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 테크트리 | |||||||||||
| {{{#!folding [ 보기 · 닫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기타 국가 프리미엄 | 기타 국가 레전더리 | 컬래버레이션 함선 | 이벤트 함선 | }}} | |||||
| 회색 배경 : 미출시 트리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작성 양식 | |||||||||||
1. 개요
강대국인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소련을 제외한 나머지 군소국가인 스웨덴, 노르웨이, 폴란드, 그리스등, 해안을 낀 국가들을 총망라하여 테크트리화 한것이 범유럽 테크트리이다.트리는 1차 구축함과 2차 구축함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두 트리의 공통적인 특성으론 데미지가 낮지만 발사 범위가 굉장히 좁고, 어뢰 속력과 재장전 시간이 빠른 어뢰를 사용하고 탄도가 준수한 포탄을 사용하고 연사력이 빠른 주함포를 사용하며, 준수하거나 강력한 대공망과 더불어 대공 방어 소모품을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1차 구축함 트리는 주로 스웨덴 해군 소속 함정으로 이루어저 있고 좋은 피탐지율과 준수한 기동성, 군함 수리반 소모품 보유와 막강한 대공 성능, 속력이 빠르고 사거리가 긴 어뢰와 연사력이 빠른 주함포가 장점이지만, 다소 낮은 내구도와 모듈 내구도, 느린 속력과 공격력이 약한 어뢰, 적은 포문수가 단점.
2차 구축함 트리는 튀르키예, 그리스, 폴란드, 노르웨이 해군등 여러 다양한 해군 출신 선박이 있으며 높은 내구도와 빠른 속력과 가속 성능이 기본적으로 좋음, 강력한 고폭탄과 투사량이 많은 함포, 속력이 빠르고 장전이 빠른 어뢰, 연막 소모품과 레이더 소모품을 동시에 운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엔진 강화 이큅 사용 불능, 다소 큰 피탐지, 고폭탄만 운용 가능, 사거리가 짧고 공격력이 약한 어뢰, 장거리 대공 부재가 단점으로 꼽힌다.
두 트리다 공통적으로 점령지를 통제, 접근을 저지하며 판도를 이끌어나가는 공통점이 있으나 1차 트리는 투사량이 많은 어뢰와 강력한 대공망을 기반으로 적 군함 접근 차단밎 항공 지원을 차단하여 간접 통제를 하고. 2차 트리는 강력한 대구축 화력과 빠른 기동을 통하여 교전을 수행하며 직접적으로 통제를 하는 형태
1차 트리와 2차트리 모두 레전더리가 존재하며, 1차 트리는 할란드이며 2차 트리는 그단스크이다, 두 함선다 2세대 설계국으로 반드시 해당 트리의 선박이 필수.
2. 함선
2.1. 공통 함선
2.1.1. 로물루스 - 2티어
| | Spica급 구축함으로 이탈리아 해군에서 건조되어 1940년 스웨덴으로 이양되었다. 선체가 작고 어뢰 발사관 배치가 독특한 점이 특징이다. |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120mm/45 Bofors M1924 | 3×1 | 5.5초 | 18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8.8km | 2.0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1,600 | 7% | 20mm | |
| 철갑탄 | 2,000 | -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450mm twin 450mm quadruple | 1×2 1×4 | 35초 | 7.2초 |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5,533 | 1.2km | 8km | 55knot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6,800 | 0% | 6 - 6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440m | 2.1초 | 34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6.1km | 2.8km | 2km |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 40mm/60 Bofors M1936 | 2×1 | 15 | 3.5km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지속시간 동안 면역 유지 지속 5초 / 쿨타임 40초 / 무제한 소모품 | |||
| 2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지속기간 동안 최고 속력 및 엔진 출력 증가 지속시간동안 최고 속력 최대 + 8% 지속 120초 / 쿨타임 180초 / 사용횟수 2회 | |||
스웨덴 해군의 스파키급 어뢰정 로물루스, 1935년에 이탈리아에서 완공된 어뢰정을 스웨덴 해군이 구매하여 운용한 선박이다.
별 볼일 없는 2티어 구축함. 물론 1차 트리의 특성을 타서 연막이 없는 대신 속력이 빠르고 사거리가 긴 저데미지 어뢰를 사용하며 특이한 점으론 어뢰관 2기의 연장수가 다른데, 2연장 1기 4연장 1기 총 6문을 이용한다는 점.
2.1.2. 클라스 호른 - 3티어
| | 1920년대 후반 개발된 구축함 함급 중 하나에 포함된 스웨덴 "표준" 구축함이다. 해당 함급 군함은 모두 속력이 높고 120mm Bofors 주함포와 533mm 어뢰 발사관으로 무장하였다. |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120mm/45 Bofors M1924 | 2×1 1×2 | 6.5초 | 22.5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9.3km | 2.0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1,600 | 7% | 20mm | |
| 철갑탄 | 2,000 | -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533mm triple | 2×3 | 55초 | 7.2초 |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6,200 | 1.4km | 8km | 60knot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8,000 | 0% | 7 - 10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500m | 2.1초 | 37.8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5.7km | 2.8km | 2km |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 40mm/60 Bofors M1936 | 2×1 | 15 | 3.5km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지속시간 동안 면역 유지 지속 5초 / 쿨타임 40초 / 무제한 소모품 | |||
| 2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지속기간 동안 최고 속력 및 엔진 출력 증가 지속시간동안 최고 속력 최대 + 8% 지속 120초 / 쿨타임 180초 / 사용횟수 2회 | |||
스웨덴의 클라스급 구축함 1번함 클라스 호른, 1932년 취역하여 1958년까지 운용하였다.
전티어에서 포문수가 더 늘고 중구난방 구성인 어뢰관이 3연장 2기로 통일된 것 외엔 큰 차이가 없다.
2.2. 1차트리
지역 차단형 구축함 공통트리 2~3티어 포함
범유럽 구축함은 공격력이 낮지만 재장전이 빠르고 사실상 피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른 어뢰로 무장했습니다. 거기에 뛰어난 주함포까지 갖추고 있어, 어떤 상황에서도 빛을 발합니다.
* ▲ 장점
- 재장전이 빠른 고속 어뢰
- 연사력이 뛰어난 주함포
- 4단계부터 군함 수리반 소모품 사용 가능
* ▼ 단점
- 연막 생성기 소모품 없음
- 낮은 어뢰 공격력
범유럽 구축함은 공격력이 낮지만 재장전이 빠르고 사실상 피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른 어뢰로 무장했습니다. 거기에 뛰어난 주함포까지 갖추고 있어, 어떤 상황에서도 빛을 발합니다.
* ▲ 장점
- 재장전이 빠른 고속 어뢰
- 연사력이 뛰어난 주함포
- 4단계부터 군함 수리반 소모품 사용 가능
* ▼ 단점
- 연막 생성기 소모품 없음
- 낮은 어뢰 공격력
주로 스웨덴 해군을 위시한 선박들로 구성되어있는 범유럽 1차 구축함 트리. 주 특징은 구경은 평범하고 포문수가 적으나 장전시간이 압도적으로 빠른 주함포, 어뢰 항속이 빠르고 사거리가 길지만 데미지가 약하고, 발사 범위가 매우 좁은 어뢰. 피탐지 범위가 좋고 군함 수리반을 사용이 가능하나 낮은 기본 내구도와 연막 소모품의 부재. 티어가 오를수록 강해지는 대공 화력이 특징이다.
함포는 포문수도 많지도 않고, 함포 구경도 120mm로 작은 편이라 포격은 봉인해둬야 하는 스펙으로 보이지만, 티어가 오를수록 연사력이 확실하게 개선이 되며 세팅을 끝마치면 적은 포문수에 비해 DPM이 굉장히 높게 나온다. 아예 안쓰기 보단 사용할 각이 나오는 때에 적절히 사용해준다면 상당한 이득을 볼 수 있다.
어뢰는 공격력이 낮지만 빠른 속력과 긴 사거리를 장점을 가지며 복합적인 특성으로 발사각이 매우 좁은 범위와 좁은 범위를 가진다는 것으로 한 함종에 대한 저격 능력은 좋은 편이며 엄청 넓게 뿌려 눈먼 어뢰 1발을 노리는 사람에겐 아쉽겠지만 어차피 낮은 공격력 때문에 원턴킬을 노릴 순 없어 그렇게 부각되는 단점은 아니며 오히려 장거리에서도 수많은 타격을 보장 할 수 있는 1차트리의 강점.
대공 능력도 티어가 오를수록 굉장히 막강해지는 이점으로, 항모 공격은 물론이고 대형함 상대로 매우 막강한 화력을 자랑하는 네덜란드 순양함과 미국 항공전함의 공습 공격을 차단 할 수 있으므로 따로 다니기 보단 대공이 약한 대형함 근처에 붙어 다니며 항모나 공습 군함에 대한 저지력을 강화해주는 것도 좋은 전술. 구축함의 고질적 단점인 함재기 공습에 취약하다는 요소 자체가 없다보니 전술전략면에선 상당히 유리한 강점인 셈.
물론 이런 장점들의 반동으로 기본 내구도가 낮은 편에 속하는데다 기본 최고 속력이 낮은편으로 이 두가지 단점으로 인해 주도적으로 게임을 풀어나가기보다 방어적인 성향을 이루게 된다. 이 단점을 보충할 소모품으로 군함 수리반과 엔진 부스트가 있으나 수리반 효율이 낮은 내구도로 인해 실효율이 이상하게 낮다는 단점. 엔진 부스트는 평범한 사양이라 아쉬움이 큰 편.
다만 이 요소는 8티어 스몰란드만 해결되는 부분인데 스몰란드는 타 버전의 소모품을 차용하여 수리반 대신 7.5km 20초 작동 레이더와 60초 작동 효율 30% 긴급 엔진 부스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유틸성 강화와 더불어 순간 고속 기동성까지 얻기에 이 문제에서 자유로은 편.
무작정 교전하고 연막 쓰고 하는 초보자 입장에선 연막이라는 강력한 생존기도, 높은 내구도라는 기본적인 요소도 없어 약해 보이지만 게임에 이해도가 높은 고수에겐 가질건 다 가진 숨겨진 강자 포지션으로 자리매김하는 구축함으로써 면모를 보여주는 트리로 설명 그대로 게임에 감에 익힌다면 대구축 상황이나 대형함 상대 교전하는 상황에서도 빛을 발하고 아군를 지원해주는 상황에서도 큰 도움이.되는 만능 일꾼으로써 활약할 수 있다.
레전더리 선박은 할란드이며, 연구를 진행하려면 반드시 1차 트리의 6티어 이상 구축함이 필요하다.
2.2.1. 비스뷔 - 4티어
| 파일:워쉽 레전드 비스뷔.png | 스웨덴 해군 "표준" 구축함 함급의 개량형이다. 이전 군함보다 속력이 빠르고 주함포 무장 배치가 변경되었으며 대공 무장이 보강되었다. |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120mm/50 Bofors M1924 | 1×1 2×2 | 6.5초 | 22.5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9.9km | 2.0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1,600 | 7% | 20mm | |
| 철갑탄 | 2,200 | -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533mm triple | 2×3 | 55초 | 7.2초 |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6,200 | 1.4km | 8km | 65knot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9,600 | 0% | 7 - 10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540m | 2.5초 | 39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5.9km | 2.9km | 2.1km |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 20mm/60 Madsen M1938 | 8×1 | 29 | 2.0km |
| 40mm/60 Bofors M1936 | 2×1 | 15 | 3.5km |
| 40mm/60 Bofors M1936 | 1×2 | 11 | 3.5km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지속시간 동안 면역 유지 지속 5초 / 쿨타임 40초 / 무제한 소모품 | |||
| 2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지속기간 동안 최고 속력 및 엔진 출력 증가 지속시간동안 최고 속력 최대 + 8% 지속 120초 / 쿨타임 180초 / 사용횟수 2회 | |||
| 3번 (패드 →) | 군함 수리반 | 지속기간동안 내구도 회복 지속시간 동안 초당 체력 +95 지속 14초 / 쿨타임 120초 / 사용횟수 2회 | |||
스웨덴 해군의 비스뷔급 구축함 1943년부터 취역하였으며 도중에 무장이 변경되어 호위함으로도 운용되었다.
무장 구성 자체는 전티어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티어가 오르며 생기는 무장 자체의 성능 강화만 있는 정도. 또한 소모품에 수리반이 추가되어 교전에 조금 더 큰 우위를 점할 수 있다. 물론 수리 효율이 그리 크진 않아 수리반 1개당 포탄 세발정도 가량.
2.2.2. 베스테로스 - 5티어
| | 폴란드 해군에서 운용할 목적으로 스웨덴 조선사에서 개발한 속력이 빠르고 무장이 강력한 대형 구축함 설계이다. 모든 주함포 무장이 2연장 포탑에 배치되었다. |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120mm/50 Bofors M1924 | 3×2 | 6.5초 | 22.5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10.4km | 2.0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1,600 | 7% | 20mm | |
| 철갑탄 | 2,200 | -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533mm triple | 2×3 | 55초 | 7.2초 |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7,533 | 1.4km | 10km | 65knot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12,100 | 0% | 7 - 16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590m | 3초 | 38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6.6km | 3.2km | 2.3km |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 25mm/64 Bofors M1932 | 2×1 | 6 | 2.5km |
| 40mm/60 Bofors M1936 | 3×2 | 33 | 3.5km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x | x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지속시간 동안 면역 유지 지속 5초 / 쿨타임 40초 / 무제한 소모품 | |||
| 2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지속기간 동안 최고 속력 및 엔진 출력 증가 지속시간동안 최고 속력 최대 + 8% 지속 120초 / 쿨타임 180초 / 사용횟수 2회 | |||
| 3번 (패드 →) | 군함 수리반 | 지속기간동안 내구도 회복 지속시간 동안 초당 체력 +120 지속 14초 / 쿨타임 120초 / 사용횟수 2회 | |||
폴란드 해군을 위한 스웨덴의 구축함 설계 베스테로스. 다만 인게임상 판정은 스웨덴 해군으로 분류되었다[1]
포문수가 1문 더 늘어난 2연장 3기로 화력이 조금더 좋아지고, 어뢰 사거리가 10km로 굉장히 길어진다. 그러나 그 외에 부분은 전티어와 별반 다를바 없는 수준.
2.2.3. 스코네 - 6티어
| | 주함포로 양용포를 탑재한 구축함 설계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취역한 스웨덴 Öland급 구축함의 시제 군함으로 사용되었다. | |||
| 특성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120mm/50 Bofors M1942 | 2×2 | 3.2초 | 18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10.7km | 2.0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1,700 | 7% | 20mm | |
| 철갑탄 | 2,150 | -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533mm triple | 2×3 | 55초 | 7.2초 |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7,533 | 1.6km | 12km | 76knot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13,000 | 0% | 6 - 16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610m | 3.2초 | 35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6.8km | 3.4km | 2.4km |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 25mm/64 Bofors M1932 | 4×2 | 16 | 2.5km |
| 40mm/60 Bofors M1936 | 3×2 | 32 | 3.5km |
| 120mm/50 Bofors M1942 | 2×2 | 49 | 5.0km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x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지속시간 동안 면역 유지 지속 5초 / 쿨타임 40초 / 무제한 소모품 | |||
| 2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지속기간 동안 최고 속력 및 엔진 출력 증가 지속시간동안 최고 속력 최대 + 8% 지속 120초 / 쿨타임 180초 / 사용횟수 2회 | |||
| 3번 (패드 →) | 군함 수리반 | 지속기간동안 내구도 회복 지속시간 동안 초당 체력 +129 지속 14초 / 쿨타임 120초 / 사용횟수 2회 | |||
| 4번 (패드 ↓) | 대공 방어 사격 | 지속기간동안 평균 대공 공격력 대폭 상승 평균 대공 공격력 +200% 지속 25초 / 쿨타임 140초 / 사용횟수 3회 | |||
스웨덴 해군의 욀란드급 구축함 선행 설계안 스코네, 초창기 설계안이며 이후 시간을 거쳐 욀란드급 형태를 갖췄다. 원본인 욀란드는 동티어 프리미엄 구축함으로 존재한다.
본격적으로 범유럽 구축함의 특성이 나오는 구간으로, 어뢰 속도가 11노트 가량 상승하여 본격적으로 고속 어뢰의 진면모를 보여준다. 데미지는 한심한 수준이지만 그렇게 빠르지도 않아서 맞추기가 힘들던 전티어와 다르게 눈에 띄게 명중타가 나오기 시작한다. 함포 또한 구질구질한 포대에서 벗어나 현대적인 양용포대로 변경되어 장전/포탑 회전/대공 화력 부분에서 큰 개선점을 보여준다. 이때부터 대공 강화를 사용 가능한건 덤.
물론 포문수가 2연장 2기로 적어지고 어뢰 공격력이 여전히 낮은것이 단점이지만. 장점이 애매해서 운용하기 힘들었던 전티어들과 달리 운영부분에서 편의성이 크게 올라간다.
2.2.4. 외스테르예틀란트 - 7티어
| | 스웨덴 해군의 마지막 구축함 함급이다. 선체가 당대 기준으로 작은 편이어서 "경구축함"으로 분류되기도 하였다. 주무장은 당시 널리 사용되던 120mm 자동 양용포 무장을 탑재하였다. |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120mm/50 Bofors M1942 | 2×2 | 2.3초 | 18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10.9km | 2.0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1,700 | 7% | 20mm | |
| 철갑탄 | 2,150 | -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533mm quadruple | 2×4 | 100초 | 7.2초 |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10,700 | 1.8km | 13.5km | 86knot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15,800 | 0% | 6 - 20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610m | 3.7초 | 35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6.9km | 3.4km | 2.4km |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 40mm/70 Bofors M1948 | 7×1 | 332 | 3.5km |
| 120mm/50 Bofors M1942 | 2×2 | 63 | 5.0km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지속시간 동안 면역 유지 지속 5초 / 쿨타임 40초 / 무제한 소모품 | |||
| 2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지속기간 동안 최고 속력 및 엔진 출력 증가 지속시간동안 최고 속력 최대 + 8% 지속 120초 / 쿨타임 180초 / 사용횟수 2회 | |||
| 3번 (패드 →) | 군함 수리반 | 지속기간동안 내구도 회복 지속시간 동안 초당 체력 +157 지속 14초 / 쿨타임 120초 / 사용횟수 2회 | |||
| 4번 (패드 ↓) | 대공 방어 사격 | 지속기간동안 평균 대공 공격력 대폭 상승 평균 대공 공격력 +200% 지속 25초 / 쿨타임 140초 / 사용횟수 3회 | |||
스웨덴 해군의 외스테르예틀란드급 구축함. 8티어와 레전더리에 있는 할란드급 구축함 2척보다 나중에 나온 함급으로 1958년에 취역했다(할란드는 1955년 취역) 건조 비용이 비쌌던 할란드급 대신 대량으로 사용할 구축함으로써 건조했으며 신형 기술을 적용한 할란드급 기반이 아닌 기존의 욀란드급의 설계를 활용하여 비교적 저렴하게 뽑은것이 특징.
기존 애매했던 장점들이 특출나게 상승하여 본격적인 유럽 구축함의 강점을 보여주는 시기로. 애매했던 포격 능력과 뇌격능력, 대공 화력까지 모조리 개선하고 기존에 남았던 장점까지 강화된 완성형 범유럽 구축함이라 부를 수 있다
주함포는 전트리와 동일한 120mm 2연장 양용포 2기를 운용하며 완전 같은 포대라 성능은 동일하지만 장전이 2.3초로 굉장히 빨라 DPM이 상위권에 속할정도로 개선된다. 대구축상황이나 순간적으로 대형함한테 포격을 해야한 상황에서 데미지를 쏠쏠히 뽑아먹을 수 있는 효자. 뇌격 주력함이라고 함포를 아끼기보단 이득을 취할 수 있는 상황에선 적극적으로 함포를 사용하는것이 좋다.
뇌격 능력은 그동안 3연장에 묶였던 뇌격능력에 풀려 4연장 4기로 강화되었으며, 어뢰 스펙 역시 공격력이 5자리(10,700)으로 오르고, 속력 역시 86노트로 초고속 어뢰의 진면모를 보여준다. 4연장이 되면서 장전 속도가 다소 느려졌지만 타 구축함과 비교하면 그렇게 느린편은 아니라서 언제든지 사격이 가능하며 사거리 역시 13km로 상당히 긴 사거리로 맵 장악 능력까지 뛰어난 효율을 발휘한다
함체 부분은 내구도가 15,800으로 그렇게 높다고는 볼 수 없으며, 수리반을 사용해도 실질 내구 효율은 2만을 겨우 턱걸이 하는 수준으로 1차 트리로 구축 개싸움을 주저하게 되는 가장 큰 단점. 함장 스킬로 내구도를 늘리더라도 낮은 체력으로 기반으로 하는 무장 및 모듈 내구도 역시 낮은편에 속해 개싸움 하다 모든 장비가 터져 골골대다 수리해도 곧바로 터지는 유리 내구성을 자랑한다. 속력 또한 35노트로 느리다 보니 무작정 구축을 찾아 교전을 하기보다 아군이 지원이 있거나 단독으로도 사냥이 가능한 상대인지 파악을 하며 교전에 들어가야 한다. 다행히 기본 피탐지 6.9km 풀 세팅시 5.1km라는 굉장히 좋은 피탐지로 이를 커버할 수 있다는 점.
대공은 장거리 DPS 63 사거리 5km, 중거리 DPS 332 사거리 3.5km로 구축함이 아닌 순양함에 필적할 정도로 좋으며, 특히 대공 방어 소모품으로 2배 뻥튀기가 가능하다는걸 생각하면 항모 입장에선 재앙과 같은 존재. 대공 데미지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항공모함이라도 진입 도중이나 함재기 복귀 도중에 갈려나가는 상당히 강력한 성능을 보여준다.
소모품은 평범한 피해 복구반과 엔진 가속기, 대공 방어 소모품과 지속 14초 효율 1% 수리반을 사용한다. 세 소모품 모두 외스테르의 아쉬운점을 보충해주는 충분한 소모품.
비록 연막이 없고 내구도가 낮고 느리다는 단점이 있지만. 지역에 있는 적 군함을 몰아내고 방어하는데엔 충분한 성능을 보여주는 구축함으로, 주도적으로 적 구축함을 찾아 없애버리기 보단 아군과 협력하여 지역을 방어, 오는 군함들을 견제하는 형식으로 운용하면 그 장점을 크게 발할 수 있다.
2.2.5. 스몰란드 - 8티어
| | 스웨덴 해군에서 가장 크고 강력한 구축함 중 하나로 연사력이 높고 효율적인 120mm 주함포를 탑재하였다. 발사관 수가 다양한 여러 어뢰 무장을 장착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 |||
| 특성 |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120mm/50 Model 1950 | 2×2 | 2.1초 | 7.2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시그마 | ||
| 11km | 2.0 | }}} |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1,750 | 8% | 20mm | |
| 철갑탄 | 2,100 | -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533mm triple 533mm quintuple | 1×3 1×5 | 90초 | 7.2초 |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10,700 | 1.8km | 13.5km | 86knot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18,500 | 0% | 6 - 20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660m | 4.3초 | 35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7km | 3.5km | 2.5km |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 40mm/70 SAK-40/L70-350 | 6×1 | 266 | 3.5km |
| 57mm/60 SAK Model 1950 | 1×2 | 84 | 4.0km |
| 120mm/50 Model 1950 | 2×2 | 143 | 5.2km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슬롯 위치 | 명칭 | 설명 | |||
| 1번 (패드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지속시간 동안 면역 유지 지속 5초 / 쿨타임 40초 / 무제한 소모품 | |||
| 2번 (패드 ↑) | 엔진 부스트 | 지속기간 동안 최고 속력 및 엔진 출력 증가 지속시간동안 최고 속력 최대 + 30% 지속 60초 / 쿨타임 100초 / 사용횟수 3회 | |||
| 3번 (패드 →) | 군함 수리반 | 지속기간동안 내구도 회복 지속시간 동안 초당 체력 +184 지속 14초 / 쿨타임 120초 / 사용횟수 2회 | |||
| 레이더 | 반경 내 군함을 강제 탐지하는 레이더 작동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7.5km 지속 20초 / 쿨타임 180초 / 사용횟수 2회 | ||||
| 4번 (패드 ↓) | 대공 방어 사격 | 지속기간동안 평균 대공 공격력 대폭 상승 평균 대공 공격력 +200% 지속 25초 / 쿨타임 140초 / 사용횟수 3회 | |||
스웨덴 해군의 할란드급 구축함 2번함 스몰란드. 1950년대에 취역하였으며 주력 대형 구축함이었던 만큼 개장하여 신형 레이더와 대함 미사일도 장착하였다. 타 버전에선 할란드와 같은 티어대에 위치하여 포격과 레이더로 적 구축함을 찾아 교전하는 스몰란드와 전형적인 뇌격 구축함 할란드로 이원화 된 것과 달리 외스테르예틀란드와 할란드 사이에 마땅한 선박이 없어 대타로 8티어에 투입되었다. 그러면서도 타 버전의 강점을 또 들고 온것이 특징
주함포는 120mm 양용포 2연장 2기 구성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대신 포대가 현대화 됨에 따라 장전속도도 더욱더 줄어들고 사거리와 집탄 역시 개선되어 본격적인 포격 교전에 대해 큰 이점을 얻게되었다. 물론 4문밖에 없다는 단점은 그대로지만 DPM이 높게 나와 구축함간 교전에서도 불편함 없이 안정적인 교전 능력을 자랑한다. 그외에 부분은 전티어와 특성을 공유
어뢰는 5연장 발사관 1기 3연장 발사관 1기로 2티어의 비대칭 어뢰관이 다시 돌아온 구조로 변경되었다[2] 어뢰 자체는 전티어와 동일한 성능이고 장전이 조금 더 빨라졌다는 차이점이 있다
함체는 내구도가 18,500으로 8티어 평균치이며 수리반을 최대 효율로 쓰면 실질 내구력 2.3만이 나온다. 막 불리한 체력은 아니지만 여전히 종이짝 같은 모듈 내구도가 있다보니 교전할때 지속적으로 신경을 써야한다. 속력은 전티어와 똑같은 35노트 그대로, 하지만 소모품의 특이점 덕택에 속력 부분의 단점은 희석이 되어 불편함은 없는 수준. 피탐지는 기본 7.0km에 풀 세팅시 5.2km까지 낮아진다. 후술할 소모품 덕택에 이 요소는 굉장히 강력한 잠재력을 지니게 만들어준다.
대공은 장거리 DPS 143 사거리 5.2km, 중거리 DPS 84 사거리 4.0km, 단거리 DPS 266 사거리 3.5km로 구축함을 넘어 그냥 순양함급 DPS를 자랑하며, 대공 세팅을 하고 대공 방어를 쓰는 순간 레전더리 항공모함 함재기마저 순식간에 사라지는 절멸적인 화력을 자랑한다. 7티어 항공모함은 무조건 피해 다녀야 하는 악몽과 같은 수준.
소모품은 타 티어와 다르게 큰 변경점이 있다. 피해 복구반, 군함 수리반. 대공 방어 사격 소모품은 동일하지만 새로이 레이더가 추가 되며 엔진 가속기 또한 큰 변경이 이루어졌다는 것. 레이더는 수리반을 대체하며 성능은 구축용 레이더 그 자체지만, 수리반을 대가로 대구축 교전에 큰 우위를 점할 수 있어 운용 편의성을 늘려준다. 또한 엔진 부스트가 일반 엔진 부스트가 아닌 60초 작동 효율 30% 짜리 긴급 엔부를 사용하는데. 이 점 덕택에 교전시에만 45노트라는 고속성능을 확보할 수 있어 빠른 진입과 빠른 퇴각을 할 수 있게하는 스몰란드만의 특장점을 선보여준다. 이 두가지 요소 덕택에 수리반이 없음에도 스몰란드는 교전 부분에서 굉장히 강력한 이점을 가지는 셈
스몰란드는 소모품 성능의 변화로 운영 부분에서 약간의 변칙이 생겼지만, 큰 틀로 보면 전티어와 동일한 진입 억제 - 현상 유지에 큰 틀을 유지하는 억제형 구축함임은 불변하다. 하지만 수리반 보다 유틸면에 더 강력한 레이더, 순간 고기동을 확보시키는 긴급 엔부를 통해 그 억지 능력을 환상적으로 끌어 올린 구축함이라 볼 수 있다.
2.3. 2차트리
교전형 구축함
유럽 대체 구축함은 높은 단계부터 개량 주함포와 레이더를 탑재합니다. 이 새로운 장비로 적 구축함을 추적하고. 개량 고폭탄으로 적 군함을 불태울 수 있습니다.
* ▲ 장점
- 연사력이 뛰어난 주함포
- 뛰어난 고폭탄 관통력(함포 구경의 1/4)
- 7단계부터 레이더 소모품 사용 가능
- 훌륭한 속도와 뛰어난 가속력
* ▼ 단점
- 제한적인 어뢰 성능
- 철갑탄 없음
- 약한 조타 능력
유럽 대체 구축함은 높은 단계부터 개량 주함포와 레이더를 탑재합니다. 이 새로운 장비로 적 구축함을 추적하고. 개량 고폭탄으로 적 군함을 불태울 수 있습니다.
* ▲ 장점
- 연사력이 뛰어난 주함포
- 뛰어난 고폭탄 관통력(함포 구경의 1/4)
- 7단계부터 레이더 소모품 사용 가능
- 훌륭한 속도와 뛰어난 가속력
* ▼ 단점
- 제한적인 어뢰 성능
- 철갑탄 없음
- 약한 조타 능력
4티어 비스뷔에서 분기되며, 거의 스웨덴 해군 선박으로 이루어진 1차 트리와 달리 튀르키예, 노르웨이, 폴란드, 그리스등 진정한 범유럽이라 칭할 정도로 국가가 다양하게 구성되어있다. 주 특징은 장전이 빠르고 고티어에선 대구경 함포를 장착하나 고폭탄만 사용하는 주함포, 특성은 1차와 비슷하나 사거리가 짧은 어뢰, 속력은 좋지만 조타 능력이 좋지 않은 기동성, 체력이 높고 연막을 사용하나 수리반이 없지만, 대신 고티어에선 레이더 사용 가능하다는 특성이 있다.
4티어부터 6티어까지는 120mm를, 7티어 이상부터는 139mm~140mm라는 대구경 함포를 운영하게 된다. 거기에 관통력이 1/4 공식을 사용하고 공격력과 화재율이 높은 고폭탄을 사용하기에 상대를 가리지 않고 유효 딜링 능력이 굉장히 높게 나온다. 이에 대한 반동으로 철갑탄 운용 능력이 없는데. 대형함 상대로는 딱히 큰 단점은 아니지만 같은 구축함 상대로 교전할때 크게 느껴지는 단점으로 특히 측창이 매우 두꺼워 패기가 곤란한 독일 2차 구축함이나 소련 1차 구축함 같은 경우 철갑탄이 효율적인 딜링 수단이지만 그런것 없이 깡 고폭 DPM으로 지워야 한다는 것. 물론 고폭 DPM이 좋아 체감이 심한 단점은 아니다.
어뢰는 1차 트리와 비슷한 특성을 유지하지만 아주 강력한 포격 능력을 얻은 대가로 어뢰 성능은 동트리 1차트리보다 사거리가 66% 가량 짧고 어뢰 속력도 조금 더 낮게 설정되어 있으며 장전시간도 조금 더 긴 단점이 있다. 1차 트리 어뢰가 짧은 숏팔이면 지대한 문제지만 1차 트리 어뢰가 장사정 초고속 어뢰인지라 타 포격 구축함의 저성능 뇌격 비교하면 고급사양으로 엄청난 열화는 아니라서 사용하기엔 불편함은 많이 없는 편.
대공은 매우 막강한 1차 트리보다는 엄청나게 약한편으로 장거리 대공포가 아예 존재하지 않아 항모의 지속적인 공격엔 다소 불리한 편이다. 하지만 중거리 DPS도 꽤나 나오는 편에 대공 방어 소모품의 증가 비율이 200%가 아닌 400%로 초고성능의 소모품이다 보니 사용 도중엔 1차 트리와 비비는 대공 성능을 뽑아 낼 수 있어 저항에 도움이 된다.
내구도가 높은 편이고 높은 최고 속력과 더불어 영국 구축함 처럼 엔진 강화 모듈이 내장되어 가속 능력이 뛰어나며 여기에 더해 기믹으로 기동 도중 조타를 넣어도 속도 감소 비율이 5%로 굉장히 낮아 안정적인 고속 기동 능력을 선보여준다. 대신 높은 내구에 비례해 함체가 큰 편이고 엔진 강화 모듈을 장착 할 수 없어 김속과 후진하는 상황엔 많이 불리한 편. 특히 섬에 박는 상황에 매우 불리해지므로 언제나 미니맵을 보며 지형 지물에 충돌하는 상황을 억제하는 센스를 곁들여야 한다.
소모품적으로는 강력한 대공 방어 소모품과 평범한 연막 외에 7티어부터 사용하는 사거리 8km 지속시간이 10초인 레이더가 특기. 타 레이더에 지속 시간이 짧지만 교전에 우위를 점하는데엔 강력한 강점으로 특히 범유럽 구축함 함장 "예지 시비르스키"의 전용 스킬[전용][4]을 통해 더 길게 사용하면서도 더 높은 DPM까지 확보하므로 2차 트리의 주축 소모품으로써 가치가 높다. 대신 엔진 부스트의 성능이 높은 기동력으로 인해 성능이 좋지 않은 편으로 효율 5% 지속시간 100초로 일반 버전에 비해 80%가량 다운그레이드 되었다는 점. 이미 기본 가속 능력으로 충분히 받아 먹다 보니 대신 대공 방어를 드는 경우가 많다
레전더리 선박은 그단스크이며, 1차 트리의 할란드와 마찬가지로 2차 트리의 6티어 이상 선박이 필수로 보유해야한다.
2.3.1. 무아베네트 - 4티어
| | 1938년, 튀르키예는 영국에 신식 I급 군함 4척을 발주하였다. 하지만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그중 Muavenet를 포함한 2척은 영국이 직접 구매하였다. Muavenet는 HMS Inconstant란 이름으로 재명명된 이후 영국 해군 본대에서 취역하여 동양 함대에 배치되어 마다가스카르 지역 작전 및 1942년 여름에 진행된 몰타 수송 작전에 투입되었다. 이후에는 북대서양 수송대를 호위하며 노르망디 상륙 작전을 지원하였다. 1946년, 해당 군함은 튀르키예로 귀환하여 제1차 세계대전 당시 갈리폴리 전투에서 전함 Goliath를 격침한 구축함 Muavenet-i Milliye의 명예를 기리고자 Muavenet란 이름으로 다시 명명되었다. |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 120mm/45 QF CPXVIII | 4×1 | 5.5초 | 15초 | 9.8km | 2.0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1,900 | 9% | 30mm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533mm QR Mk IV | 1×4 | 75초 | 7.2초 |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6,200 | 1.6km | 6km | 72knot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11,900 | 0% | 6 - 10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540m | 3.1초 | 38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km | km | km |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 20mm Oerlikon Mk.IIA | 2×1 | 7 | 2.0km |
| 20mm Oerlikon Mk.V | 4×2 | 24 | 2.0km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 소모품 |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5초 | 4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지속: 20초 분산: 77초 | 240초 | 2회 | 2번(패드 ↑)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5% | 100초 | 160초 | 2회 | 3번(패드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300% | 30초 | 180초 | 2회 | 3번(패드 →) |
튀르키에 해군이 영국으로부터 구매한 I급 구축함. 건조중에 2차대전이 발발하자 영국이 튀르키에로부터 재구매해서 인컨스턴스로 함명을 변경하고 사용했으며 종전 이후 튀르키에 해군으로 넘겨졌다.
2.3.2. 스토르 - 5티어
| |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영국은 102mm ~ 120mm 함포 4개와 어뢰 발사관 1 ~ 2개를 탑재한 8가지 계열의 구축함을 건조하는 대대적인 작업에 착수했다. 그중 2척은 노르웨이 해군으로 이전되어 Stord와 Svenner로 이름이 바뀌었다. Stord는 1943년 9월에 취역하여 북대서양 작전에 참여하였으며 북극 호송대를 호위하기도 하였다. 또한, 노스케이프 해전 기간에 독일 전함 Scharnhorst 격침에 일조하였으며 1944년에는 노르망디 상륙 작전을 지원하였다. 전쟁 이후 Stord는 노르웨이 해군의 기함으로 운용되었다. |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 120mm/45 QF CPXXII | 4×1 | 4.5초 | 15초 | 10.4km | 2.0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1,900 | 9% | 30mm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533mm QR Mk IV | 2×4 | 75초 | 7.2초 |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7,533 | 1.6km | 7.5km | 72knot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12,500 | 0% | 6 - 16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590m | 3초 | 39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6.5km | 3.2km | 2.3km |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 20mm Oerlikon Mk.V | 4×2 | 24 | 2.0km |
| 40mm/56 OQF Mk.V | 1×2 | 12 | 3.5km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x | x |
| 소모품 |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5초 | 4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지속: 20초 분산: 81초 | 240초 | 2회 | 2번(패드 ↑)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5% | 100초 | 160초 | 2회 | 3번(패드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300% | 30초 | 180초 | 2회 | 3번(패드 →) |
2.3.3. 그롬 -6티어
| | 1937년에 취역한 Grom과 Błyskawica는 당시 유럽 구축함 중 최고 수준인 성능을 갖추었다. 제2차 세계대전 발발과 함께 해당 구축함은 발트해를 건너 영국에 도착하였다. 폴란드 함락 이후 Grom은 영국 해군 소속으로서 노르웨이 전역에 참전하게 되었다. 1940년 5월 4일, Grom의 어뢰 발사관 중 하나에 폭탄이 투하되어 어뢰가 유폭되었다. Grom은 불과 수 분 만에 침몰하였다. |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 120mm WZ. 34/36 Bofors single 120mm WZ. 34/36 Bofors double | 1×1 3×2 | 6.5초 | 15초 | 10.7km | 2.0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1,900 | 9% | 30mm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533mm triple | 2×3 | 75초 | 7.2초 |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7,533 | 1.6km | 7.5km | 72knot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15,500 | 0% | 6 - 16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610m | 3.2초 | 41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6.9km | 3.4km | 2.4km |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 13.2mm Hotchkiss WZ. 30 | 4×2 | 14 | 1.2km |
| 40mm/56 Bofors N° 3 | 2×2 | 32 | 3.5km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x | x |
| 소모품 |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5초 | 4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지속: 20초 분산: 85초 | 240초 | 2회 | 2번(패드 ↑)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5% | 100초 | 160초 | 2회 | 3번(패드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300% | 30초 | 180초 | 2회 | 3번(패드 →) |
2.3.4. 스플릿 - 7티어
| | 1930년대, 유고슬라비아 해군의 발주를 받은 프랑스의 전문가들은 Le Fantasque를 토대로 대형 구축함을 설계하였다. 군함의 이름은 해당 군함이 건조된 도시의 명칭을 따와 Split으로 명명되었다. 기공 작업은 1939년에 완료되었다. 해당 군함은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제작한 140mm 함포 5문을 장착할 예정이었다. 1941년, 스플리트가 이탈리아 병력에 점령당하면서 해당 구축함의 명칭도 Spalato로 변경되었다. 이후 이탈리아가 항복한 뒤에는 유고슬라비아가 영국 및 미국제 무장을 사용하여 해당 군함의 건조 작업을 이어갔다. 해당 군함은 1959년에 취역하여 즉시 해군의 기함으로 운용되었다. |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 140mm/56 Škoda Shielded | 5×1 | 3.6초 | 12.9초 | 10.8km | 2.0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2,000 | 10% | 35mm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533mm TR Mk IV | 2×3 | 75초 | 7.2초 |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10,700 | 1.6km | 8.5km | 76knot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16,600 | 0% | 6 - 20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640m | 3.8초 | 41.5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7km | 3.5km | 2.8km |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 15mm ZB-60 VZ-35 | 6×1 | 23 | 2.0km |
| 40mm Bofors WZ. 36 | 8×2 | 89 | 3.5km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5초 | 4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지속: 20초 분산: 89초 | 240초 | 2회 | 2번(패드 ↑)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5% | 90초 | 120초 | 3회 | 3번(패드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400% | 40초 | 180초 | 3회 | 3번(패드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8km | 10초 | 90초 | 3회 | 4번(패드 ↓) |
2.3.5. 람보로스 카초니스 - 8티어
| | 1920년대 후반, 그리스 해군 수뇌부에서 다수의 재래식 군함과 소수의 개량형 군함 중 어느 쪽에 투자할지를 놓고 논쟁이 벌어졌다. 1929년, 그리스는 첫 번째 안을 채택하고 이탈리아에 구축함 4척을 발주하였다. 대안으로는 140mm 함포를 장착한 영국 E급 순양함도 가능했을 것이다. 이 군함은 그리스인의 자유를 위해 투쟁한 인물 이름을 따 Lambros Katnosin라고 불렸다. | |||
| 특성 | |||
| |||
| 주함포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 140mm/50 BL PI* | 6×1 | 3.8초 | 12.9초 | 11km | 2.0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 고폭탄 | 2,000 | 10% | 35mm | ||
| 어뢰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 533mm QR Mk IV | 2×4 | 75초 | 7.2초 |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 10,700 | 1.6km | 9km | 80knot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 20,300 | 0% | 6 - 20mm |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 720m | 4.5초 | 42knot |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 7.1km | 3.5km | 2.9km |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 20mm Oerlikon Mk.24 | 6×2 | 37 | 2.0km |
| 76.2mm/50 Mk.34 | 2×1 | 29 | 4.0km |
| 76.2mm/50 Mk22 | 2×2 | 42 | 4.0km |
| 강화 장치 |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
| 소모품 |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5초 | 4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 연막 생성기 |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지속: 20초 분산: 93초 | 240초 | 2회 | 2번(패드 ↑) |
| 엔진 부스트 |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5% | 90초 | 120초 | 3회 | 3번(패드 →)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400% | 40초 | 180초 | 3회 | 3번(패드 →)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8km | 10초 | 90초 | 3회 | 4번(패드 ↓) |
[1] 폴란드 구축함들은 폴란드어 보이스가 나오지만 베스테로스는 범유럽 범용 보이스인 영국 보이스가 나온다.[2] 할란드급 건조 당시에는 5연장 2기로 동일했으나 개장으로 대함미사일을 장착할 때 후방 어뢰관 위에 2연장 대형 미사일을 장착하는 형식으로 개장하다보니 3연장으로 교체되었기 때문.[전용] "여우같은 재주", 레이더 작동 시 주함포 재장전 시간 최대 10% 감소, 레이더와 연막 소모품이 동시 작동시 레이더 지속시간 50% 증가[4] 출시 초창기엔 이 소모품을 강화시키는 함장의 스킬이 과도하게 좋아 2차 트리가 전장을 모조리 지배한 전적이 있다,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