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 테크트리 | ||||||||||||
{{{#!folding [ 보기 · 닫기 ] | 미국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일본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영국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독일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프랑스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소련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이탈리아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범아시아 | 순양함 | 구축함 | |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범유럽 | 순양함 | 구축함 | |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기타 | 기타 국가 프리미엄 | 기타 국가 레전더리 | 이벤트 프리미엄 | |||||||||
기타 이벤트 함선 | 기타 함선 |
1. 개요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에 나오는 미국 항공모함에 대한 일람.폭격 항공모함
이 항공모함은 급강하 폭격기와 뇌격기를 모두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다재다능한 전함입니다. 하지만, 어뢰보다는 강력한 고폭탄을 사용하는 데 치중했습니다.
* ▲ 장점
- 강력한 고폭탄 급강하 폭격기
- 큰 격납고
* ▼ 단점
- 약한 어뢰 성능
이 항공모함은 급강하 폭격기와 뇌격기를 모두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다재다능한 전함입니다. 하지만, 어뢰보다는 강력한 고폭탄을 사용하는 데 치중했습니다.
* ▲ 장점
- 강력한 고폭탄 급강하 폭격기
- 큰 격납고
* ▼ 단점
- 약한 어뢰 성능
2021년 4월 업데이트로 항공모함이 정식 출시가 되었으며, 이후 2024년 4월 업데이트로 찾아온 항모 리워크에 대한 가장 큰 수혜자격인 트리이다
전체적 특성은 PC 에서의 특징인 약한 뇌격과 강력한 급강하 폭격이라던지 함재기의 내구도가 좋다는 부분은 역시 동일하다.
위의 서술에는 뇌격기가 약하다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모든 항모중 제일 강력한 편. 일항과 비교하면 데미지나 속력이 열세라지만 그렇게 크지 않고 안전거리가 더 짧아서 유효타를 먹이기 쉽다. 거기다 탄간도 매우 좁아 심심하면 전탄 맥이는 것도 가능하다 보니 미국 뇌격이라고 만만하게 무시하는 놈한테 미제 어뢰 죽창을 시원하게 박아주는 것이 강력하다.
폭격기는 폭탄 데미지나 화재율이 조금 아쉬운 편으로 보이지만 그외 투발량. 조준능력이나 조작감등. 다른 폭격기들과는 차원이 다른 성능을 가져 사실상 최강의 고폭 급폭기로 칭송 받는다. 투발량이 많은데다 폭탄 성능도 그렇게 모자란것도 아니라 화재도 잘내고, 데미지도 잘 박아 넣다보니 차원이 다른 딜링 능력을 자랑한다. 화재율 퍼센트도 낮지만 고정적으로 9발을 뿌려대고 조준원도 그렇게 크지 않다보니 실질 화재율을 굉장히 좋은 편. 강력한 뇌격기랑 혼용해서 쓰면 물구멍 불구멍으로 좋아죽는 적 군함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위의 안내에는 쓰여있지는 않으나 항모중 가장 긴 항속거리 역시 미항만의 장점. 항속거리가 길다는 것은 지원 범위를 더 넓게 잡을수 있으며 공격 간격을 조절할때 조금 더 여유롭게 사용이 가능하므로 미항만의 큰 이점중에 하나. 거기에 함재기 내구도가 튼튼해서 생존성이 좋은 편이라 약간 스쳐도 그렇게 쉽게 떨어지지 않는 좋은 내구성을 지닌다. 타 항모들과 달리 함재기 재정비가 1대씩 진행되지만 평균 30초대의 매우 빠른 사이클로 속속히 보충되다 보니 뇌없이 막 던지는게 아닌 이상 함재기가 부족해서 빌빌대는 경우는 사실상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레전더리는 PC 버전 10티어인 미드웨이, 다소 후반에 나온 설계국에 비정기 설계국 판매형태이다 보니 미항 트리 자체를 키우지 않으면 연구 진행이 매우 더뎌진다, 특히 레인저와 렉싱턴이 필수 연구 문단에 들어가므로 미국 항공모함 트리를 반드시 키워야 한다.
2. 선박 목록
2.1. 랭글리 - 3티어
| 미 해군의 첫 항공모함인 Langley는 석탄 운반선을 개조한 군함이다. 속력이 느렸으며 해군 조종사 훈련용 및 신규 기술 시험용으로 운용되었다. 적 구축함 공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부무장이 장착되어있다. | 생존 | 38 | |||
함재기 | 15 | |||||
함포 | 4 | |||||
기동력 | 8 | |||||
피탐지 | 63 |
특성 | ||
|
부함포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탄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127mm Mk7 | 4×1 | 7.0초 | 3.5km | 고폭탄 | 1,800 | 10% | 21mm |
뇌격기 | 함재기 내구도 | 최고 속력 | 피탐지 | 최대 비행 거리 |
Martin T4M | 1,600 | 136노트 | 10.0km | 29.0km |
공격 편대 크기 | 편대 내 함재기 | 함재기 수용량 | 정비시간 / 동시 정비 수 | |
2대 | 6대 | 12대 | 52초 / 1대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사거리 | 어뢰 속력 | 탑재 수 | |
5,800 | 3.5km | 44노트 | 1발 |
폭격기 | 함재기 내구도 | 최고 속력 | 피탐지 | 최대 비행 거리 | |
Vought SBU Corsair | 1,500 | 139노트 | 10.0km | 31km | |
공격 편대 크기 | 편대 내 함재기 | 함재기 수용량 | 정비시간 / 동시 정비 수 | ||
2대 | 6대 | 12대 | 48초 / 1대 | ||
폭탄 탄종 | 폭탄 최대 공격력 | 폭탄 관통력 | 화재 확률 | 탑재 수 | |
고폭탄 | 4,000 | ? | 24% | 3발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33,700 | 4% | 6~20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1,010m | 9.2s | 15.0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0.7km | 7.5km | ×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부함포 강화 장치 1 편대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2 편대 강화 장치 2 | × | × |
소모품 | ||||||
사용대상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모함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60초 | 90초 | 무제한 | AUTO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600초 | 40초 | 4회 | AUTO |
미 해군의 최초의 항공모함인 CV-1 USS 랭글리. 원래 프로테우스급 석탄 운반함의 3번함 주피터였으나, 해군 연료를 석탄에서 석유로 변경한 이후 용도가 없어지자 항모 보유에 눈독 들이던 미 해군에 의해 항공모함으로 개장된다, 함명의 유래는 캐터펄트의 개념을 고안한 새뮤얼 랭글리의 이름을 따왔다. 다만 크기가 크지 않아 초창기 연구용으로써 렉싱턴급 항공모함의 두 자매의 개장밎 운용 노하우를 위한 교리 연구용으로 굴려진다. 이후 항모로써 역할의 한계가 명확해지자 2차대전 직전에 개장하여 수상기 모함으로 운영하던 도중 일본군의 공습에 의해 대파. 자침 처분을 받고 함생을 마감한다.
초창기 항공모함이라 그런지 기동성은 절망적인 편. 최고속이 15노트로 순양함은 고사하고 전함마저 떨치기 어려우나 해당 티어대에선 거기서 거기인 속력이다 보니 큰 체감이 되는 요소는 아니다. 내구도는 3티어 항모들이다 보니 거기서 거기
뇌격기는 6대가 1기 편대를 구성하여 다니고, 정비는 1대씩 52초간 진행되며 최대 12대를 격납할 수 있다. 1기당 어뢰 1발을 투하하며 2대가 공격에 투입해 한번에 2발을 투하한다. 어뢰도 살짝 느린 느낌이 나고. 조준 역시 뻣뻣하다는 느낌이 들 수 있으나. 초기 진입시 최대한 덜 움직여야 쉽게 조이므로 공격전 경로를 세심히 설정하는 센스를 키워 두는 것이 좋다. 항속거리가 29km로 항모중 가장 긴 거리를 갈 수 있으니 공격 잡는데에 부족함은 없는 편이다. 단지 모함이 너무 느려 거리를 온전히 공격에 쓰는데엔 한계가 존재한다
폭격기는 6대가 1기 편대를 구성하여 다니고, 정비는 1대씩 48초간 진행되며 최대 12대를 격납할 수 있다. 1기당 폭탄 3발을 투하하며 2대가 공격에 투입해 한번에 6발을 투하한다. 데미지나 관통력이 쏠쏠하여 상대를 가리지 않고 뚜껑을 따낼 수 있는 미국 항모만의 주력기라 봐도 무방할 정도로 성능이 상당하다, 화재율이 그렇게 높진 않아 불은 잘 내지는 못하는데다 저티어다 보니 조준원이 크고 쉽게 조여지지 않아 기동에 제한적이다 보니 공격중에는 급격한 기동은 지양하는 것이 좋다. 항속거리가 31km로 티어중 가장 긴 항속거리를 자랑한다.
아직 저티어라 많은 특색은 없으나 공통적인 특성은 그대로 가지고 있으므로 미항만의 특성을 미리 익히고 숙달하는 구간이라 생각하고 타는 것을 중점으로 두는 것이 좋다.
2.2. 레인저 - 5티어
| 미국 항공모함 중 처음으로 특수 구조를 적용하여 건조한 항공모함이다. 많은 함재기를 탑재할 수 있었으며 속력이 항공모함 중 빠른 편이다. 어뢰 방어에 취약했으며 함재기용 승강기 배치가 실용적이지 않아 비행 편대 운용이 지연되었다. | 생존 | 54 | |||
함재기 | 38 | |||||
함포 | 5 | |||||
대공 | 66 | |||||
기동력 | 45 | |||||
피탐지 | 49 |
특성 | |||
|
부함포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탄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127mm Mk19 Mod. 6 | 8×1 | 4.5초 | 4.5km | 고폭탄 | 1,800 | 9% | 21mm |
뇌격기 | 함재기 내구도 | 최고 속력 | 피탐지 | 최대 비행 거리 |
Douglas TBD Devastator | 1,800 | 147노트 | 10.0km | 32.0km |
공격 편대 크기 | 편대 내 함재기 | 함재기 수용량 | 정비시간 / 동시 정비 수 | |
2대 | 8대 | 16대 | 39초 / 1대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사거리 | 어뢰 속력 | 탑재 수 | |
6,600 | 3.5km | 46노트 | 1발 |
폭격기 | 함재기 내구도 | 최고 속력 | 피탐지 | 최대 비행 거리 | |
Vought SB2U Vindicator | 1,820 | 151노트 | 10.0km | 34.0km | |
공격 편대 크기 | 편대 내 함재기 | 함재기 수용량 | 정비시간 / 동시 정비 수 | ||
3대 | 9대 | 18대 | 32초 / 1대 | ||
폭탄 탄종 | 폭탄 최대 공격력 | 폭탄 관통력 | 화재 확률 | 탑재 수 | |
고폭탄 | 4,600 | 42.7mm | 24% | 3발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44,900 | 4% | 6~51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1,010m | 11.4s | 32.5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3.0km | 9.1km | ×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20 MM Oerlikon Mk4 | 47×1 | 169 | 2.0km |
40 MM Bofors Mk2 | 5×4 | 79 | 3.5km |
127 MM Mk19 Mod. 6 | 8×1 | 58 | 4.2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부함포 강화 장치 1 비행 관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편대 강화 장치 2 | × | × |
소모품 | ||||||
사용대상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모함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60초 | 90초 | 무제한 | AUTO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600초 | 40초 | 4회 | AUTO | |
뇌격기,폭격기 | 순찰 전투기 | 지역을 순찰하며 자동으로 적 항공기를 요격하는 전투기 편대 호출 | 60초 | 10초 | 3회 | 2번(패드 ↑) |
미 해군 세번째 항공모함인 CV-4 USS 레인저. 순양전함 함체를 쓴 렉싱턴급과 다르게 아예 항공모함으로써 설계하여 모든 부분에서 최적화를 진행한 항공모함이다. 렉싱턴급에 비해 크기는 작아졌지만 효율성은 크게 올랐으나, 너무 작게 만들어 기관부가 작아 속력이 느리고, 크기 때문에 실험적으로 장착한 가변 연돌은 엄청난 문제 덩어리, 없는 방뢰에 어뢰 보관고를 만들지 못해 뇌격기 운영에 사실상 제약이 있는 수준이었던 지라 동형함은 더 이상 만들지 않고 렉싱턴급, 레인저급에서 얻은 교훈으로써 건조한것이 바로 요크타운급 항공모함이 된다. 취역 이후 대서양에서 배치되어 종전시까지 유일한 대형 항모로써 활동하며 종전이후 인원 수송 임무를 수행한 후 1947년에 퇴역, 해체하게 된다
전티어에서 아쉬웠던 속력이 크게 개선되어 위치 지정에 큰 하자가 없어지며. 체력역시 큰 폭으로 상승하나, 종잇장 같은 장갑은 그대로인지라 고폭 공격에 시타델이 털릴수 있다는 큰 위험성이 있다. 또한 덩치가 커진만큼 피탐이 매우 커지므로 위치 선정에 많은 신경을 써야한다.
뇌격기는 8대가 1개 편대를 구성하여 다니고. 정비는 1대씩 39초간 진행되며 최대 16대씩 격납 할 수 있다. 1기당 어뢰 1발을 투하하며 2대가 공격에 투입해 한번에 2발을 투하한다. 전티어에서 수량이 2대 증가하고 데미지나 조준 능력이 개선되어 전보다 맞추기 쉬워진다. 최대 4회 정도 공격이 가능하므로 딜타임을 좀더 오래잡을 수 있다는 개선점이 있다. 속력이 다소 느리나 최대 이동 거리가 32km로 상당히 멀리 가므로 각을 잡는데엔 큰 문제는 없다.
폭격기는 9대가 1기 편대를 구성하여 다니고, 정비는 1대씩 32초 진행되며 최대 12대를 격납할 수 있다. 1기당 폭탄 3발을 투하하며 3대가 공격에 투입해 한번에 9발을 투하한다. 조준 성능 개선과 더불어 투발량이 50% 늘어난 9발로 늘어나 기대 화재확률이 올라 본격적인 불장난이 가능해지는 시점이다. 덕분에 온갖 상대한테 불질하며 괴롭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대신 관통력이 42.7mm로 낮아져 상대를 조금 가린다는 것이 소소한 단점. 갑판이 조금이라도 두꺼운 선박을 만나면 관통력 부족으로 비관만 뜨고 불만 내는 것에 그쳐진다, 이때부터 선수/선미나 상부구조물 상대로 맞추는 스킬을 익힐 필요가 있다. 그래도 전티어에 비하면 딜링 능려긍 매우 크게 상승한다. 항속 거리 또한 34km로 오래 이동이 가능하므로 각을 길게 잡는데에도 큰 문제는 없다.
본격적인 미국 항모 특색이 살아나는 항공모함으로 장점을 극대화 시키는 플레이를 본격적으로 펼처야 한다.
2.3. 렉싱턴 - 7티어
| Lexington급 군함은 취역 당시 가장 큰 항공모함 중 하나였다. 완성되지 않은 순양전함을 개조하여 건조하였다. 장갑이 두꺼웠으며 어뢰 방호 능력도 강력하였다. 큰 선체만큼 매우 넓은 격납고를 갖추고 있었으며 대공포와 양용포도 많이 장착할 수 있었다. 또한, 강력한 추진 장치 덕분에 빠른 속력을 낼 수 있었다. | 생존 | 67 | |||
함재기 | 43 | |||||
함포 | 7 | |||||
대공 | 93 | |||||
기동력 | 53 | |||||
피탐지 | 40 |
특성 | |||
|
부함포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탄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127mm Mk24 127mm Mk32 | 8×1 4×2 | 6.0초 | 4.5km | 고폭탄 | 1,800 | 5% | 21mm |
뇌격기 | 함재기 내구도 | 최고 속력 | 피탐지 | 최대 비행 거리 |
SB2C Helldiver | 2,550 | 160노트 | 8.0km | 34.0km |
공격 편대 크기 | 편대 내 함재기 | 함재기 수용량 | 정비시간 / 동시 정비 수 | |
3대 | 9대 | 18대 | 34초 / 1대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사거리 | 어뢰 속력 | 탑재 수 | |
6,333 | 5.0km | 47노트 | 1발 |
폭격기 | 함재기 내구도 | 최고 속력 | 피탐지 | 최대 비행 거리 | |
SB2C Helldiver | 2,750 | 160노트 | 8.0km | 36.0km | |
공격 편대 크기 | 편대 내 함재기 | 함재기 수용량 | 정비시간 / 동시 정비 수 | ||
3대 | 9대 | 18대 | 32초 / 1대 | ||
폭탄 탄종 | 폭탄 최대 공격력 | 폭탄 관통력 | 화재 확률 | 탑재 수 | |
고폭탄 | 5,700 | 42mm | 20% | 3발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57,300 | 16% | 4~178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1,180m | 15.6s | 33.0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4.5km | 10.1km | ×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20 MM Oerlikon Mk4 | 16×1 | 58 | 2.0km |
40 MM Bofors Mk1 | 2×2 | 23 | 3.5km |
40 MM Bofors Mk2 | 23×4 | 366 | 3.5km |
127mm Mk24 | 8×1 | 64 | 5.0km |
127mm Mk32 | 4×2 | 60 | 5.0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부함포 강화 장치 1 비행 관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편대 강화 장치 2 |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편대 강화 장치 3 비행 관제 강화 장치 2 |
소모품 | ||||||
사용대상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모함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60초 | 90초 | 무제한 | AUTO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600초 | 40초 | 4회 | AUTO | |
뇌격기,폭격기 | 순찰 전투기 | 지역을 순찰하며 자동으로 적 항공기를 요격하는 전투기 편대 호출 | 60초 | 10초 | 3회 | 2번(패드 ↑) |
회피 기동 | 활성화 시간동안 함재기 편대가 받는 피해량이 50% 감소 | 10초 | 150초 | 2회 | 3번(패드 →) |
미 해군 두번째 항공모함임 CV-2 USS 렉싱턴. 오류가 아닌 실제로 5티어 레인저보다 선도로 나온 항공모함이 맞다. 기존 순양전함인 렉싱턴급 순양전함을 개장한 선박이다 보니 덩치가 에식스급에 필적할 정도로 크다보니 레인저보다 후속으로 나오게 된 것. 용적 문제로 항모의 중요도가 다소 떨어지던 대서양 전선에 투입된 레인저와 다르게 CV-2 렉싱턴과 자매함 CV-3 새러토가는 요크타운급 항공모함자매와 같이 태평양 전선에서 활약한다. 다만 함체 구조상 어쩔수 없이 폐쇄식 격납고를 채택하고 개조라는 한계로 인해 렉싱턴은 산호해 해전 당시 몆번의 피격후 수리의 필요성을 느껴 모든 함재기를 요크타운에 옮기고 회항도중 여러 장비들의 파손으로 누출된 유증기가 함내에 폭발, 이후 대파되어 결국 자침 처분을 받게된다.자매함 새러토가는 끝까지 살아남았으나 보존되지 못하고 비키니 핵실험의 실험 대상으로 희생된다.
레인저때 아쉬웠던 장갑 부분은 상당 부분이 장갑을 두르게 되어 소구경탄에 상당한 내성을 가지게 되면서 크게 해소된다. 전함탄에 맞으면 갈리는건 여전하지만 어차피 동급 항모중 아주 단단하게 싸맨 임플래커블이 아닌 이상 의미가 없는 수준이고. 중순양함 철갑탄이나 고폭탄도 어느 정도 막아내기만 하면 충분한지라 크게 다가오는 요소는 아니다. 거기다 순양전함 함체인 덕택에 속력도 33노트로 시원하게 뽑아 다니는건 덤.
뇌격기는 9대가 1개 편대를 구성하여 다니고. 정비는 1대씩 34초간 진행되며 최대 18대씩 격납 할 수 있다. 1기당 어뢰 1발을 투하하며 3대가 공격에 투입해 한번에 3발을 투하한다. 전티어에서 2대씩 공격하는 것에서 3대씩 공격으로 바뀌며 공격 횟수는 줄었지만 대신 1회당 발수가 3발로 늘어나 공격중 유지력과 딜링력은 크게 좋아졌다. 댓수가 늘어났지만 기존과 비슷한 에임시간이므로 딱히 큰 결점도 존재하지 않는 미항의 완벽한 뇌격기라 봐도 무방. 최대 34km까지 이동이 가능하므로 무작정 쏟아붇기보단 천천히 그림을 그리며 각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
폭격기는 9대가 1기 편대를 구성하여 다니고, 정비는 1대씩 32초 진행되며 최대 18대를 격납할 수 있다. 1기당 폭탄 3발을 투하하며 3대가 공격에 투입해 한번에 9발을 투하한다. 기존 레인저 폭탄에 화재율이 다소 떨어졌지만 데미지가 크게 증가해 딜링 능력이 크게 상승하였고 속력밎 내구성도 티어가 오른만큼 크게 개선되어 공격하는데에 큰 불편함은 존재하지 않는다. 투발량이 3발 그대로지만 잘 들어가면 적 군함 뚝배기를 터뜨리기엔 충분하므로 여태껏 길러왔던 미항의 화력 투사를 보여주면 된다. 항속거리가 36km까지 이므로 상당히 널널하다는 것 또한 장점.
미항모의 완성형. 뇌격기도 일항 못지 않게 강력하며 폭격기도 강력한 미항 폭격기 그대로라 크게 흠잡힐 부분도 존재하지 않는다. 대개 최종 항모들이 장점이 강화되면 단점역시 극대화 되다 보니 프리미엄 항모 몆척 제외하면 쉽게 등장하지 않는데 비해 렉싱턴은 어디 모난데가 없어 자주 얼굴을 비추는 7티어 항모의 상위권에 자리잡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