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01 14:46:53

청남정맥



한반도의 산맥 및 산경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산맥 ]
{{{#!wiki style="margin: -5px -1px -6px"
마천령산맥 함경산맥 낭림산맥 강남산맥
적유령산맥 묘향산맥 언진산맥 멸악산맥
마식령산맥 광주산맥 차령산맥 소백산맥
노령산맥 태백산맥
}}}}}}}}}
[ 산경표 ]
}}} ||

1. 개요

1. 개요

淸南正脈.

청남정맥은 백두대간의 낭림산에서 시작하여 평안북도 영변, 안주, 자산을 거쳐 삼화의 광량산까지 이어지는 산줄기이다.

조선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던 산맥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13개의 정맥(正脈)으로 이루어졌다. 『산경표(山經表)』에 근거를 둔 이들 정맥은 모두 큰 강의 분수산맥이며 그 이름도 강이름에서 비롯된다.

청남정맥은 자연히 북쪽으로 청천강유역, 남쪽으로 대동강유역을 가름한 정맥이다. 『산경표』에 낭림산·광성령(廣城嶺)·묘향산(妙香山)·장안산(長安山)·백운산(白雲山)·마두산(馬頭山)·황룡산(黃龍山)·어포현(於抱峴)·국령산(國靈山)·봉곡산(鳳哭山)·석골산(石骨山)·광량진(廣梁鎭) 등 43개의 산과 고개로 이어졌음을 기록하였다.

현대지도에서는 낭림산(2,014m)·묘향산(1,365m)·알일령(謁日嶺, 467m)·용문산(龍門山, 1,180m)까지 평안남북도의 도계를 이루었고, 이로부터 서래봉(西來峰, 451m)·강룡산(降龍山, 446m)·만덕산(萬德山, 243m)·광동산(廣東山, 396m)까지 평안남도의 서해안지방과 내륙지방을 자연스레 경계하며 광량만을 마주보고 끝난다.

많은 고성(古城)이 이 산줄기에 분포한 것으로 보아 천리장성청북정맥이 북방에 대한 일차적 보루라면 청남정맥은 이차적 위치에 있었음을 지형으로 판독할 수 있다. 특히, 평안도의 남북을 갈라 소문화권을 형성시킨 정맥이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청남정맥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