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dj-Nate가 2010년 작곡한 일렉트로 하우스 곡이다. Geometry Dash에 쓰인 dj-Nate의 곡중 유일하게 덥스텝이 섞이지 않은 순수 하우스 곡이다.
Geometry Dash에 15번째 스테이지로 수록되었다. 후속작으로는 Electrodynamix 2와 Thermodynamix[1]가 있다. 올조성은 가단조(A minor)이다.
곡의 평가는 전체적으로 호평이며, 그 중에서도 1분 23초 부분부터 시작하는 부분이[2] 같은 곡 맞나 싶을 정도로 다르면서도 상당히 아름다운 음색을 자랑해서 해당 부분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다. 공식 스테이지에 쓰이지 못한것을 아쉽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을 정도.[3] 여담으로 Newgrounds에 올린 곡 중 가장 조회수가 높다.
2. Geometry Dash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0B0FF, #4166F5, #4166F5, #4166F5, #20B0FF)" 스테이지 일람 {{{#!wiki style="margin: 0px -10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 ||
1. | 2. | 3. | |
4. | 5. | 6. | |
7. | 8. | 9. | |
10. | 11. | 12. | |
13. | 14. | 15. | |
16. | 17. | 18. | |
19. | 20. | 21. | |
22. | 23. | ||
1. | 2. | 3. | |
1. | 2. | 3. | |
스테이지 문단 참조 | |||
아직 출시되지 않은 레벨은 | |||
| }}}}}}}}}}}} |
Geometry Dash의 스테이지
<rowcolor=#fff> Electrodynamix | |||||||
| |||||||
<rowcolor=#fff> 업데이트 버전 | 클리어 시간 | 반영 버전 | |||||
1.7 | 1분 26초 | 정식판, Lite 버전 | |||||
<rowcolor=#fff> 보상 | |||||||
12 | 노말 모드 클리어 시 | 연습 모드 클리어 시 | |||||
| | ||||||
<rowcolor=#fff> 레벨 순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4. Clubstep | → | 15. Electrodynamix | → | 16. Hexagon Force |
이번 스테이지는 전기[4]를 테마로 한 듯한 스테이지로, 전기 회로를 연상시키는 장식과 눈이 아플정도로 번쩍번쩍거리는 배경[5], 그리고 가속 모드가 특징이다. 이번 스테이지가 업데이트된 1.7 버전에서 새로 추가된 요소는 감속과 가속으로, <는 원래 속도보다 느리며, >는 원래의 기본 속도. 그리고 >>는 >보다 빠르며, >>>는 더욱 빠르다. 흔히 >>는 2배속, >>>는 3배속으로 불리지만, 실제로는 각각 약 1.33배(4/3), 1.66배(5/3)로 빨라진다. n단 가속이 좋은 표현. 감속은 원래 속도의 0.66배(2/3).[6] Electrodynamix에는 감속 포탈은 등장하지 않고, 이후 레벨인 Hexagon Force부터 등장한다.
중간의 2개의 3단 가속 소형 비행 구간 때문에 공식 데몬 난이도 스테이지 3개를 제외한 스테이지 중에서 가장 어렵다고 평가받는다.[7] 개인차가 심해 Clubstep보다 더 어렵다는 사람도 꽤 자주 보인다.
이후 정확히 60%대에 들어옴과 동시에 3단 가속이 시작되는데, 토나올 정도로 빨라진다.[8] 3단 가속 구간의 순간난이도는 이놈의 후반부 비행과 비견될 정도로 높다. 컨트롤 한번 잘못하면 태초마을로 돌아가게 되니 주의가 필요하다.
처음으로 바닥과 배경이 사각형이 아닌 맵이다. 바닥은 모두 반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배경은 모두 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난이도는 Fingerdash, Clutterfunk 등 다른 11~12성 Insane 스테이지보다 확실히 어려운 난이도라고 평가받는다. 온라인 기준으로는 Insane 9성 정도의 난이도이다. 보통 Clubstep보다 살짝 아래로 보지만 그래도 비행과 가속에 익숙하다면 Hexagon Force보다는 쉽게 느껴질 수 있다.
클리어 타임은 총 1분 26초로 조금 짧은 편에 속한다. 그러나 극초반을 제외한 모든 곳이 가속 구간이기 때문에 맵 자체의 길이는 공식맵에서 가장 길다.
2.1. 구간
<rowcolor=#000,#fff> 1단 | 2단 가속 구간 | 3단 가속 구간 | ||||||||||||
<rowcolor=#373a3c,#303030> ~25% | 25%~ | 33%~ | 42%~ | 49%~ | 53%~ | 60%~ | 65%~ | 70%~ | 76%~ | 81%~ | 92%~ | |||
<rowcolor=#000,#fff> 소형화 구간: 37~42%, 59~62%, 71~81% |
2.1.1. 극초반 구간
0%~7%:정말 못하는 사람도 여기는 가뿐하게 통과 할 수있다.
2.1.2. 2단 가속 구간
7~25%:25%~33%:
33%~36%:
36%~42%:
42%~49%:
49%~53%:
53%~59%:
그리고 그 다음부터 Electrodynamix의 진가가 드러나는 3단 가속 구간이 시작된다.
2.1.3. 3단 가속 구간
너무 어렵다면 연습 모드에서 자동 체크 포인트를 끄고 3단 가속 진입 직전에 체크포인트를 하나 박은 다음 무한 연습하자. 서버에 유저들이 올린 카피맵들이 있으니 그걸 복사해서 Start pos를 설치하고 연습해보는것도 좋다.60%~64%:
64%~70%:
70%~75%:
76%~82%:
82%~92%:
92%~100%:
2.2. 비밀 코인
코인의 난이도는 맵 난이도에 비하면 무난하다.첫 번째 코인.
코인난이도:
첫번째 코인은 첫번째 UFO 구간 후 소형 UFO구간 39% 부분 상단 톱니바퀴 2개 사이에 있다. 무난하게 비행 중 코인이 나올 쯤에 두번 점프하거나, 점점 고도를 높여가다 한번 점프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다만 문제는 코인을 먹고나서 이후에 나오는 톱니바퀴에 맞기 쉽게 설계돼서 타이밍이 상당히 까다롭다. 이 맵에서 가장 어려운 코인이다.[12]
두 번째 코인.
코인난이도:
두번째와 코인은 볼 모드 다음의 일반 모드에 나온다. 56%부분인데, 점프링이 중력 반전 링 2개와 노란색 점프링 1개가 있는데 노란색만 밟지 않으면 코인 루트로 들어갈 수 있다. 하지만 중력 반전 링을 재빠르게 밟아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루트 입구의 오른쪽 가시에 부딪힌다.[13]
세 번째 코인.
코인난이도:
세번째 코인은 두번째 코인과 비슷한데, 큐브 모드이며 세 개의 점프링 중 하나를 밟지 않는다. 85% 부분에 있으며 소형 볼 모드에서 나온 뒤 분홍, 노랑 점프링만 누르고 중력 반전 링만 밟지 않으면 가시가 없는 바닥에 착지한다. 안전한 바닥부분 끝에서 점프한 다음 중력 반전 발판을 누르면 코인을 얻고 다시 일반루트로 복귀. 가장 쉬운 코인이다.[14]
2.3. 여담
- 진한 회색을 얻기 위한 도전과제(So Close)가 기존에는 '99%에서 죽기' 이였는데 이것이 가능한 유일한 공식맵이었다. 그것도 맨 마지막 가시의 뒷 부분에 아슬하게 박아야 했다(...) 1.9 버전 업데이트에서 95% 이후에서 죽기로 조정되어 쉬운 과제가 되었다.
- 공식 스테이지 중 가장 속도감 있는 스테이지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곡 자체의 BPM은 127로 공식 수록곡 중에 두 번째로 느린 곡이다.[15]
- 아주 잠깐이기는 하지만 중력 반전 상태의 UFO 모드가 나오는 최초의 공식맵이다.[16]
- 공식맵 중 유일하게 3단 가속 상태에서 클리어하는 맵이다.
- 공식맵 중 1단 가속(일반 속도) 상태의 구간이 가장 짧다.(7%)
- GD 영상으로 유명해진 한국 유튜버 랑께가 이 레벨을 어려워한다. 본인은 공식맵 중 가장 어렵다고 체감하며 이 영상에서 이게 왜 데몬 아니냐는 말은 덤.
- 이 스테이지에서는 새로운 배경이 추가되었다. 이 스테이지를 시작으로 새로운 배경들이 사용된다.[17]
[1] 역대 1위이자 현재 2위 데몬인 Acheron의 음악으로 쓰였다.[2] 지오메트리 대쉬에서 스테이지가 끝나는 부분이다.[3] 포럼에도 올라간 데몬 맵엔 Spacial Rend가 이 부분을 사용한다.[4] 이름부터가 전기역학이라는 뜻의 Electrodynamics라는 단어를 꼬은 Electrodynamix이다. 전기역핰[5] 캐릭터 색을 각각 검은색, 하늘색으로 하면 번쩍번쩍하는게 배가 된다. 직접 해보자.[6] 2.1에는 >>>>(4단가속)도 등장한다![7] 다만 개인차가 심한 맵이라 이 맵이 Hexagon Force보다 쉬울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이게 더 어렵다고 평가받는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이 개인차가 매우매우 심해서 데몬보다도 어렵다는 사람도 있는 반면, Insane 난이도 공식맵 하위권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8] 이러한 특성 때문에 공식맵에서는 3단가속이 활발하게 쓰이지 않는다. 이후에는 Deadlocked와 Dash 에만 등장한다.[9] 검은색은 맵 색으로 들어갈 때 반대편 색이 된다.[10] 팁을 주자면 첫번째 포탈 지나고 정말 조금 기다리고 누르고 가만히 있다가 떨어지기 직전에 한번 점프하고 구멍에 들어가서 가만히 있다가 노란포탈 지나서 연타 후 파란색 포탈 진입 후 가만히 있다가 타이밍 맞게 가시를 넘고 미니포탈을 타면 쉽다. 전 구간보다 쉽다는 유저들도 많다.[11] UFO를 잘하면
, 못하면
[12] 누르는 박자를 외워두면 좋다 딱 딱 따닼![13] 나갈때 빠르게 누르면 위 벽에 죽고 느리게 누르면 땅에 박는다.[14] 코인 먹을때 점프할때 타이밍을 맞추지 않으면 위에 톱니바퀴에 죽는다.[15] 가장 느린 곡은 Fingerdash, 112BPM이다. 참고로 가장 빠른 곡은 Jumper로 BPM 178. 하지만 확장판의 레벨까지 합치면 Airborne Robots가 200BPM으로 가장 빠르다.[16] 중력반전 UFO는 공식 데몬인 ToE2, Deadlocked에도 등장한다. 그러니 이에 익숙해지는 것 또한 필요하다.[17] Stereo Madness 부터 Clubstep까지는 사각형들이 나누어져있는 스타일의 배경만 사용했고, 색깔만 중간중간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