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9 23:47:36

전주성 전투

임진왜란정유재란 전투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임진왜란 (일본군 대규모 상륙), 일본군 진격 시기
1592년 <colcolor=#f0ad73,white>
음력
4월
부산진 전투[日] · 다대포진성 전투[日] · 동래성 전투[日] · 김해성 전투[日] · 경상도 방어선 · 상주 전투[日] · 충주 탄금대 전투[日]
5월
한강 전투[日] · 기강 전투[朝] · 제1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日] · 옥포 해전[朝]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朝] · 해유령 전투[朝] · 임진강 전투[日] · 정암진 전투[朝] · 사천 해전[朝]
6월
당포 해전[朝] · 제1차 당항포 해전[朝] · 용인 전투[日] · 무계 전투[日] · 율포 해전[朝] · 금화 전투[日] · 제1차 평양성 전투[日]
7월
웅치 전투[日] · 안덕원 전투[朝] · 이치 전투[朝] · 한산도 대첩[朝] · 제1차 금산 전투[日] · 안골포 해전[朝] · 우척현 전투[朝] · 제2차 평양성 전투[日] · 삭녕 전투[日] · 해정창 전투[日] · 영천성 전투[朝] · 지례 전투[朝]
8월
제3차 평양성 전투[日] · 청주 전투[朝] · 제1차 경주 전투[日] · 제2차 금산 전투[日] · 영원산성 전투[日] · 장림포 해전[朝]
9월
부산포 해전[朝] · 연안성 전투[朝] · 제2차 경주 전투[朝] · 북관 대첩[朝] · 노현 전투[日] · 창원성 전투[日]
10월
제1차 진주성 전투[朝]
12월
길주성 전투[日] · 독성산성 전투[朝]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1593년
1월
제4차 평양성 전투[朝明] · 수원 전투[朝] · 성주성 전투[朝] · 벽제관 전투[日]
2월
웅포 해전[朝] · 죽주 전투/상주 전투[朝] · 행주 대첩[朝] · 노원평 전투[朝]
전선 고착화 및 국지전 시기, 정유재란 (일본군 대규모 재상륙)
1593년
6월
제2차 진주성 전투[日]
1594년
3월
제2차 당항포 해전[朝]
7월
거제도 진공작전[朝]
1597년
2월
부산 진공작전[朝]
3월
기문포 해전[朝]
6월
가덕도 해전[朝]
7월
칠천량 해전[日]
일본군 진격 시기
1597년
8월
고령 전투[朝] · 남원 전투[日] · 황석산성 전투[日] · 어란포 해전[朝]
9월
벽파진 해전[朝] · 직산 전투[明] · 명량 해전[朝] · 제1차 석주관 전투[日]
사로병진책,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1597년
11월
제2차 석주관 전투[日]
12월
제2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明] · 제1차 울산성 전투[日]
1598년
7월
절이도 해전[朝明]
9월
사천성 전투[日] · 제2차 울산성 전투[朝明] · 왜교성 전투[日]
11월
노량 해전[朝明] · 남해왜성 소탕전[朝明]
각주: [朝]: 조선군의 승리 / [日]: 일본군의 승리 / [明]: 명나라군의 승리
}}}}}}}}} ||


1. 개요2. 경과

1. 개요

1592년 임진왜란, 일본군은 대대적으로 조선을 침공하여 순식간에 한양을 점거하고 임진강 전투에서 승리하여 그 여세를 몰아 평양을 함락하였다. 이에 선조는 가산을 거쳐 정주로, 정주를 거쳐 의주로 피난을 가게 되었다. 국가적인 큰 위기인 상황이었다. 더군다나 명나라의 1차 구원병마저 평양을 공격하다가 패주했다.

이렇듯 총체적 난국에 직면해 있던 조선 회생은 다름 아닌 전라도에서 싹트고 있었다. 그 당시 이순신이 거제 앞바다에서 원균, 이억기 등과 함께 거제 앞바다와 견내량 앞바다에서 왜군을 크게 쳐부수고 있었던 것이었다.

그러나 문제는 바다만이 아니었다. 일본군은 경상우도를 통과하여 전라도의 중심지였던 전주로 향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에 대응하여 김제 군수 정담과 해남 현감 변웅정, 나주 판관 이복남 등이 옹령에 주둔하면서 전주성 전투가 시작되었다.

2. 경과

웅치 전투 이후 날이 밝은 뒤 왜군은 조선군의 시체로 덮인 언덕을 넘어 전주로 향했다. 남은 조선군을 이끈 이복남은 군사를 수습해 전주 동쪽 10리에 위치한 안덕원[1]에 방어선을 쳐 재차 왜군을 맞았다.

정담과 변웅정은 웅치 (옹령)에 주둔한 후, 목책을 세워 산길을 막고 군사들을 격려하여 일본군에 맞섰다. 이들이 활로 일본군의 정예병을 많이 쏘아 죽이자 일본군은 일단 후퇴했다. 그러나 하필이면 일본군이 공세를 재개한 시점이 조선군의 화살이 다 떨어졌을 때라는 점이었다. 결국 이들은 용감히 싸우다가 모두 전사하였다. 그러나 때마침 귀환 명령을 받고 북상한 황진의 군사가 합류해 지친 왜군을 공격해 간신히 왜군을 저지할 수 있었다. 간신히 한숨을 돌린 조선군은 이광의 지시를 받은 전주부윤 권수(權燧)와 수성장 이정란(李廷鸞) 지휘하에 전주부성에서 방어태세를 갖추었다.

그 다음 날, 일본군은 전주에 당도했다. 이에 전주 관원들은 도망치려 했으나 이정란이 전주부성에 들어와서 스스로 수성장이 되어 관원들과 백성들을 단속하여 방어에 나섰는데, 일본군은 웅치 전투에서 수많은 정예 병력을 잃은 터라 사기가 떨어져있던 상태였기에 공세를 지속하기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전라 감사 이광이 모조로 의병(가짜 병사)을 배치하며 낮에는 군기를 수없이 꽂고 밤에는 온 산에 횃불을 만들어 군세를 부풀려 위장하자 일본군은 전주성에 대한 공격을 멈추고 퇴각했다. 전주 공략에 실패한 왜군은 진안에 머무르다 7월 17일 금산으로 물러났다. 왜군도 조선군의 분전에 감명을 받았는지 퇴각하는 길에 조선군의 시신을 모아 조 조선국 충간의담(弔朝鮮國忠肝義膽)이라는 비석을 세워주어 그들의 충절을 기렸다고 한다.

1597년 정유재란 때는 남원성이 함락되고 일본군이 다시 전주성을 공격하려 했으나, 조선군이 이미 전주성을 비우고 후퇴해서 전투 없이 점령했다.


[1] 오늘날 전주시 산정동과 금상동 일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