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 테크트리 | |||||||||||
| {{{#!folding [ 보기 · 닫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기타 국가 프리미엄 | 기타 국가 레전더리 | 컬래버레이션 함선 | 이벤트 함선 | }}} | |||||
| 회색 배경 : 미출시 트리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작성 양식 | |||||||||||
1. 개요2. 구축함
2.1. 스미스 - 2티어 (무료 번들)2.2. 샘슨 - 2티어 (무료 번들)2.3. 힐 - 4티어2.4. 니콜라스 - 4티어 (이벤트 보상)2.5. 모나한 - 5티어2.6. 키드 - 6티어2.7. 벤험 - 6티어 (캠페인 보상, 범용경험치)2.8. 심즈 - 6티어2.9. 찰스 F 휴즈 - 6티어2.10. 소머즈CE - 7티어(캠페인 보상)2.11. 블랙/블랙B - 7티어 (캠페인 보상)2.12. 래피 - 8티어
3. 순양함3.1. 찰스턴/찰스턴M - 2티어 (무료 번들)3.2. 이리 - 2티어 (컬렉션 보상)3.3. 밀워키 - 2티어3.4. 마블헤드/마블헤드FE - 4티어3.5. 애틀랜타/애틀란타B - 6티어 (캠페인 보상, 범용경험치)3.6. 플린트 - 6티어 3.7. 인디애나폴리스/인디애나폴리스B - 6티어3.8. 보이시 - 6티어3.9. 위치타CE - 7티어 (캠페인보상)3.10. 위치타 - 7티어 3.11. 로체스터 - 7티어3.12. 샌디에이고 - 7티어 (이벤트 가차 판매)3.13. 콩그레스 - 7티어3.14. 앵커리지 - 7티어 (캠페인 보상)3.15. 털사 - 8티어(캠페인 보상)3.16. 세일럼 - 8티어 (제철소 구매)3.17. 발레이오 - 8티어 (이벤트 가차 판매)
4. 전함4.1. 아칸소/아칸소FE - 3티어 4.2. 사우스 캐롤라이나 - 3티어 (이벤트 보상)4.3. 텍사스 - 4티어 4.4. 오클라호마 - 4티어 (설계국 최종 보상)4.5. 애리조나 - 5티어 4.6. 캘리포니아 - 5티어 (설계국 최종 보상)4.7. 웨스트버지니아 - 5티어4.8. 레비아탄 - 6티어4.9. 플로리다 - 6티어4.10. 웨스트버지니아 44년형 - 6티어4.11. 앨라배마 - 7티어 (범용경험치)4.12. 매사추세츠/매사추세츠B - 7티어 (캠페인 보상, 범용경험치)4.13. 미주리 - 7티어 (제철소 구매)4.14. 조지아/조지아W - 7티어 (캠페인 보상)4.15. 컨스텔레이션/컨스텔레이션 W - 7티어4.16. 위스콘신 - 8티어 (캠페인 보상)
5. 항공모함1. 개요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에 등장하는 미국 프리미엄 선박 일람.컬래버레이션 선박에 대한 정보는 해당 문서 참고2. 구축함
2.1. 스미스 - 2티어 (무료 번들)
| | 해양에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미 해군 최초의 구축함이다. 이전에 건조된 구축함과 다르게 터빈 추진 장치와 소구경 주함포를 탑재하였다.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어뢰1 | × | 초 | 7.2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00,000 | km | km | knots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무장 내구도 강화 장치 1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함포 통제 강화 장치 2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스미스급 구축함 1번함으로 미해군 최초의 원양용 구축함이다.
주포는 연사는 빠르지만 게임내에서 가장 작은 구경으로 있으나 마나한 수준.
어뢰는 12초 마다 재장전이 가능한 3개의 단장 발사관을 가진다. 어뢰 사격 범위가 가장 넓은 함선중의 하나로 거의 전면부터 후면까지 어뢰를 쏠수 있도록 어뢰발사관이 배치되어 있다. 어뢰발사관이 2개는 현측에 장비되어서 한쪽 측면으로는 2발만 사용가능하다. 또한 양측으로 발사할 수 있는 발사관은 회전에 시간이 꽤 걸리므로 선회시 어뢰 투사할때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
2.2. 샘슨 - 2티어 (무료 번들)
| | 미 해군의 1,000톤급 구축함 중 하나이다. 구축함 중 가장 강력한 무장을 장착하였지만, 속력은 평범하였다. 어뢰 발사관을 비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선체 한편에서 절반만 일제 사격할 수 있었다.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어뢰1 | × | 초 | 7.2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00,000 | km | km | knots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무장 내구도 강화 장치 1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함포 통제 강화 장치 2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2.3. 힐 - 4티어
|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어뢰1 | × | 초 | 7.2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00,000 | km | km | knots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무장 내구도 강화 장치 1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함포 통제 강화 장치 2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2.4. 니콜라스 - 4티어 (이벤트 보상)
|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어뢰1 | × | 초 | 7.2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00,000 | km | km | knots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무장 내구도 강화 장치 1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함포 통제 강화 장치 2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2.5. 모나한 - 5티어
| | Farragut급 구축함 중 한 척으로 양용포를 주함포로 사용하였다. 1942년, 127mm 함포 1문을 대공포로 교체하였다. |
| 특성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어뢰1 | × | 초 | 7.2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00,000 | km | km | knots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무장 내구도 강화 장치 1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함포 통제 강화 장치 2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2.6. 키드 - 6티어
|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어뢰1 | × | 초 | 7.2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00,000 | km | km | knots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무장 내구도 강화 장치 1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함포 통제 강화 장치 2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2.7. 벤험 - 6티어 (캠페인 보상, 범용경험치)
|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어뢰1 | × | 초 | 7.2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00,000 | km | km | knots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무장 내구도 강화 장치 1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함포 통제 강화 장치 2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2.8. 심즈 - 6티어
| | 강력한 무장, 빠른 속력, 뛰어난 기동력을 자랑하는 구축함이다. 연사력과 조준 속도가 빠르고 강력한 화력을 자랑하는 양용포가 장착되었으며 효율적인 대공 방어 체계를 갖추었다.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어뢰1 | × | 초 | 7.2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00,000 | km | km | knots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무장 내구도 강화 장치 1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함포 통제 강화 장치 2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2.9. 찰스 F 휴즈 - 6티어
| | 디른 구축함보다 더 크게 건조된 구축함이다. 포좌가 효율적으로 장착되어 이전 구축함보가 무장이 강화되었으며 새로 개발된 5연장 어뢰 발사관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였다.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어뢰1 | × | 초 | 7.2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00,000 | km | km | knots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무장 내구도 강화 장치 1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함포 통제 강화 장치 2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2.10. 소머즈CE - 7티어(캠페인 보상)
|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어뢰1 | × | 초 | 7.2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00,000 | km | km | knots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무장 내구도 강화 장치 1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함포 통제 강화 장치 2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2.11. 블랙/블랙B - 7티어 (캠페인 보상)
| | 뛰어난 성능을 자랑하며 다수가 건조된 Fletcher급 구축함 중 하나이다. 빠른 속력, 강력한 양용포, 효율적인 대공 방어 체계, 적절한 어뢰 무장을 자랑한다. |
| 특성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어뢰1 | × | 초 | 7.2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00,000 | km | km | knots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무장 내구도 강화 장치 1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함포 통제 강화 장치 2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2.12. 래피 - 8티어
| 파일:워쉽 레전드 래피.png | USS Laffey는 Alen M. Sumner급 구축함으로, 1944년 2월에 취역하였습니다. 같은 해, 해당 군함은 연합국의 노르망디 상륙 작전과 필리핀의 여러 상륙 작전에 참여했습니다. 오키나와 전투 당시 USS Laffey는 일본 항공기의 매서운 공습을 받았습니다. 일본은 Laffey에 여섯 번의 가미카제 공격을 가했으며. 이 공격 하나하나의 위력이 Laffey보다 더 큰 군함도 충분히 격침할 수 있었던 수준이었으나, 승조원들의 눈부신 활약으로 이 구축함은 끝까지 살아남았습니다. Laffey는 정비를 거친 후 1970년대 중반까지 미국 해군에서 복무를 이어갔습니다. |
| 특성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127mm/38 Mk.38 | 3×2 | 3.5초 | 7.2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11.2km | 2.0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1,800 | 5% | 21mm | |
| 철갑탄 | 2,100 | - | ~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533mm quintuple | 2×5 | 140초 | 7.2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17,900 | 8km | 1.4km | 66knots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18,500 | 0% | 13~40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620m | 3.1초 | 36.5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7.1km | 3.6km | 2.6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20mm Oerlikon Mk.4 | 11×1 | 93 | 2.0km |
| 40mm Bofors Mk1 | 2×2 | 56 | 3.5km |
| 40mm Bofors Mk2 | 2×4 | 56 | 3.5km |
| 127mm/38 Mk.38 | 3×2 | 66 | 5.0km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5초 쿨타임: 40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277 | 작동: 20초 쿨타임: 120초 | 2회 | |
| 3번 (패드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15초 분산: 60초 쿨타임: 120초 | 무제한 | |
| 4번 (패드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400% | 작동: 20초 쿨타임: 140초 | 3회 | |
DD-724 USS 래피. 벤슨급 구축함 DD-459 래피의 영웅적인 명성을 이어받은 구축함으로, 섬너급 래피 역시 그에 못지않게 많은 활약을 펼첬다, 특히 오키나와 해전 당시 수많은 일본군의 카미카제공격을 받고도 끝까지 살아남고 돌아온건 유명한 일화, 현재는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에서 박물관함으로 여생을 보내는중. 또한 전 세계에서 남아있는 유일한 알렌 M. 섬너급 구축함이다.
"불사함 래피"라는 별명 답게 모든 소모품이 생존 특화에 초점되어 있으며, 그 밖에 PC 버전에 전용 기믹인 점사와 토글식 연막은 게임내 한계로 인하여 점사는 추가 하지 않고[1] 토글식 연막은 무제한 연막으로 바꾸어 다른 의미로 적재적소에 사용하도록 변경하였다.
주함포는 8티어 구축함인 섬너와 동일한 5인치 38구경장 양용포를 사용한다. 장전 시간은 동일하지만 포탄의 맥뎀이 조금 떨어지는 열화점이 있어[2] 섬너에 비해 DPM이 조금 낮게 나온다. 그래도 미구축 스펙 어디 안간다고 상위권의 DPM을 선보이지만 특유의 고각포는 여전하므로 장거리 교전엔 큰 난점이 존재.
어뢰 역시 단 한가지 빼고 업그레이드 어뢰와 스펙이 동일하지만 어뢰 사거리가 12km인 섬너와 다르게 40%가 깎인 8km로 상당히 짧은 사거리의 어뢰를 사용한다. 나머지 스펙 자체는 좋지만 사거리가 잘려나간 요소는 상당히 뼈 아픈 요소로 섬너는 그래도 9~10km 짜리 레이더 선박에 뇌격을 가해도 생존 보장 거리가 널널하지만 래피는 그 갭 자체가 없어 안정적인 뇌격이 불가능 하다. 장전이 5초 정도 짧아지긴 했으나 그렇게 큰 차이가 아닌 수준이고 오히려 잘려나간 사거리의 체감이 크다 보니 주력 딜링 보다는 붙어서 대형함 저격이나 캡싸움 도중 쓰는 필살기로 사용하게 된다.
내구도는 18,500으로 8티어 평균치이지만, 후술할 소모품 덕택에 실질 내구도는 높은 편에 속한다. 속력은 36.5노트로 8티어 평균 속력에 조타 범위 620m 조타시간 3.1초로 기동 능력은 상위권. 하지만 소모품에도 언급될 엔진 가속기의 부재로 추가 기동력 확보는 오롯이 배틀 부스터나 함장 스킬로써 때울 수 밖에 없다. 피탐지는 수상 7.1km 공중 3.6km로 최대한 낮추면 5.1km까지 낮출수는 있으나 함장 세팅상 5.4km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대공은 장거리 DPS 66 사거리 5.0km 중거리 총합 DPS 112 사거리 3.5km 단거리 DPS 93 사거리 2.0km로 전형적인 평범한 구축함 대공. 후술 하지만 강력한 대공 강화가 있어 순간적으로 엄청나게 뻥튀기는 가능하지만 그렇다고 대공 존엄 스몰란드에 비비는 수준은 아니라서 굳이 대공 세팅을 찾아 할 필요는 없다.
아쉬운 무장 성능과 약간 부족한 생존 부분에 대한 보상으로 얻은건 소모품을 통한 무지막지한 생존 능력. 초당 1.5% 20초 작동하는 수리반이 2개나 있어 실질적으로 3만에 가까운 탈 구축함급 생존력을 선보여주며 함장 윌리엄 심즈로 내구도를 올린 다음 수리반 효과를 최대한 받으면 3.5만에 근접하는 튼튼함을 보여준다. 수리반 말고도 무제한적으로 쓸 수 있는 연막 역시 생존에 보태주는 강력한 소모품. 쿨타임이 120초로 엄청 짧지는 않지만. 무제한이라는 요소 하나로 타 연막에 비해 큰 이점. 아군을 잠깐 가려주어 생존을 챙긴다던지. 튀기전 연막을 깔아 생존을 보장한다던지 어떤 용도로 써도 연막은 계속 존재하므로 생존에 대한 부담은 덜한 편이다. 대공 강화는 일반적인 200% 사양이 아닌 범유럽 2차 구축함의 400%짜리 고성능 대공 강화 소모품. 사용하면 스몰란드 기본 DPM과 맞먹는 성능을 자랑하지만 실질 대공함으로 쓰기엔 기본 DPM이 낮다보니 항모가 자신을 공격할때 저항용이라 생각하면 된다. 대신 느린 속력을 보충해줄 엔진 가속기가 없어 느린 속력 그대로 활보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속력이 빠른 적 구축을 찾을때나, 아니면 적에게 도주할때 상대가 빠르다면 체감이 상당한 단점.
래피는 몆가지 중대한 결점을 아주 강력한 생존기인 수리반과 연막으로 최대한 커버하여 플레이 해야하는 난이도가 높은 구축함으로. 직접 찾아 능동적으로 적 구축함을 사냥하고 이후 뇌격으로 적 군함을 끊임없이 괴롭히는 컨셉 보다도 영국 구축함 처럼 전방에 우직하게 버티며 탐지 되더라도 좋은 생존 소모품과 근중거리에서 효율적인 무장으로 오는 군함들을 작살내는 방어형 구축함.
함장 선택시 주의할 점은 수리반. 수리반에 너무 초점 맞춘다고 윌리엄 홀시나 빈센트 모르도프 등 걸출한 미국 구축함 함장을 냅두고 윌리엄 심즈나 타카나시 호시노 같은 전함 함장을 기용하는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최대 수리반 5개를 쓸 수는 있다는 메리트는 있으나 피탐지 부분부터 피격 후 모듈 손상 문제가 너무 적나라하게 터지는지라 [3] 수리반 다 쓰기도 전에 튀지도 못하고 무장 하나도 못쓰는 관짝 신세가 되어 침몰할 것이다.
3. 순양함
3.1. 찰스턴/찰스턴M - 2티어 (무료 번들)
| | St. Louis급 순양함이다. 선체는 거대하지만 속력은 뛰어난 편이며 연사력이 뛰어난 함포를 다수 장착하였다. 추진 장치는 측면 장갑으로 보호되어 있다.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3.2. 이리 - 2티어 (컬렉션 보상)
| | Erie급 초계함은 상륙 작전 시 포격 지원부터 호워선 보호까지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다목적 군함이다. 소형함이지만, 장갑이 두껍고 무장 또한 강력하였다. 미 해군에서 처음으로 자동 대공포를 장착하였다. |
| 특성 |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PC의 1티어 순양함으로 나왔던 이리급 포함 1번함으로 2025년 연합군 영웅전 컬렉션의 최종 보상으로 2티어 프리미엄 순양함으로 나왔다.
3.3. 밀워키 - 2티어
| | 수많은 함포와 우수한 장갖을 자랑하는 St. Louis급 순양함으로 미국 예비군 및 태평양 함대에서 활약하였다.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3.4. 마블헤드/마블헤드FE - 4티어
| |
| 특성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어뢰1 | × | 초 | 7.2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00,000 | km | km | knots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3.5. 애틀랜타/애틀란타B - 6티어 (캠페인 보상, 범용경험치)
| |
| 특성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어뢰1 | × | 초 | 7.2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00,000 | km | km | knots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3.6. 플린트 - 6티어
| | 매우 강력한 양용포를 무장한 순양함 중 하나이다. 동급 순양함의 1번함과 달리 주함포 수를 줄이고 단거리 대공포를 장착하였다. |
| 특성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어뢰1 | × | 초 | 7.2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00,000 | km | km | knots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3.7. 인디애나폴리스/인디애나폴리스B - 6티어
| | 마지막으로 워싱턴 해군 조약에 따라 설계된 미 해군 순양함 중 하나이다. 이전 군함보다 장갑을 더 두껍게 설계하여 생존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무렵에는 자동 대공포를 다수 장착하여 무장을 강화하였다. |
| 특성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3.8. 보이시 - 6티어
| | Brooklyn급 경순양함이다. 연사력이 뛰어난 152mm 주함포 15문을 장착했으며 1940년대에는 자동 대공포를 다수 장착하였다.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3.9. 위치타CE - 7티어 (캠페인보상)
| |
| 특성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3.10. 위치타 - 7티어
| 파일:워쉽 레전드 위치타.png | Brooklyn급 경순양함의 구조와 배치를 그대로 이어받은 중순양함이다. 이전 함급인 New Orleans와 달리 Wichita는 주함포 포탑에 새로운 설계 방식을 적용하여 사격 정확도를 향상했다. 게다가, 더욱 두꺼운 장갑을 지녔으며 한층 진보된 양용포를 장착했다. |
| 특성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203mm Mk15 | 3×3 | 10.0초 | 30.0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15.5km | 1.8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2,600 | 14% | 34mm | |
| 철갑탄 | 4,200 | -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127mm Mk30 mod. 0 127mm Mk24 mod. 11 | 4×1 4×1 | 3.0초 6.0초 | 5.0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1,800 | 5% | 21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37,900 | 4% | 6~203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680m | 6.0s | 33.5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12.0km | 7.5km | 7.1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20mm Oerlikon Mk4 | 18×1 | 65 | 2.0km |
| 40mm Bofors Mk1 | 4×2 | 45 | 3.5km |
| 40mm Bofors Mk2 | 4×4 | 64 | 3.5km |
| 127mm Mk30 mod. 0 | 4×1 | 43 | 5.0km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5초 쿨타임: 60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3.1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4.4km | 작동: 96초 쿨타임: 180초 | 2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200% | 작동: 25초 쿨타임: 120초 | 3회 | ||
| 3번 (패드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9.0km | 작동: 30초 쿨타임: 180초 | 2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60초 쿨타임: 80초 | 4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227 | 작동: 28초 쿨타임: 60초 | 2회 | |
위치타는 제2차 세계대전에서 많은 임무를 수행한 “고독한 베테랑”이었습니다. 원래 위치타는 뉴올리언스급 순양함이 될 예정이었지만, 미 해군은 위험을 감수하기로 결정하고 뉴올리언스급 순양함의 개선된 포탑과 브루클린급 순양함의 선체를 개조했습니다. 이를 통해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었고 이후 볼티모어급 순양함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었습니다.
1939년 초 취역한 위치타는 미국이 전쟁에 참전했을 때 대서양 전선에 투입되었습니다. 그곳에서 그녀는 재앙적인 PQ17 호송에 참여하여 토치 작전 중 장 바르와 다른 프랑스 군과 결투를 벌였습니다.
그 이후인 1942년 말에서 1943년 초엔 태평양으로 이동하여 알류샨 제도에서의 작전과 핍스 전투를 지원했으며, 레이테 만 전투에서 경항모 치요다의 격침에 도움을 주었습니다. 이후 태평양 전역에서 계속 복무하며 전쟁이 끝날 때까지 함포 사격을 지원했습니다.
1939년 초 취역한 위치타는 미국이 전쟁에 참전했을 때 대서양 전선에 투입되었습니다. 그곳에서 그녀는 재앙적인 PQ17 호송에 참여하여 토치 작전 중 장 바르와 다른 프랑스 군과 결투를 벌였습니다.
그 이후인 1942년 말에서 1943년 초엔 태평양으로 이동하여 알류샨 제도에서의 작전과 핍스 전투를 지원했으며, 레이테 만 전투에서 경항모 치요다의 격침에 도움을 주었습니다. 이후 태평양 전역에서 계속 복무하며 전쟁이 끝날 때까지 함포 사격을 지원했습니다.
- [ 성능 변경 내용 펼치기 · 접기 ]
- >Wichita CE(Collector's Edition) 대비 성능 변경점
고폭탄 피해량 2,800에서 2,600으로 감소
철갑탄 피해량 4,600에서 4,200으로 감소
철갑탄 확정 도탄각 75º에서 67.5º로 감소[4]
철갑탄 신관 작동 시간 0.010ms에서 0.033ms로 증가[5]
철갑탄 관통력 11% 증가
주함포 포탄 집중도 10% 감소[6]
기존 캠페인 전용 보상이었던 Wichita가 CE(Collector's Edition) 버전으로 변경되고, 성능 및 사양을 조정하여 2022년 8월 29일 업데이트때 재출시한 함선이다.
주포는 203mm Mk15 3연장 3기 총 9문을 탑재하고 있으며, 재장전 시간 10초에 시그마 값 1.8을 가지고 있다. 복각을 거치면서 주포 사양이 대거 변경되었으며 시그마 값도 체감될 정도로 낮아졌기 때문에 원본 WichitaCE처럼 순양함들 상대로 철갑탄으로 시타델만 저격하여 순양함 철거를 전담하는 식의 플레이는 조금 힘들어졌다. 하지만 고폭탄은 피해량을 제외한 모든 매개변수가 그대로 유지되었고 빠른 주포 재장전 시간과 빠른 탄속, 높은 탄도는 변함이 없어서 미국 중순양함 특유의 섬박과 불질을 조합한 방화광 플레이엔 여전히 유리하다.
선체의 선수/선미 장갑대와 갑판 장갑이 27mm로 이루어져 있다. 그로 인해 같은 매칭풀에서 만나는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전함들이 주로 사용하는 15인치 철갑탄에 내성을 갖고 있으나 16인치 이상의 철갑탄에는 속절없이 오버매칭 되기 때문에 전함들이 사용하는 철갑탄 구경에 대한 정보 숙지가 이루어져야 전함 상대로 덜 아프게 맞아가면서 게임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다. 면적이 좁고 완전히 수면하로 내려간 시타델 덕분에 배를 완전히 깐 상태에서도 시타델이 쉽게 터지지 않는 편이고 33.5노트의 빠른 속력과 6초밖에 되지 않는 조타 시간의 조합으로 16인치 이상의 고각 저속포 철갑탄은 흘려가고 15인치 이하 철갑탄은 장갑을 이용해 도탄내며 기동전을 할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 오버매칭 내성을 이용한 탱커 플레이가 싫다면 함장 스킬과 모듈 조합으로 38노트 이상의 속도와 3초 미만의 조타 시간을 뽑아 카이팅 위주로 플레이 하기도 좋은 함선이다. 피탐지 범위는 콜라보 함장과 영감으로 최대 8.9km까지 줄일 수 있다.
대공은 1/2 볼티모어 수준으로 항공모함 리워크로 인해 함재기들의 HP가 확연히 낮아진 현재 시점으로도 개함방공조차 버겁다. 소나를 포기하고 대공강화 소모품을 사용한다고 치더라도 오라 대미지 자체가 낮기 때문에 작정하고 덤벼드는 함재기들을 떨쳐 낼 수 없는 수준. 섬박 플레이 중 항공모함이 나만 노린다 싶으면 섬을 버리고 함대 방공망 속으로 피신해야 한다.
소모품은 재사용 대기 시간이 짧은 수리반 소모품을 기본으로 하여 본인의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 소나&대공강화 중 택 1, 레이더&사출 전투기 중 택 1하여 사용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위치타는 원본이 되는 위치타 CE에 비해 많은 매개변수 변경이 적용되었지만, 미국 중순양함의 특징들이 많이 녹아있어 게임에 갓 적응한 신규 유저와 숙련 유저들이 타도 무난하게 좋은 결과를 뽑아낼 수 있는 성능을 가진 함선이다. 정규 트리인 볼티모어에 비해 성능적으로 부족한 부분이 여럿 있지만, 함장 스킬과 영감을 각각 적용할 수 있는 워쉽 레전드 특유의 함장 시스템 덕분에 사거리 증가 / 주포 재장전 속도 감소 / 주포 피해량 증가 등 주포에 집중한 공격형, 피탐지 감소 / 최대 항속 증가 등 피탐지와 기동성을 중시한 은신형 등 여러 빌드에 대한 잠재력이 매우 높고 프리미엄 함선에 추가적으로 지급되는 크레딧 팩터가 높아 앵벌이용으로도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기에 인기가 많다.
2022년 8월 29일 이후로 상점에서 상시 판매 중이며 가격은 17,500 더블룬이다.
3.11. 로체스터 - 7티어
| | Oregon City급 중순양함으로 이전 함급인 Baltimore급 군함에 비해 대공 무장 성능이 우수하며 대공 무장 배치 또한 변경 되었다. |
| 특성 |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3.12. 샌디에이고 - 7티어 (이벤트 가차 판매)
|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3.13. 콩그레스 - 7티어
| |
| 특성 |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3.14. 앵커리지 - 7티어 (캠페인 보상)
| | CA-B 기획 중순양함으로 Baltimore급 군함보다 선체 크기와 화력이 우수하였으며 어뢰 무장을 탑재하였다. |
| 특성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3.15. 털사 - 8티어(캠페인 보상)
| | Oregon City급 군함과 유사한 중순양함이지만 203mm 자동 주함포 6문을 장착한 것이 특징이다. |
| 특성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3.16. 세일럼 - 8티어 (제철소 구매)
| |
| 특성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3.17. 발레이오 - 8티어 (이벤트 가차 판매)
| | Worcester급 순양함 제작에 앞서 건조된 군함이다. 주무장으로 152mm 양용포 10문을 5개 포탑에 장착하였다. |
| 특성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152mm Mk16 | 5×2 | 6.0초 | 7.2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15.5km | 2.05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반철갑탄 | 3,500 | - | 42mm | |
| 철갑탄 | 3,200 | -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44,000 | 4% | 13 -152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740m | 6.3초 | 32.5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12.5km | 7.6km | 6.3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20mm Oerlikon Mk.20 | 12×2 | 65 | 2.0km |
| 76.2mm Mk33 | 11×2 | 307 | 5km |
| 152mm Mk16 | 5×2 | 64 | 6km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5초 쿨타임: 60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879 | 작동: 20초 쿨타임: 80초 | 2회 | |
| 3번 (패드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200% | 작동: 25초 쿨타임: 150초 | 3회 | |
| 4번 (패드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50% | 작동: 16초 쿨타임: 120초 | 2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70초 쿨타임: 80초 | 4회 | ||
우스터급 경순양함의 초기 설계안중 하나인 프로젝트 D형 기반인 가상의 순양함. 본래 월드 오브 워쉽이나 월드 오브 워쉽 블리츠에선 지속 기간이 짧지만 재장전 시간이 매우 짧은 전용 정찰기과 좋은 탄도를 이용한 장거리 폭격수 역할을 하는 순양함지만, 사거리에 큰 제약이 있고 정찰기가 사거리를 늘리는 컨셉이 아니다 보니 많은 스펙이 조정되어 다른 버전과는 사뭇 다른 성능을 보여준다. 함명은 3번함으로 내정되었던 이름이자 미국의 도시 발레이오.
주함포는 레전더리 우스터가 쓰는 6인치 연장 양용포 5기를 장착하여 총 10문을 운영한다. 우스터나 다른 미국제 6인치에 비해 탄도가 더 곧고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신 장전이 6초로 4.6초인 우스터와 다르게 소폭 느려졌다. 비단 탄도가 좋아진 걸로 느려진게 아닌, 탄종이 변경된 점도 있는데 고폭탄이 빠지고 대신 반철갑탄이 장착되었기 때문. 최대 공격력 3,500에 관통력 42mm로 쏠쏠하게 관통딜을 물어다주어 적을 괴롭히는데에 최적화 되어있으나. 대개 이런 경순류는 고속사를 통한 포탄딜 + 화재로 누적되는 딜로 말려 죽인다는걸 생각하면 발레이오는 그런 플레이 자체가 원천봉쇄가 된다는 점에서 부터 마이너스. 불로 적을 고통속에 괴롭히는건 고사하고 불만 내고 튀는 플레이가 안되고 오직 정직한 딜교환 하나로 싸워야 하다보니 난이도가 굉장히 높다. 특히 상위함종인 전함과 상대할 때는 다른 고속사 순양함들은 불로 지지며 괴롭힐때 발레이오는 온갖 똥꼬지랄쑈를 해야 겨우 비슷한 딜을 한다. 그나마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를 통해 순간적인 폭딜은 가능한지라 관통이 잘 되는 순간 상황에서 무친듯이 딜을 박고 포를 잠구는 플레이를 해야 1인분을 한다.
여기에 희망을 꺼버리는 요소는 다른 보조 무장수단 전무. 우스터급 초기안인 만큼 부포도 없고, 심지어 어뢰도 없어 순간 딜링 폭발력은 단연코 꽝이라 볼 수 있다.
내구도는 44,000으로 경순양함 치고는 꽤나 높은 편이다. 다만 수선하라 시타델이 제대로 안털리는 미국 정규 경순양함과 다르게 수선상이라 속절없이 털리는 구조라서 피탄 부분에서는 열세. 수리반이 좋긴 하지만 내탄성이 낮은 편이라 이런 요소를 살리기가 힘든편 심지어 어뢰 내탄성도 방뢰 수치 4%라는 매우 괴멸적인 수치인지라 어뢰 한발만 맞아도 용골이 박살날 고통인지라 언제나 모든것은 피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플레이 해야한다. 피탐지는 수상 12.5km 공중 7.6km로 최대한 낮추면 9.0km로 좋은 편이나 후술할 유틸성 문제로 인해 굳이 크게 깎을 필요가 없다 보니 평균적으로 10km대 피탐을 보여준다.
대공은 장거리 DPS 64 사거리 6km, 중거리 DPS 총합 307 사거리 5km, 단거리 DPS 65 사거리 2km 으로 우스터의 열화판 대공 그 자체. 구성은 같지만 초기안이다 보니 대공포 및 함포 수량이 조금 적은것이 고증되어 사라진 분량만큼 약하다. 7티어 항모도 만나는 특성상 대공의 사신 그 자체.
소모품적으로는 유틸로 팀을 먹여 살리는 미순의 특징이 아예 증발하고 오로지 자기 자신만을 위한 소모품만 남았다. 수리반은 영국제 2% 수리반으로 변경되어 회복 능력치가 월등히 좋은 편이지만, 문제는 후술할 빈약한 장갑 구조로 인한 낮은 내탄성으로 인해 실제 회복 효율을 보여주기 굉장히 어려운 편. 대공 강화는 평범하고, 주력 수단인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와 사출 전투기가 있는데, 둘다 같은 슬롯이라 투기는 버려지고 대개 주함포 장전기만 사용된다. 유틸로 평가받는 레이더와 소나가 일체 없다 보니 능동적인 구축 사냥은 커녕 소나 부재로 인해 치명적인 어뢰 피하는데에도 굉장히 빠듯하다.
종합적으로 보면 난이도가 엄청나게 높은 순양함. 반철갑탄과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를 통한 높은 순간 딜링 잠재력은 있지만. 장갑과 피탄 내성 부분. 소모품 구성의 불리함으로 인해 아군 의존도가 너무나 높은 순양함이다. 철저히 아군과 협력하며 라인을 굳히거나, 아니면 섬끼고 반철갑만 깨작거리다 끝나는 경우가 많은데다 주도적으로 뭘 하려 해도 피탐되어 찍히면 순식간에 격침. 안하고 뒤에 있으면 패배에 기여하다 보니 결국 이도저도 못하는 애매한 경순양함. 잘 타면 순간 폭딜과 이후 지속딜링으로 모든 군함을 괴롭히는데 최적화 되지만, 그 잘타는 수순에는 다가가기가 굉장히 어렵다.
4. 전함
4.1. 아칸소/아칸소FE - 3티어
|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부함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4.2. 사우스 캐롤라이나 - 3티어 (이벤트 보상)
| |
| 특성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부함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4.3. 텍사스 - 4티어
| | 미 해군 최초의 슈퍼 드레드노트급 군함이다. 대규모 개조 작업을 거쳐 어뢰 방호 능력과 측면 장갑을 강화했으며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강력한 대공포 무장을 장착했다. |
| 특성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부함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4.4. 오클라호마 - 4티어 (설계국 최종 보상)
|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부함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4.5. 애리조나 - 5티어
| | 전통적인 방식으로 설계된 미 해군 전함이다. 선수에는 포탑 두 개, 선미에 포탑 두개를 각 각 장착했으며 "전부 아니면 전무"라는 개념에 따라 원거리 함포 교전에 집중하여 장갑을 설계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된 후 어뢰 방호 능력이 강화되었지만, 그에 다라 기동력이 조금 감소하였다. |
| 특성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부함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4.6. 캘리포니아 - 5티어 (설계국 최종 보상)
|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부함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4.7. 웨스트버지니아 - 5티어
| | Colorado급 전함 중 하나이다. 속도가 느리며 406mm 주함포를 장착하였다. "전부 아니면 전무"라는 개념에 따라 군함의 중요 부분 장갑을 최대한 두껍게 설계하였다. |
| 특성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부함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4.8. 레비아탄 - 6티어
| |
| 특성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부함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4.9. 플로리다 - 6티어
|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부함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4.10. 웨스트버지니아 44년형 - 6티어
| | 느린 속력, 16인치(406mm) 주함포, 모 아니면 도식 접근법으로 군함의 가장 중요한 부분에만 방호력을 극대화한 장갑을 자랑하는 Colorado급 전함이다. 이 버전은 인양한 후 대대적인 수리와 개조를 거쳐 방어와 무장을 강화한 West Virginia이다. |
| 특성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부함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4.11. 앨라배마 - 7티어 (범용경험치)
| | South Dakota급 전함 중 하나이다. 매우 강력한 대공 방어 체계와 정밀한 수색 시스템을 갖추었다. 내부 주 장갑 벨트, 단단한 측면 장갑 등 강갑이 합리적으로 배치되었다. |
| 특성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부함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4.12. 매사추세츠/매사추세츠B - 7티어 (캠페인 보상, 범용경험치)
| |
| 특성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부함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4.13. 미주리 - 7티어 (제철소 구매)
| |
| 특성 |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부함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4.14. 조지아/조지아W - 7티어 (캠페인 보상)
| | 이전 Iowa급 군함을 계승한 "고속 전함" 기획으로 제작되었다. 주무장은 457mm 함포를 사용하였으며 구한 기획과 동시에 개발된 2연장 포탑에 배치하였다. |
| 특성 |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일반 | × | 초 | 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km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철갑탄 | 00,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부함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4.15. 컨스텔레이션/컨스텔레이션 W - 7티어
| | 제1차 세계대전 이후 1916년 해군벚에 따라 제작된 Lexington급 순양전함으로 당시 가장 거대하고 빠른 군함 중 하나였다. |
| 특성 |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 406mm Mk5 | 4×2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
| 철갑탄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부함포1 | × | 초 | 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0,000 | % | mm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00,000 | % | 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m | 초 | knots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 | km | ||
| × | km | ||
| × | km | ||
| × | km |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부함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초 쿨타임: 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어뢰 장전기 |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n초로 변경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 회 | ||
| 3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km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II | 부함포 포탄 집중도 +50% 부함포 분산도 -25% 부함포 재장전 시간 -25%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4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 | 작동: 초 쿨타임: 초 | 회 | ||
4.16. 위스콘신 - 8티어 (캠페인 보상)
| | Wisconsin은 lowa급 고속 전함이자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마지막에 취역한 전함이었다. |
| 특성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 406mm Mk7 | 3×3 | 36초 | 45초 | 17.4km | 2.0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5,700 | 36% | 67mm | ||
| 철갑탄 | 13000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127mm Mk32 | 10×2 | 6초 | 5km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1,800 | 5% | 21mm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75,500 | 40% | 6~439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920m | 17.2초 | 32.5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15.8km | 12.7km | 15.3km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20mm Oerlikon Mk20 | 49×1 | 176 | 2.0km |
| 40mm Bofors Mk2 | 20×4 | 318 | 3.5km |
| 127mm Mk32 | 10×2 | 151 | 5.0km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함포 통제 강화 장치 2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주함포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시간 | 사용 횟수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20초 쿨타임: 80초 | 무제한 | |
| 2번 (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498 | 작동: 28초 쿨타임: 80초 | 3회 | |
| 3번 (패드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60초 쿨타임: 80초 | 4회 |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10% | 작동: 40초 쿨타임: 200초 | 4회 |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작동: 30초 쿨타임: 160초 | 3회 | ||
| 4번 (패드 ↓)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65% | 작동: 20초 쿨타임: 180초 | 무제한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200% | 작동: 25초 쿨타임: 120초 | 4회 | ||
아이오와급 전함 4번함 BB-64 USS 위스콘신, 다른 자매함들 처럼 제2차 세계 대전 부터 6.25 전쟁, 걸프전까지 전부 참전한 그야말로 노익장, 현재는 버지니아주 노퍽에 박물관함으로 정박해 있다. 6.25전쟁 당시 북한군 152mm 해안포에 우현에 4발을 맞고 3명이 부상을 입는 상황이 발생하자 16인치 주함포 9문을 그 해안포에 발사해 콩가루로 만든 전적이 있다, 직후 근처에 가던 알렌 M. 섬너급 구축함 DD-761 USS 벅에게 성질좀 죽여라!(Temper, Temper)라는 조명메시지를 받은 일화가 존재한다.
PC버전이나 쉽블에서는 뛰어난 주함포 성능과 전투태세를 통해 순간 화력 투사 능력을 키우는 전함으로 있지만, 레전드에선 전투태세가 나오기 힘들다 보니 대체제로 무제한 장전 부스터를 가진, 컨셉 자체는 DPM 싸움꾼인 점은 동일하다
주함포는 16인치 Mk.7 3연장 3기를 운용해 총 9문을 사용한다. 전형적인 미국 16인치이지만 여러 큰 변경점이 있는데, 철갑탄 공격력이 13,000으로 낮아졌지만 대신 포탄 항력값 수치가 좋아져 탄낙각이 좋아졌다는 것과, 집탄은 대순 분산식에 시그마 2.0으로 상위권의 집탄을 보여주나 장전 시간은 36초로 전함중 가장 하위권으로 내려왔다. 집탄이 아무것도 장착 안한 기본 상태로도 우수하다 보니 미전 전용 집탄큅 없이 집탄에 관여되는 스킬 한두개만 있어도 상당한 집탄을 보여주며, 탄낙차도 우수하다 보니 장거리 포격전에서도 상당한 월등한 능력치를 보여준다. 철갑탄 공격력이 낮아지는건 애교이지만 장전 시간이 36초로 엄청나게 느려지는건 뼈아픈 열화점인데 이걸 해결해 주는것은 전용 무제한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65% 감소에 무제한이라 언제나 부담없이 갈길 수 있다는것이 초월적인 장점이며 기본 36초에 사용 시 12초로 줄어들고, 장전을 최대한 줄여 24초까지 줄이면 가속기 사용시 무려 8초(...)라는 순양함이 포탄 툭툭 던지듯 전함포를 쏴제끼는것이 가능하다는 말. 집탄마저 훌륭하니 측면을 깐 게 누군지언정 빠르게 용궁행 익스프레스 티켓을 끊어주는 막강한 순간 딜링 능력을 자랑한다. 부포는 평범한 미국 사골 부포.
함체 부분은 내구도가 75,500으로 8티어 전함 평균치 정도이고 장갑 구조는 아이오와 계열들과 완전 동일하지만, 방뢰가 40%로 동형함 계열중 가장 높은 방뢰 수치를 가져 어뢰 한두발, 항공어뢰같이 약한 어뢰는 네댓발은 맞아줘도 감당이 가능한 높은 수치를 자랑한다. 최고 속력은 32.5노트로 33노트인 아이오와보다는 소폭 느리지만 큰 차이는 없으며 조타 범위 920m에 조타시간 17.2초로 전형적인 전함의 기동성
대공은 장거리 DPS 151 사거리 5.0km, 중거리 DPS 318 사거리 3.5km, 단거리 DPS 176 사거리 2.0km로 메인과 동일한 성능을 보여준다, 대공강화까지 있어 항모에 대한 저항력을 키울 수 있으나 문제는 그 위치가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인지라.....
소모품은 피해 복구반과 수리반 성능은 전형적인 미전 소모품이며 전투기와 부함포 조준 강화는 일반적인 성능이지만 관측기만 지속 기간이 40초인 조금 특별한 버전. 4번 슬롯에 주력기인 무제한 -65%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와 일반적인 대공 강화가 있다.
종합하면 지속 화력면에서 다소 밀리는 화력을 순간 부스팅 화력으로 이겨내는 식의 플레이를 지향해야하는 전함. 다만 기존 그런 컨셉 전함들이 분산도에 대한 아쉬움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는 걸 생각하면 장전과 철갑데미지를 대가로 대순 분산/시그마 2.0이라는 최강 집탄과 좋은 탄속을 받아간 위스콘신은 그 고점을 뽑기엔 어렵지 않은편에 속한다. 적절한 운영 스타일만 겸비하면 높은 딜량과 팀의 승률에 높은 기여를 해주는 고성능 전함.
5. 항공모함
5.1. 인디펜던스 - 5티어
| | Cleveland급 순양함을 기반으로 건조된 경항공모함이다. 장갑이 두껍고 속력이 빠르며 대공포를 다수 장착하였다. 배수량이 적어 격납고 수용력이 제한되었다. |
| 특성 | |||
| |||
| 뇌격기 | ||||
| 명칭 | Grumman TBF Avenger | |||
| 기체 | 내구도 | 최고 속력 | 피탐지 | 항속 거리 |
| 1,700 | 153노트 | 8.5km | 29.0km | |
| 공격 규모 | 편대 내 함재기 | 최대 격납수 | 정비시간/정비 대수 | |
| 2대 | 8대 | 16대 | 82초 / 2대 | |
| 무장 |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사거리 | 어뢰 속력 | 적재량 | |
| 7,200 | 3.5km | 49노트 | 1발 | |
| 급강하 폭격기 | |||||||||
| 명칭 | SB2C Helldiver | ||||||||
| 기체 | 내구도 | 최고 속력 | 피탐지 | 항속 거리 | |||||
| 1,850 | 165노트 | 8.5km | 32.0km | ||||||
| 공격 규모 | 편대 내 함재기 | 최대 격납수 | 정비시간/정비 대수 | ||||||
| 3대 | 9대 | 18대 | 88초 / 3대 | ||||||
| 무장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폭탄 탄종 | 적재량 | 폭탄 최대 공격력 | 폭탄 관통력 | 화재 유발 확률 | |||
| 고폭탄 | 2발 | 5,900 | 42mm | 32%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39,900 | 0% | 6~127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820m | 11.4s | 31.5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12.5km | 8.7km | ×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20 MM Oerlikon Mk4 | 14×1 | 50 | 2.0km |
| 40 MM Bofors Mk1 | 9×2 | 102 | 3.5km |
| 40 MM Bofors Mk2 | 2×4 | 32 | 3.5km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부함포 강화 장치 1 비행 관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편대 강화 장치 2 |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편대 강화 장치 3 비행 관제 강화 장치 2 |
| 소모품 | ||||||
| 대상 | 슬롯 위치 | 명칭 | 효과 | 시간 | 사용 횟수 | |
| 모함 | 자동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60초 쿨타임 90초 | 무제한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150초 쿨타임 40초 | 4회 | |||
| 함재기 | 2번 (패드 ↑) | 순찰 전투기 | 지역을 순찰하며 자동으로 적 항공기를 요격하는 전투기 편대 호출 | 작동 60초 쿨타임 10초 | 3회 | |
인디펜던스급 경항공모함 1번함으로 클리블랜드급 경순양함의 선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고속 경항공모함이다.
캠페인 쉽으로 선택가능했으며 현재 구매는 불가능한 상태다.
경항모 특징상 부포가 없고 단거리 대공포만 있기때문에 근처에 적함이나 적 항공기가 침투하면 매우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급강하 폭격기는 7티어의 강화 폭격기인 헬다이버를 사용하며 뇌격기는 7티어의 기본 뇌격기인 TBF 어벤저를 사용하지만 티어에 맞게 사양이 살짝 조절되어 있다.
급강하 폭격기는 9대 편대에 3대씩 공격하며 폭탄은 2개씩 투하한다. 정비는 3대씩 정비된다. 고폭탄 관통력은 42.7mm에서 53.4mm로 늘어났다.
뇌격기는 8대 편대에 2대씩 공격하며 어뢰는 1발씩 투하한다. 정비는 2대씩 정비된다.
함재기 정비시간이 매우 짧다는 장점이 있어서 경항모임에도 함재기 관리에는 어려움이 없는 편이다. 대신 윗 티어의 함재기들임에도 함재기 체력은 거의 5티어급으로 낮아져있다.
2024년 9월 업데이트에서 급강하 폭격기 최대 항속거리와 최대 폭탄 피해량 및 어뢰 조준 시간이 버프받았다.
5.2. 사이판 - 7티어(설계국)
| | Baltimore급 순양함을 바탕으로 건조된 고속 경항공모함이다. 선체는 작았지만, 강력한 비행 편대를 탑재하였으며 대공포를 다수 장착하였다. 선체가 더 큰 다른 공격 항공모함보다도 뛰어난 장갑을 자랑한다. |
| 특성 | |||
| |||
| 뇌격기 | ||||
| 명칭 | SB2C Helldiver | |||
| 기체 | 내구도 | 최고 속력 | 피탐지 | 항속 거리 |
| 2,900 | 166노트 | 8.0km | 31.0km | |
| 공격 규모 | 편대 내 함재기 | 최대 격납수 | 정비시간/정비 대수 | |
| 2대 | 6대 | 12대 | 155초 / 3대 | |
| 무장 |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사거리 | 어뢰 속력 | 적재량 | |
| 5,333 | 3.5km | 46노트 | 2발 | |
| 급강하 폭격기 | |||||||||
| 명칭 | SB2C Helldiver | ||||||||
| 기체 | 내구도 | 최고 속력 | 피탐지 | 항속 거리 | |||||
| 2,900 | 171노트 | 8.0km | 33.0km | ||||||
| 공격 규모 | 편대 내 함재기 | 최대 격납수 | 정비시간/정비 대수 | ||||||
| 2대 | 6대 | 12대 | 140초 / 3대 | ||||||
| 무장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폭탄 탄종 | 적재량 | 폭탄 최대 공격력 | 폭탄 관통력 | 화재 유발 확률 | |||
| 고폭탄 | 3발 | 6,500 | 53mm | 33%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47,900 | 0% | 6~152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920m | 15.9s | 33.0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13.8km | 9.6km | ×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20 MM Oerlikon Mk20 | 15×2 | 92 | 2.0km |
| 40 MM Bofors Mk1 | 10×2 | 113 | 3.5km |
| 40 MM Bofors Mk2 | 5×4 | 79 | 3.5km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비행 관제 강화 장치 1 편대 강화 장치 1 | 대공포 강화 장치 2 편대 강화 장치 2 |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대공포 강화 장치 3 편대 강화 장치 3 비행 관제 강화 장치 2 |
| 소모품 | ||||||
| 대상 | 슬롯 위치 | 명칭 | 효과 | 시간 | 사용 횟수 | |
| 모함 | 자동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60초 쿨타임 90초 | 무제한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150초 쿨타임 40초 | 4회 | |||
| 함재기 | 2번 (패드 ↑) | 순찰 전투기 | 지역을 순찰하며 자동으로 적 항공기를 요격하는 전투기 편대 호출 | 작동 60초 쿨타임 10초 | 3회 | |
| 3번 (패드 →) | 회피 기동 | 활성화 시간동안 함재기 편대가 받는 피해량이 50% 감소 | 작동 10초 쿨타임 150초 | 2회 | ||
미해군의 두번째 경항공모함 시리즈인 사이판급의 1번함인 사이판이다. 출시는 2022년 4월 업데이트로 카가에 이어서 2번째로 설계국에서 건조 가능한 7티어 항공모함으로 공개되었다. 프로젝트는 무료이며 진행에 특별한 제한 서헝은 없다. 사이판급은 기존에 시도한 순양함 선체를 이용한 고속 경항공모함인 인디펜던스급이 성공적이자 좀더 대형인 볼티모어급의 선체를 이용한 항공모함으로 급하게 개조한 인디펜던스급과는 달리 제대로 설계해서 만들었기 때문에 꽤나 쓸만한 항공모함이 되었으나 문제는 취역이 전후인 46년으로 결국 2번함까지만 건조하고 나머지는 취소되었다. 이후 70년대까지 통신중계함으로 이름까지 알링턴으로 바꿔서 활동했고 1980년에서야 퇴역했다.
방어력도 약한 경항모가 부포도 없고 대공도 조금 부실한 편으로 자함 방어가 거의 불가능하며 특히 항적항에 매우 취약하므로 위치 선정이 특히나 중요하다.
뇌격기와 폭격기 모두 정규트리와 동일한 헬다이버를 사용하지만 고폭탄 피해량은 좀더 놓게, 어뢰 피해량은 좀더 낮게 설정되어 있으며 고폭탄은 대당 3발씩, 어뢰는 대당 2발씩 투하한다. 따라서 한 편대당 공격력은 정규트리의 렉싱턴과 유사하지만 뇌격기는 한번에 투하하는 갯수가 많아서 좀더 유리하다.
2025년 설날 이벤트로 삼장 스킨이 발매되었다.
5.3. 엔터프라이즈 - 7티어(캠페인 보상)
| | Yorktown급 항공모함 2번함 USS Enterprise는 마셜 제도, 둘리틀 공습, 미드웨이 해전, 산타크루즈 제도, 과달카날에서 공습에 참여했다. 총점검 이후에는 알루샨 열도 전역을 제외한 거의 모든 태평양 전역에 참여했다. 필리핀해 해전과 레이테 만 해전에도 참여했다. 또한 이오지마와 오키나와 상륙 작전에서 항공 지원도 했다. 복무 기간 성장을 20개나 수여하였으며 이에 따라 전쟁에서 가장 많은 훈장을 받은 미 해군 전투함 자리에 올랐다. |
| 특성 | |||
| |||
| 부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 127mm Mk24 | 8×1 | 6.0초 | 5.0km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1,800 | 5% | 21mm | }}} | |||
| 뇌격기 | ||||
| 명칭 | TBF Avenger | |||
| 기체 | 내구도 | 최고 속력 | 피탐지 | 항속 거리 |
| 2,600 | 161노트 | 8.0km | 36.0km | |
| 공격 규모 | 편대 내 함재기 | 최대 격납수 | 정비시간/정비 대수 | |
| 3대 | 9대 | 18대 | 32초 / 1대 | |
| 무장 |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사거리 | 어뢰 속력 | 적재량 | |
| 6,850 | 3.5km | 44노트 | 1발 | |
| 급강하 폭격기 | |||||||||
| 명칭 | SB2C Helldiver | ||||||||
| 기체 | 내구도 | 최고 속력 | 피탐지 | 항속 거리 | |||||
| 2,800 | 163노트 | 8.0km | 38.0km | ||||||
| 공격 규모 | 편대 내 함재기 | 최대 격납수 | 정비시간/정비 대수 | ||||||
| 3대 | 9대 | 18대 | 34초 / 1대 | ||||||
| 무장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폭탄 탄종 | 적재량 | 폭탄 최대 공격력 | 폭탄 관통력 | 화재 유발 확률 | |||
| 철갑탄 | 3발 | 3,350 | 235mm | × | }}}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51,600 | 28% | 13~102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1,070m | 13.1s | 32.5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14.1km | 9.9km | × |
| 대공포 | |||
| 명칭 | 수량 | DPS | 사거리 |
| 20 MM Oerlikon Mk4 | 50×1 | 180 | 2.0km |
| 40 MM Bofors Mk1 | 8×2 | 90 | 3.5km |
| 40 MM Bofors Mk2 | 6×4 | 95 | 3.5km |
| 127mm Mk24 | 8×1 | 64 | 5.0km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부함포 강화 장치 1 비행 관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편대 강화 장치 2 |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편대 강화 장치 3 비행 관제 강화 장치 2 |
| 소모품 | ||||||
| 대상 | 슬롯 위치 | 명칭 | 효과 | 시간 | 사용 횟수 | |
| 모함 | 자동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작동 60초 쿨타임 90초 | 무제한 |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작동 150초 쿨타임 40초 | 4회 | |||
| 함재기 | 2번 (패드 ↑) | 순찰 전투기 | 지역을 순찰하며 자동으로 적 항공기를 요격하는 전투기 편대 호출 | 작동 60초 쿨타임 10초 | 3회 | |
| 3번 (패드 →) | 회피 기동 | 활성화 시간동안 함재기 편대가 받는 피해량이 50% 감소 | 작동 10초 쿨타임 150초 | 2회 | ||
요크타운급 항공모함 2번함 CV-6 엔터프라이즈. 개전 초기부터 종전까지. 수많은 전장을 거닐고 다니며 회색 유령(Gray Ghost)나 Big E로 불리우며 칭송받는 전설중의 전설 그 자체의 항공모함. 이 이름은 이후 최초의 핵추진 항모와 세계 최대 항공모함의 3번함의 이름으로 물려가는 중. 2024년 7월 캠페인 최종 보상으로 추가되었다.
렉싱턴보다는 체력이 다소 낮지만, 피탐지가 더 좋고 기동 부분에서 조금 더 우위를 가진다. 장갑화 부분은 덜한 편이지만. 수많은 폭격을 맞고도 버틴 함체를 고증한 덕택에 철폭에 대한 내성이 꽤나 되는 편. 저공 폭격기 역시 어느정도 방호되는 부위가 꽤 되서 의외로 잘 버티는 편이다.
전투기 소모품이 상당히 강력한데, 5대 1편대가 호출되는것이 아닌 7대 1편대가 호출되어서 엥간한 항모의 1편대 분량은 우습게 찢어버리는 고성능을 자랑한다. 적재 적소에 깔아주기만 한다면 오는 함재기들을 족족 갈아 마시므로 틈틈히 적 항모의 경로에 깔아두는걸 추천.
뇌격기는 9대가 1개 편대를 구성하여 다니고. 정비는 1대씩 32초간 진행되며 최대 18대씩 격납 할 수 있다. 1기당 어뢰 1발을 투하하며 3대가 공격에 투입해 한번에 3발을 투하한다. 어뢰 공격력이 근 7천대로 높지만 어뢰 속력이 44노트로 느리다는게 흠. 항속거리도 36km로 상당히 길고 내구도나 최고 속력도 큰 결점은 없어 어뢰 항속에만 익숙해진다면 강력한 면모를 자랑한다. 설령 큰 피해를 입어도 빠른 정비 시간 덕택에 금방 채워지는 건 덤
폭격기는 9대가 1기 편대를 구성하여 다니고, 정비는 1대씩 34초 진행되며 최대 18대를 격납할 수 있다. 1기당 폭탄 3발을 투하하며 3대가 공격에 투입해 한번에 9발을 투하한다. 미국 항모중 유일하게 고폭탄이 아닌 철갑탄을 사용하며, 9발 전부 시타델로 들어갈 경우 최대 3만의 기대값이 나온다. 하지만 철갑 폭탄의 공격력도 낮은 편인데다 관통 효율이 막 좋은편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1만 전후 정도. 낮은 폭탄 성능을 많은 투발량으로 보완하는 형태이므로 최대한 많이 맞추는 것이 관건. 항속 거리가 38km에 항속도 나쁘지 않은 탈 7티어급 스펙을 선보여준다.
기본 스펙이 상당히 좋지만. 직접 타보면 아쉬운게 하나둘씩 있는데다 불협화음으로 인해 난이도가 꽤 있는 편으로. 이를 적절히 조합해가며 강력한 성능을 낼 수 있는 고점을 찾는것이 관건인 항공모함. 특히 독일 항모처럼 구축 견제를 뇌격기로 해야하는데 어뢰 속력이 아쉬운 편이라 구축 견제 난이도가 있는 편이다. 이 것만 익숙해지면 전설의 이름에 먹칠하지 않는 좋은 면모를 보여준다.
[1] 적치탄으로 변경 될 경우 순간 화력은 높겠지만 이후 현자 타이밍 길다는 단점 때문에 높은 DPM이라는 래피의 장점을 살릴 수 없다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2] 정확히 말하면 PC 버전의 5인치 포탄 스펙. 미국 5인치 부포와 같은 스펙이며 레전드에선 5인치 스펙이 살짝 더 좋게 조정되어있다.[3] 구축함의 절대 전설 스킬 "저지 불가"(엔진 및 조타 장치가 고장나도 제한적 기동 가능, 적이 근거리에 있을 경우 피해 복구반 쿨타임 -50%) 자체를 봉인하는것이 너무 큰 디메리트이다.[4] 기존 영국 경순양함의 60-75º 도탄각에서 미국 중순양함의 60-67.5º 도탄각으로 변경[5] 기존 미국 경순양함의 신관에서 미국 중순양함의 신관으로 변경[6] 시그마 2.0에서 1.8로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