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31 00:25:45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범아시아 테크 트리/순양함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 테크트리
{{{#!folding [ 보기 · 닫기 ]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하켄크로이츠 철십자.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범아시아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범유럽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기타 {{{#!wiki style="margin: -16px -11px;" 기타 국가 프리미엄 기타 국가 레전더리 컬래버레이션 함선 이벤트 함선 }}}
회색 배경 : 미출시 트리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작성 양식
}}} ||



1. 개요2. 함선
2.1. 시안 - 1티어2.2. 충칭 - 4티어2.3. 라흐마트 - 5티어2.4. 춤폰 - 6티어2.5. 하얼빈 - 7티어2.6. 세종 - 8티어

1. 개요

구축 순양함
범아시아 순양함은 뛰어난 어뢰 무장과 높은 연사력의 소구경 주함포로 구축함 계통도의 뒤를 따릅니다. 이 군함은 어뢰로 큰 군함을 공략하고 빗발치는 포탄으로 화재를 유발하는 데 최고의 성능을 발휘합니다.
* ▲ 장점
- 재사용 시간이 짧은 연막 생성기 소모품
- 강력한 심도 어뢰
- 6단계부터 어뢰 재장전 가속기 소모품 사용 가능
* ▼ 단점
- 작은 주함포 구경
- 약한 방호력 및 내구도
- 어뢰로 구축함 타격 불가능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에 등장하는 범아시아(Pan Asian) 순양함 일람. 추가 초기에는 순양함 트리 구축보다는 구축함 트리로 가기위한 시작점 성향이 강했으나, 2023년 2월 업데이트로 범아시아 순양함 테크트리가 확정되어 정규 트리가 생겼다.

각국 해군이 건조한 선박보다는 미국, 영국, 소련 선박을 공여받아 운용했다는 설정이 기마된 가상의 선박으로 구성되어있다. 저티어들은 실존 설계안이나 실제로 공여 국가가 다르거나 공여 계획 조차 없었던 선박이라 전부 가상의 설정이라 봐도 무방하다. 그나마 고증에 맞는 선박이라곤 4티어 충칭이 끝.

특징은 순양함중 가장 부실한 생존력, 뛰어난 연막 소모품과 대형함 상대로 파괴적인 어뢰 화력, 고티어 함종은 차발 소모품으로 화력 극대화 가능, 구축함과 동일한 저구경 함포를 다수 운영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4티어 충칭만 6인치(152mm)함포를 운영하고, 이후 선박들은 127mm~134mm의 소구경 속사포만 운영한다. 연사력과 투사 능력은 이론상 최강이나 구경의 한계가 크다 보니 사용에 애로사항이 꽤나 많은 편. 대신 전부 양용포라서 트리중 대공 최상위권에 속하게 만들어주는 그리 나쁜 요소는 아니다.

어뢰는 모든 선박이 구축함 트리처럼 심해 어뢰만을 사용한다. 피탐지 거리도 짧고, 데미지도 높고 긴 사거리에 빠른 속력을 갖췄으나 구축함 명중 불가능이 매우 큰 단점으로. 구축함 견제를 위한 무차별 살포도 통하지 않다 보니 해당 라인에 구축함 한대라도 있으면 어뢰의 효율이 팍 줄어버린다는게 큰 결점.

장갑은 거의 없는 수준에 낮은 체력, 없는 방뢰까지 합쳐서 모든 공격에 취약하다. 한번 들키고 모든 함포와 어뢰, 함재기 공격이 동원되면 콩가루가 되고도 남는 수준, 대신 그 생존력을 보충해주는 요소로 좋은 피탐지 범위와 소모품으로 연막 소모품이 있다, 하지만 탐지 수단인 레이더와 소나 둘다 부재인지라 구축함에게 무조건 피탐 당하고, 연막을 깔아도 구축이 연막 깐 자리에 어뢰를 밀어 넣으면 꼼짝없이 맞거나 피하는 상황이 연출된다. 다만 반대로 구축함 없이 전함과 순양함으로 이루어진 매칭에선 달라지는데, 안맞는 구축함이 사라지고 자신의 피탐지를 활용아여 구축함 역할을 행세 할 수 있다, 특히 심해 어뢰의 파괴력으로 라인 작살내기 딱 좋기도 하고.

2. 함선

2.1. 시안 - 1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시안.png 동시대 군함 중 속력이 빠른 편이었던 경순양함이지만 무장과 장갑이 좋지 않았다. 정찰함과 구축함 소함대 지휘함으로 운용 할 수 있었다. 미 해군에서 터빈 추진 장치를 처음으로 장착하였으며 오랫동안 터빈 추진 장치를 장착한 미 해군의 유일한 순양함이었다.
특성

파일:특성 재장전 전문가.png
재장전 전문가
[설명 보기]
해당 군함은 주함포 재장전 시간이 짧습니다.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사거리 시그마
152mm/50 Mk5 6×1 7초 22.5초 9.7km 2.0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2,100 7% 25mm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12,000 0% 6 - 38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460m 4.6초 22knot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8.7km 5.3km 3.8km
대공포 수량 DPS 사거리
76mm Mk10 1×1 2 3km
소모품
명칭 효과 작동 시간 쿨타임 사용 횟수 슬롯 위치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5초 60초 무제한 1번(패드 ←)

중화민국 해군의 체스터급 경순양함 시안, 본래 타 버전에선 일본해군의 포함이던 하시다테급중 한척이 중화민국 해군에 배상함으로 넘긴 쳉 안이 있었으나 쳉 안이 잘리고 대신 가상의 설정으로 공여받은 체스터급 정찰순양함함으로 출현.

별거 없는 1티어 선박. 미국에서 잘린 대신 범아시아로 넘어갔다는 특이점 외엔 없다.

2.2. 충칭 - 4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충칭.png Chungking은 영국에서 건조된 경순양함으로 작전 투입 시 구축함 사냥에 특화되도록 개발되었습니다. 해당 군함은 1948년에 동양 국가에 이양되었습니다.
특성

파일:특성 은폐.png
은폐
[설명 보기]
해당 군함은 피탐지율이 준수하여 탐지되지 않은 상태로 적에게 더 가까이 접근할 수 있습니다.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사거리 시그마
152mm/50 BL Mk.XXI 3×2 10.5초 25.7초 13.2km 2.0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2,100 9% 25mm
철갑탄 3,100 -
부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사거리
102mm/45 QF Mk.XIX 4×2 3초 4.3km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1,500 6% 17mm
어뢰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533mm TR Mk IV 2×3 110초 7.2초
어뢰 최대 공격력 어뢰 대함 피탐지 사거리 속력
16,867 0.8km 9.5km 61knot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22,600 0% 6 - 76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570m 6.4초 32.3knot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10.5km 6.6km 5.5km
대공포 수량 DPS 사거리
20mm Oerlikon Mk4 2×1 7 2.0km
20mm Oerlikon Mk.V 3×2 18 2.0km
40mm Vickers 2-PDR. Mk.VII 2×4 28 2.5km
102mm/45 QF Mk.XIX 4×2 38 5.0km
강화 장치
1번 슬롯 2번 슬롯 3번 슬롯 4번 슬롯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x x x
소모품
명칭 효과 작동 시간 쿨타임 사용 횟수 슬롯 위치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5초 60초 무제한 1번(패드 ←)
연막 생성기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지속: 30초
분산: 70초
130초 3회 2번(패드 ↑)

중화민국 해군아레투사급 경순양함매각함 충칭, 원래는 영국 해군의 HMS 오로라호였으나, 중화민국이 해당 선박을 구입하여 충칭으로 개명, 그러다 국공내전때 공산당군에 투항하여 소속을 변경, 이후 선박명을 황허, 베이징, 광저우로 바꿔가면서 활약한다. 이미 발표된 5티어 프리미엄 순양함인 황허와 동일한 함선이며 범아시아 정규 트리 순양함중에선 유일하게 완전한 실존함. 함명의 유래는 중국의 충칭시

2.3. 라흐마트 - 5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라흐마트.png 양용포 무장을 장착한 영국의 Dido급 경순양함으로 적 구축함 및 항공기 공격으로부터 편대와 호송대를 호위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특성

파일:특성 은폐.png
은폐
[설명 보기]
해당 군함은 피탐지율이 준수하여 탐지되지 않은 상태로 적에게 더 가까이 접근할 수 있습니다.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사거리 시그마
133mm/50 QF Mk.II 5×2 7.5초 18초 14km 2.0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1,900 8% 22mm
철갑탄 2,550 -
어뢰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533mm TR Mk IV 2×3 75초 7.2초
어뢰 최대 공격력 어뢰 대함 피탐지 사거리 속력
16,867 0.8km 9.5km 61knot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23,600 7% 10 - 76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580m 6.5초 32.3knot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11.1km 7km 5.5km
대공포 수량 DPS 사거리
20mm Oerlikon Mk4 5×1 18 2.0km
40mm/56 OQF Mk.VII 4×1 35 3.5km
40mm Bofors Mk IV 2×2 45 3.5km
133mm/50 QF Mk.II 5×2 41 4.5km
강화 장치
1번 슬롯 2번 슬롯 3번 슬롯 4번 슬롯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x x
소모품
명칭 효과 작동 시간 쿨타임 사용 횟수 슬롯 위치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5초 60초 무제한 1번(패드 ←)
연막 생성기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지속: 30초
분산: 70초
130초 3회 2번(패드 ↑)
대공 방어 사격 평균 대공 공격력 +200% 40초 150초 2회 3번(패드 →)

말레이시아 해군다이도급 경순양함 라흐마트, 다이도급이 외국에 매각된 선박이 한척(HMS Diadem)이 있으나, 말레이시아가 아닌 파키스탄이었고, 함명마저 Babur로 변경된지라 라흐마트는 사실상 창작함이라 봐도 무방.

2.4. 춤폰 - 6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춤폰.png 구축함 합동 작전에 투입될 목적으로 개발된 미국의 Atlanta급 경순양함으로 초기 기획과 달리 단거리 대공 무장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주함포 포탑 수가 감소하였다.
특성

파일:특성 어뢰 연발.png
어뢰 연발
[설명 보기]
해당 군함은 어뢰 재장전 가속기를 장착하고 있거나 선택 장착이 가능합니다.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사거리 시그마
127mm/38 Mk.29 6×2 5.8초 7.2초 14.1km 1.7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1,800 5% 21mm
철갑탄 2,100 -
어뢰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533mm Mk14 2×4 70초 7.2초
어뢰 최대 공격력 어뢰 대함 피탐지 사거리 속력
17,633 0.7km 10.5km 60knot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26,400 0% 6 - 89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610m 7.2초 32.5knot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11.2km 7km 5.5km
대공포 수량 DPS 사거리
40mm Bofors Mk1 8×2 90 3.5km
127mm/38 Mk.29 6×2 100 5.0km
강화 장치
1번 슬롯 2번 슬롯 3번 슬롯 4번 슬롯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x
소모품
명칭 효과 작동 시간 쿨타임 사용 횟수 슬롯 위치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5초 60초 무제한 1번(패드 ←)
연막 생성기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지속: 30초
분산: 70초
130초 3회 2번(패드 ↑)
대공 방어 사격 평균 대공 공격력 +200% 40초 150초 2회 3번(패드 →)
어뢰 장전기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8초로 변경 1초 300초 2회 4번(패드 ↓)

태국 해군애틀랜타급 경순양함 춤폰. 실제로 애틀랜타급은 전 선박이 미국해군 소속으로 운영하다 퇴역하였으므로 춤폰은 가상의 선박. 애틀랜타처럼 측면 포탑이 있는게 아닌 플린트처럼 측면 포탑이 없는 것으로 보아 애틀랜타의 하위 함급 오클랜드급 경순양함이 양도된 설정으로 보인다. 함명의 유래는 태국의 춤폰시

2.5. 하얼빈 - 7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하얼빈.png 1920년대 ~ 1930년대에 소련에서 개발한 소형 순양함으로 양용포 무장을 장착하였다. 본래 해당 군함은 구축함의 대항마로 운용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특성

파일:특성 어뢰 연발.png
어뢰 연발
[설명 보기]
해당 군함은 어뢰 재장전 가속기를 장착하고 있거나 선택 장착이 가능합니다.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사거리 시그마
130mm/50 Model 1936 Mk-18 5×2 4.9초 7.2초 14.5km 2.0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1,900 7% 22mm
철갑탄 2,500 -
어뢰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533mm 1-N 4×3 100초 7.2초
어뢰 최대 공격력 어뢰 대함 피탐지 사거리 속력
18,600 0.8km 11km 64knot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29,500 0% 13 - 100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660m 6.9초 33.4knot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11.8km 7.4km 6.1km
대공포 수량 DPS 사거리
20mm Oerlikon Mk20 8×2 49 2.0km
37mm 61 SHÌ 10×2 92 3.5km
37mm 66-K 4×4 49 3.5km
130mm/50 Model 1936 Mk-18 5×2 68 5.2km
강화 장치
1번 슬롯 2번 슬롯 3번 슬롯 4번 슬롯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소모품
명칭 효과 작동 시간 쿨타임 사용 횟수 슬롯 위치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5초 60초 무제한 1번(패드 ←)
연막 생성기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지속: 30초
분산: 70초
130초 3회 2번(패드 ↑)
수리반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147 28초 80초 2회 3번(패드 →)
대공 방어 사격 평균 대공 공격력 +200% 40초 150초 2회 3번(패드 →)
어뢰 장전기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8초로 변경 1초 300초 2회 4번(패드 ↓)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소형 경순양함 계획 하얼빈, PC에서 불쟁이로 유명한 스몰렌스크의 계획안이기도 하며, 하얼빈은 130 mm 연장포 5기를 사용하는 MLK 10-130 계획안을 사용한 가상의 선박이다. 함명의 유래는 중국의 하얼빈시

2.6. 세종 - 8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세종.png 제2차 세계대전 기간 미국에서 개발한 경순양함 중 하나로 127mm 신형 양용포를 장착하였다.
특성

파일:특성 어뢰 연발.png
어뢰 연발
[설명 보기]
해당 군함은 어뢰 재장전 가속기를 장착하고 있거나 선택 장착이 가능합니다.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사거리 시그마
127mm/54 Mk.42 6×2 5.2초 4.5초 15km 2.0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1,800 9% 21mm
철갑탄 2,100 -
어뢰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533mm Mk31 4×4 125초 7.2초
어뢰 최대 공격력 어뢰 대함 피탐지 사거리 속력
18,567 0.8km 12km 67knot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35,000 0% 6 - 95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670m 7.7초 33knot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11.7km 7.4km 5.9km
대공포 수량 DPS 사거리
20mm Oerlikon Mk20 20×2 122 2.0km
76.2mm/50 Mk.23 8×2 166 4.0km
127mm/54 Mk.42 6×2 209 5.2km
강화 장치
1번 슬롯 2번 슬롯 3번 슬롯 4번 슬롯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소모품
명칭 효과 작동 시간 쿨타임 사용 횟수 슬롯 위치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5초 60초 무제한 1번(패드 ←)
연막 생성기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지속: 30초
분산: 70초
130초 3회 2번(패드 ↑)
수리반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175 28초 80초 2회 3번(패드 →)
대공 방어 사격 평균 대공 공격력 +200% 40초 150초 2회 3번(패드 →)
어뢰 장전기 어뢰 발사관의 재장전 시간을 8초로 변경 1초 300초 2회 4번(패드 ↓)

대한민국 해군프로젝트 CL-154급 경순양함 선행 설계안 세종, Mk.42가 아닌 5인치 54구경장 함포의 초기 운영 버전인 Mk.16[1]을 탑재한 버전. 인게임 설정상 충무함 인도 시기에 설계도를 한국에 양도 또는 테스트 함으로 건조한 선박을 넘겼다는 식으로 설명하나 충칭 이후 선박들이 그랬듯 전부 가상의 설정. 함명의 유래는 조선의 왕이자 위대한 왕으로 칭해지는 세종, 다른 의미로는 세종특별자치시가 있겠으나[2] 문제는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시기가 2010년 후반이라는게......
[1] 해당 함포는 미국 전함 메인, 몬태나, 오하이오, 루이지애나가 쓰는 물건과 같다.[2] 1960년대 해군 선박들은 상당수가 지명으로 선박명으로 정했기 때문에 세종시를 채택한 것으로 보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