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30 03:23:06

임진북예성남정맥



파일:한반도아이콘.svg 한반도의 산맥 및 산경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산맥 ]
{{{#!wiki style="margin: -5px -1px -6px"
마천령산맥 함경산맥 낭림산맥 강남산맥
적유령산맥 묘향산맥 언진산맥 멸악산맥
마식령산맥 광주산맥 차령산맥 소백산맥
노령산맥 태백산맥
}}}}}}}}}
[ 산경표 ]
}}} ||

1. 개요

1. 개요

臨津北禮成南正脈.

임진북예성남정맥은 임진강예성강 사이에 있는 산줄기이다. 강원도 이천군개연산에서 시작해 황해도 신계, 금천, 경기도 개성을 거쳐 개풍군에 이르는 산줄기이다.

조선 시대 산줄기에 대한 인식은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이로부터 가지친 13개의 정맥(正脈)으로 되어 있다. 이들 산줄기는 10대강의 분수산맥을 이루고, 강 유역을 경계짓는다.

산경표(山經表)』에 따르면 개련산(開蓮山)에서 비롯하여 기달산(箕達山)·천개산(天蓋山)·화개산(華蓋山)·학봉산(鶴峰山)·수룡산(首龍山)·백치(白峙)·우이산(牛耳山)·성거산(聖居山)·천마산(天摩山)·송악(松岳)·진봉산(進鳳山)·백룡산(白龍山)·풍덕치(豊德治)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현대 지도의 산 이름에서는 대체로 화개산(華開山, 1,041m)·화개산(華蓋山)·학봉산(664m)·수룡산(秀龍山, 717m)·천마산(762m), 개성의 송악산(488m)에서 한강의 강구(江口)를 마주하고 끝이 난다.

중북부 해안평야지방의 예성강유역과 내륙산간지방의 임진강유역의 서로 다른 자연환경과 이에 상관되는 인문지리적인 차이를 뚜렷하게 구분하는 산줄기이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임진북예성남정맥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