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특별시의 의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b0c02><tablebgcolor=#8b0c02> | 마포구 제3선거구 마포구 일부 麻浦區第三選擧區 Mapo District 3 | }}} | |||
| <nopad> | ||||||
| <colbgcolor=#8b0c02><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79,262명 (2022) | |||||
| 상위 행정구역 | 서울특별시 | |||||
| 관할 구역 |
| |||||
| 시의원 | [1] | |||||
1. 개요
서울특별시의회의 시의원 선거구이다.2. 역대 선거 결과
2.1. 1991년 지방선거
선거 기록이 많이 부실해서 기록이 많이 남아있지 않지만 이선희(李仙姬)[2] 후보가 민주자유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2.2.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3.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4.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5.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6.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마포구 제3선거구 서강동, 서교동, 합정동, 망원1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정해원(鄭海垣) | 15,233 | 2위 |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34.26% | 낙선 | |
| 2 | 채재선(蔡在善) | 24,039 | 1위 |
| [[민주당(2008년)| 민주당 ]] | 54.06% | 당선 | |
| 7 | 김재범(金宰範) | 5,189 | 3위 |
| | 11.67%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84,967 | 투표율 53.19% |
| 투표 수 | 45,197 | ||
| 무효표 수 | 736 | ||
2.7.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마포구 제3선거구 서강동, 서교동, 합정동, 망원1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최근희(崔根羲) | 17,583 | 2위 |
| | 35.94% | 낙선 | |
| 2 | 유동균(庾東均) | 23,133 | 1위 |
| [[새정치민주연합| 새정치민주연합 ]] | 47.28% | 당선 | |
| 4 | 하윤정(河閏正) | 3,489 | 4위 |
| | 7.13% | 낙선 | |
| 5 | 김재범(金宰範) | 4,714 | 3위 |
| | 9.63%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84,016 | 투표율 59.61% |
| 투표 수 | 50,081 | ||
| 무효표 수 | 1,162 | ||
2.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마포구 제3선거구 서강동, 합정동, 서교동, 망원1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정진술(鄭鎭述) | 30,465 | 1위 |
| | 65.35% | 당선 | |
| 2 | 유호렬(柳昊烈) | 10,828 | 2위 |
| | 23.22% | 낙선 | |
| 3 | 김숙희(金淑熙) | 5,321 | 3위 |
| [[바른미래당| 바른미래당 ]] | 11.41%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79,733 | 투표율 60.07% |
| 투표 수 | 47,898 | ||
| 무효표 수 | 1,284 | ||
2.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마포구 제3선거구 서강동, 서교동, 합정동, 망원1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정진술(鄭鎭述) | 20,090 | 1위 |
| | 50.44% | 당선 | |
| 2 | 강명숙(姜明淑) | 19,734 | 2위 |
| | 49.55%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79,262 | 투표율 51.40% |
| 투표 수 | 40,743 | ||
| 무효표 수 | 919 | ||
정진술 의원은 재임 중 성 비위 논란으로 인해 시의회에서 제명되었으나, 징계 무효 소송을 제기함에 따라 혹시 보궐선거를 치렀는데 소송이 받아들여져 의원이 2명(...)이 되는 사태를 막기 위해 보궐선거는 치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