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의 의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b0c02><tablebgcolor=#8b0c02> | 관악구 제4선거구 관악구 일부 冠岳區第四選擧區 Gwanak District 4 | }}} | |||
<colbgcolor=#8b0c02><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102,284명 (2022) | |||||
상위 행정구역 | 서울특별시 | |||||
관할 구역 |
| |||||
시의원 | | 유정희 |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의회의 시의원 선거구.서울대학교와 신림동 고시촌, 녹두거리 등이 위치한 곳으로, 2030 청년층이 매우 많이 사는 지역답게 진보성향 정당 후보들이 초강세를 보이는 지역이다.
심지어 보수정당(한나라당)이 압승한 3·4회 지선에서조차 득표율이 43%대에 불과했으며, 그마저도 진보좌파 쪽이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등 여러 정당으로 분열돼서 일방적인 선거구도에서조차 어부지리로 당선될 수밖에 없었다.
2. 역대 선거 결과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관악구 제4선거구 신림본동, 신림1동, 신림5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오유근(吳柳根) | 12,577 | 2위 |
[[민주자유당|]] | 38.65% | 낙선 | |
2 | 이강진(李康珍) | 17,310 | 1위 |
| 53.19% | 당선 | |
3 | 구자완(具滋完) | 2,652 | 3위 |
[[자유민주연합|]] | 8.1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1,054 | 투표율 65.75% |
투표 수 | 33,569 | ||
무효표 수 | 1,030 |
관악구 제7선거구 신림2동, 신림6동, 신림9동, 신림10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윤순덕(尹順德) | 14,297 | 2위 |
[[민주자유당|]] | 34.84% | 낙선 | |
2 | 유종필(柳鍾珌) | 26,732 | 1위 |
| 65.15%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61,735 | 투표율 68.56% |
투표 수 | 42,330 | ||
무효표 수 | 1,301 |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관악구 제4선거구 신림본동, 신림1동, 신림2동, 신림6동, 신림9동, 신림10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장호(李章浩) | 18,747 | 2위 |
| 40.51% | 낙선 | |
2 | 이강진(李康珍) | 27,524 | 1위 |
[[새정치국민회의|]] | 59.48%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99,542 | 투표율 47.58% |
투표 수 | 47,370 | ||
무효표 수 | 1,099 |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관악구 제4선거구 신림본동, 신림1동, 신림2동, 신림6동, 신림9동, 신림10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운기(金雲基) | 19,872 | 1위 |
| 43.39% | 당선 | |
2 | 이강진(李康珍) | 18,307 | 2위 |
[[새천년민주당|]] | 39.97% | 낙선 | |
3 | 최경호(崔景晧) | 7,614 | 3위 |
[[민주노동당|]] | 16.6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04,741 | 투표율 44.58% |
투표 수 | 46,703 | ||
무효표 수 | 910 |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관악구 제4선거구 신림본동, 신림1동, 신림2동, 신림6동, 신림9동, 신림10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임현주(林賢珠) | 15,712 | 2위 |
[[열린우리당|]] | 30.56% | 낙선 | |
2 | 현진호(玄眞昊) | 22,340 | 1위 |
| 43.46% | 당선 | |
3 | 송광호(宋光鎬) | 6,625 | 4위 |
[[민주당(2005년)|]] | 12.88% | 낙선 | |
4 | 김수정(金秀正) | 6,726 | 3위 |
[[민주노동당|]] | 13.0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05,531 | 투표율 49.28% |
투표 수 | 52,006 | ||
무효표 수 | 603 |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관악구 제4선거구 대학동, 삼성동, 서림동, 서원동, 신원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현진호(玄眞昊) | 18,277 | 2위 |
| 32.75% | 낙선 | |
2 | 신언근(申彦根) | 25,704 | 1위 |
[[민주당(2008년)|]] | 46.06% | 당선 | |
3 | 김용섭(金龍燮) | 2,024 | 5위 |
[[자유선진당|]] | 3.62% | 낙선 | |
7 | 남상덕(南相德) | 6,182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1.07% | 낙선 | |
8 | 김순미(金順美) | 3,617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6.4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05,847 | 투표율 53.69% |
투표 수 | 56,834 | ||
무효표 수 | 1,030 |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관악구 제4선거구 대학동, 삼성동, 서림동, 서원동, 신원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성규(金成奎) | 22,010 | 2위 |
[[새누리당|]] | 37.06% | 낙선 | |
2 | 신언근(申彦根) | 33,597 | 1위 |
[[새정치민주연합|]] | 56.57% | 당선 | |
4 | 김용섭(金龍燮) | 2,573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33% | 낙선 | |
5 | 이면석(李勉錫) | 1,206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05,860 | 투표율 57.86% |
투표 수 | 61,252 | ||
무효표 수 | 1,866 |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관악구 제4선거구 대학동, 삼성동, 서림동, 서원동, 신원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유정희(劉貞姬) | 36,671 | 1위 |
| 61.73% | 당선 | |
2 | 신금순(申今淳) | 11,800 | 2위 |
[[자유한국당|]] | 19.86% | 낙선 | |
3 | 정수경(丁修炅) | 10,930 | 3위 |
[[바른미래당|]] | 18.4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06,374 | 투표율 57.64% |
투표 수 | 61,315 | ||
무효표 수 | 1,914 |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관악구 제4선거구 대학동, 삼성동, 서림동, 서원동, 신원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유정희(劉貞姬) | 26,224 | 1위 |
| 52.88% | 당선 | |
2 | 최웅주(崔雄柱) | 23,361 | 2위 |
| 47.1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02,284 | 투표율 49.71% |
투표 수 | 50,850 | ||
무효표 수 | 1,265 |
47.11%는 역대 이 시의원 지역구 선거에서 보수정당 후보가 올린 최고 득표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