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소청심사위원회 위원장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소청심사위원회 위원장 (1963~현재) | ||||
<nopad> 박정희 정부 | |||||
초대 신두영 | 제2대 조병일 | 제3대 동홍욱 | 제4대 서재원 | 제5대 김창식 |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6대 김형준 | 제7대 문영구 | 제8대 최동섭 | 제9대 정문화 | 제10대 황병인 |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11대 유기열 | 제12대 우근민 | 제13대 박해준 | 제14대 윤창수 | 제15대 하희대 |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16대 양종석 | 제17대 나승포 | 제18대 문동후 | 제19대 권형신 | 제20대 김중양 |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
제21대 김완기 | 제22대 이성열 | 제23대 정택현 | 제24대 강병규 | 제25대 최민호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제26대 박찬우 | 제27대 김상인 | 제28대 김승호 | 제29대 박제국 | 제30대 이재관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이재명 정부 | ||||
제31대 최재용 | 제32대 정한중 |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대한민국 제32대 소청심사위원회 위원장 정한중 鄭漢中 | Chung Han-joong | |||
| |||
출생 | 1961년 5월 17일 ([age(1961-05-17)]세) | ||
전라남도 광양시 | |||
현직 | 소청심사위원회 위원장 | ||
재임기간 | 제32대 소청심사위원회 위원장 (차관급) | ||
2025년 8월 13일 ~ 현재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학력 | 진상중학교 (졸업) 순천고등학교 (졸업) 동아대학교 (법학 / 학사) 동아대학교 대학원 (행정법 / 석사) | |
소속 정당 | [1] | ||
경력 | 제34회 사법시험 합격 제24기 사법연수원 수료 대한법률구조공단 변호사 경남대학교 강사 경상남도 선거관리위원회 위원 세계합동법률사무소 변호사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 상근기획위원 (참여정부) 법제처 징계위원회 위원 법무부 여성정책심의위원회 위원 윤석열 검찰총장 징계위원장 직무대리 법무검찰개혁위원회 위원 (문재인 정부) 검찰과거사위원회 위원 (문재인 정부) 국회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 국회윤리심사자문위원 국회소청심사위원회 위원장 법관인사위원회 위원 한국상사중재원 중재위원 법학전문대학원평가위원회 평가특별위원 방송통신심사위원회 통신특별위원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 추천위원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전임교수 제32대 소청심사위원회 위원장 (이재명 정부) | }}}}}}}}} |
1. 개요
대한민국의 정무직 공무원. 변호사이자 법학교수.2. 생애
1961년 전남 광양에서 태어나 순천고등학교, 동아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였고 동 대학원 석사. 제34회 사법시험을 합격하고 사법연수원 제24기로 수료하였다.수료 전 검찰이 전두환 등에 대한 12.12 군사반란 죄목을 기소유예하면서 공소시효가 지났다고 발표하자, 내란죄나 외환죄가 아닌 경우 대통령 재직 중 공소제기를 하지 못하게 헌법에 규정되어 있으므로 군사반란죄 등 다른 범죄들의 공소시효 기간 계산에서 대통령 재직 중 기간은 제외하여야 한다고 서울지방변호사회 연수 후 주장하였다. 이 주장은 헌법재판소, 대법원에서 받아들여져 후일 전두환, 이명박 전 대통령 등이 처벌되는데 크게 기여했다.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 상근 기획위원을 거쳐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 원장 등 주요 보직을 역임했다.
검찰과거사위원회 위원장 직무대행 당시 김학의 前 법무부차관 출국저지 후 그를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하였으며, 2020년 12월, 윤석열 검찰총장 징계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가 위원장의 사퇴로 직무대리를 맡았다.
2021년 1월 4일, jtbc 신년토론에 김용민, 진중권, 금태섭 등과 함께 출연했으며, 2대 공수처장 추천위원회 중 더불어민주당 몫 추천위원을 역임했다.
3. 정치 활동
2024년 2월 23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둔 더불어민주당의 제27호 영입인재로 영입되었다. 순천시 지역이나 광양시·곡성군·구례군 지역에 출마를 하려고 했지만 전남 지역의 선거구를 현행 유지하게 되었다.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과 을 모두 기존 후보 간의 경선으로 결정되면서 22대 총선에는 출마하지 못하게 되었다.2025년 8월 13일, 이재명 정부 초대 소청심사위원회 위원장(차관급)으로 임명되었다.
4. 소속 정당
소속 | 기간 | 비고 |
| 2024 - 2025 | 정계 입문 |
| 2025 - 현재 | 탈당[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