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01-26 15:48:30

경희궁 위선당

위선당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무덕문
계상당 춘화각영취정
서암 덕유당 상휘당 광명전 어조당 용비루 장락전 봉상루
영렬천 자정전 집경당 회상전 융복전 융무당 집희당 경선당
위선당 태령전 자정문 영선당 사현합
태령문 향실숭정전 정시합 흥정당 청한정 지효합 상의원
내삼청 숭양문
숭정문 승휘전 흥원문
직조청 내각(규장각) 예문관 서방색 궁방 사옹원 사은원 양덕당
일영대 금루 호위청 선부관청 경현당
기상청
국립기상박물관
무겸청 연화문 광달문 화경문 경헌문 승화문
숭의문 서울특별시교육청 금상문 서울역사박물관 건명문 금천교 흥화문
남소 옥당(홍문관) 약방(내의원) 약원 도감군사대직청 빈청 전설사
오위도총부 정원(승정원) 덕응방 내구 마구
개양문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271호 경희궁
<colbgcolor=#bf1400> 경희궁 위선당
慶熙宮 爲善堂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45 (신문로2가)
건축시기 1663년 이전 추정 (창건) / 1865년 ~ 1868년 (철훼)
1. 개요2. 위치 및 용도3. 변천 및 현황4. 구조5. 여담

[clearfix]

1. 개요

경희궁의 전각으로 선왕의 위패, 신주, 어진을 임시로 봉안할 때 사용했다. 흥선대원군경복궁 재건으로 훼철되어 사라졌다.

2. 위치 및 용도

경희궁의 편전인 자정전을 중심으로 서쪽에 태령전과 위선당이 있었다. 이들은 경희궁의 북서쪽 영역에 있었으며, 조상을 기리기 위한 공간으로 기능했다. 태령전영조의 초상을 봉안하던 곳이며 자정전과 위선당은 종묘의 위패를 임시로 모셨던 곳이다. 태령전이 혼전으로 사용될 때에는 태령전에서 봉안하던 어진을 위선당으로 옮겨 모셨다.

위선당은 신주 봉안소이기도 했다. 영조 때 단경왕후를 복위시키면서 위선당에 신주를 모신 후 작헌례를 행했으며, 정조 시절에는 효장세자와 그 부인을 진종(眞宗)과 효순왕후(孝純王后)로 추존하면서 창경궁 연복전에 있던 신주를 이곳으로 옮겨 봉안했다.

3. 변천 및 현황

위선당의 옛 이름은 영경당(靈慶堂)이다. 1700년( 숙종 26년)에 위선당으로 이름을 고쳤다. 영경당을 사용한 기록은 《승정원일기》에서 1663년(현종 4년)에 종묘의 영녕전을 수리하기 위해 영경당에 신위를 봉안했던 기록부터 볼 수 있다. 광해군 시절에 경희궁을 창건한 후 숙종 대에 대대적인 수리 작업이 있었으니 영경당은 그 이전부터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위선당으로 이름을 바꾸기 전부터 신위를 봉안하는 전각으로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고종 때 경복궁 중건사업으로 훼철되었다. 기단은 남아있었으나 이마저도 일제강점기에 헐려서 현재는 위선당의 흔적은 남아있지 않다. 지금의 서울특별시교육청 자리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4. 구조

위선당은 《서궐도안》에서만 그 형태를 볼 수 있다. 숲과 나무로 둘러싸여 있다. 행각과 담장에 의해 독립적인 영역을 형성하며, 영광문(靈光門)으로 태령전과 연결된다. 남쪽에는 장덕문(章德門)을 두었다. 팔작지붕을 한 정면 3칸, 측면 2칸 건물로 묘사되어 있다.

5. 여담

  • 위선당의 서쪽에는 영렬천(靈洌泉)이 있는데, 바위 틈에서 항상 찬 물이 나와 '초정(椒井)'으로 불렸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