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산맥 | 마천령산맥 · 함경산맥 · 낭림산맥 · 강남산맥 · 적유령산맥 · 묘향산맥 · 언진산맥 · 멸악산맥 · 마식령산맥 · 광주산맥 · 차령산맥 · 소백산맥 · 노령산맥 · 태백산맥 |
| 대간 | 백두대간 | |
| 정간 | 장백정간 | |
| 정맥 | 청북정맥 · 청남정맥 · 해서정맥 · 임진북예성남정맥 · 한북정맥 · 한남정맥 · 한남금북정맥 · 금북정맥 · 금남정맥 · 금남호남정맥 · 호남정맥 · 낙동정맥 · 낙남정맥 | |
| 기맥 | 금남기맥 · 금북기맥 · 땅끝기맥 · 영산기맥 · 진양기맥 · 팔공기맥 · 한강기맥 · 한북기맥 · 호미기맥 | |
| 지맥 | 고흥지맥 · 금오지맥 · 도솔지맥 · 문수지맥 · 보현지맥 · 비슬지맥 · 수도지맥 · 영월지맥 · 춘천지맥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산맥 ] {{{#!wiki style="margin: -5px -1px -6px" | 마천령산맥 | 함경산맥 | 낭림산맥 | 강남산맥 |
| 적유령산맥 | 묘향산맥 | 언진산맥 | 멸악산맥 | |
| 마식령산맥 | 광주산맥 | 차령산맥 | 소백산맥 | |
| 노령산맥 | 태백산맥 |
- [ 산경표 ]
| 강남산맥 | |
| <nopad> | |
| 지도 |
1. 개요
강남산맥은 자강도 사랑봉에서 평안북도 천마산까지 뻗어있는 산맥을 의미한다.2. 상세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산맥이며, 그 길이는 290km이다.낭림산맥의 아득령(牙得嶺)에서 분기하여 북동에서 남서방향으로 달리며 압록강의 남사면을 이룬다.
이 산맥의 북사면은 단층애(斷層崖)로서 급경사를 이루며 압록강의 지류인 자성강(慈城江)·위원강(渭原江)·충만강(忠滿江)·독로강(禿魯江) 등에 의해 개석(開析)되는 반면, 남사면은 구릉성 산지를 이룬다. 기반암은 대부분 화강편마암이며, 연덕산(淵德山, 1,730m)·천마산(天摩山, 1,169m)·회와산(會瓦山, 1,354m)과 비래봉(飛來峯, 1,470m)·향내봉(香內峯, 1,365m)·월기봉(月起峯, 1,238m) 등 고봉들이 많다.
산맥의 남단에는 정주(定州)∼삭주(朔州)간의 정삭선(定朔線)이 남북으로 관통하며 북단에서는 강계를 지나 만포에 이르는 만포선(滿浦線)이 남북으로 관통한다. 삼림이 매우 울창한데, 홍송(紅松)과 삼송(杉松)이 주를 이루며, 이밖에 고도가 낮은 곳에는 참나무·피나무·자작나무 등의 활엽수가 널리 분포한다.
삼림이 특히 풍부한 곳은 강남산맥의 북쪽 사면에서 압록강으로 흘러들어가는 후창강(厚昌江)·자성강·장자강·위원강·충만강 등의 상류 및 중류이다.
산간지대는 고랭지대로서 논농사는 이루어지지 않고 부분적으로 화전(火田)이 행하여진다. 1939년에 ]]만포선]]이 개통된 뒤 산지가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하였으나, 교통이 극히 불편하고 지형이 험준하여 산지의 개발은 부진한 상태이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강남산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