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서아시아 | |||||
구울 · 바하무트 · 진(이프리트 · 둘하스 · 알 미라즈) · 로크 · 티아마트의 11마수(바슈무 · 우슘갈루 · 무슈마헤 · 무슈후슈 · 우갈루 · 우리딤무 · 기르타블리르 · 우무 다브루투 · 쿨룰루 · 쿠사릭쿠 · 라부) · 시무르그 · 아지다하카 · 아지 자이리타 · 안주 · 오안네스 · 자라탄 · 베헤모스 · 레비아탄 · 지즈 · 파주주 · 파레아스 · 페리 · 라마수 · 라마슈투 · 릴림 · 호마 · 훔바바 · 이룰루양카스 · 하늘의 황소 · 간다레와 · 부라크 · 앤콰 · 샤흐마란 · 나스나스 · 마리드 · 쿠자타 · 카르카단 · 팔라크 · 단단 | ||||||
북아프리카 | ||||||
바제트 · 베누 · 아펩(아포피스) · 스핑크스 · 암무트 · 메헨 · 네크베트 · 서포파드 · 우라에우스 · 엘 나다하 · 파레아스 · 만티코어 |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 ||||||
카토블레파스 · 키리무 · 미가스 · 맘바 무투 · 무후루 · 에이가무차 · 모켈레 음벰베 · 카사이 렉스 · 음빌루-음빌루-음빌루 · 콩가마토 · 포포바와 · 아바다 · 아난시 · 인돔베 · 에밀라 은투카 · 응고보 · 응구마-모네네 · 코아쿤-클룬 · 엘로코 · 난디곰 · 딩고넥 · 마로지 · 즈바 포피 · 그루츠랑 · 닌키 난카 · 아바트와 · 우간다의 거미 · 서머린 · 식인나무 · 트렁코 · 마함바 · 조바르 · 부다(마녀) | ||||||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 ||||||
구분 | 북아시아·중앙아시아 | |||||
아메리카 | 유럽 | 동아시아 | ||||
오세아니아 | 동남아·남아시아 | |||||
남극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주요 신화 | 길가메시 서사시 · 아트라하시스 · 아라타의 지배자 · 에누마 엘리시 |
일곱 지배신 | 4주신(四主神): 아누(안) · 엔릴(엘릴) · 엔키(에아) · 닌후르쌍 3천신(三天神): 이슈타르(인안나) · 난나(씬) · 샤마쉬(우투) | |
그 외 주요신 | 아다드(이쉬쿠르) · 두무지(탐무즈) · 에레슈키갈(에레시키칼) · 엔킴두 · 게슈틴안나(게쉬틴안나) · 라하르 · 마르두크 · 네르갈 · 닌우르타(니누르타) · 나부 · 아슈르 | |
기타 신 | 아가사야 · 아눈나키 · 아사룰루두 · 아슈난 · 아눈나 · 이기기 · 바알 · 엔빌룰루 · 마미/닌투 · 남타르 · 닌카시 · 닌릴 · 닌순 · 닌아주 · 누스쿠 · 사르파니트 | |
반신 및 영웅 | 길가메시 · 엔키두 · 엔마르카르 · 아다파 · 바알 · 엔빌룰루 · 마미/닌투 · 남타르 · 루갈반다 · 샴하트 · 시두리 · 지우수드라(아트라하시스) | |
태초의 존재들 | 티아마트 · 키샤르 · 라흐무 · 아프수 · 안샤르 · 라하무 · 킨구 · 뭄무 · 남무 | |
정령 및 괴수 | 우투쿠 · 라마수/셰두 · 아사쿠 · 에딤무 · 시리스 · 안주 · 훔바바 · 아사그 · 한비 · 쿠르 · 라마슈투 · 파주주 · 라비수 · 무슈후슈 · 오안네스 · 릴루/릴리투 |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이름 표기 | |
수메르어 | 𒌓𒃲𒆷 (UD.GAL.LA) |
아카드어 | 𒌓𒃲𒆷 (ūmu rabû) |
1. 개요
Ugallu | labbu | umu labbu메소포타미아 신화에 나오는 요괴.
2. 상세
파일:ugall36.jpg이름의 뜻은 '거대한 폭풍 야수'라고 한다. 사자의 머리와 사람의 몸, 새의 발을 지니고 있는데 초기에는 사람의 발을 지니고 있었으나 기원전 10세기 경부터는 짧은 치마를 입고 새의 발을 지니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에누마 엘리시에 따르면 우갈루는 티아마트가 신들을 몰살 시키기 위해 낳은 11마리의 마수 중 하나였다고 한다. 마르두크와의 전투에서 패배해 죽은 이후 우갈루는 악령을 몰아내는 용도로 주로 왕궁이나 신전, 개인 침실들에 놓여졌으며, 호신용 부적이나 마법 보석에 넣는 문양으로도 사용되었고, 건물의 입구에 수호신으로써 쌍으로 그려진 우갈루를 그려넣기도 했다.
바빌로니아 제1왕조 때는 네르갈의 시종이라는 비유로도 등장했다. 또한 그 이후에는 수메르 신화에 나오는 자신과 아주 똑같이 생긴 악마 루랄과 함께 짝을 이루어 부적에 새겨지기도 하였으며 사자의 머리, 귀에 왼손에는 단검을 오른손에는 메이스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졌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