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bgcolor=#fff,#2d2f3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colcolor=#ffffff><colbgcolor=#38b243><tablebgcolor=white,#191919> 철도 | 목포보성선 | 영암역 |
| 도로 | 고속도로 | ||
| 국도 | 2번 국도, 13번 국도, 23번 국도 | ||
| 지방도 | 49번 지방도, 801번 지방도, 806번 지방도, 819번 지방도, 820번 지방도, 821번 지방도, 827번 지방도, 835번 지방도 | ||
| 버스 | 시내버스, 고속(시외)버스 | 영암군 농어촌버스, 영암여객자동차터미널, 독천터미널 | |
| 항구 | 목포항 남단 | ||
| 전라남도의 교통 | |||
1. 개요
영암군의 교통축은 2개로 나눠져 있다. 영암읍, 신북, 덕진, 도포, 시종, 금정, 군서는 광주광역시로 연결되는 축이고, 영암군 서부에 위치한 삼호읍, 학산, 미암 지역은 목포시로 연결되는 축이다. 서호는 두 지역 모두 진출이 편하다. 또한, 간척으로 인해 전라남도에서 바다와 접하면서도 유일하게 어항이 없는 군이다.2. 철도
철도는 2025년 현재 목포보성선 영암역과, 실험선으로나 쓰이는 대불선 대불역 2개역이 있다. 대불역은 화물용이라 여객 영업을 하는 역은 영암역이 유일한데 위치가 극악이라 누가 이용할 지 의심스러운 수준. 90년대에 영암군을 지나는 나주-완도간 철도가 구상됐지만 경제성 문제로 강진광주고속도로로 대체되었다. 그래서 철도를 이용하려면 목포역[1]이나 나주역으로 가야한다. 2025년 7월 18일 목포-영암삼호-해남산이면-해남 화원반도-진도노선의 목포-진도간 광역철도를 만들자는 움직임이 일어나기 시작했다.3. 도로
3.1. 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의 기점이다. 하지만 서영암 나들목이 가까운 삼호읍 주민들을 제외한 영암군 사람들에게는 반쪽짜리 고속도로가 되어버렸으며, 서호학산 나들목이 있지만 목포 방향만 진출입 가능하고 순천 방향으로 진출입 하려면 강진군 성전면에 위치한 강진무위사 나들목으로 진출입해야 한다. 그러나 2026년에 강진광주고속도로가 개통이 되면 영암군에서 두 번째로 지나는 고속도로가 될 뿐만 아니라 관내에 나들목이 3개나 추가되어 고속도로 이용이 편리해질 전망이다.3.2. 국도
2번 국도가 서남부를 지나고, 13번 국도와 23번 국도가 동부 지역을 관통한다.- 2번 국도: 무영대교를 통해 무안군 삼향읍[2]에서 넘어와 서영암 나들목에서 우회전을 해서 서호교차로에서 독천 방향으로 진행해서 삼호읍, 미암면, 학산면을 거쳐서 강진군 성전면으로 넘어간다. 목포와 순천을 잇는 도로임과 동시에 전남 남해안 시군을 통과하는 도로다 보니 예전부터 왕복 4차로로 확장이 되어있다.
- 13번 국도: 강진군 성전면에서 넘어와 영암읍, 덕진면, 신북면을 거쳐 나주시 세지면으로 넘어간다. 광주와 전남 남해안 지역인 완도, 해남, 강진을 잇는 도로다 보니 차량 통행량이 영암에서 가장 많으며, 예전부터 왕복 4차로로 확장이 되어있다.
- 23번 국도: 장흥군 유치면에서 넘어와 금정면을 거쳐서 나주시 세지면으로 넘어간다. 왕복 2차로 도로지만 교통량은 2번 국도, 13번 국도만큼 많지는 않지만 그래도 광주와 나주를 잇는 도로라서 교통량은 이상된다.
3.3. 기타
49번 지방도가 영암방조제를 구성하여 진도와 삼호읍, 목포를 잇는 최단거리 도로의 역할을 하며, 영암읍과 삼호읍은 819번 지방도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나머지 지방도 노선은 801번 지방도, 806번 지방도, 820번 지방도, 821번 지방도, 827번 지방도, 835번 지방도가 있다.
그 외에 통행량이 많은 도로를 13개 노선으로 묶어 영암군도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4. 버스
4.1. 시외버스
영암여객자동차터미널, 신북시외버스터미널, 삼호종합버스터미널, 독천터미널에서 시외버스를 이용한다. 이들 터미널을 시점으로 하는 노선은 없고 모두 경유노선이다. 과거에는 광주와 전남 중남해안권을 오가는 노선들이 모두 영암을 경유했기 때문에 굉장히 빈번하게 시외버스가 운행되었으나, 각 지역을 직통으로 잇는 노선들이 잇달아 개통되면서 지금은 광주행 노선이 하루 20회도 안된다.4.2. 농어촌버스
영암교통, 낭주교통에서 영암군 농어촌버스를 운행 중이다. 2024년 9월 1일부터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나 이용구간에 영암군이 포함되어있어야 무료이며, 관외에서만 이용할 경우 해당 지자체의 요금을 징수한다.2023년에 노선 대개편이 한 차례 있었고, 영암역 개통 등 군내 교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2025년 다시 한 차례 전면 개편을 할 예정이다.
5. 항구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ECF2FA,#2D2F34><colcolor=#000,#FFF> 무역항 | |
| 동해안 | 속초항 · 옥계항 · 묵호항 · 동해항 · 삼척항 · 호산항 · 포항항 · 울산항 · 울산신항 · 장생포항 | |
| 서해안 | 인천항 · 인천신항 · 경인항 · 서울항 · 평택·당진항 · 대산항 · 태안항 · 보령항 · 장항항 · 목포항 · 새만금항 | |
| 남해안 | 부산항 · 부산신항 · 진해항 · 마산항 · 고현항 · 옥포항 · 장승포항 · 통영항 · 삼천포항 · 하동항 · 여수항 · 광양항 · 완도항 | |
| 제주도 | 제주항 · 서귀포항 | |
| 연안항 | ||
| 동해안 | 주문진항 · 울릉항 · 후포항 · 강구항 · 구룡포항 | |
| 서해안 | 격렬비열도항 · 용기포항 · 연평도항 · 대천항 · 마량진항 · 상왕등도항 · 송공항 · 대흑산도항 · 홍도항 · 가거향리항 | |
| 남해안 | 부산남항 · 중화항 · 국도항 · 거문도항 · 나로도항 · 녹동신항 · 강진항 · 화흥포항 · 땅끝항 · 진도항 | |
| 제주도 | 추자항 · 애월항 · 한림항 · 화순항 · 성산항 | |
| 항만법 제3조(항만의 구분 및 지정)와 동법 시행령 제2조(항만의 명칭 등)에 따른 구분 | }}}}}}}}} | |
영암군 삼호읍에 목포항의 일부분인 대불부두가 있다. 한때 08년에 삼호지역의 6개부두를 영암항으로 분리.독립하려는 움직임도 있지만 시간이 흘려 언제 그랬냐?는 듯 움직임이 사라지고 말았다. 또한 당시 08년 4월에는 목포항 대불부두 등 6개 부두가 영암항으로 분리될 경우 작업량이 줄어들 것으로 우려해 분리 여론 조성을 반대로 영암항 개명에 불만을 품은 항만회사 3명이 현수막을 훼손한 혐의(재물손괴)로 경찰에 입건된 일이 있었다.
이외에 소규모 어항(漁港)도 영산강 하구에 몇몇정도는 있었으나 영산강하굿둑을 조성하여 간척을 하면서 사라졌다.
6. 항공
목포공항이 삼호읍 용당리에 있었으나 무안국제공항이 2007년에 목포공항을 대체하며 폐항했고 현재는 군용으로 전환됐다.[1] 삼호읍, 학산면, 미암면, 서호면만 해당[2] 원래는 목포시에서 영산강하굿둑을 건너서 삼호읍까지 2번 국도였지만 무영대교와 무영로 우회도로가 개통이 되어 국도에서 지정해제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