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1 03:07:09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미국 테크 트리/구축함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 테크트리
{{{#!folding [ 보기 · 닫기 ]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하켄크로이츠 철십자.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범아시아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범유럽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기타 {{{#!wiki style="margin: -16px -11px;" 기타 국가 프리미엄 기타 국가 레전더리 컬래버레이션 함선 이벤트 함선 }}}
회색 배경 : 미출시 트리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작성 양식
}}} ||



1. 개요2. 함선
2.1. 윅스 - 2티어2.2. 클렘슨 - 3티어2.3. 패러것 - 4티어2.4. 머핸 - 5티어2.5. 벤슨 - 6티어2.6. 플레처 - 7티어2.7. 알렌 M. 섬너 - 8티어

1. 개요

범용 구축함
미국 구축함은 무엇이든 할 수 있지만, 어떤 분야에도 최고는 아닙니다. 구축함이 해야 하는 거의 모든 역할, 다시말해 적 탐지, 화재 유발 포탄 포격, 어뢰 발사를 모두 수행할 수 있습니다.
* ▲ 장점
- 적응력
- 긴 연막 생성기 지속시간
- 효율이 뛰어난 주 함포
* ▼ 단점
- 부진한 어뢰 무장
- 느린 포탄 속도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에 등장하는 미국 구축함 일람.

초창기 7티어까지 기획된 덕에 다른 트리들이 숫자가 한티어씩 내려온 것과 다르게 무려 두티어씩 내려와 구성되었다 보니 모든 성능이 더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대신 어뢰 역시 PC버전 기준 한티어 아래 버전을 사용하고, 연사력과 사거리를 조정하여 밸런스를 조정하였다.

장전이 빠른 양용포를 다수 운용하는 트리 덕택에 근접 화력이 남다르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모든 트리가 38구경장이란 중구경 함포를 운영하다보니 고각 문제가 심하며. 어느정도 중거리 교전에 해당되는 6.5km대부터 심해진다. 이렇다 보니 근접하여 붙는 상황엔 유리하지만 서로 거리를 벌리는 상황에선 많이 불리해진다는 단점 역시 존재한다.

어뢰는 저티어에선 너무 짧아서 문제, 중티어는 너무 느려서 문제, 고티어에 와서야 비로소 완전체 어뢰를 얻게 된다. 저티어야 근접 교전이 많이 생겨 짧은 사거리가 대수지만. 중티어에서의 느린 어뢰 속력은 꽤나 답답한 문제, 적을 저격하여 뿌리기보다 진입 지점을 차단한다는 생각으로 뿌리는것을 추전. 그렇게 뿌리면 낮은 어뢰 피탐지 덕택에 눈먼 어뢰를 맞는 경우가 자주 생긴다. 이 문제는 고티어선 해결이 되지만 어뢰 장전이 많이 느려진다는 다른 단점이 부각된다.

속력과 내구도, 피탐지는 모두 평범한 편으로, 딱히 특출날 것 없는 평범함 그 자체. 수리반이 있다던지. 주장갑대가 두꺼워 유효타를 막아낸다던지는 아니지만 조타 성능은 준수한 편이라 구축함의 기본기를 익히기엔 충분한 성능

소모품은 구축함들의 기본 세팅인 피해 복구반 / 연막 생성기 / 엔진 부스트 3개만을 사용한다. 복구반과 부스트 둘다 일반 사양이지만 예외적으로 연막은 미국 전용 사양인데 살포 시간이 타 구축보다 30~50% 더 길며 지속 시간 역시 2분대로 굉장히 긴 연막을 사용한다. 굳이 자신만 사용하기보다도 자신이 스팟을 띄워주고 아군을 보호하는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

해당 트리의 레전더리는 기어링이며, 해당 트리 내의 최종 단계 함선이 없어도 끝까지 진행할 수 있는 일반 설계국 프로젝트로 제공된다.

2. 함선

2.1. 윅스 - 2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윅스.png 미 해군에서 평갑판함 설계로 건조된 구축함 중 가장 많이 건조된 구축함 중 하나이다. 이전 구축함보다 추진력이 크게 개선되어 속력과 기동력이 향상되었다.
특성

파일:특성 확장 연막.png
확장 연막
[설명 보기]
해당 군함의 연막 확신 지속 기간이 깁니다.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사거리 시그마
102mm Mk12 4×1 7.0초 15.7초 8.7km 2.0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1,500 6% 17mm
철갑탄 1,700 -
어뢰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Torpedoes Bliss Leavitt Mk9 4×3 40초
어뢰 최대 공격력 어뢰 대함 피탐지 사거리 속력
9,900 1.0 km 6.0 km 56 knots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8,900 0% 6 - 13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520m 2.4s 34knot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6.8km 2.9km 2.0km
대공포 수량 DPS 사거리
12.7 mm Browning M2 mod. 2×1 8 1.2km
76.2mm/23 Mk7 1×1 1 3.0km
소모품
명칭 효과 작동 시간 쿨타임 사용 횟수 슬롯 위치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5초 40초 무제한 1번(패드 ←)
연막 생성기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지속: 23초
분산: 109초
240초 2회 2번(패드 ↑)
엔진 부스트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8% 120초 180초 2회 3번(패드 →)

미국의 평갑판형 구축함 두번째 타자[1] 해당 구축함들은 1차 대전 당시 독일의 유보트에 대항하고 대형 함대를 빠르게 양산하기 위해 최대한 단순하고도 성능은 준수하게 만들기 위한 설계가 되었다. 초창기엔 50척만 승인되었으나, 1차 대전에 직접 참전함으로써 그 수가 273척으로 늘어났다[2] 1차대전 종전 이후엔 예비 물자로 치적되어있다 2차 대전 발발 이후 영국이나 캐나다등 군함 여유 수가 부족한 국가에 공여되어 많은 도움을 주기도 하였다.

2.2. 클렘슨 - 3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클렘슨.png Wickes급 구축함을 기반으로 개발한 Clemson급 구축함은 두 번째 미 해군 "평갑판함"으로 분류된다. 화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주함포가 장착된 단일 포탑을 2연장 포탑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특성

파일:특성 확장 연막.png
확장 연막
[설명 보기]
해당 군함의 연막 확신 지속 기간이 깁니다.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사거리 시그마
102mm/50 Mk14 4×2 7.0초 18.0초 9.1km 2.0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1,500 6% 17mm
철갑탄 1,700 -
어뢰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Torpedoes Mark 11 4×3 66초
어뢰 최대 공격력 어뢰 대함 피탐지 사거리 속력
11,733 1.0 km 6.6 km 56 knots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10,900 0% 6 - 21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520m 2.8s 35.0knot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6.0km 3.0km 2.0km
대공포 수량 DPS 사거리
12.7 mm Browning M2 mod. 2×1 8 1.2km
76.2mm/23 Mk7 1×1 1 3km
소모품
명칭 효과 작동 시간 쿨타임 사용 횟수 슬롯 위치
강화 장치
1번 슬롯 2번 슬롯 3번 슬롯 4번 슬롯
주함포 강화 장치 2
조준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x x x
소모품
명칭 효과 작동 시간 쿨타임 사용 횟수 슬롯 위치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5초 40초 무제한 1번(패드 ←)
연막 생성기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지속: 24초
분산: 112초
240초 2회 2번(패드 ↑)
엔진 부스트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8% 120초 180초 2회 3번(패드 →)

평갑판형 구축함의 마지막 타자이자 최종형. 무장도 최대한 강화하였고 그 무엇보다 최종형 답게 무려 156척이란 엄청난 수가 건조된 함급이기도 하다.

2.3. 패러것 - 4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패러것.png 미국의 첫 신형 구축함으로 대공 방어를 강화할 수 있도록 양용포를 장착하였다. 선체 중앙을 따라 어뢰 발사관이 배치되어 있어 더 효율적으로 발사할 수 있었다. Farragut급 구축함은 이후 현대화 작업을 거쳐 자동 대공포가 장착되었다.
특성

파일:특성 확장 연막.png
확장 연막
[설명 보기]
해당 군함의 연막 확신 지속 기간이 깁니다.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사거리 시그마
127mm Mk21 mod.0 5×1 4.3초 12.0초 10.2km 2.0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1,800 6% 21mm
철갑탄 2,100 -
어뢰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Torpedoes Mark 11 Mk2 2×4 88.0초
어뢰 최대 공격력 어뢰 대함 피탐지 사거리 속력
11,733 1.0 km 6.6 km 58.0 knots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11,200 0% 6 - 21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560m 2.7s 36.5knot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6.2km 3.0km 2.3km
대공포 수량 DPS 사거리
12.7 mm Browning M2 mod. 2×1 8 1.2km
20 mm Oerlikon Mk4 2×1 7 2.0km
127 mm Mk21 mod. 1 5×1 16 5.0km
강화 장치
1번 슬롯 2번 슬롯 3번 슬롯 4번 슬롯
주함포 강화 장치 2
조준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x x x
소모품
명칭 효과 작동 시간 쿨타임 사용 횟수 슬롯 위치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5초 40초 무제한 1번(패드 ←)
연막 생성기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지속: 25초
분산: 115초
240초 2회 2번(패드 ↑)
엔진 부스트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8% 120초 180초 2회 3번(패드 →)

취역한지 오래된 평갑판형 구축함들을 대체할 신규 구축함이자 첫 1,500톤 구축함으로, 무장 구성은 5인치 38구경장 함포 5문, 4연장 어뢰관 2기를 중앙에 배치하는 형태로 설계한 첫번째 구축함이다. 이 형태는 무장 구성이나 배치는 달라지긴 하지만 구성도 자체는 그대로 유지되어 기어링급 구축함이 나올 때 까지 그 기조가 되는 뼈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줬다. 총 8척이 취역.

2.4. 머핸 - 5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머핸.png Farragut급 구축함을 기반으로 개발한 군함으로 더 강력한 어뢰 무장을 장착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였을 때 자동 대공포 몇 문을 장착하여 적 함재기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성

파일:특성 확장 연막.png
확장 연막
[설명 보기]
해당 군함의 연막 확신 지속 기간이 깁니다.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사거리 시그마
127mm Mk21 mod.0 5×1 4.0초 12.0초 10.4km 2.0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1,800 6% 21mm
철갑탄 2,100 -
어뢰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Torpedoes Mark 12 3×4 88.0초
어뢰 최대 공격력 어뢰 대함 피탐지 사거리 속력
11,733 1.0 km 6.4 km 64.0 knots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13,400 0% 6 - 21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560m 2.7s 35.0knot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6.8km 3.5km 2.5km
대공포 수량 DPS 사거리
20 mm Oerlikon Mk4 4×1 7 2.0km
127 mm Mk21 mod. 1 5×1 16 5.0km
강화 장치
1번 슬롯 2번 슬롯 3번 슬롯 4번 슬롯
주함포 강화 장치 2
조준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피해 통제 강화 장치 2
조타 강화 장치 2
엔진 강화 장치 2
x x
소모품
명칭 효과 작동 시간 쿨타임 사용 횟수 슬롯 위치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5초 40초 무제한 1번(패드 ←)
연막 생성기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지속: 26초
분산: 118초
240초 2회 2번(패드 ↑)
엔진 부스트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8% 120초 180초 2회 3번(패드 →)

패러것급의 개량형[3]으로 건조된 구축함. 부족한 어뢰 화력을 4연장 어뢰 발사관을 양현에 1기씩. 중앙에 1기 하여 총 3기 12문을 운영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도중에 더 이상 뇌격할 일이 없어져 모든 어뢰관을 철거하고 대공무장을 대량으로 설치하는 개수를 받았다. 총 18척이 취역했으며 이중 6척을 2차대전기에 소실하였다.

2.5. 벤슨 - 6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벤슨.png 다른 구축함보다 더 크게 건조된 구축함이다. 포좌가 효율적으로 장착되어 이전 구축함보다 무장이 강화되었으며 새로 개발된 5연장 어뢰 발사관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였다.
특성

파일:특성 확장 연막.png
확장 연막
[설명 보기]
해당 군함의 연막 확신 지속 기간이 깁니다.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사거리 시그마
127mm Mk30 5×1 3.5초 6.3초 10.6km 2.0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1,800 6% 21mm
철갑탄 2,100 -
어뢰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Torpedoes Mk15 mod. 0 2×5 109.0초
어뢰 최대 공격력 어뢰 대함 피탐지 사거리 속력
11,600 1.0 km 9.2 km 55.0 knots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14,300 0% 6 - 20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570m 2.7s 38.0knot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7.0km 3.5km 2.6km
대공포 수량 DPS 사거리
12.7 mm Browning M2 mod. 2 2×1 8 2.0km
20 mm Oerlikon Mk4 4×1 7 2.0km
127 mm Mk21 mod. 1 5×1 16 5.0km
강화 장치
1번 슬롯 2번 슬롯 3번 슬롯 4번 슬롯
주함포 강화 장치 2
조준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피해 통제 강화 장치 2
조타 강화 장치 2
엔진 강화 장치 2
위장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조타 강화 장치 3
x
소모품
명칭 효과 작동 시간 쿨타임 사용 횟수 슬롯 위치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5초 40초 무제한 1번(패드 ←)
연막 생성기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지속: 27초
분산: 121초
240초 2회 2번(패드 ↑)
엔진 부스트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8% 120초 180초 2회 3번(패드 →)

심즈급 구축함의 후계함으로. 머핸급 이후 그동안 여러 구축함들을 소수 건조해보고[4] 정립하여 최적화한 설계로 건조한 것이 바로 벤슨급. 무장 배치가 중구난방이던 이전 함급들과 다르게 단장 5인치 38구경장 양용포 5기를 일렬 배치하고, 최초로 5연장 어뢰관 2기를 배치하여 화력 강화를 한 것이 특징. 이때부터 30척 가량 건조하여 운용하였다. 종전 이후엔 타국에 양도되었으며. 이중 1번함 벤슨은 대만에 넘어가 뤄양 이란 이름으로 취역하여 운용된다. 해당 함선은 범아시아 7티어 구축함으로 등장한다.

2.6. 플레처 - 7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플레쳐.png Fletcher급 구축함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건조된 구축함이다. 빠른 속력, 효율적인 대공 방어 체계, 강력한 함포 및 어뢰 무장이 조화를 이루어 성능이 매우 뛰어난 구축함이다.
특성

파일:특성 확장 연막.png
확장 연막
[설명 보기]
해당 군함의 연막 확신 지속 기간이 깁니다.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사거리 시그마
127 mm Mk30 mod. 0 5×1 3.3초 6.4초 11.0km 2.0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1,800 6% 21mm
철갑탄 2,100 -
어뢰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Torpedoes Mk 15 mod. 3 2×5 122초
어뢰 최대 공격력 어뢰 대함 피탐지 사거리 속력
16,633 1.0 km 9.2 km 55 knots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16,700 0% 13 - 20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560m 3.0s 36.5knot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7.0km 3.5km 2.6km
대공포 수량 DPS 사거리
20mm Oerlikon Mk4 7×1 25 2.0km
40mm Bofors Mk1 5×2 57 3.5km
127 mm Mk30 mod. 0 5×1 54 5.0km
강화 장치
1번 슬롯 2번 슬롯 3번 슬롯 4번 슬롯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피해 통제 강화 장치 2
조타 강화 장치 2
엔진 강화 장치 2
위장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조타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주함포 강화장치 3
소모품
명칭 효과 작동 시간 쿨타임 사용 횟수 슬롯 위치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5초 40초 무제한 1번(패드 ←)
연막 생성기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지속: 24초
분산: 124초
240초 2회 2번(패드 ↑)
엔진 부스트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8% 120초 180초 2회 3번(패드 →)

미국 해군의 완성형 구축함이자 양산 구축함 1호였으며 총 175척을 찍어내는 그야말로 초양산형 구축함 그 자체 무장도 적절한 양용포 5문, 구축함 치고는 높은 대공 성능, 준수한 뇌격 능력으로 태평양 대서양 가리지 않고 어느 전장에서 모두 활약한 함선. 이후 무장을 개량한 것이 8티어 섬너급이며. 섬너급의 안정성과 항속을 해결한 개량형이 기어링급이니 모든 시작점을 플레쳐라 봐도 무방. 종전 이후 수많은 자유 진영 해군에 공여되었고, 한국 해군 역시 공여 받아 운영하였는데 해당 군함은 인게임 범아시아 8티어 구축함 충무급 구축함이 그 주인공.

2.7. 알렌 M. 섬너 - 8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알렌 섬너.png 제2차 세계대전이 종전될 때까지 건조된 미해군 동급 구축함의 1번함이다. Fletcher급 군함의 특징을 물려받았으며 2연장 포대에 장착한 주함포와 더욱 강력한 대공 방어 시스템으로 무장하였다.
특성

파일:특성 확장 연막.png
확장 연막
[설명 보기]
해당 군함의 연막 확신 지속 기간이 깁니다.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사거리 시그마
127mm Mk38 mod. 0 3×2 3.5초 7.2초 10.9km 2.0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2,000 6% 21mm
철갑탄 2,300 -
어뢰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533mm quintuple 2×5 145.0초
어뢰 최대 공격력 어뢰 대함 피탐지 사거리 속력
17,900 1.4 km 12.0 km 66.0 knots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18,000 0% 13 - 20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620m 3.1s 36.5knot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7.1km 3.6km 2.6km
대공포 수량 DPS 사거리
20 mm Oerlikon Mk4 10×1 36 2.0km
40mm Bofors Mk1 2×2 23 3.5km
40mm Bofors Mk2 2×4 32 3.5km
127 mm MK38 mod. 0 3×2 45 5.0km
강화 장치
1번 슬롯 2번 슬롯 3번 슬롯 4번 슬롯
주함포 강화 장치 2
조준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피해 통제 강화 장치 2
조타 강화 장치 2
엔진 강화 장치 2
위장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주함포 강화장치 3
소모품
명칭 효과 작동 시간 쿨타임 사용 횟수 슬롯 위치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5초 40초 무제한 1번(패드 ←)
연막 생성기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지속: 28초
분산: 124초
240초 2회 2번(패드 ↑)
엔진 부스트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8% 120초 180초 2회 3번(패드 →)

플레쳐급 구축함의 무장 개량형. 무장이 아쉬웠던 플레쳐급에 단장포 대신 연장 양용포 3문과 더불어 많은 대공 무기를 장착해 보조 수행 능력을 끌어올린 최종 완성형. 하지만 무장을 과하게 넣는 바람에 항속거리가 짧아지는 중대한 문제가 생겨 다시 한번 개량하여 배치한 것이 기어링급 구축함. 설계 자체는 완성도가 높아 70척을 계획하고 그중 58척이 취역했다. 2차대전 내내 수많은 활약상을 보여줬으며. 종전 이후로도 많은 자유 진영 국가에 판매/공여되어 해당 국가의 해역을 수호했다. 한국 해군도 대구급 구축함으로 운영했으며 범아시아 레전더리 구축함으로 유력한 웨양 역시 해당 함급이다.

게임 초기에는 7티어가 최대 티어여서 없었던 함선이었으나, 8티어 신설과 함께 공개되었으며 8티어 확장과 동시에 추가되었다.

[1] 첫번째는 칼드웰급, 마지막은 다음 티어인 클렘슨급이다.[2] 칼드웰급 50척 윅스급 111척 클렘슨급 156척 총합 273척[3] 이전 함급에 포터급 구축함이 있으나 해당 함급은 구축함 지휘함 형태로 건조한 선박이다 보니 완전 직계가 아니다.[4] 그리들리급, 배글리급, 소머즈급, 벤험급, 심즈급, 총 5척, 대개 4~12척 정도만 건조하여 운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