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산 및 고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산맥 | 마천령산맥 · 함경산맥 · 낭림산맥 · 강남산맥 · 적유령산맥 · 묘향산맥 · 언진산맥 · 멸악산맥 · 마식령산맥 · 광주산맥 · 차령산맥 · 소백산맥 · 노령산맥 · 태백산맥 |
대간 | 백두대간 | |
정간 | 장백정간 | |
정맥 | 청북정맥 · 청남정맥 · 해서정맥 · 임진북예성남정맥 · 한북정맥 · 한남정맥 · 한남금북정맥 · 금북정맥 · 금남정맥 · 금남호남정맥 · 호남정맥 · 낙동정맥 · 낙남정맥 | |
기맥 | 금남기맥 · 금북기맥 · 땅끝기맥 · 영산기맥 · 진양기맥 · 팔공기맥 · 한강기맥 · 한북기맥 · 호미기맥 | |
지맥 | 고흥지맥 · 금오지맥 · 도솔지맥 · 문수지맥 · 보현지맥 · 비슬지맥 · 수도지맥 · 영월지맥 · 춘천지맥 |
한반도의 산맥 및 산경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산맥 ] {{{#!wiki style="margin: -5px -1px -6px" | 마천령산맥 | 함경산맥 | 낭림산맥 | 강남산맥 |
적유령산맥 | 묘향산맥 | 언진산맥 | 멸악산맥 | |
마식령산맥 | 광주산맥 | 차령산맥 | 소백산맥 | |
노령산맥 | 태백산맥 |
- [ 산경표 ]
적유령산맥 | |
<nopad> | |
지도 |
1. 개요
적유령 산맥은 낭림산맥에서 갈라져 평안북도를 북부와 남부로 가르는 산맥이다.2. 상세
요동방향으로 뻗어있으며, 평북육괴를 기반암으로 하고 있다. 강으로 인한 침식작용 때문에 심하게 굴곡진 산맥이기도 하다.북쪽에 이웃한 강남산맥(江南山脈)과 남쪽의 묘향산맥(妙香山脈)과 함께 동북동∼서남서 방향의 산맥으로 요동방향의 산계이다.
기반암은 중한지괴(中韓地塊)의 일원인 요동지괴(遼東地塊)와 일체인 평북육괴이다. 이는 선캄브리아초누대의 화강편마암으로 구성된다. 압록강과 청천강에 의하여 심하게 침식된 결과 남북으로 심하게 굴곡되어 있다.
산맥 가운데에는 백산(白山, 1,875m)·숭적산(崇積山, 1,970m)·비삼봉(非三峰, 1,833m)·대암산(大巖山, 1,566m)·피난덕산(避難德山, 1,963m) 등의 높은 산봉이 있고, 적유령(963m)·구현령(狗峴嶺, 815m)·온정령(溫井嶺, 574m) 등의 높은 고개가 있다. 산맥은 평안북도의 분수령 산맥으로 압록강과 청천강의 여러 지류가 이 산지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혹은 남쪽으로 흐른다.
산맥의 주요 고개들은 압록강 유역과 청천강 유역을 연결하는 철도 또는 자동차 도로로 이용되고 있다. 산맥의 북부는 강남산맥으로 연속되는 험준한 지형이나 남부는 청천강의 하곡에 연하여 좁은 충적지가 곳곳에 발달되어 있다.
특히 산맥의 남서부인 구성군과 태천군에는 넓은 평야가 열려 있다. 산맥의 남서부에는 금·은 등의 지하자원이 풍부하며 온천도 곳곳에 있다.
산맥을 이용하여 북방 호족을 막기 위해 고려 시대에는 의주에서 운산·희천·영원을 지나 낭림산맥을 넘어 동해안의 정평군 도련포(都連浦)에 이르는 천리장성(길이 400㎞)을 축조하고 곳곳에 군창을 두었다.
당시의 군창지들인 본창(本倉)·성창(城倉)·위곡창(委曲倉)·고연주창(古延州倉)·해창(海倉)·산창(山倉)·신창(新倉)·북창(北倉) 등은 현재 중요한 취락으로 발전하였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적유령산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