||||
<colbgcolor=#8b0c02><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77,180명 (2022) | |||||
상위 행정구역 | 서울특별시 | |||||
관할 구역 |
| |||||
시의원 | | 이종태 |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의회의 시의원 선거구. 민선 4-6기 3선 강동구청장을 거쳐 현 강동구 을 국회의원인 이해식이 민선 2-3기 시절에 이지역에서 시의원을 지냈다.[1]선거구 인구 절반 가량을 차지하는 길동이 22대 총선부터 강동구 을에 편성됨에 따라 9회 지선에서는 폐지될 가능성이 있다.
2. 역대 선거 결과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강동구 제2선거구 길동, 명일제1동, 명일제2동, 상일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영철(金榮喆) | 22,955 | 1위 |
| 40.81% | 당선 | |
2 | 안동규(安東奎) | 21,478 | 2위 |
[[민주당(2008년)| | 38.18% | 낙선 | |
7 | 이번송(李繁松) | 1,214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15% | 낙선 | |
8 | 이국희(李菊姬) | 6,977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2.40% | 낙선 | |
9 | 윤동환(尹棟鐶) | 3,623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6.4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00,521 | 투표율 56.82% |
투표 수 | 57,117 | ||
무효표 수 | 870 |
2.6. 2012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강동구 제2선거구 상일동, 명일제1동, 명일제2동, 길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형석(李炯錫) | 29,519 | 1위 |
[[새누리당| | 51.88% | 당선 | |
2 | 김양모(金良模) | 27,375 | 2위 |
[[민주통합당| | 48.1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02,329 | 투표율 56.54% |
투표 수 | 57,858 | ||
무효표 수 | 964 |
2.7.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강동구 제2선거구 상일동, 명일제1동, 명일제2동, 길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송재형(宋在亨) | 29,452 | 1위 |
[[새누리당| | 48.06% | 당선 | |
2 | 한봉수(韓奉洙) | 26,512 | 2위 |
[[새정치민주연합| | 43.26% | 낙선 | |
4 | 이형석(李炯錫) | 5,308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8.6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02,644 | 투표율 61.39% |
투표 수 | 63,011 | ||
무효표 수 | 1,739 |
2.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강동구 제2선거구 상일동, 명일1동, 명일2동, 길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종무(金鍾武) | 29,381 | 1위 |
| 58.16% | 당선 | |
2 | 김용철(金容喆) | 16,143 | 2위 |
[[자유한국당| | 31.96% | 낙선 | |
3 | 박석종(朴錫宗) | 4,986 | 3위 |
[[바른미래당| | 9.8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84,663 | 투표율 61.05% |
투표 수 | 51,683 | ||
무효표 수 | 1,173 |
2.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강동구 제2선거구 명일제1동, 명일제2동, 길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종무(金鍾武) | 16,820 | 2위 |
| 40.77% | 낙선 | |
2 | 이종태(李鍾泰) | 23,713 | 1위 |
| 57.48% | 당선 | |
4 | 박석종(朴錫宗) | 718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7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77,180 | 투표율 54.43% |
투표 수 | 42,009 | ||
무효표 수 | 758 |
상일동이 강동구 제3선거구로 떨어져 나갔다.
[1] 시의원 시절에는 민주당계 정당 소속이 아닌 보수정당인 한나라당 소속으로 당선되었다. 본인은 진보 성향이지만, 이는 본인이 모시던 이부영 의원이 비DJ성향 정치인이어서 당시 본인이 소속된 통합민주당과 집권 여당인 신한국당과 합당하면서 한나라당에 참여해 따라간거에 가까웠으며 2003년 열린우리당 창당때 이부영과 같이 따라갔으며 현재 민주당계 정당인 더불어민주당 소속이다. 제정구 의원을 따라 한나라당에 들어갔다가 이해식과 비슷한 시기에 열린우리당 창당에 참여한 조정식 의원과 비슷한 케이스. 사실상 독수리 5형제들과 입당 동기라고 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