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연지리학 Physical Geography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6600><colcolor=#fff> 지형학 | 지형(둘러보기틀), 하천 지형, 해안 지형, 화산 지형, 카르스트 지형, 빙하 지형, 풍화, 단층, 습곡, 분지, 암석권, 침강, 융기, 조륙운동, 조산운동 | |||
| 기후학 | 기후, 기온, 강우, 강우량, 다우지, 소우지, 바람, 기단, 기압, 지상풍, 전선, 계절, 계절풍, ITCZ, 편서풍, 대기 대순환, 전향력, 온대저기압, 열대저기압, 연교차, 일교차, 기상학, 기후 관련 정보 | ||||
| 고기후학, 빙하기, 간빙기, 소빙하기, 제4기학, 홀로세, 프록시(기후) | |||||
| 열섬 현상, 푄 현상, 기후변화, 지구 온난화, 사막화, 엘리뇨, 라니냐, 남방진동, 양간지풍 | |||||
| 쾨펜의 기후 구분((A)열대 기후, (B)건조 기후, (C)온대 기후, (D)냉대 기후, (E)한대 기후 · 고산 기후) , 스텝(지리), 고위도, 중위도, 저위도, 아열대고기압대 | |||||
| 생물지리학 | 생태학, 경관생태학, 생물군계, 생태계, 식생, 월리스선, 초지, 침수초원, 열대우림 | ||||
| 수문학 | 육수학, 강, 호수, 습지, 소택, 지하수, 지하수학, 하상계수, 지류(지리) , 감조구간, 감조하천 | ||||
| 토양지리학 | 흙, 토양, 틀:토양, 틀:흙(자갈, 마사토, 모래, 실트, 점토) | ||||
| 기타분야 | 환경지리학 | 고지리학 | 지구과학 (지질학, 대기과학, 해양학) | ||
| 관련문서 | 지리학, 지리학과, 지리교육학, 틀:인문지리학, 틀:지리정보과학 | }}}}}}}}} | |||
1. 개요
연교차(年較差,[1] Annual range of temperature)는 1년중 가장 더운 달인 최난월(最暖月)의 평균기온과 가장 추운 달인 최한월(最寒月)의 평균기온의 차이를 말한다. 고위도일수록, 내륙 지역일수록, 대륙의 동쪽일수록 연교차가 더 크게 나타난다.한국의 경우 7~8월의 평균기온에서 1월의 평균기온을 뺀 값이 되며,[2] 30℃ 내외에서 분포한다.
2. 특징
| |
고위도, 내륙지역으로 갈수록 심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대륙이 많은 북반구의 연교차가 바다가 많은 남반구의 연교차보다 큰 편이다. 인구와 문명이 몰려 있는 중위도 기준으로는 대륙의 동안 지역(동아시아, 미국 동부 등)이 대륙의 서안 지역(서유럽, 미국 서부 등)보다 연교차가 큰 편이다. 고지대의 경우 연교차가 일반적으로 매우 작은 편이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는 냉대 기후(D)에 속한 지역에서 연교차가 크게 나타나며, 다른 기후대는 상대적으로 연교차가 작다.
난류의 영향이 강하면 고위도라도 연교차가 매우 작아진다. 멕시코 만류의 영향을 받은 레이캬비크와 토르스하운, 우수아이아는 서안 해양성 기후의 교과서격인 런던보다도 연교차가 작다. 이들 지역 중 최한월 평균기온이 영하로 떨어지지 않으면 아극 해양성 기후(Cfc)가 나타나기도 한다.
남한은 연교차가 대체로 23~32℃ 정도이며, 도서지역, 동해안, 남해안 지역이 비교적 작고, 수도권, 강원도의 산간지역 일대가 큰 편이다. 북한은 연교차가 30℃ 이상인 지역이 많고, 개마고원과 중강진 일대는 연교차가 40℃ 가까이 벌어진다.
일본의 경우, 1년 내내 온난한 편에 속하는 규슈 지역과 오키나와는 연교차가 적은 편이지만 홋카이도의 내륙 지방은 연교차가 상당히 크다. 대한민국의 남해안과 동해안 지역을 상회하며 강원 영서 지방과 비슷한 수준이다.
미국 내륙이나 캐나다의 상당 부분도 연교차가 큰데, 남부의 오클라호마 시티만 해도 연교차가 서울특별시, 춘천시 등 한반도 중부 지방과 맞먹으며 북동부 시카고와 중서부 위치타, 캔자스시티 같은 경우는 평양시, 베이징과 동등한 연교차를 자랑한다.[4] 몬태나주, 노스다코타, 사우스다코타, 미네소타 같은 경우는 연교차가 중국 만주, 연해주와 맞먹는다. 다만 연교차가 일정 이상으로 커지면 겨울이 아주 추운데 여름이 서늘한 형태가 되므로, 여름에 열대야나 폭염이 일어나는 대도시 중 가장 추운 지역은 시카고, 평양 정도이다.
전세계에서 가장 연교차가 큰 지역은 고위도, 대륙 동안에 위치하는 동시베리아 지역으로, 연교차가 60℃ 이상 벌어진다. 동시베리아 지역의 영향을 받는 곳들은 대부분 연교차가 매우 큰데, 겨울철 동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수도들인 베이징, 서울은 연교차가 큰 수도이다.
연교차가 큰 지역일수록 기상학적인 봄과 가을이 짧다. 일 평균기온 5~20℃ 사이를 유지하는 기간이 빠르게 지나가기 때문이다. 또한 봄, 가을 기간에도 일교차가 10℃ 이상으로 크다.[5] 이런 경우 특히나 건조해질 수록 일교차가 큰데 비교적 덜 건조한 서울조차도 봄, 가을에는 건조하고 일교차가 큰 기후가 나타나며 베이징, 평양은 훨씬 심하다. 다만 여름 기간에는 일반적으로 일교차가 크지 않은 편이며, 특히 여름이 습하고 열대야가 강한 서울은 여름 일교차가 가장 적은 편이다.
3. 절대연교차
| |
| 연교차를 잘못 계산한 뉴스# 2018년 서울의 8월 평균기온은 28.8도, 1월 평균기온은 -4.0도로, 연교차는 32.8도이다. |
[1] 연교차라는 단어에는 기온이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부수적인 단어 없이 연교차라고 쓰면 기온 얘기인 경우가 대부분이다.[2] 일반적으로 7월보다 8월 기온이 조금 더 높지만, 마른 장마로 인한 7월 이상 고온이나 8월 이상 저온 등으로 역전되는 경우도 있다.[3] 연최고극기온과 연최저극기온의 차이는 절대연교차로 구분해서 부른다.[4] 다만 실제로 시카고는 다설지이기에 기후 특성 자체는 아예 다르다.[5] 대한민국의 경우 일반적으로 봄, 가을 기간의 일교차가 12℃ 전후다. 미국 서부나 호주는 이보다 더 큰데 무려 일교차가 18℃ 전후다.